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642B1 -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642B1
KR101190642B1 KR1020100011636A KR20100011636A KR101190642B1 KR 101190642 B1 KR101190642 B1 KR 101190642B1 KR 1020100011636 A KR1020100011636 A KR 1020100011636A KR 20100011636 A KR20100011636 A KR 20100011636A KR 101190642 B1 KR101190642 B1 KR 10119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namil
flo2
presen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142A (ko
Inventor
정지웅
신영섭
박철수
최임수
강경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1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6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46Gramineae or Poaceae, e.g. ryegrass, rice, wheat or maize
    • A01H6/4636Oryza sp.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0Processes for modifying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8Methods for regeneration to complet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인 Namil(SA)-flo2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인 Namil(SA)-flo2 및, 상기 벼 식물을 교배모본으로 하는 곡립경도가 낮은 벼 식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상기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종자, 상기 벼 식물의 조직배양물 및 상기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은 배유가 분질(floury)이므로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하여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의 쌀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벼 종자를 생산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비용, 고품질의 쌀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식감이 우수한 쌀가루 제품을 저비용으로 생산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A floury japonica rice line, Namil(SA)-flo2, suitable for dry milling process and the food compositions containing Namil(SA)-flo2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인 Namil(SA)-flo2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립경도가 낮은 자포니카 벼 계통인 Namil(SA)-flo2 및, 상기 벼 계통을 교배모본으로 하는 곡립경도가 낮은 벼 식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상기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종자, 상기 벼 계통의 조직배양물 및 상기 벼 계통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 향상에 따른 소비패턴의 다양화, 서구화로 쌀의 주식 비중은 계속 낮아지고 있다. 2008년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4,671천 톤으로 1인당 75.8kg에 불과하다. 국내 쌀 생산량 역시 1988년 6,053천 톤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08년에는 4,408천 톤으로 줄어들었다. 외국에서의 수입량(2008년 243천 톤)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는 쌀 공급 과잉 상태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쌀 소비촉진을 유도하는 방편의 하나로 쌀가루를 이용한 다양한 식품형태를 개발하고 이를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으로 연계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쌀과 함께 주요 식량작물인 밀은 제분과정을 통해 밀가루가 원료로 제공되고 이를 2차 가공하여 식품으로 생산된다. 즉, 밀 산업은 품종육성과 제분공정 등의 ‘원료산업’과 다양한 가공품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식품산업’의 구분이 명확해 시장 확충 및 부가가치 창출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작물로 평가받고 있다. 쌀의 경우 떡류를 제외하고도 약 300여 종에 달하는 가공식품 형태가 존재하지만, 국내에서 가공용으로 소비되는 쌀은 생산량의 5%에도 미치지 못하는 약 22만 톤(수입10만, 국내생산 12만)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업체가 직접 정백미를 구입하여 자체적으로 쌀가루를 제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쌀가루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뿐더러, 그 매출규모는 49조원에 육박하는 음료, 식료품 제조업 매출규모 대비 2% (2006년 현재 약 1조원)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최근 정부는『쌀 가공식품산업을 신 성장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쌀가루 중심으로 원료공급 체계를 개편 하고, 품질 고급화를 위한 R&D 등의 지원을 강화하여 2012년까지 쌀 가공식품 산업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쌀가루를 이용하여 다양한 가공식품을 생산하게 되면 1) 쌀을 소비하는 새로운 식품수요를 창출할 수 있고, 2)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 유통할 수 있어 쌀 가공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쌀은 낟알의 단단함 정도(곡립경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쌀 제분방식은 물에 불려 분쇄하는 습식제분 방식이다. 그러나 습식제분은 100kg의 쌀가루를 생산하는데 약 500리터의 쌀뜨물을 발생시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쌀가루를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쌀가루를 살균건조시키는 별도의 공정을 추가하여야 한다. 이런 까닭에 습식제분 방식을 이용한 쌀가루 가공비용(500~700원/kg)은 건식제분 방식을 사용한 밀가루 생산비용(200~300원/kg)보다 2배 이상 높은 실정이다. 최근 대량 생산설비가 갖추어지면서 반 습식제분 기술이 부분적으로 운용되고는 있으나 생산비 상승 요인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못했다.
경쟁력을 겸비한 고품질 쌀가루 생산을 위해 제분방식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이 분쇄된 가루의 크기(입도)이다. 반죽이나 가공품의 물리화학적 성정이 입도분포에 의해 크게 지배되기 때문에 용도에 맞게 쌀가루의 입도를 어떻게 구성하고 유지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쌀가루의 물리성은 미세한 가루일수록 단자(團子)의 경도변화가 적으며 반죽을 만들 때 물의 흡수율도 좋아진다. 그러므로 미세하게 분쇄된 쌀가루일수록 고품질로 인식되어 유통가격이 높아진다. 그러나 생산비가 절감되는 건식제분으로 미세한 입자를 얻으려면 쌀의 높은 곡립경도로 인해 기계적 힘이 커지게 되어 손상된 전분립의 비율이 급격히 올라가게 된다. 손상된 전분립은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초래하므로 결국 쌀가루의 품질저하를 야기한다. 최근 쌀가루를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는 제트 밀(Jet Mill), 터보 밀(Turbo Mill) 등의 기술이 개발되어 검토되고 있으나, 초기 설비 투자비용 및 생산단가 증가 등의 부담이 큰 편이다.
