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245B1 -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245B1
KR101191245B1 KR1020100106680A KR20100106680A KR101191245B1 KR 101191245 B1 KR101191245 B1 KR 101191245B1 KR 1020100106680 A KR1020100106680 A KR 1020100106680A KR 20100106680 A KR20100106680 A KR 20100106680A KR 101191245 B1 KR101191245 B1 KR 10119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erminal
real
data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222A (ko
Inventor
조동호
윤세영
홍은진
신경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1005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다중채널 애드-혹(ad-hoc) 환경에 적용을 한다면, 멀티채널(multi-channel)의 이점을 살려 높은 쓰루풋(throughput)과 낮은 전송 지연을 가지면서도, 이러한 다중채널의 사용빈도를 최대한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일반 데이터 사용자에게 있어서 전송 지연은 큰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실시간 서비스 사용자를 먼저 경쟁할 수 있게 만들어 주어 전송 지연 한계를 넘지 않게 해주어 실시간 서비스 사용자의 QoS를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METHOD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IN MULTI CHANNEL NETWORK}
본 발명은 다중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다중 전송 속도를 갖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예컨대 애드-혹(ad-hoc) 프로토콜 환경에서 다중-홉(multi-hop) 네트워크로 동작할 때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트래픽 딜레이(traffic delay)를 줄이는데 적합한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IT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2008-F-044-02, 전자파, 음향 및 건물 환경을 개선하는 지능형 건설 IT 융합 신기술 개발].
종래의 다중채널 프로토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위상, 예컨대 제어 위상(control phase)과 데이터 위상(data phase)으로 구분되는데, 제어 위상에서는 하나의 채널, 예를 들어 채널 0에 대해 데이터 위상에서 데이터(D)를 주고받을 채널 정보와 패킷 정보를 담고 있는 제어 신호를 주고받는다.
이러한 제어 위상에서 주고받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RTS(Request To Send), CTS(Clear To Send), RES(Remote Entry Service) 신호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신 단말이 IEEE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모드에 기초하여 백-오프 윈도우(Back-off Window)를 거친 후에 RTS 신호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RTS 신호에는 송신 단말의 채널 정보와 수신 단말의 ID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 단말에서는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채널 정보를 분석한 후 가장 예약이 적은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정보(예컨대, 예약 정보)와 함께 CTS 신호를 송신 단말로 전송한다.
CTS 신호를 수신한 송신 단말에서는 RES 신호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술한 예약 정보를 담은 CT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수신 단말들에게 예약 정보를 알려준다.
이와 같은 예약이 끝나고 제어 위상이 종료되면, 경쟁에 참여했던 모든 단말들은 제어 위상의 예약 정보를 따라 예약되었던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데이터 위상에서는 상술한 제어 위상에서 주고받은 신호에 따라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모두가 예약된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다중채널 환경에서는 제어 위상에서 예약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위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 기술에서는 모든 단말들이 한 곳에 모여서 경쟁해야 충돌을 피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모든 단말이 같은 시간에 경쟁에 참여해야 했다. 즉, 단말들 각각의 개별 트래픽 특성(individual traffic)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에게 동등한 결정권이 주어진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안은 이렇게 모든 단말들이 경쟁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위상에 모든 단말들이 모여 있는 동안, 다른 채널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즉, 주파수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제어 위상은 실제 어느 정도 길이를 가져야 단말들 사이의 예약 확률을 높여 데이터 전송에 성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크기를 과도하게 줄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말들 간의 경쟁 시기 동안 낭비되는 주파수 자원은 실제로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전송 지연에 큰 영향을 받는 실시간 서비스 사용자들은 전송 실패를 보이고,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중 전송 속도를 갖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예컨대 애드-혹(ad-hoc) 프로토콜 환경에서 다중-홉(multi-hop) 네트워크로 동작할 때, 낭비되는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동시에 개별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여 전송지연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 사용자에게 전송의 기회를 더 부여할 수 있는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따르면, 제어 위상이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과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으로 각각 구분된 다중채널 프로토콜 환경에서, 상기 실시간 서비스 단말과 상기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이 채널 경쟁을 개시하는 과정과, 상기 실시간 서비스 단말이 우선권적으로 채널 경쟁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실시간 서비스 이동 단말이 상기 채널 경쟁을 통해 예약에 성공한 경우, 상기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이 종료될 때 상기 실시간 서비스 이동 단말이 예약된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서비스 단말은, 소스 노드 및 타겟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은, 소스 노드 및 타겟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노드는, RTS(Request To Send)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데이터 종류를 상기 타겟 노드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에서는, 상기 실시간 서비스 단말이 채널 경쟁을 행하는 동안 상기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은 채널 경쟁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따르면, 발신 단말로 제어 위상이 발생되면 채널 경쟁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이 RTS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의 전송 예약이 성공되면 상기 발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부터 CTS(Clear To Send)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 동안 전송 예약이 성공되면 상기 발신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발신 단말이 예약된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단말은,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소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제1 채널 경쟁 구간과 제2 채널 경쟁 