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02B1 -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02B1
KR101191702B1 KR1020110147044A KR20110147044A KR101191702B1 KR 101191702 B1 KR101191702 B1 KR 101191702B1 KR 1020110147044 A KR1020110147044 A KR 1020110147044A KR 20110147044 A KR20110147044 A KR 20110147044A KR 101191702 B1 KR101191702 B1 KR 10119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ex
unit
free
extracting
fre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유
오순영
윤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1014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소정의 자유선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된 도형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도형 삽입 기법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도형 삽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FREE FORM LINE RECOGNITION BASED FIGURE INPU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출력하는 기법에 대한 것이다.
워드프로세서나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들은 전자 문서 내에 도형이나 그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자유선을 출력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입력을 수신하여 여러가지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 그리기 프로그램이 등이 등장하고 있다.
보통,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나 그림 그리기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 자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도형 형상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 자체에서 제공하는 도형 형상들 중 자신이 원하는 도형 형상을 선택하여 전자 문서 등에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도형 형상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도형 선택 창을 찾아서 활성화시킨 후 상기 도형 선택 창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도형 형상들 중 자신이 원하는 도형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관련하여,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나 그림 그리기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형상의 도형 형상을 자유선 입력을 통해 그리면, 상기 자유선 입력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 형상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도형 삽입 기법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유선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자유선 입력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도형 삽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소정의 자유선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된 도형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도형 삽입 기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도형 삽입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자유선 출력부,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꼭짓점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하는 도형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도형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소정의 자유선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된 도형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도형 삽입 기법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도형 삽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의 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의 꼭짓점 추출부가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의 꼭짓점 추출부가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것과 관련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는 자유선 출력부(111), 꼭짓점 추출부(112), 도형 판단부(113) 및 도형 출력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는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등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장치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유선 출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예컨대, 자유선 출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꼭짓점 추출부(112)는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한다.
도형 판단부(113)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는 복수의 도형 정보들과 상기 복수의 도형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꼭짓점 정보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2에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는 도형명(210)과 도형 모양(220)과 같은 복수의 도형들에 대한 복수의 도형 정보들과 상기 복수의 도형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꼭짓점의 종류(230)와 연관된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먼저, 꼭짓점의 종류(230)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영문 식별자의 의미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꼭짓점의 종류 의미
TM 최상단 꼭짓점
LM 최좌측 꼭짓점
RM 최우측 꼭짓점
BM 최하단 꼭짓점
TMLM 최상단 최좌측 꼭짓점
TMRM 최상단 최우측 꼭짓점
BMLM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BMRM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
TML 최상단 좌측 꼭짓점
TMR 최상단 우측 꼭짓점
BML 최하단 좌측 꼭짓점
BMR 최하단 우측 꼭짓점
TLM 상단 최좌측 꼭짓점
TRM 상단 최우측 꼭짓점
BLM 하단 최좌측 꼭짓점
BRM 하단 최우측 꼭짓점
그리고, 상기 표 1에 나타낸 각 꼭짓점의 상대적인 위치는 하기의 표 2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MLM TML TM TMR TMRM
TLM TRM
LM RM
BLM BRM
BMLM BML BM BMR BMRM
즉, 상기 표 2에서 각 꼭짓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가 각 꼭짓점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TMLM"은 최상단 최좌측에 위치하는 꼭짓점이고, "TML"은 최상단 좌측에 위치하는 꼭짓점이므로, "TMLM"과 "TML"은 모두 상기 표 2에서 최상단 셀에 위치하지만, "TMLM"은 상기 표 2에서 최좌측 셀에 위치하고, "TML"은 상기 표 2에서 최좌측에서 두 번째 셀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제,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되어 있는 도형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꼭짓점 정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사각형"을 구성하는 꼭짓점은 4개로 최상단 최좌측 꼭짓점, 최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이 존재하므로,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에 해당하는 도형 정보에 대해 꼭짓점 정보로 "TMLM", "TMRM", "BMLM" 및 "BMRM"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삼각형"을 구성하는 꼭짓점은 3개로 최상단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이 존재하므로,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에 해당하는 도형 정보에 대해 꼭짓점 정보로 "TM", "BMLM" 및 "BMRM"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도형 데이터베이스(115)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꼭짓점 추출부(112)가 사용자가 입력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면,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꼭짓점 정보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꼭짓점 추출부(112)가 상기 자유 형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한 결과, 최상단 최좌측 꼭짓점, 최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이 추출된 경우,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추출된 꼭짓점인 최상단 최좌측 꼭짓점, 최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과 연관된 꼭짓점 정보인 "TMLM", "TMRM", "BMLM" 및 "BMRM"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인 "사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사각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꼭짓점 추출부(112)가 상기 자유 형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꼭짓점 추출부(112)는 영역 구분부(116), 단위 영역 추출부(117) 및 꼭짓점 확인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구분부(116)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자유선에 기초하여 형성된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한다.