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903B1 -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위치 지원 및 확장된 호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위치 지원 및 확장된 호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903B1
KR101189903B1 KR1020107017393A KR20107017393A KR101189903B1 KR 101189903 B1 KR101189903 B1 KR 101189903B1 KR 1020107017393 A KR1020107017393 A KR 1020107017393A KR 20107017393 A KR20107017393 A KR 20107017393A KR 101189903 B1 KR101189903 B1 KR 10118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network
serving core
emergency
alternativ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039A (ko
Inventor
스테판 더블유. 엣지
아룬군드람 씨. 마헨드란
하이펭 진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25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 H04M7/123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where the packet-switched network is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ystem-typ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6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 H04M7/127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where the session control protocols comprise SIP and S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30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5Details of gateway equipment
    • H04M7/1255Details of gateway equipment where the switching fabric and the switching logic are decomposed such as in Media Gateway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긴급 음성 호출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들은 사용자 장비의 전송,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수신,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및 방법들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결정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결정은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위치 검색 기능부로부터의 사용자 장비 위치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상기 결정은 용량의 부족 또는 능력의 부족에 기반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장치 및 방법들은 또한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위치 지원 및 확장된 호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ALL ESTABLISHMENT AND LOCATION SUPPORT FOR IMS EMERGENCY CAL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호출을 고안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양수되고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출원번호가 61/019,164이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ALL ESTABLISHMENT AND SUPPORT FOR IMS EMERGENCY CALLS"이며, 출원일이 2008년 1월 4일이고, 출원번호가 61/019,158인 가출원과,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LOCATION SUPPORT FOR IMS EMERGENCY CALLS"이며, 출원일이 2008년 1월 4일인 가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영상,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messaging), 방송(broadcast), 기타 여러 가지들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들은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통신을 지원할 능력이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음성 호출들 및 긴급 음성 호출들을 포함하는 호출을 발생시키고 수신하는 능력 및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리소스들(예를 들어, 무선 스펙트럼, 유선 시그널링(signaling), 및 전송 선로들)의 충분한 사용을 통해 음성 호출들을 발생시키고 이를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들 및 터미널들은 일반 호출들 및 긴급 호출들에 대한 Voice over IP(VoIP)를 지원할 수 있다. 긴급 VoIP 호출들의 경우에, 3GPP 및 3GPP2 표준들(GSM, WCDMA, cdma2000 EvDO 및 LTE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함)에 따른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들은 공공연하게 입수가능한 자료인 공개8(Release 8)에 대한 3GPP 기술 명세서(TS) 23.167에 따른 상기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이용하여 지원이 제공되는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이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VoIP 긴급 호출은 종종 호출 제어처럼 IMS 긴급 호출로 지칭되고 호출 시그널링은 사용자의 터미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또한 방문 네트워크로 알려짐)에서 상기 IMS에 의해 지원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터미널은 또한 이동국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알려질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VoIP 긴급 호출을 배치하기 위해 인보크(invoke)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서비스에 가입한 홈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또는 아닐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VoIP 긴급 호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등록 및 호출 설정과 같은 여러 가지의 상태를 거칠(go through) 수 있다. UE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함으로 인해 UE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인증될 수 있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검증된 식별 정보 및 검증된 콜백(call back) 번호와 같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UE는 예컨대, 공중 안전 응답 포인트(PSAP)와 같이 상기 긴급 호출을 서비스할 수 있는 적절한 엔티티(entity)로 호출을 연결하기 위해 호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긴급 호출이 다이얼링 되는 때 가입자가 무선 액세스를 가지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다이얼링 이전에 이제 막 전화기의 전원을 켠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음성 호출 능력(capability)이 없이 데이터 전용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가진 경우에(예를 들어, WLAN을 통한 인터넷 액세스를 가진 경우), 긴급 호출 성공에 대한 사용자 예상 및 긴급 호출을 지원하는 일부 음성 서비스 제공자(VSP)에 대한 법적인 요구들은 모두 긴급 호출이 다이얼링 되는 때에 사용자가 이미 음성 가능 네트워크(예를 들어, 3GPP 음성 가능 방문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VPLMN))를 액세스하고 있는 경우보다 상당하게 낮을 수 있다.