구간으로 구분된 제어 위상을 통해 채널 경쟁하는 다중채널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단말로 RTS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발신 단말로 CTS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채널 경쟁 구간이 경과되고 난 후 상기 RTS가 실시간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비 실시간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RTS가 상기 실시간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이면 상기 수신 단말이 예약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RTS가 상기 비 실시간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이면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채널 경쟁 구간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예약 채널로 이동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채널 경쟁 구간은,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널 경쟁 구간은,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해, 다중채널(multi channel) 애드-혹(ad-hoc) 환경에 적용할 경우, 다중채널의 이점을 살려 높은 쓰루풋(throughput)과 낮은 전송 지연을 가지면서도, 이러한 다중채널의 사용빈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다. 또한, 일반 데이터 사용자에게 있어서 전송 지연은 큰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실시간 서비스 사용자를 먼저 경쟁할 수 있게 만들어 주어 전송 지연 한계를 넘지 않게 해주고 실시간 서비스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중채널 프로토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채널 네트워크 망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프로토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데이터 통신 과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비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데이터 통신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수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 과정의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EEE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모드를 기반으로 하여 다중채널(multi channel) 상황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말들이 다수의 채널 환경에서 사용자의 데이터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우선권(priority)을 보장해 줌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다중채널 환경에서 실시간 트래픽 사용자의 딜레이와 차단 가능성(blocking probability)을 줄여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채널 네트워크 망 구성 예시도로서, 다수의 이동 노드들, 예컨대 제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들(100, 200/1~20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간 서비스 단말 또는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이동 단말(100)은, 예를 들어 소스 노드(source node)인 송신 단말일 수 있으며, 제어부, 무선 통신부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100)과 서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200/1)은, 예를 들어 타겟 노드(target node)인 수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제어부, 무선 통신부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 단말(200/1)과 서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예를 들어 도면부호 200/2가 수신 단말이라 가정했을 때, 이동 단말(200/1)은 송신 단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들(100, 200/1~200/6)에 대해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이라 칭하는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일 뿐, 그 기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1)은 이동 단말(100)이 소스 노드인 경우에는 수신 단말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200/2)이 타겟 노드인 경우에는 송신 단말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들(100, 200/1~200/6)은, 예를 들어 CDMA폰, W-CDMA폰, 스마트폰, 랩탑(laptop),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PC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채널 프로토콜의 예시도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채널 프로토콜은, 기존의 제어 위상(Control phase)을 두 개의 구간, 예컨대 구간 C1과 구간 C2로 구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구간 C1은 실시간 서비스 단말들이 경쟁하여 채널을 예약하는 구간이고, 구간 C2는 모든 서비스 단말들(실시간 서비스 단말 및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이 동등한 우선권(priority)을 가지고 채널 경쟁을 하는 구간이다. 채널 경쟁 구간 동안,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단말,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RTS(Request To Send)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데이터 종류를 명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간 서비스 단말에게 우선권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 서비스 단말들, 예를 들어 이동 단말들(200/1~200/3)에게 높은 우선권을 부여하고,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들, 예를 들어 이동 단말들(200/4~200/6)에게 낮은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구간 C1에서는 실시간 서비스 단말인 이동 단말들(200/1~200/3)에게 우선권을 부여하여 이동 단말들(200/1~200/3) 간에는 우선 경쟁할 권리를 부여하고, 이들 이동 단말들(200/1~200/3)이 경쟁하는 동안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들인 이동 단말들(200/4~204/6)은 경쟁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우선적으로 우선권을 부여 받은 실시간 서비스 이동 단말들(200/1~200/3)은 경쟁에서 예약에 성공한 경우 지정된 C1의 끝나는 순간 앞에서 예약을 했던 정보대로 채널을 옮겨가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이 기간 동안 제어 채널에서는 여전히 채널 경쟁이 진행 중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채널에서 모든 경쟁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했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의 낭비가 심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널 경쟁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간 효율성이 뛰어날 수 있다. 데이터 채널에서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은 실시간 서비스 단말이 먼저 전송할 수 있도록 채널리스트에 들어있는 단말의 정보대로, 그 채널에서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전송이 모두 끝난 뒤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의 전송을 시작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실시간 서비스 단말을 Ur, 비 실시간 서비스 단말(데이터 서비스 단말)을 Ud라 각각 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발신 단말, 특히 Ur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Ur은 다른 사용자들을 따로 고려하지 않고, 제어 위상(control phase)이 발생되면 바로 채널 경쟁을 시작할 수 있다(S400).
채널 경쟁이 시작되면 RTS를 송신할 수 있다(S402).
RTS를 송신하다가 다른 단말과 동시에 전송시도를 하지 않아 전송 예약이 성공하면 수신 단말로부터 CTS를 수신할 수 있다(S404).