결론적으로, 국내에서 쌀가루 중심의 대량 원료 공급체계를 원활히 구축하여 쌀 가공식품의 개발과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1) 쌀가루 생산에서 발생하는 오폐수처리와 유통 전 건조 및 살균처리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야 하며, 2) 미세한 입자 수준으로 분쇄하더라도 전분립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생산비를 고려한다면 1) 공정이 간단하고 2) 분쇄시간 짧으며 3) 오폐수 발생이 거의 없는 건식제분 방식이 유리하다. 더욱이 국내에는 밀 제분을 위한 건식제분 설비가 상당한 규모로 갖추어져 있으므로 생산설비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다만, 건식제분 시 전분립이 손상되는 것을 어떻게 방지할 수 있는 가는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건식제분이 가능한 벼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NaN3)으로 돌연변이를 유발한 남일벼의 돌연변이 계통인 ‘Namil(SA)-flo2'의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장간(cm): 84±2
주당수수: 11±1
출수기: 8월 7일
수당립수: 155±15
현미천립중(g): 22.2±2.0
곡립경도(g): 2257 내지 4237
백미수량(수원, kg/10a): 521±50
잎도열병 내병성(0~9): 6
벼멸구 내성(0~9): 9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벼 계통을 교배모본으로 하여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식물 종자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벼 식물 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벼 식물의 재생가능한 세포의 조직 배양물로, 상기 재생가능한 세포는 잎, 화분, 배아, 뿌리, 근단, 꽃밥, 꽃, 열매, 줄기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세포 또는 원형질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직 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벼(Oryza sativa L.) 신품종 계통을 제공한다.
장간(cm): 84±2
주당수수: 11±1
출수기: 8월 7일
수당립수: 155±15
현미천립중(g): 22.2±2.0
곡립경도(g): 2257 내지 4237
백미수량(수원, kg/10a): 521±50
잎도열병 내병성(0~9): 6
벼멸구 내성(0~9): 9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벼 식물을 교배모본으로 하여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Oryza sativa L.) 식물 종자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벼 식물 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벼 식물의 재생가능한 세포의 조직 배양물로, 상기 재생가능한 세포는 잎, 화분, 배아, 뿌리, 근단, 꽃밥, 꽃, 열매, 줄기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세포 또는 원형질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직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곡립경도가 낮은 새로운 자포니카 벼 계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벼(Oryza sativa L.) 신품종 식물(이하 ‘Namil(SA)-flo2 벼 식물’이라 함)은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장간(cm): 84±2
주당수수: 11±1
출수기: 8월 7일
수당립수: 155±15
현미천립중(g): 22.2±2.0
곡립경도(g): 2257 내지 4237
백미수량(수원, kg/10a): 521±50
잎도열병 내병성(0~9): 6
벼멸구 내성(0~9): 9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으로 기존의 남일벼에 비하여 낮은 특징이 있다.
곡립경도란 곡식낟알의 단단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낟알은 기존 벼의 낟알에 비하여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으로도 입자가 고우며, 전분립의 손상이 적어 고품질의 쌀가루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벼 식물의 종자를 이용하여 쌀가루를 생산하는 경우 기존의 쌀가루 생산 방식인 습식 혹은 반습식 제분방식의 단점인 오폐수 발생, 처리와 유통전 건조 및 살균처리 등의 과정이 불필요하여 생산비 상승요인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밀 제분시설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고품질의 쌀가루 대량생산체계 구축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밀 제분시설을 이용한 건식제분으로도 입자가 고우며, 전분립 손상이 적은 고품질의 쌀가루 생산이 가능한 벼 품종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남일벼 종자를 화학적 돌연변이원인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NaN3) 희석 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으로 돌연변이를 유발하고, 이를 발아 및 육모 단계를 거쳐 식물체(M1)를 전개하고, M1 식물체로부터 M2 종자를 수확하고 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으로 세대를 M7까지 전진시켜 유전적으로 고정된 돌연변이 계통들을 확립한 후, 확립된 각 계통의 종자를 획득하고 외관 관찰, 요오드-녹말반응 및 경도 측정을 통하여 아밀로스-아밀로펙틴 함량 조성이 기존의 남일벼와 유사하며, 곡립경도가 낮은 계통 벼 식물을 선별하는 방법으로 확보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확립된 Namil(SA)-flo2 벼 식물을 교배모본으로 하여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Oryza sativa L.) 식물 종자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은 일반 벼에 비하여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으로도 고품질의 쌀가루 생산이 가능한 벼 식물 종자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곡립경도가 2257 내지 4237g인 벼 식물 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종자는 본 발명의 벼 식물을 교배모본으로 하여 공지의 벼 종자 생산 및 수확 방법에 의하여 획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종자는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으로도 입자가 고우며 전분립 손상이 적은 고품질의 쌀가루를 획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아밀로스-아밀로펙틴 조성비도 원품종인 남일벼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자는 건식제분이 가능하여 입자가 곱고 전분립의 손상이 적은 고품질의 쌀가루를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세포 조직배양 방법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재생가능한 