많은 경우 중에 하나의 문제는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되는 VSP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로컬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로밍 상황에 있을 수 있고(예를 들어, WLAN으로부터 또는 몇몇 다른 데이터 전용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직접적인 IP 액세스를 사용하는 홈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H-PLMN) 또는 몇몇 다른 원격 VSP로 액세스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VSP는 적절한 로컬 PSAP(즉, 사용자에 대하여 로컬한 PSAP)를 위한 긴급 호출을 설정할 수 없을 수 있으며 만일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액세스되고 있는 로컬 VSP(예를 들어, 3GPP VPLMN)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서빙 VSP는 예를 들어, 자신의 현재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성 액세스 네트워크(IP-CAN)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VSP들의 스캐닝을 통해, 또는 다른 무선 IP-CAN들에 대한 무선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몇몇 대안들에 대하여 탐색하도록 UE를 떠나는(leaving) IMS 긴급 호출(예를 들어 TS 23.167의 3GPP 솔루션에 따라서, SIP 380 대안 서비스 응답을 UE로 리턴함으로써)을 설정하기 위한 시도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거의 신뢰하기 어려운 솔루션이다.
추가적으로, 3GPP 기술 명세서(TS) 23.167에서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현재 솔루션은 3GPP 제어 평면 위치 솔루션 및 오픈 모바일 연합(OMA) 안전 사용자 평면 위치(SUPL)의 이용을 명시적으로 참조하고 허용하지만, 다른 가능한 위치 솔루션들은 명시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IMS 긴급 호출을 위한 확장된 호출 설정 및 위치 지원을 위한 진보된 장치 및 방법들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설명은 모든 가능한 양상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서술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를 통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 생성을 위한 방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를 통해 동작가능하고 긴급 음성 호출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다른 양상에서,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 장비를 통해 동작가능하고, 긴급 음성 호출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product)은 다수의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추가적인 다른 양상으로, 긴급 음성 호출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일 양상에서, 긴급 음성 호출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는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다른 양상에서, 긴급 음성 호출을 설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를 통해 동작가능한 방법은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그리고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긴급 음성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를 위한 장치로는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해 동작가능하고 긴급 음성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을 개시하기 위한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메모리에 저장되고,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해 동작가능하고, 긴급 음성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다수의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코드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을 개시하도록 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코드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긴급 음성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 중에서 예시적인 양상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양상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내며 제시된 양상들은 이러한 양상들 및 이러한 양상들의 균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개시된 양상들은 상기 개시된 양상들을 도시하지만 상기 개시된 양상들을 제한하지않도록 제공되는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지정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네트워크 배치의 일 양상의 도해(schematic diagram)이다.
도 2는 3GPP 네트워크 구조의 일 양상의 도해이다.
도 3은 3GPP2 네트워크 구조의 일 양상의 도해이다.
도 4는 후속적인 긴급 호출 리디렉션(redirection)을 통한 긴급 호출 발생(orgination)의 일 양상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1의 서빙 IMS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IMS 코어 네트워크로의 긴급 호출을 포워딩하기 위한 확장된 네트워크 구조의 일 양상의 도해이다.
도 6은 후속적인 긴급 호출 포워딩을 통한 긴급 호출 발생의 일 양상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7은 제 1의 서빙 IMS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IMS 코어 네트워크로 긴급 호출의 포워딩 또는 리다이렉팅하기 위한 확장된 네트워크 구조의 일 양상의 도해이다.
도 8은 후속적인 긴급 호출 리디렉션 또는 긴급 호출 포워딩을 통한 긴급 호출 발생의 일 양상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9는 사용자 장비(UE) 및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도해이다.
본 명세서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3GPP 기술 명세서 21.905(TR 21.905), 3GPP 기술 명세서 23.167(TS 23.167), 및 아래에서 주어진 약어들이 사용된다. TR 21.905 또는 TS 23.167 에서 동일한 약어가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약어가 이에 우선한다.
