KR101191882B1 -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 Google Patents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882B1
KR101191882B1 KR1020100048348A KR20100048348A KR101191882B1 KR 101191882 B1 KR101191882 B1 KR 101191882B1 KR 1020100048348 A KR1020100048348 A KR 1020100048348A KR 20100048348 A KR20100048348 A KR 20100048348A KR 101191882 B1 KR101191882 B1 KR 10119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ater meter
insulating body
hole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983A (ko
Inventor
엄진욱
Original Assignee
엄영호
엄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호, 엄진욱 filed Critical 엄영호
Priority to KR102010004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88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성을 우수하도록 하면서 사용수명을 길게 하고 제작성을 좋게 하여 원가 및 인건비 절감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에 구비되어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에 있어서, 내부의 하부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부측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내측 단턱부가 형성되며, 내측 단턱부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수용공간 간에 연통되는 상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수도의 유입관 및 유출관이 관통되어지는 하부통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 하부통공 간에 연결되도록 진입통로가 형성되는 보온몸체; 상기 보온몸체의 단턱부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도록 상부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단턱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온몸체의 상부통공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상부마개; 상기 보온몸체의 하부측 진입통로에 밀착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온몸체는 지상의 냉기가 수용공간 내에 침투되지 않도록 높이방향 상부측 두께가 보온몸체 전체 높이의 1/2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마개의 바닥면이 상부통공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입통로는 내측부 양측 선단면이 상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마개는 경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밀착성을 높임과 아울러 하부마개의 상부 진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Lagging materials for protecting case of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는 보온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체로 제작되어 밀폐성이 좋고 상부몸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주로 지면 아래 설치되는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통 내에 구비되는 것이다.
종래의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도 9에서와 같이 상부몸체(112)와 하부몸체(113)로 분리 형성되고, 상부몸체(112)의 정중앙 상부에 마개(111)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부몸체(112) 및 하부몸체(113)의 전체 두께가 일정하게 얇게 형성되어 보호통(121)과 보호뚜껑(122) 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상부몸체(112) 및 하부몸체(113)가 분리 형성되고 그 전체 두께가 일정하게 얇게 형성되어 있어 사이틈 및 몸체를 관통하여 외부 냉기가 침투하기 쉽고 보온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개폐밸브 작동시 마개(111)만 들어내면 개폐밸브의 작동이 어려워 상부몸체(112)까지 빼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상부몸체(112)의 분실 및 파손이 우려되어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상부몸체(112) 및 하부몸체(113)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몸체(112) 및 하부몸체(113) 내 수용공간이 넓어 가장 중요한 보온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보온몸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보온성 및 제작성이 우수하고 보온몸체의 분실 및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에 구비되어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에 있어서, 내부의 하부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부측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내측 단턱부가 형성되며, 내측 단턱부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수용공간 간에 연통되는 상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수도의 유입관 및 유출관이 관통되어지는 하부통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 하부통공 간에 연결되도록 진입통로가 형성되는 보온몸체; 상기 보온몸체의 단턱부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도록 상부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단턱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온몸체의 상부통공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상부마개; 상기 보온몸체의 하부측 진입통로에 밀착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온몸체는 지상의 냉기가 수용공간 내에 침투되지 않도록 높이방향 상부측 두께가 보온몸체 전체 높이의 1/2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마개의 바닥면이 상부통공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입통로는 내측부 양측 선단면이 상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마개는 경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밀착성을 높임과 아울러 하부마개의 상부 진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상부마개를 제외한 보온몸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보온성이 우수하고 제작성이 좋으며 보온몸체의 분실 및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냉기가 주로 스며드는 보온몸체의 상부측 두께를 전체 두께의 1/2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여 수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이점들로 인해 사용수명이 길고 제작시 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및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온재의 바닥부 일부 절단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종래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내부에 수도미터기(5)의 수용공간(11)이 마련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온몸체(10)와, 보온몸체(10)의 상부측에 삽입되는 상부마개(20)와, 보온몸체(10)의 하부측에 삽입되는 하부마개(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수도미터기 보호통(2) 내에 구비되어 수도미터기(5)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보온몸체(10), 상부마개(20) 및 하부마개(30)는 