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218B1 -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218B1
KR101190218B1 KR1020100026926A KR20100026926A KR101190218B1 KR 101190218 B1 KR101190218 B1 KR 101190218B1 KR 1020100026926 A KR1020100026926 A KR 1020100026926A KR 20100026926 A KR20100026926 A KR 20100026926A KR 101190218 B1 KR101190218 B1 KR 10119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shackle
count
information
carc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664A (ko
Inventor
황헌
조성호
최선
안병태
김은국
한재웅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2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64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for classifying or grading carcasses; for measuring back fat
    • A22B5/007Non-invasive scanning of carcasses, e.g. using image recognition, tomography, X-rays,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7/00Slaughterhouse arrangements
    • A22B7/001Conve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15Killing poultry entering the processing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physic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 도체의 개체를 추적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닭 도체의 가공 시 샤클을 카운트하여 해당 샤클에 이송되는 닭 도체의 개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로 샤클을 카운트하여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생략하고 샤클 카운트 센서만이 구비되므로 저비용으로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에 샤클 카운트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닭 도체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로 추적된 닭 도체를 닭 도체의 품질 등급과 함께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CHICKEN CARCASS INDIVIDUAL TRACE APPARATUS}
본 발명은 닭 도체의 개체를 추적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닭 도체의 가공 시 샤클을 카운트하여 해당 샤클에 이송되는 닭 도체의 개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경우, 닭고기 가공은 대규모 자동 도계가공 설비(대부분이 수입 설비)를 통하여 시중에 공급되고 있으며, 도계의 품질 판별 및 규격화 관련 자동 설비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단지 로드셀을 이용한 중량 선별장치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대부분의 도계 가공업체는 수작업으로 선택적 품질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 닭고기의 유통구조는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구조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으며, 육계의 경우 브랜드화를 통한 상품성 제고가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향후에는 주관적 판단에 의거한 매매 및 유통구조로부터, 닭고기의 품질과 관련한 물성계측을 통하여 정량화된 객관적인 품질을 추출하고 정보화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을 바탕으로 개체별 또는 단위 그룹별로 그 추출된 품질정보를 명시하여 유통하는 구조로 변환하게 될 것이다.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보급에 따라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소비자가 구매 장소에서 닭고기의 품질 및 생산정보를 바로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유통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유통 정보화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 유통구조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닭고기 가공라인에서 품질정보를 규격화하고 공정상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생력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닭고기 가공공정에 있어서 품질의 규격화와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닭고기 품질검사 시스템 관련 설비연구 및 연구결과의 현장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농무부 산하 안전성 검사요원들이 닭고기 가공공정에서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생산되는 닭고기의 전량에 대하여 수작업으로 정상 닭의 여부를 판별하는 전수 검사를 최종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농무부 산하 벨츠빌 연구소와 러셀연구소 그리고 죠지아 대학 주도 하에 닭고기 가공 관련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10여년 전부터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결과를 이용한 상용화 설비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일부 연구결과를 실험실 수준의 설비로 제작하여 현장 적응시험을 수행하고 있을 뿐이다.