세포를 분리하여 공지의 조직배양 방법에 의하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재생가능한 세포의 조직 배양물로, 상기 재생가능한 세포는 잎, 화분, 배아, 뿌리, 근단, 꽃밥, 꽃, 열매, 줄기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세포 또는 원형질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직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직 배양물은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을 동일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Namil(SA)-flo2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종자는 건식제분이 가능하여 입자가 곱고 전분립의 손상이 적은 고품질의 쌀가루 생산이 가능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가격경쟁력이 있고, 식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쌀 가공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쌀 가공 식품은 떡면류(떡, 떡국떡, 떡볶이떡, 국수, 라면, 국수, 생면, 전통 떡), 쌀과자(비스킷, 건빵, 스낵, 한과류, 쌀튀밥, 누룽지), 쌀가루(생미분, 알파 미분, 습식미분), 주류(탁약주, 소주, 맥주, 청주), 조미식품(엿류, 장류, 식초) 및 기타쌀가공제품(죽류, 식혜, 스낵부원료, 꼬치류, 선식류, 쌀음료, 쌀빵, 가공쌀밥)을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Namil(SA)-flo2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9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포니카(Oryza sativa L. sp. Japonica)계 벼 중 남일벼 품종의 벼의 잘 건조된 종자를 2mM 아지드화나트륨에 침지하는 방법으로 화학적 돌연변이를 유발하였다. 이후 종자(M1)를 세척하고 항온기에서 발아를 유도하여 발아된 식물체를 육모한 후 논에 이앙하여 재배하였다. 재배한 M1 식물체에서 1개 이삭(M2)씩을 수확하였으며 이후부터는 M7세대까지 계통육종법에 의거하여 세대를 진전시켜 고정계통을 확립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M7세대에서 나온 이삭(M8)을 수확하여 5g 씩을 제현하여 외관에 근거하여 배유가 불투명한 계통들을 1차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들의 종실을 절단하여 요오드화칼륨용액으로 염색하여 청색으로 염색되는 계통을 2차 선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곡립경도가 4500g 이하인 계통을 최종 선발 하였다.
선발된 계통의 배유를 절단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의 배유절단면은 매우 거칠었으며 다양한 형태를 지닌 원형모양의 전분립들이 매우 성기게 배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특성, 즉 1) 배유외관이 불투명하며, 2) 압력을 가했을 때 쉽게 부스러지고, 3) 배유를 요오드화칼륨으로 염색했을 때 멥쌀처럼 청색으로 염색되며, 4) 다양한 크기의 전분립들이 매우 성기게 배열된 상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다른 작물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원품종인 남일벼와 함께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포장에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남일벼와 같은 조생계통이며, 병해충 저항성 정도도 남일벼와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건식제분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과 대조군의 곡립경도를 측정하고 건식제분 하였다. 제분한 가루의 평균 크기 및 입도분포를 레이저회절입도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손상전분비율을 상용분석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평균 곡립경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분한 쌀가루의 입자는 원품종인 남일벼는 물론 화성벼나 설갱벼에 비해 매우 작았으며 금강밀과 유사한 입도분포를 보여 건식제분으로도 밀가루 수준으로 곱게 빻아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손상전분의 비율도 대조군의 벼 품종에 비하여 월등히 낮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아밀로스 함량을 측정하였다. Juliano법에 의거하여 아밀로스 함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원품종인 남일벼와 아밀로스 함량에 있어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참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인 Namil(SA)-flo2 및, 상기 벼 식물을 교배모본으로 하는 곡립경도가 낮은 벼 식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상기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종자, 상기 벼 식물의 조직배양물 및 상기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은 배유가 분질(floury)이므로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하여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의 쌀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벼 종자를 생산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비용, 고품질의 쌀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식감이 우수한 쌀가루 제품을 저비용으로 생산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아지드화나트륨 처리에 의해 확립된 남일벼 돌연변이 후대 고정계통에 대한 현미 외관판정으로 선발된 불투명 배유변이체들의 현미 및 백미 사진이다.
도 2는 전계방사형 주사현미경(FE-SEM)을 이용한 남일벼 및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종자의 절단 배유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남일벼와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사진이다.
도 4는 Buhler 제분기를 이용한 건식제분 시 발생한 부산물과 각 계열에서 산출된 쌀가루의 사진이다(Bran: 기울; Short: 말분; B1+B2: B1 및 B2).
도 5는 레이저회절입도분석기(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건식제분으로 생산된 쌀가루들에 대한 입도분포(가루의 직경분포)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Buhler 제분기의 B1, B2, R1 및 R2 계열에서 산출된 쌀가루를 이용함).
도 6은 건식제분으로 생산된 쌀가루들의 손상 전분량을 상용키트(Starch Damage Assay Kit, Megazyme)로 측정한 결과 사진이다. Buhler제분기의 B1, B2, R1 및 R2 계열에서 산출된 쌀가루를 이용함. 분광분석기로 손상전분비율을 정량하기 위해 발색시킨 시료들임.