전체가 보온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주로 스티로폼과 같은 보온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보온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수도미터기(5)의 수용공간(11)이 마련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1)을 중심으로 상부측에는 상부마개(20)가 삽입되는 상부통공(13)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수도미터기(5) 및 이에 연결된 유입관(6a), 유출관(6b) 및 개폐밸브(7) 부분이 하부측을 통해 삽입되어지는 하부통공(16) 및 진입통로(17)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1)은 보온몸체(1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하며, 특히 지상의 냉기가 수도미터기(5)가 설치되는 수용공간(11) 내에 침투되지 않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보온몸체(10)의 높이방향 상부측 두께를 보온몸체(10) 전체 높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수용공간(11)이 보온몸체(10)의 높이방향 중심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수용공간(11)을 최소로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측에는 외부와 수용공간(11) 간에 연통되는 상부통공(13)이 형성된다. 상부통공(13)은 통상 보온몸체(10)의 상부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부통공(13)을 통해 수도미터기(5)를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개폐밸브(7)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통공(13)은 보온몸체(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길이는 보온몸체(10) 전체 높이의 1/2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통공(13)에는 상부마개(20)가 밀착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에 내측 단턱부(12)가 형성되어지는데, 이때 보온효과를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2단 이상으로 단턱부(1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1)의 하부측 바닥부(15)로는 수도미터기(5) 및 이에 연결된 유입관(6a), 유출관(6b) 및 개폐밸브(7)가 삽입되어져야 하는데, 이때 도 3b 및 도 4에서와 같이 수도의 유입관(6a) 및 유출관(6b) 부분이 관통되어지는 하부통공(16)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유입관(6a) 및 유출관(6b) 사이에 연결 설치된 수도미터기(5) 및 양측 배관부분이 관통되어지도록 양 하부통공(16)에 연결되는 진입통로(17)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통로(17)는 도 4에서와 같이 내측부 양측 선단면이 상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경사진 경사부(19)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수도미터기(5) 및 이에 연결된 부속재의 삽입시 안내 용이하도록 하며, 후술되는 하부마개(30)가 경사부(19)에 밀착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19)가 형성됨으로써 하부마개(30)가 경사부(19)에 안착되어 그 상부로의 진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입통로(17)의 내측부 양측 선단면에 경사부(19)를 형성하지 않고 수직부(미도시됨)를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보온몸체(10)의 상부통공(13)에 밀착 삽입되는 상부마개(20)가 구비된다. 상부마개(20)는 보온몸체(10)의 단턱부(12)에 대응되도록 그 상부에 적어도 2단 이상의 단턱부(22)가 형성되고, 단턱부(22)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26)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마개(20)는 보온몸체(10)와 동일 재질인 스티로폼과 같은 보온성을 지닌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손잡이(26)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돌부 또는 홈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손잡이(미도시됨)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온몸체(10)에 삽입되는 상부마개(20)의 바닥면은 상부통공(13)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부통공(1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보온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나, 상부통공(13)의 하단부에 돌출되어지거나 상부통공(13)의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돌출되게 형성될 경우 상부마개(20)의 바닥부가 잦은 개폐로 인해 닳거나 해질 우려가 생기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마개(20)가 삽입되는 상부통공(13)을 두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그 일예로 상부통공(13)을 보온몸체(10) 상부측 상의 중앙부 및 그 중앙부의 일측부에 두개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부 상부통공(13a)은 저부측 직경이 수도미터기(5)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게 하여 그 하부측에 수도미터기(5)가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앙부 상부통공(13a)은 수도미터기(5)의 관찰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도미터기(5)의 표시부만 보일 정도의 크기면 만족하나, 통상은 수도미터기(5)의 외경 크기만큼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부 상부통공(13a)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부 상부통공(13b)은 중앙부 상부통공(13a)에 상응되는, 즉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며, 측부 상부통공(13b) 하부측에 개폐밸브(7)가 위치되도록 하여 그 측부 상부통공(13b)으로 사용자가 손을 넣어 개폐밸브(7)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는 수도미터기(5)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이 주목적인데, 수도미터기(5)의 동파방지를 더욱 긴밀히 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수도미터기(5) 주위를 감싸도록 중앙부 상부통공(13a)의 하단부 주위에 빙둘러 하부측으로 가드부(14)를 연장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수도미터기(5)가 가드부(14)에 의해 감싸지면서 동파방지를 더욱 긴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온몸체(10)의 하부측에는 하부마개(30)가 구비된다.
하부마개(30)는 도 3a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보온몸체(1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양 하부통공(16)을 제외한 진입통로(17)에 밀착 삽입되도록 분리 구성되어 지면하부로부터의 수용공간(11) 내 단열 및 보온을 위해 그 바닥부를 막도록 구성된다.
이때 보온몸체(10)의 진입통로(17)의 양측 선단면에 경사부(19)가 형성될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하부마개(30)의 길이방향 양측 선단면 역시 상기 경사부(19)에 대응되어 밀착될 수 있는 경사부(3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과 같은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의 사용 설명은 도 5 및 도 8을 참조한 하기와 같다.
먼저 지면 아래 상수도의 유입관(6a) 및 유출관(6b)을 설치한 다음, 하부에 보호관(9)을 갖는 보호통(2)을 안착시킨다. 이때 보호통(2)의 상부면은 지면과 수평되도록 한다.
그 다음 보호통(2)에 형성된 양측 보호관(9) 사이에 하부마개(30)를 안착시키고, 그 후 수도미터기(5)를 비롯한 기타 부속재를 연결시켜 수도미터기(5)의 조립을 완성시키며, 보호관(9) 사이에 위치된 상수도의 유입관(6a) 및 유출관(6b) 주위에 수도관보온재(8)를 구비하여 유입관(6a) 및 유출관(6b)을 보온시키면서 지면 아래로부터 수도미터기(5)측으로의 냉기 침투를 방지토록 한다.