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기 상하좌우 방향의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의 상단 지점, 하단 지점, 좌측 지점 및 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들 간의 겹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꼭짓점 추출부(112)가 상기 자유 형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의 꼭짓점 추출부(112)가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에 대해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을 입력하면, 자유선 출력부(111)는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역 구분부(116)는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구분부(116)는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가로와 세로 각각 10칸으로 구분된 바둑판 형태의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의 크기는 상기 자유 형상의 크기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영역 구분부(116)가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 완료하면,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기 상하좌우 방향의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의 상단 지점, 하단 지점, 좌측 지점 및 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들 간의 겹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관련하여,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단 방향에서 하단 방향으로 제1 스캔을 수행하여 도면부호 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형상의 최상단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31)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하단 방향에서 상단 방향으로 제2 스캔을 수행하여 상기 자유 형상의 최하단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32)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3 스캔을 수행하여 도면부호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형상의 최좌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41)을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제3 스캔에 따라, 상기 제1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상단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31)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43)을 선택하고, 상기 제3 스캔에 따라, 상기 제2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하단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32)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44)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4 스캔을 수행하여 도면부호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형상의 최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42)을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제4 스캔에 따라, 상기 제1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상단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31)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43)을 선택하고, 상기 제4 스캔에 따라, 상기 제2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하단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32)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45)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단 방향에서 하단 방향으로 다시 한 번 제5 스캔을 수행하여 도면부호 3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스캔에 따라, 상기 제3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좌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41)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51)을 선택하고, 상기 제5 스캔에 따라, 상기 제4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42)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52)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하단 방향에서 상단 방향으로 다시 한 번 제6 스캔을 수행하여 도면부호 3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 스캔에 따라, 상기 제3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좌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41)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44)을 선택하고, 상기 제6 스캔에 따라, 상기 제4 스캔의 결과로 인해 선택된 상기 자유 형상의 최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342)과 최초로 겹치는 지점에 대한 단위 영역(345)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의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의 상단 지점, 하단 지점, 좌측 지점 및 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들 간의 겹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343, 344, 345, 351, 352)을 추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영역 추출부(117)가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343, 344, 345, 351, 352)의 추출을 완료하면,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343, 344, 345, 351, 352)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343, 344, 345, 351, 352)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343, 344, 345, 351, 352)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의 종류를 최상단 꼭짓점, 상단 최좌측 꼭짓점, 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의 종류 확인이 완료되면,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확인된 꼭짓점인 최상단 꼭짓점, 상단 최좌측 꼭짓점, 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과 연관된 꼭짓점 정보인 "TM", "TLM", "TRM", "BMLM" 및 "BMRM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인 "집 모양의 오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집 모양의 오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집 모양의 오각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 사용자가 입력한 자유 형상에 따라 꼭짓점 추출부(112)의 동작은 다양해 질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자유 형상에 따라 꼭짓점 추출부(112)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상에 도면부호 410과 같은 자유 형상이 출력되는 경우, 영역 구분부(116)는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하고,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1 스캔 내지 상기 제6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한 후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을 최상단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확인된 꼭짓점인 최상단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과 연관된 꼭짓점 정보인 "TM", "BMLM" 및 "BMRM"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인 "삼각형" 또는 "반원"에 대한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삼각형" 또는 "반원"에 대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삼각형" 또는 "반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 도면부호 420과 같은 자유 형상이 출력되는 경우, 영역 구분부(116)는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하고,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1 스캔 내지 상기 제6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한 후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을 최상단 최좌측 꼭짓점, 최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확인된 꼭짓점인 최상단 최좌측 꼭짓점, 최상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최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최우측 꼭짓점과 연관된 꼭짓점 정보인 "TMLM", "TMRM", "BMLM" 및 "BMRM"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인 "사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사각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 도면부호 430과 같은 자유 형상이 출력되는 경우, 영역 구분부(116)는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하고, 단위 영역 추출부(117)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1 스캔 내지 상기 제6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한 후 꼭짓점 확인부(11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꼭짓점을 최상단 좌측 꼭짓점, 최상단 우측 꼭짓점, 상단 최좌측 꼭짓점, 상단 최우측 꼭짓점, 하단 최좌측 꼭짓점, 하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우측 꼭짓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형 판단부(113)는 도형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확인된 꼭짓점인 최상단 좌측 꼭짓점, 최상단 우측 꼭짓점, 상단 최좌측 꼭짓점, 상단 최우측 꼭짓점, 하단 최좌측 꼭짓점, 하단 최우측 꼭짓점, 최하단 좌측 꼭짓점 및 최하단 우측 꼭짓점과 연관된 꼭짓점 정보인 "TML", "TMR", "TLM", "TRM", "BLM", "BRM", "BML" 및 "BMR"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인 "팔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팔각형"에 대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팔각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도형 판단부(113)를 통해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도형 출력부(114)는 상기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형 출력부(114)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삭제하고, 상기 출력된 자유선의 출력 영역에 대해 상기 판단된 도형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자유선을 입력하면, 도형 출력부(114)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자유선을 삭제하고, 상기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된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상기 자유선이 삭제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가 소정의 자유선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된 도형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도형 삽입 기법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도형 삽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5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단계(S520)에서는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한다.