도 7은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및 대비구 쌀가루의 호화특성을 관찰하기 위한 아밀로그램 그래프이다(각 그래프의 위쪽 선은 시간별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아래쪽 선은 이에 따른 점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남일벼에 대한 돌연변이 유발 및 후대 고정계통군 확립
<1-1> 돌연변이 유발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벼로서 숙기가 빠르고 (8월5일 출수: 수원기준) 다수성(662kg/10a: 백미기준)인 남일벼(2002년 품종등록)에 대한 돌연변이를 통하여 배유특성이 변화된 벼 계통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돌연변이원으로 인산가리완충용액에 희석한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NaN3)을 사용하였다. 인산가리(Potassium Phosphate; KH2PO4, MW=136.09, Sigma) 완충용액은 증류수에 인산가리를 녹여 0.1 M (136.09g/1Liter) 용액을 조제한 후, 인산용액(H3PO4; 85% w/v, Sigma)을 이용하여 최종 pH를 3.0으로 맞추었다. 아지드화나트륨은 증류수에 녹여 0.1M(6.501g/Liter)의 저장용액(stock solution)을 준비하였으며, 돌연변이 처리 시 2mM 농도 (500배 희석)가 되도록 인산완충용액에 희석하여 처리액을 조제하였다. 잘 건조된 남일벼 종자 1 Kg을 2 Liter의 2mM 아지드화나트륨 돌연변이 처리액에 6시간동안 침지한 후, 흐르는 수돗물로 24시간이상 세척하였다. 세척된 종자는 바로 섭씨 30도로 설정된 항온기로 옮겨 발아를 유도하여 육묘상자에 산파하고 M1 식물체(돌연변이를 유발한 종자에서 나온 식물체)들을 육묘하고 논에 이앙하여 재배하였다. 재배관리는 표준영농교본-벼생력재배(농촌진흥청, 2000)의 표준재배법에 따라 재배하였다.
<1-2> 고정계통군 확립
상기 실시예 1-1에서 돌연변이를 유발 한 후 발아시켜 재배한 M1 식물체들로부터 1개 이삭씩을 수확하였으며(M2 종자), 이후부터는 M7세대까지 계통육종법에 의거하여 세대를 진전시키면서 유전적으로 고정된 계통군을 확립하였다. 매 세대마다 각 계통 당 임성이 높은 1개 식물체를 무작위 선발하고 1수-1열법에 의거하여 후대계통을 전개하였다. M7 식물체 세대에서 각 계통내의 개체들이 균일한 표현형을 보여 유전적으로 고정되었다고 판단하고 총 5,135개의 계통을 확정하고 수확된 각 계통의 종자들을 저온저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돌연변이 계통들로부터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선발
메벼의 경우 벼 이삭이 완전히 등숙되었을 때 배유는 그 외관이 대부분 투명한 특성을 지닌다. 메벼 배유의 이러한 외관적 특성은 배유전분을 이루는 주요 성분인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간의 상대적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을수록 배유의 투명도가 낮아져, 거의 모든 배유전분이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된 찰벼의 경우 완전히 불투명한 흰색의 배유외관을 보인다. 재배환경에 따라 아밀로스-아밀로펙틴의 조성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메벼의 유전적 조성이 변화됨으로 인하여 배유가 불투명하게 관찰되는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1) 찰성, 2) 반찰성 그리고 3) 분질배유 등이다. 이들 중 찰성(waxy)과 반찰성(dull)은 아밀로스-아밀로펙틴의 함량조성이 크게 달라져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이 메벼와는 상당히 달라지는 반면, 분질(floury)배유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전분립이 엉성하게 배열되어 있는 형태를 보일 뿐, 아밀로스-아밀로펙틴간의 조성비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미외관을 관찰하여 배유가 불투명한 계통을 1차적으로 선발하고, 이들 중 원품종인 남일벼의 아밀로스-아밀로펙틴 조성이 크게 변화한 계통들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분질배유계통을 선발하였다.
수확된 전 계통을 5g씩을 제현(왕겨를 벗기는 것)하여 현미를 준비하였다. 현미의 외관에 근거하여 배유가 불투명한 계통들을 1차 선발하였다(도 1 참조).
선발된 계통들의 종실을 절단하여 요오드화칼륨용액으로 염색하여 적자색으로 염색되는 계통(찰성 및 반찰성)은 배제하고 멥쌀처럼 청색으로 염색되며, 평균 곡립경도가 4500g 이하인 3개의 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중 ‘Namil(SA)1509-RGA-1-1-1-1'의 계보를 지니며 ‘Namil(SA)-flo2'로 명명된 하나의 계통에 대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배유상태를 보다 면밀히 관찰하기 위하여 배유의 절단면을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model S-550, Hitchi-hitec)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품종인 남일벼는 배유절단면이 부드러우며 다면각의 전분립들이 치밀하게 배열된 형상이나, Namil(SA)-flo2 벼 식물은 배유절단면이 매우 거칠었으며 다양한 형태를 지닌 원형모양의 전분립들이 매우 성기게 배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특성들, 즉 1) 배유외관이 불투명하며, 2) 압력을 가했을 때 쉽게 부스러지고, 3) 배유를 요오드화칼륨으로 염색했을 때 멥쌀처럼 청색으로 염색되며, 4) 다양한 크기의 전분립들이 매우 성기게 배열된 상태 등으로 미루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곡립강도가 낮은 분질배유계통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Namil ( SA )- flo2 벼 식물의 작물학적 특성 관찰
남일벼에 대한 화학적 돌연변이를 유발함으로써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이 획득되었다. 그러나 유전변이의 방향성을 제어할 수 없는 돌연변이육종의 특성상, 분질배유라는 「목적형질」이외에도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지배하는 유전자들의 변이를 배제할 수 없다. 전분립의 배열이 엉성한 분질배유의 특성 즉, 천립중 저하로 인한 일정수준의 수량성 저하는 예상되나, 향후 밀과의 이모작 체계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에서 남일벼의 조생특성(8월5일 출수; 수원기준)이 견지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형질」 이외의 주요 작물학적형질의 변형은 원품종인 남일벼와는 또 다른,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자체의 고유한 「표현형」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을 원품종인 남일벼와 함께 2008년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수원 소재)포장에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을 보다 면밀히 관찰하였다. 4월 30일에 파종하여 약 30일간 육묘한 후 5월 26일에 30×15 cm 의 재식거리로 주당 3본을 손이앙 하였다. 시비량은 N-P2O5-K2O = 9-4.5-5.7 kg/10a로 하였으며, 그 밖의 재배관리는 농촌진흥청 벼 육모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였으며,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농촌진흥청, 2003)에 따라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표 1 및 도 3 참조).