그런 다음 보온몸체(10)를 보호통(2) 내에 삽입하여 수도미터기(5) 및 그 부속재가 수용공간(11) 내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보온몸체(10)의 하부측 경사부(19)가 하부마개(30)의 경사부(31)에 밀착 안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 후 보온몸체(10)의 상부통공(13)에 상부마개(20)를 밀착 삽입시켜 결합하고, 보호통 뚜껑(4)을 닫으면 설치가 완성된다.
완성 후 수도미터기(5)의 검침이나 개폐밸브(7)의 사용시 먼저 보호통 뚜껑(4)을 개방한 후 필요한 상부마개(20)만 위로 잡아 당겨 개방시키고 검침 또는 사용 후 다시 삽입시키면되므로 사용성이 좋으며, 보온몸체(10)를 별도로 들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온몸체(10)의 분실 및 파손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된다.
2 : 보호통 4 : 보호통 뚜껑
5 : 수도미터기 6a : 유입관
6b : 유출관 7 : 개폐밸브
8 : 수도관보온재 9 : 보호관
10 : 보온몸체 11 : 수용공간
12,22 : 단턱부 13 : 상부통공
13a : 중앙부 상부통공 13b : 측부 상부통공
14 : 가드부 15 : 바닥부
16 : 하부통공 17 : 진입통로
19,31 : 경사부 20 : 상부마개
26 : 손잡이 30 : 하부마개

Claims (5)

  1.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에 구비되어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에 있어서,
    내부의 하부측에 수용공간(11)이 마련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부측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내측 단턱부(12)가 형성되며, 내측 단턱부(12)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수용공간(11) 간에 연통되는 상부통공(13)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수용공간(11)의 바닥부(15) 상에 수도의 유입관(6a) 및 유출관(6b)이 관통되어지는 하부통공(16)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 하부통공(16) 간에 연결되도록 진입통로(17)가 형성되는 보온몸체(10);
    상기 보온몸체(10)의 단턱부(12)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도록 상부측에 단턱부(22)가 형성되고, 단턱부(22)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온몸체(10)의 상부통공(13)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26)가 형성되는 상부마개(20);
    상기 보온몸체(10)의 하부측 진입통로(17)에 밀착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마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온몸체(10)는 지상의 냉기가 수용공간(11) 내에 침투되지 않도록 높이방향 상부측 두께가 보온몸체(10) 전체 높이의 1/2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마개(20)의 바닥면이 상부통공(13)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입통로(17)는 내측부 양측 선단면이 상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경사진 경사부(19)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마개(30)는 경사부(19)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밀착성을 높임과 아울러 하부마개(30)의 상부 진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48348A 2010-05-25 2010-05-25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10119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48A KR101191882B1 (ko) 2010-05-25 2010-05-25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48A KR101191882B1 (ko) 2010-05-25 2010-05-25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83A KR20110128983A (ko) 2011-12-01
KR101191882B1 true KR101191882B1 (ko) 2012-11-02

Family

ID=4549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348A KR101191882B1 (ko) 2010-05-25 2010-05-25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890B1 (ko) * 2018-03-23 2020-10-22 서만제 수량계 보호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55Y1 (ko) * 2001-03-14 2001-10-08 장재술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구조
KR200265486Y1 (ko) * 2001-11-12 2002-02-25 (주)대한상사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55Y1 (ko) * 2001-03-14 2001-10-08 장재술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구조
KR200265486Y1 (ko) * 2001-11-12 2002-02-25 (주)대한상사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83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882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101397315B1 (ko) 지상형 보온 보호통
KR101611074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120084836A (ko) 수도미터기 동파 방지 보온 카버
KR200471750Y1 (ko) 공기층부 보온재
KR200405249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장치
KR101087579B1 (ko) 보온 덮개 고정수단을 갖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856945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101737804B1 (ko) 상부뚜껑 잠금기능과 검침용 뚜껑의 동시 개방이 가능한 수량계 보호통의 구조
KR20110011403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납되는 단열부재의 밀봉구조
EP2420389B1 (en) A chalk line device having a chalk line outlet defined by two parts
KR200387638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CN111795531B (zh) 冰箱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KR100432778B1 (ko) 수도 미터기 이중 보온 보호통
KR20120008951U (ko) 수도계량기용 보호기
KR200266383Y1 (ko) 수도 미터기 이중 보온 보호통
KR20140128108A (ko) 수도미터기 보온보호통
KR200471727Y1 (ko) 공기층부 보온재
KR20210030822A (ko) 지수전이 설치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2276999B1 (ko) 수도계량기 보호 케이스
KR200381764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보온재용 보강카버
US6345398B1 (en) Drain plug with a central drainage aperture for a bathtub
KR20100006692U (ko) 콘센트 보호 커버의 코드 인출 구조
KR102168890B1 (ko) 수량계 보호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