상기와 같은 미국의 연구개발은 주로 닭고기 가공공정에 있어서 식품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는 근적외 반사 스펙트럼을 도계 가공라인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들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비정상 닭을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다분광(multispectral) 및 초분광(hyperspectral) 영상시스템을 이용한 오염물질 검출연구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닭 도체를 이송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비하며, 보통 샤클을 이용하여 이를 수행한다. 또한, 기존에는 샤클 또는 샤클에 이송되는 닭 도체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이송되는 닭 도체의 개체를 추적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고가의 RFID 태그를 이용할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닭 도체 가공 시 이동하는 닭 도체를 저비용으로 쉽게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닭 도체의 가공을 위해 안내 레일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샤클을 연결하고 동력을 인가하여 닭 도체를 이송하는 닭 도체 이송부와, 상기 샤클을 카운트하여 샤클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는 샤클 카운트 센서와, 상기 샤클 카운트 정보로 상기 닭 도체를 추적하는 개체 추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닭 도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샤클 카운트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개체 추적부는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샤클 카운트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안내 레일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이 경우, 상기 샤클 카운트 카메라는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와 근접한 거리에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운트된 샤클에 이송되는 닭 도체의 영상정보로 품질 등급을 판정하는 영상처리/등급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등급판정부는 닭 도체로부터 측정된 2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닭 도체의 품질 등급 판정을 위한 품질 데이터로 실시간 처리하고, 실시간 처리되는 품질 데이터로부터 닭 도체의 품질 등급 정량화를 위해 설정된 다수의 검색인자를 이용하여 해당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판정하는 닭 도체 품질 등급 판정부와,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에서 카운트된 샤클 카운트 정보를 해당 샤클에서 이송되는 닭도체의 품질 등급과 매칭시키는 샤클 카운트 정보 매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등급판정부는 닭 도체의 외형 정보 추출에 필요한 2차원 영상정보를 제 1 칼라 카메라를 통해 측정하고, 닭 도체의 중량 산출에 필요한 높이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2차원 영상정보를 제 1 칼라 카메라를 통해 측정하고, 닭 도체의 중량 산출에 필요한 높이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2차원 영상정보를 제 2 칼라 카메라와 레이저 구조광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영상정보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로 샤클을 카운트하여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생략하고 샤클 카운트 센서만이 구비되므로 저비용으로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에 샤클 카운트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닭 도체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로 추적된 닭 도체를 닭 도체의 품질 등급과 함께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영상정보 측정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닭 도체 이송부에 칼라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조명 장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은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닭 도체를 이송하는 샤클(110)이 구비된 닭 도체 이송부(100)와, 샤클(110)을 카운트하여 샤클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는 샤클 카운트 센서(200)와, 샤클 카운트 정보로 닭 도체를 추적하는 개체 추적부(300)를 포함한다.
닭 도체 이송부(100)는 이송대와 안내 레일을 구비하며 안내 레일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체인에 의해 연결된 샤클(110)을 이용하여 닭 도체를 자동으로 이송한다. 이러한 닭 도체 이송부(100)는 체인 구동 시스템에 의한 자동 이송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 이송장치에는 샤클(110)과 닭 도체의 무게를 지지해줄 수 있는 철재 안내 레일을 상부에 구비한다. 또한, 안내 레일에 의해 샤클(110)에 매달려 움직이는 닭 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체인 구동 시스템을 구성하고, 체인과 샤클(110)을 연결하여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자동 이송장치의 양단부에는 리미트 스위치 역할을 하는 두 개의 포토센서를 장착하여 연속적으로 좌우로 샤클(110)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와 같은 모터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모터를 정ㆍ역회전 구동시킨다.
샤클 카운트 센서(200)는 샤클을 카운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샤클 카운트 센서(200) 구비될 경우 샤클 카운트 센서(200)는 다수개가 안내 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 카운트 센서(200)와 근거리에 샤클 카운트 센서(200)와 동일한 개수로 샤클 카운트 카메라(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샤클 카운트 센서(200)에서 카운트된 샤클 카운트 정보는 샤클 카운트 카메라(210)에서 취득된 샤클 카운트 영상과 매칭될 수 있다.
개체 추적부(300)는 샤클 카운트 정보로 닭 도체를 추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클 카운트 센서(200)에서 수집된 샤클 카운트 정보를 추적하여 닭 도체를 추적한다. 여기서, 샤클 카운트 영상을 수집하는 샤클 카운트 카메라(210)가 더 구비될 경우, 개체 추적부(300)는 샤클 카운트 정보와 샤클 카운트 영상을 매칭시켜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영상정보 측정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닭 도체 이송부에 칼라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의 조명 장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닭 도체를 이송하는 샤클(110)이 구비된 닭 도체 이송부(100)와, 샤클(110)을 카운트하여 샤클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는 샤클 카운트 센서(200)와, 샤클 정보와 매칭시켜 샤클(110)에 이송되는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판정하는 영상처리/등급판정부(5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판정하기 위해 구조광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판정하되 카운트된 샤클 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으며, 품질 등급을 판정하는 것은 구조광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닭 도체 이송부(100)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샤클 카운트 센서(200)는 샤클(110)을 카운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과 동일하게 다수개의 샤클 카운트 센서(200)가 구비될 경우 샤클 카운트 센서(200)는 다수개가 안내 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클 카운트 센서(200)에 샤클(110)이 감지되면 제2 칼라 카메라(312)가 작동하여 640×480 화소 영역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0 내지 255의 화소값이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프레임 그래버(330)에 저장된다. 물론, 샤클 카운트 센서(200) 대신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제2 칼라 카메라(312)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샤클 카운트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등급판정부(500)는 샤클 카운트 정보와 매칭된 닭 도체 영상정보를 실시간 측정하고 영상 처리하여 등급 판정 및 중량 산출을 위한 품질 데이터를 얻고, 그 품질 데이터로부터 등급 판정 및 중량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닭 도체 품질 등급 판정부와, 샤클 카운트 매칭부를 포함한다.