단계(S530)에서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은 단계(S510)이전에 복수의 도형 정보들과 상기 복수의 도형 정보들 각각 대응되는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이 저장된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530)에서는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꼭짓점 정보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520)에서는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기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의 상단 지점, 하단 지점, 좌측 지점 및 우측 지점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들 간의 겹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540)에서는 단계(S530)에서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54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삭제하고, 상기 출력된 자유선의 출력 영역에 대해 상기 판단된 도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111: 자유선 출력부 112: 꼭짓점 추출부
113: 도형 판단부 114: 도형 출력부
115: 도형 데이터베이스 116: 영역 구분부
117: 단위 영역 추출부 118: 꼭짓점 확인부

Claims (15)

  1. 복수의 도형 정보들과 상기 복수의 도형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이 저장된 도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자유선 출력부;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꼭짓점 추출부;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꼭짓점 정보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하는 도형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도형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꼭짓점 추출부는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단위 영역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꼭짓점 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영역 추출부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의 상단 지점, 하단 지점, 좌측 지점 및 우측 지점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들 간의 겹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짓점 확인부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 출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삭제하고, 상기 출력된 자유선의 출력 영역에 대해 상기 판단된 도형을 출력하는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8. 복수의 도형 정보들과 상기 복수의 도형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이 저장된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유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꼭짓점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와 연관된 꼭짓점 정보에 대응되는 도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유 형상에 대응되는 도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자유 형상의 출력 영역을 바둑판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스캔에 따른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 중 상기 자유 형상의 상단 지점, 하단 지점, 좌측 지점 및 우측 지점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들 간의 겹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이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을 추출하는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의 종류를 확인하는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도형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출력된 자유선을 삭제하고, 상기 출력된 자유선의 출력 영역에 대해 상기 판단된 도형을 출력하는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방법.
  15. 제8항 또는 제1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10147044A 2011-12-30 2011-12-30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9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44A KR101191702B1 (ko) 2011-12-30 2011-12-30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44A KR101191702B1 (ko) 2011-12-30 2011-12-30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02B1 true KR101191702B1 (ko) 2012-10-16

Family

ID=4728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044A KR101191702B1 (ko) 2011-12-30 2011-12-30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325A (ko) * 2017-12-15 2019-06-25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도형 인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07B1 (ko) 2002-11-18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90136136A1 (en) 2005-02-15 2009-05-28 Kite Imag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for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for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nd storing med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07B1 (ko) 2002-11-18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90136136A1 (en) 2005-02-15 2009-05-28 Kite Imag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for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for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nd storing mediu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zuki, Learning visual models from shape contours using multiscale convex concave structure matching, IEEE, 1993.0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325A (ko) * 2017-12-15 2019-06-25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도형 인식 방법
KR102052392B1 (ko) * 2017-12-15 2020-01-08 (주)이즈커뮤니케이션즈 도형 인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9454B2 (ja) 電子コミック編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61564B1 (ko)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개체 색상 변환 방법
JP5952428B2 (ja) ボーダレステーブル検出エンジン
US8756541B2 (en) Relative ordering circuit synthesis
KR20160132842A (ko) 플로우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문서 컴포넌트 검출 및 추출 기법
JP5774558B2 (ja) 手書き文書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30814B2 (en) Digital comic editor,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5247509A (zh) 检测并重构固定格式文档中的东亚布局特征
KR101549792B1 (ko) 문서 자동 작성 장치 및 방법
CN104423800A (zh) 电子设备以及执行其应用程序的方法
KR101158679B1 (ko) 직접입력 방식의 전자문서 상의 도형입력 방법, 그리고 직접입력 방식의 전자문서 상의 도형입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64925A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7672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page using dynamic page partitioning
KR101191702B1 (ko) 자유선 인식 기반 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70052421A (ko) 문단 내 메모 삽입이 가능한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0616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8067298A (ja) 手書き内容編集装置および手書き内容編集方法
KR101494653B1 (ko) 제어 명령 자동 완성 기반의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US96973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device using an automated tool
KR101275040B1 (ko) 자유선 입력 기반의 전자 문서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16070785A1 (zh) 手写内容划分方法和设备、以及手写内容编辑设备
JP2021140831A (ja) 帳票画像処理システム、帳票画像処理方法、および帳票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810580B2 (en) Method and tool for creating irregular-shaped tables
KR101447555B1 (ko) 표 입력 제어 기반의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CN111783180A (zh) 图纸拆分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