그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출수기는 남일벼에 비해 약 3일 정도 늦어졌으나 여전히 조생계통이었다. 반면에 이미 예상되었던 바와 같이 Namil(SA)-flo2 벼 식물의 분질배유 특성으로 인해 등숙비율(수선기준 즉, 정조를 물에 넣어 가라앉는 알곡의 비율을 환산)과 천립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남일벼(117개)에 비해 ‘Namil(SA)-flo2'의 많은 수당립수(155개)는 분질배유의 천립중 감소로 인한 수량감소를 상당부분 상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잎도열병 및 벼멸구 등 주요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 정도도 원품종인 남일벼와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과 남일벼의 주요 작물학적 특성
계통 출수기
(월.일)
간장
(cm)
수장
(cm)
주당수수
(개)
수당립수
(개)
등숙비율
(%)
남일벼 8.04 78 25 11 117 87.0
Namil(SA)-flo2 8.07 84 26 11 155 58.0
계통 현미천립중
(g)
정현비율
(%)
백미수량
(Kg/10a)
심/복백
(0~9)
잎도열병
(0~9)
벼멸구
(0~9)
남일벼 26.5 79.8 552 1/3 6 9
Namil(SA)-flo2 22.2 78.6 521 - 6 9
< 실시예 4>
본 발명의 Namil ( SA )- flo2 벼 식물의 건식제분 적합성 평가
본 발명의 궁극적 목표는 건식제분 방식으로도 고품질, 즉 입자의 크기가 작으며 전분립 손상비율이 낮은 쌀가루 생산이 가능한 벼 계통의 확립이므로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건식제분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 메벼인 화성벼, 원품종인 남일벼, 설갱벼, 그리고 빵 가공에 주로 사용되는 (즉, 강력분) 금강밀 등을 대비구로 설정하였다. 종피가 탈락되는 밀의 특성(naked hull)을 고려하여 모든 벼 시료는 제현(dehulling)된 현미를 사용하였다.
<4-1> 본 발명의 Namil ( SA )- flo2 벼 식물 및 대조군의 곡립경도 측정
곡립경도가 낮아 압력을 가했을 때 쉽게 부스러지는 특징을 지니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을 대비구와 비교하기 위하여 TA.XTplus 조직분석기 (Stable Micro Systems Ltd. UK)를 사용하여 곡립경도를 측정하였다. 5mm 직경을 지니는 탐침(probe)을 이용하여 현미에 압력을 가하여 (test speed; 0.4mm/sec, trigger force; 40.0g) 시료가 파쇄되는 시점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 당 60회 반복을 실시하고 평균 등의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TA.XTplus 조직분석기를 이용한 현미의 곡립경도 측정
시료(현미) 측정수 평균(g) 경도지수 표준편차(g) 최대(g) 최소(g)
화성벼 60 7,825 1.04 1,595 10,881 4,793
설갱벼 60 5,962 0.79 869 7,861 4,425
남일벼 60 7,526 1.00 2,216 14,625 4,459
Namil(SA)-flo2 60 3,291 0.44 480 4,237 2,257
그 결과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곡립경도는 원품종인 남일벼는 물론 화성벼나 설갱벼에 비해 매우 낮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4-2> 본 발명의 Namil ( SA )- flo2 벼 식물 및 대조군의 건식제분
종피가 탈락되는 밀의 특성(naked hull)을 고려하여 모든 벼 시료는 제현(dehulling)된 현미를 사용하였다. 실험실 수준의 건식제분기인 뷜러(Buhler)제분기(Buhler Bros. Inc. Swiss; 롤러 밀 방식)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화성벼, 설갱벼, 남일벼, Namil(SA)-flo2 벼 식물 등의 현미 및 금강밀에 대한 건식제분을 실시하였다. 참고로 Buhler 제분기는 각 3조의 조쇄 롤(break roll, B1, B2, B3)과 분쇄 롤(reduction roll, R1, R2, R3)로 되어 있고 각 롤(roll)은 계열별로 체질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판 위에는 체인이 달려 있어서 각 계열에서 산출되는 가루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Buhler 제분기를 이용한 건식제분절차 및 제분율 계산은 참고문헌을 따랐다(Methods 26-10, 26-20, 26-21A, 26-30A, 26-31, 26-41,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ition. 2000. St. Paul, USA).