닭 도체 품질 등급 판정부는 영상정보 측정부(300)에서 움직이는 닭 도체로부터 측정된 2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닭 도체의 품질 등급 판정을 위한 품질 데이터로 실시간 처리하고, 실시간 처리되는 품질 데이터로부터 닭 도체의 품질 등급 정량화를 위해 설정된 다수의 검색인자를 이용하여 해당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판정해낸다. 여기서 품질 등급 정량화를 위해 설정된 다수의 검색인자는 도체의 외형인자, 도체외관의 손상정도, 내장에 의한 도체 표피의 오염정도, 깃털 부착정도, 변색 및 종양, 도체의 부피 등이다.
샤클 카운트 매칭부는 샤클 카운트 센서(200)에서 카운트된 샤클 카운트 정보를 닭 도체 품질 등급 판정부에서 판정된 닭도체의 품질 등급과 매칭시킨다. 이러한 샤클 카운트 매칭부는 샤클 카운트 센서(200)에서 전송된 샤클 카운트 정보에 순번을 부여하며, 해당 순번에 해당되는 샤클(110)의 닭도체 품질 등급과 매칭시킨다. 또한, 이에 따라, 샤클 순번을 포함하는 샤클 정보로 해당 샤클에서 이송중인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추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등급판정부(500)는 영상정보 측정부에서 제2 칼라 카메라(312)와 레이저 구조광에 의해 측정되는 닭 도체의 2차원 영상정보로부터 닭 도체의 높이정보 산출에 필요한 3차원 형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를 실시한다. 아울러 영상처리 등급 판정부(500)는 레이저 구조광에 의한 3차원 형상정보를 학습데이터로 사용하여 그로부터 원하는 목표치의 중량을 산출해내도록 미리 학습된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을 탑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영상처리/등급판정부(500)는 신경회로망 알고리즘과 상기 영상처리를 통해 추출된 3차원 형상정보로부터 해당 닭 도체의 중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정보 측정부(3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360)와 레이저 구조광 발생장치(370), 및 다수의 제1 및 제2 칼라 카메라(311,312: 도 6의 (a),도 6의 (b) 참조)를 구비한 영상 입력부(310)가 구비된다. 닭 도체의 외형 정보를 얻기 위해 닭 도체 이송부(100)에서 이송되는 닭 도체로부터 제1 칼라 카메라(311)를 통해 닭 도체의 2차원 영상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대상체의 높이정보 추출에 사용되는 3차원 형상정보를 얻기 위해 제2 칼라 카메라(312)와 레이저 구조광 발생장치(370)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닭 도체에 다수 개의 레이저 구조광(371)을 투사하여 2차원의 영상정보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지는 영상정보로부터 중량 산출에 밀접한 부분에 투사되는 레이저 구조광 한 개에 의해 3차원의 형상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등급판정부(5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영상처리 시스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부(310)의 후단에,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20), 프레임 그래버(330), 영상처리에 사용되는 컴퓨터(340), 그리고 영상 출력부(35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제1 칼라카메라(311)와 제2 칼라카메라(312)를 이용하여 닭 도체의 2차원 외형정보와 2차원의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프레임 그래버(330)에 저장하고, 이때 저장된 영상정보를 컴퓨터(340)에서 처리하여 그 영상처리 결과를 영상 출력부(350)를 통해 모니터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3차원의 형상정보와 2차원의 외형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는 샤클 카운트 센서(200)가 카메라와 별도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샤클 카운트 센서(200)는 영상 입력부(310)의 제1 칼라 카메라(3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칼라 카메라는 닭 도체 이송부의 안내 레일 상에 설치되고, 제2 칼라 카메라(312)는 레이저 구조광 발생장치(370)에서 투사된 레이저 구조광(371)이 닭 도체에 도달되는 위치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영상 입력부의 후단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20)가 설치된다.