이렇게 전송 예약이 성공한 시기가 Ur의 채널 경쟁 구간(C1)보다 작다면, 즉 C1 구간 동안 전송 예약이 성공되었다면 C1이 종료되는 순간 예약된 채널로 미리 이동하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S408). 이때, 같이 존재하는 단말들이 많을 경우에는 전송 예약 순서대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만일, C1 구간 동안 전송 예약이 성공되지 못한 경우에는, 채널 경쟁에 재 참여할 수 있으며, 전송 예약이 성공할 경우에는 데이터 위상 시작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도 5는 발신 단말, 특히 Ud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d는 우선권이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Ur의 경쟁이 끝날 때까지 대기해야만 한다. 하지만 Ur의 수가 매우 적은 경우,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수 미만일 경우에는 C1의 최종 구간까지 대기하면 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전 경쟁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Ur 수를 가지고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지를 각각의 단말이 알아서 계산하여 그 기간이 끝났다고 생각하면 경쟁을 시작하면 된다.
즉, 단계(S500)에서는 이전 Ur의 정보를 통해 C1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간이 C1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이렇게 판단된 C1은 어디까지나 예상이기 때문에, Ur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Ud가 경쟁에 참여하고 나서도 Ur의 수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Ud는 제어 위상이 모두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모든 예약정보를 주시해야 한다.
예약된 단말들은 C2가 끝나면 예약된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S504). 이때, 예약된 순서대로 전송하되, Ur보다 먼저 예약했어도 Ur에게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수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과정은 수신 단말로 RTS가 수신될 때 동작될 수 있다.
만약, 채널정보가 갱신된 후 수신 단말 RTS가 수신되면(S600)(S602), 수신 단말은 CTS를 전송하여 예약을 성사시킬 수 있다(S604).
이후, C1이 경과되고 난 후(S606), 수신 단말은 상술한 RTS가 Ur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Ud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RTS가 Ur로부터 수신된 것이라면(S608), 수신 단말은 바로 예약한 채널로 이동하여 예약 순서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610).
반면, RTS가 Ud로부터 수신된 것이라면(S612), 수신 단말은 모든 채널 경쟁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C2가 끝남과 동시에 예약된 채널로 이동하여 순서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614)(S616).
이 모든 경우에 대하여, 예약이 성립되지 않았거나, 전송이 끝난 경우는 다음 제어 위상이 시작될 때까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이점도 함께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들이 다수의 채널 환경에서 사용자의 데이터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우선권을 보장해 줌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 품질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중채널 환경에서 실시간 트래픽 사용자의 딜레이와 차단 가능성을 줄여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100: 소스 노드(송신 단말)
200/1~200/3: 타겟 노드(실시간 수신 단말)
200/4~200/6: 타켓 노드(비 실시간 수신 단말)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제1 채널 경쟁 구간과 제2 채널 경쟁 구간으로 구분된 제어 위상을 통해 채널 경쟁하는 다중채널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단말로 RTS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발신 단말로 CTS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채널 경쟁 구간이 경과되고 난 후 상기 RTS가 실시간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비 실시간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RTS가 상기 실시간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이면 상기 수신 단말이 예약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RTS가 상기 비 실시간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이면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채널 경쟁 구간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예약 채널로 이동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경쟁 구간은, 실시간 발신 단말과 실시간 수신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경쟁 구간은, 비 실시간 발신 단말과 비 실시간 수신 단말의 채널 경쟁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100106680A 2009-11-20 2010-10-29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191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2586 2009-11-20
KR1020090112586 2009-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222A KR20110056222A (ko) 2011-05-26
KR101191245B1 true KR101191245B1 (ko) 2012-10-16

Family

ID=4436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680A KR101191245B1 (ko) 2009-11-20 2010-10-29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245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2003.11)*
논문2(2006.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222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5265B1 (en) Schedule selection and connection setup between devices participating in a nan data link
CN107005831B (zh) 周边感知联网数据路径
RU2502228C2 (ru) Управление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ем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системах связи
JP6625641B2 (ja) 近隣認識ネットワーク(nan)データパス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アドバタイズメント
KR1016184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64212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pre-configuring dedicated resources in idle mode
WO2017070842A1 (zh) 一种设备到设备d2d通信方法、装置及系统
JP6419971B2 (ja) 近隣認識ネットワーク(nan)データパス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アドバタイズメント
CN112889323A (zh) 用于自主直通链路资源分配的方法和系统
JP2021516885A (ja) リソース予約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CN103248436B (zh) 一种解决水声通信网隐藏终端与暴露终端的方法
RU2523968C2 (ru) Обнаружение сети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системах связи
JP6546291B2 (ja) ページング方法、ユーザ機器、基地局、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US115460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fer in a Bluetooth low energy network
JP2023530553A (ja) 通信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19062784A1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WO2017005129A1 (zh) 一种无线网络中的接入方法及设备
CN113411868A (zh) 一种对讲机组网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RU2705008C1 (ru) Аппарат связ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аппаратом и постоянн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US20190104467A1 (en) Slotted channel access in communications network
KR101191245B1 (ko) 다중채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WO2015027414A1 (zh) 一种通信方法、站点及系统
WO2022222815A1 (zh) 资源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4109556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061734A1 (zh) 资源选择方法、资源选择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