Buhler 제분기를 이용하여 생산된 쌀가루 및 밀가루를 생산하였을 때의 제분율은 [표 3]과 같다. 제분기의 각 계열에서 산출된 가루의 양들은 [표 4]와 같으며, 가루의 형태는 도 4에 제시되었다.
Buhler 제분기를 이용한 제분과정 및 분획조성
시료 투입량
(g)
수분함량
(%)
조질
(ml)
제분시간
(분)
제분율 및 분획조성
제분율
(%)
조쇄(Break)
(%)
분쇄(Reduction)
(%)
화성벼 994 13.6 28.4 8.1 70.3 19.2 51.1
설갱벼 988 12.6 40.0 8.4 81.2 21.6 59.5
남일벼 982 13.7 26.9 7.7 75.7 20.4 55.3
Namil(SA)-flo2 962 15.6 4.6 11.7 65.7 23.6 42.0
금강밀 2000 12.0 95.0 12.0 71.3 24.1 47.3
* 조질(tempering): 기울에서 배유부분이 쉽게 분리되도록 적절한 수분을 공급해주는 작업.
Buhler 제분기 이용 시 각 계열에서 산출된 가루 및 기울과 말분의 양
시료 투입량
(g)
조쇄 롤(Break Roll) 분쇄 롤(Reduction Roll) 기울
(bran)
(g)
말분
(short)
(g)
B1
(g)
B2
(g)
B3
(g)
R1
(g)
R2
(g)
R3
(g)
화성벼 994 39 17 110 158 93 190 11 245
설갱벼 988 99 27 54 242 120 134 12 145
남일벼 982 69 22 82 200 107 162 12 195
Namil(SA)-flo2 962 100 27 56 161 49 115 24 241
금강밀 2000 171 97 221 474 209 278 358 225
이후 모든 분석에서 B3 및 R3 계열을 제외한 나머지(B1, B2, R1, R2) 계열에서 산출된 가루를 총합하여 건식제분으로 생산된 쌀가루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하 모든 평가는 3반복을 기준으로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표준편차를 함께 제시하였다.
<4-2> 건식제분 결과물의 평균 크기 및 입도 분포 측정
동일한 조건에서 건식제분으로 생산된 쌀가루들의 평균크기 및 가루의 입도분포(가루의 직경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이저회절입도분석기(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model LS 13 320, Beckman Clter, Inc.)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쌀가루의 입자는 원품종인 남일벼는 물론 화성벼나 설갱벼에 비해 매우 작았다. 도 5에 제시되어 있듯이 Namil(SA)-flo2 벼 식물의 쌀가루는 대비구로 사용된 기존의 쌀과는 달리 오히려 금강밀과 유사한 입도분포를 보여, 건식제분만으로도 밀가루(강력분) 수준으로 곱게 빻아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Buhler 제분기에 의해 생산된 가루의 평균크기 및 분획별 입자크기 분포
시료 평균(㎛)
(표준편차)
분획별 입자크기(㎛) 양상 (표준편차)
하위 10% 하위 25% 하위 50% 하위 75% 하위 90%
화성벼 112.2
(±0.40)
45.4
(±0.78)
78.9
(±0.59)
114.1
(±0.65)
146.1
(±0.21)
174.3
(±0.32)
설갱벼 97.6
(±1.63)
30.7
(±2.08)
62.1
(±1.96)
98.4
(±1.48)
131.5
(±1.30)
160.0
(±1.29)
남일벼 109.1
(±0.62)
44.1
(±0.46)
77.6
(±0.74)
111.6
(±0.66)
141.9
(±0.40)
168.3
(±1.06)
Namil(SA)-flo2 82.0
(±0.57)
17.4
(±0.45)
38.7
(±0.57)
82.2
(±0.57)
118.6
(±0.60)
147.6
(±1.24)
금강밀 91.0
(±0.45)
21.8
(±0.26)
48.2
(±0.55)
92.4
(±0.38)
129.6
(±0.61)
159.4
(±1.14)
<4-3> 손상 전분 비율 측정
건식제분을 이용하여 기존 벼 품종의 쌀가루를 생산할 때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이 쌀의 높은 곡립경도에 의한 전분립의 물리적 손상이다. 전분립 손상정도는 물 흡수와 반죽특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손상된 전분립은 신속히 수화되어 알파- 혹은 베타-아밀라제 등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어 발효성 당(fermentable sugar)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과도한 발효를 조장하며, 가공공정 과정에서 부적절한 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가공품의 체적감소 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tarch Damage in Advances in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VII. pp321-349,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St. Paul, USA).