제1 칼라 카메라(311)는 샤클 카운트 센서(200)에 의해 구동되고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110)에 의해 움직이는 닭 도체의 2차원 외형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안내 레일 상에 설치된다. 이때 측정된 영상정보는 후단의 영상처리 컴퓨터(340)를 통한 국부 영상처리에 의해 닭 도체의 외곽선 추출이 행해져 닭 도체의 외형 품질 정보가 획득된다.
제2 칼라 카메라(312)는 영상처리 작업을 위해 샤클(110)이 이동하면 레이저 구조광이 투사되는 위치의 상부에서 닭 도체의 3차원 프로 파일 정보를 획득한다.
영상처리 컴퓨터(340)의 전단에는 상기 두 개의 칼라 카메라로부터 받아들인 2차원 영상정보를 전처리하기 위해서 프레임 그래버(330)가 설치된다. 프레임 그래버(330)는 아날로그 영상을 수신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고, 후단의 영상처리 컴퓨터에서 영상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출력부(350)는 국부 영상처리를 위한 작업자의 지시내용과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고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조명장치(3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 표면 가운데에 광이 집중되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1,2 조명등(361a,361b); 그림자에 의한 대상체 외형정보에 대한 오인식 문제를 없애기 위해 카메라 위쪽에 같은 각도로 배치되는 제3 조명등(361c); 상기 각 조명등에 대한 집중광을 분산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원형 편광 필터(362a-362c)로 구성된다. 이 경우 조명장치에는 할로겐 조명등, 고주파 형광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할로겐 조명등은 뒷부분에 과열 방지를 위한 공기 냉각부(363a-363c)가 더 구비되어 찬 공기는 불어넣고 더운 공기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로 고주파 형광등이 사용될 경우에는 링 형상의 고주파 형광등이 좋다. 고주파 타입의 형광등은 일반적인 형광등과 달리 플리커 현상이 없고 열 발생이 매우 적으며 뛰어난 색 재현성을 가진다. 또한 넓은 직경으로 제작되어서 넓은 영역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진다. 대형 링 타입 고주파 형광등은 전극부 유리관의 간격을 매우 좁게 하여 거의 완전한 원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균일한 원 조명으로 이상적인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장치에 확산판(diffuser)을 부착하여 집중광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로 샤클을 카운트하여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생략하고 샤클 카운트 센서만이 구비되므로 저비용으로 닭 도체를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에 샤클 카운트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닭 도체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개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 카운트 센서로 추적된 닭 도체를 닭 도체의 품질 등급과 함께 추적할 수 있는 닭 도체 추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닭도체 이송부 110: 샤클
200: 샤클 카운트 센서 210: 샤클 카운트 카메라
300: 개체 추적부, 영상정보 측정부
500: 영상처리/등급판정부

Claims (7)

  1. 닭 도체의 가공을 위해 안내 레일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샤클을 연결하고 동력을 인가하여 닭 도체를 이송하는 닭 도체 이송부와,
    상기 샤클을 카운트하여 샤클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는 샤클 카운트 센서와,
    상기 샤클 카운트 정보로 상기 닭 도체를 추적하는 개체 추적부와,
    상기 카운트된 샤클에 이송되는 닭 도체의 영상정보로 품질 등급을 판정하는 영상처리/등급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등급판정부는,
    닭 도체로부터 측정된 2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닭 도체의 품질 등급 판정을 위한 품질 데이터로 실시간 처리하고, 실시간 처리되는 품질 데이터로부터 닭 도체의 품질 등급 정량화를 위해 설정된 다수의 검색인자를 이용하여 해당 닭 도체의 품질 등급을 판정하는 닭 도체 품질 등급 판정부와,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에서 카운트된 샤클 카운트 정보를 해당 샤클에서 이송되는 닭 도체의 품질 등급과 매칭시키는 샤클 카운트 정보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닭 도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샤클 카운트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체 추적부는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샤클 카운트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닭 도체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안내 레일에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샤클 카운트 카메라는 상기 샤클 카운트 센서와 함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등급판정부는 닭 도체의 외형 정보 추출에 필요한 2차원 영상정보를 제 1 칼라 카메라를 통해 측정하고, 닭 도체의 중량 산출에 필요한 높이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2차원 영상정보를 제 1 칼라 카메라를 통해 측정하고, 닭 도체의 중량 산출에 필요한 