건식제분으로 생산된 쌀가루의 손상전분비율을 가름하기 위하여 『수분보유력』(즉, 시료 5g에 25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섞어준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을 때 원래의 시료무게에 대한 백분율)과 『손상전분분석』(즉, 제분된 쌀가루를 효소반응용액에 넣어 반응시킨 후 발색시켜 분광분석기를 통하여 손상전분립의 양을 추정; 도 6 참조) 등을 수행하였다. 손상전분분석은 상용분석키트(Starch Damage Assay Kit, Megazyme International Ireland Ltd., 아일랜드)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설갱벼와는 비슷하나, 원품종인 남일벼나 메벼인 화성벼보다 현저히 낮은 수분보유력을 발현하였다. 반면에 추정된 손상전분함량은 Namil(SA)-flo2 벼 식물이 대조구로 사용된 모든 벼 품종에 비해 월등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건식제분방식으로 생산된 각 쌀가루의 수분보유력 및 손상전분의 양
조사법 화성벼 설갱벼 남일벼 Namil(SA)-flo2
수분보유력
(%)
127.1
(±0.20)
96.6
(±0.10)
115.0
(±0.09)
93.6
(±0.21)
손상전분
(%)
10.3 %
(±0.19)
7.1 %
(±0.10)
9.2 %
(±0.17)
4.9 %
(±0.08)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기존 벼 품종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건식제분을 통한 쌀가루 생산에 적합한 새로운 벼 계통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본 발명의 Namil ( SA )- flo2 벼 식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관찰
상기 <실시예 3>에서 언급되었듯이, 남일벼에 화학적 돌연변이를 실시함으로 인해 야기된 본 발명의 「목적형질」이외의 주요 작물학적형질의 변화는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자체의 고유한 「표현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비추어 볼 때, 남일벼와 상이한 배유의 이화학적특성 역시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자체의 고유한 「표현형」으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배유가 보이는 독특한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실시예 4>에서 생산된 쌀가루들에 대해 특정 수분함량 조건에서의 백도(Lightness, CIE value)를 측정하였다(표 7 참조). 또한 회분,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을 측정하였으며(표 6 참조), 호화특성을 관찰하였다(표 8, 도 7 참조).
본 <실시예 5>에서 사용된 조사 및 측정 방법들은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ition. 2000. St. Paul, USA”에 의거하였다. 단, 아밀로스 함량측정은 95도에서 100도의 고온에서 5~10분간 쌀가루를 호화시킨 액을 요오드로 정색시켜 분광분석계로 아밀로스함량을 정량하는 Juliano법에 의거하였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쌀가루의 백도는 원품종인 남일벼나 화성벼보다 약간 높았으며 설갱벼와는 비슷하였다. 일반적으로 제분과정에서 겨층의 혼입율에 높은 정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회분함량은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이 약간 낮았으나, 본 시험에서 사용된 쌀가루 시료는 Buhler 제분기의 B1, B2, R1, 및 R2 계열에서 산출된 가루를 총합한 것이기 때문에 별다른 의미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품종인 남일벼에 비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의 단백질 함량은 낮은 반면, 아밀로스 함량은 약간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및 대비구 쌀가루의 주요 이화학적 특성
시료 수분
(%)
백도 회분
(%)
단백질
(%)
아밀로스
(%)
화성벼 14.2
(±0.02)
88.6
(±0.01)
0.84
(±0.02)
7.5
(±0.16)
18.5
(±0.24)
설갱벼 13.6
(±0.03)
90.3
(±0.06)
0.72
(±0.01)
6.6
(±0.11)
17.5
(±0.60)
남일벼 14.1
(±0.04)
88.7
(±0.12)
0.82
(±0.01)
9.2
(±0.25)
17.7
(±1.34)
Namil(SA)-flo2 14.6
(±0.03)
90.0
(±0.07)
0.79
(±0.01)
7.5
(±0.15)
18.5
(±0.31)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 및 대비구 쌀가루의 호화특성
시료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
(Breakdown)
치반점도
(Setback)
화성벼 64.7
(±0.46)
393.7
(±25.01)
160.0 (±1.73) 348.0
(±7.55)
233.0
(±23.64)
162.7
(±6.66)
설갱벼 68.6
(±0.53)
351.7
(±9.87)
148.3 (±9.50) 293.3
(±8.74)
204.7
(±1.53)
139.3
(±14.84)
남일벼 66.7
(±0.70)
418.3
(±16.01)
168.7 (±4.51) 325.3
(±8.08)
249.0
(±12.00)
144.7
(±11.55)
Namil(SA)-flo2 70.3
(±0.10)
340.0
(±22.11)
121.3 (±7.23) 283.0
(±21.07)
218.3
(±15.53)
135.7
(±12.66)
[도 7]과 [표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원품종인 남일벼에 대해 본 발명의 Namil(SA)-flo2 벼 식물은 최고점도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이로 인하여 강하점도(최고점도-최저점도)와 치반점도(최종점도-최고점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인 Namil(SA)-flo2 및, 상기 벼 식물을 교배모본으로 하는 곡립경도가 낮은 벼 식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상기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종자, 상기 벼 식물의 조직배양물 및 상기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은 배유가 분질(floury)이므로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하여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의 쌀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곡립경도가 낮아 건식제분에 적합한 벼 종자를 생산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비용, 고품질의 쌀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식감이 우수한 쌀가루 제품을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남일벼 종자를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NaN3) 희석용액에 침지하고, 이를 발아시켜 재배한 식물체(M1)으로부터 수확한 M2 종자를 계통육종법에 의거하여 M7세대까지 전진시켜 고정된 돌연변이 계통들을 확립한 후, 확립된 각 계통의 종자들 중에서 아밀로스-아밀로펙틴 함량 조성이 기존의 남일벼와 유사하면서, 곡립경도가 2257g 내지 4237g인 것들을 선별하여 육성한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L. sp. Japonica) 계통 식물.
    장간(cm): 84±2
    주당수수: 11±1
    출수기: 8월 7일
    수당립수: 155±15
    현미천립중(g): 22.2±2.0
    곡립경도(g): 2257 내지 4237
    백미수량(수원, kg/10a): 521±50
    잎도열병 내병성(0~9): 6
    벼멸구 내성(0~9): 9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벼 식물 또는 이의 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00011636A 2010-02-08 2010-02-08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19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36A KR101190642B1 (ko) 2010-02-08 2010-02-08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36A KR101190642B1 (ko) 2010-02-08 2010-02-08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42A KR20110092142A (ko) 2011-08-17
KR101190642B1 true KR101190642B1 (ko) 2012-10-17

Family

ID=4492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636A KR101190642B1 (ko) 2010-02-08 2010-02-08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72A (ko) * 2017-03-24 2018-10-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저 아밀로오스 쌀가루 크래커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106A1 (ko) 2020-12-22 2022-06-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분질배유를 지니는 '삼광' 유래 돌연변이 벼 계통, 'samkwang(sa)-flo3'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618B1 (ko) * 2013-01-25 2015-04-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세포 변이 유래의 저 아밀로즈 특성을 갖는 벼 신품종 변종식물 미분미
CN104542256B (zh) * 2015-01-04 2017-05-31 云南楚源种业有限责任公司 一种籼稻稻曲病抗性高效导入粳稻的育种方法
CN104770295B (zh) * 2015-04-04 2016-12-14 重庆市木越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粳稻花药分化培养基配方
CN104705190B (zh) * 2015-04-04 2016-07-27 安徽袁粮水稻产业有限公司 一种粳稻花药分化培养基配方
KR102010859B1 (ko) * 2017-11-10 2019-08-16 대한민국 분질배유 특성 판별용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48841B1 (ko) * 2017-12-26 2019-11-27 대한민국 제초제 내성을 갖는 남일 돌연변이 후대 계통, Namil(SA)-gla1, 및 이의 용도
KR102048838B1 (ko) * 2017-12-26 2019-11-27 대한민국 제초제 내성을 갖는 남일 돌연변이 후대 계통, Namil(EMS)-gla1, 및 이의 용도
KR102192626B1 (ko) * 2018-12-14 2020-12-18 대한민국 건식 제분 찹쌀가루를 이용한 찰떡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72A (ko) * 2017-03-24 2018-10-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저 아밀로오스 쌀가루 크래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977459B1 (ko) * 2017-03-24 2019-08-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저 아밀로오스 쌀가루 크래커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106A1 (ko) 2020-12-22 2022-06-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분질배유를 지니는 '삼광' 유래 돌연변이 벼 계통, 'samkwang(sa)-flo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42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642B1 (ko)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N105950505B (zh) 一株胶质类芽孢杆菌n6及其应用
JP2015507938A (ja) 部分的多重ゲノムまたは完全多重ゲノムを有する栽培オリザ・サティバ(Oryzasativa)植物、およびその使用
KR101248016B1 (ko) 건식제분에 적합한 자포니카 벼 계통, Namil(SA)-flo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Bekele et al. Growth, protein content,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malt barley (Hordeum vulgare L.) varieties in response to seeding rate at Sinana District, Southeast Ethiopia
Rerkasem The rice value chain: a case study of Thai rice
US9681620B2 (en) Barley mutant lines having grain with ultra-high beta glucan content
KR101170348B1 (ko) 단간형의 식미 특성이 개선된 벼 신품종 변종식물 &#39;진상&#39;
Belcar et al. Technological Assessment of Winter Cultivar of Common Wheat (L.) and Winter Barley (L.) for Pale Malt Production
CN101530061A (zh) 一种高锌营养优质水稻的培育方法
NI et al. Effects of post-heading high temperature on some quality traits of malt barley
Zuk-Golaszewska et al. Biofortification of the nutritional value of foods from the grain of Triticum durum Desf. by an agrotechnical method: A scientific review
Cheng et al. The difference in amylose content within a panicle as affected by the panicle morphology of rice cultivars
Boualaphanh et al. Yield and quality of traditional and improved Lao varieties of rice
Tiwari Growth and production of barley
KR101516618B1 (ko) 체세포 변이 유래의 저 아밀로즈 특성을 갖는 벼 신품종 변종식물 미분미
US20150013029A1 (en) Cultivated sorghum plant having a partially or fully multiplied genome and uses of same
KR102504387B1 (ko) 신규한 건식제분용 벼 품종, 가루미1 및 가루미2
KR102387265B1 (ko) 분질배유를 지니는 조생종 흑미 신규 계통, 아로마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JP2014523240A (ja) 部分的多重ゲノムまたは完全多重ゲノムを有する普通コムギ、その植物体または一部分、そのハイブリッドおよび生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作製方法および使用方法
Zhang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rtificial ageing on seed vigour in maize types with inverted giant embryos and normal embryos
Öztürk et al. Agronomic Performance of the alternative cereal species in the highest plain of Turkey
Kumar et al. BK 306: A two-row barley (Hordeum vulgare L) as potential source of higher diastatic power and FAN content for malt barley improvement
Mohammed et al. Effect of Crossability in Improving Some Selected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Varieties
Christopher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Floral Mutation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of Philippine Rice Variety NSIC Rc9 (Ap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