높이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2차원 영상정보를 제 2 칼라 카메라와 레이저 구조광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영상정보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KR1020100026926A 2010-03-25 2010-03-25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KR10119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926A KR101190218B1 (ko) 2010-03-25 2010-03-25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926A KR101190218B1 (ko) 2010-03-25 2010-03-25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64A KR20110107664A (ko) 2011-10-04
KR101190218B1 true KR101190218B1 (ko) 2012-10-16

Family

ID=4502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926A KR101190218B1 (ko) 2010-03-25 2010-03-25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787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태진 도계 품질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72Y1 (ko) 1999-10-11 2000-03-15 주식회사태진기계 자동 도체 계수 장치
KR200388170Y1 (ko) 2004-12-23 2005-06-30 손호석 생계 계수기
US7378642B2 (en) 2005-05-25 2008-05-27 Jones Clyde B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ultry processing plant
KR100919462B1 (ko) 2007-11-13 2009-09-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닭도체 개체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72Y1 (ko) 1999-10-11 2000-03-15 주식회사태진기계 자동 도체 계수 장치
KR200388170Y1 (ko) 2004-12-23 2005-06-30 손호석 생계 계수기
US7378642B2 (en) 2005-05-25 2008-05-27 Jones Clyde B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ultry processing plant
KR100919462B1 (ko) 2007-11-13 2009-09-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닭도체 개체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787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태진 도계 품질관리방법
KR101947444B1 (ko) 2016-06-08 2019-02-13 주식회사 태진 도계 품질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64A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406B1 (ko) 닭도체의 품질등급 자동 판정 및 중량 산출시스템
US11830179B2 (en) Food inspection assisting system, food inspection assist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200345043A1 (en)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s of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JP6790160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マシンのネットワーク
JP2001514386A (ja) 移動表面の自動的な検査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8541007A (ja) 食品の異物検出装置
CN205436353U (zh) 轴承分拣机
Yang et al. Machine vision system for on-line wholesomeness inspection of poultry carcasses
Brünger et al. ‘Tailception’: using neural networks for assessing tail lesions on pictures of pig carcasses
EP3439480A1 (en) System for registration and presentation of performance data to an operator
JP2022519517A (ja) 食品処理装置及び食品処理方法
CN107993203B (zh) 一种家禽胴体影像分级方法及其分级系统
US10667530B2 (en) Automated process for determining amount of meat remaining on animal carcass
US84444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and positions thereof
KR101190218B1 (ko) 닭 도체 개체 추적 장치
CN201575977U (zh) 一种水果表面损伤热红外成像检测系统
US10165782B2 (en) Device for optically identifying the sex of a slaughter pig
WO2020064075A1 (en) Inspection of poultry
CN203337550U (zh) 多光谱在线快速无损检测羊肉品质的装置
CN105301016A (zh) 车轮踏面擦伤图像检测方法
US8207467B2 (en) Automatic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foods
KR100919462B1 (ko) 닭도체 개체 관리시스템
CN111458344A (zh) 一种口罩缺陷视觉检测方法、设备、存储介质
Cho et al. Development of chicken carcass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image processing system
CN217156273U (zh) 一种基于高光谱成像的盒装牛排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