<ACRONYM> <EXPLANATION>
CP 제어 평면(control plane)
E-SLP 긴급 SLP
FQDN 완전히 검증된 도메인 명칭
SLP SUPL 위치 프랫폼
SUPL 안전한 사용자 평면 위치
UP 사용자 평면
V-SLP 방문 SLP
VSP 음성 서비스 제공자
다양한 양상들이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크 배치(100)의 일례를 도시한다. UE(110)는 통신 서비스들을 획득하기(obtain)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통신할 수 있다. UE(110)는 고정식(stationary) 또는 이동식일 수 있고,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터미널, 가입자(subscriber)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110)는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 단말기(PDA), 무선 디바이스, 무선 모뎀, 랩톱 컴퓨터, 원격측정 디바이스, 추적 디바이스 등 일 수 있다. UE(110)는 액세스 네트워크(120) 내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UE(1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위성들(190)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위성들은 미국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the United State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러시아 글로나스 시스템(the Russian Glonass system) 및 유럽 갈릴레오 시스템(the European Galileo system)의 일부분일 수 있다. UE(110)는 액세스 네트워크(120) 내에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기지국들에 대한 타이밍 측정들을 획득할 수 있다. UE(110)는 또한 위성들(190)로부터의 신호들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위성들에 대한 의사-거리(psedo-range) 측정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의사-거리 측정들 및/또는 타이밍 측정들은 UE(110)에 대한 위치 추정을 획득하기(derive)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치 추정은 또한 로케이션 추정, 위치 고정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자신의 서비스지역 내에 위치한 UE(120)들에게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들, 액세스 포인트들, 네트워크 제어기들, 및/또는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 네트워크(130)는 또한 방문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V-PLMN)로 지칭될 수 있고, 현재 UE(110)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홈 네트워크(160)는 또한 홈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H-PLMN)로 지칭될 수 있고, UE(110)가 가입한 네트워크이다. 액세스 네트워크(160)는 방문 네트워크(130)와 관련될 수 있다. 방문 네트워크(130)와 홈 네트워크(16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들일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음성 연결성(connectivity), 로케이션 서비스들, 및/또는 다른 기능들 및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엔티티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70)는 일반 전화 교환 네트워크(PSTN), 인터넷, 및/또는 다른 음성 및 데이터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PSTN은 기존의 재래식 전화 서비스(POTS)를 위한 통신을 지원한다.
PSAP(180)는 긴급 호출들, 예를 들어, 경찰, 소방, 및 의료 서비스들의 수신을 담당하는 엔티티이다. 사용자가 북아메리카에서의 911 또는 유럽에서의 112와 같은 확립된 잘 알려진 번호로 전화를 걸 때 긴급 호출이 개시될 수 있다. PSAP(180)는 또한 응급 센터(EC)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은 DSL 및 케이블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들에서 발생되는 호출들 또는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들(WWANs),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WLANs), 무선 도심 영역 네트워크들(WMANs), 및 WWAN 및 WLAN 범위의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발생되는 호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WWANs는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로우 칩 레이트(LCR)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디지털 진보된 이동전화 서비스(D-AMPS)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단체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로 명명된 단체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되어 있다. 3GPP 및 3GPP2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WLAN은 IEEE 802.11, 하이퍼랜(Hyperlan)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WMAN은 IEEE 802.16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다.
도 2는 3GPP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다. UE(110)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120a) 또는 WLAN 액세스 네트워크(120b)를 통해 무선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다. 3GPP 액세스 네트워크(120a)는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진화된(evolved) UTRAN(E-UTRAN) 등 일 수 있다. 3GPP 액세스 네트워크(120a)는 기지국들(210), 기지국 서브시스템(BSS)/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및 도 2에서 도시되지않은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ode B), 기지국 송수신기(BTS),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WLAN(120b)은 액세스 포인트들(214)을 포함하고, 임의의 WLAN일 수 있다.
V-PLMN(130a)는 도 1에서의 방문 네트워크의 일례이고, V-PLMN 코어 네트워크(230a) 및 V_PLMN 위치(location) 엔티티들(270a)을 포함한다. V-PLMN 코어 네트워크(230a)는 서빙 SPRS 지원 노드(SHSN)(232),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234),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WAG)(236), 및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238)를 포함한다. SGSN(232) 및 GGSN(234)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코어 네트워크의 일부분일 수 있고, 3GPP 액세스 네트워크(120a)와 통신하여 UE들에게 패킷-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WAG(236) 및 PDG(238)는 3GPP 상호연동(Interworking) WLAN(I-WLAN) 코어 네트워크의 일부분일 수 있고, WLAN(120b)과 통신하는 UE들에게 패킷-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V_PLMN 코어 네트워크(230a)는 또한 V_PLMN IMS 네트워크의 일부분들인 프록시 호출 세션 제어펑션(P-CSCF)(252), 긴급 CSCF(E-CSCF)(254),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펑션(MGCF)(258)과 같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P-CSCF(252), E-CSCF(254), 및 MGCF(258)는 예를 들어, Voice-over-Internet Protocol(VoIP)과 같은 IMS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P-CSCF(252)는 UE들로부터의 요청들을 수락하고 이러한 요청들을 내부적으로 서비스 제공하거나 또한 가능하면 변환 후에 상기 요청들을 다른 엔티티들로 포워딩한다. E-CSCF(254)는 상기 UE들을 위한 세션 제어 서비스들을 수행하고, IMS 긴급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션 상태를 유지한다. E-CSCF(254)는 긴급 VoIP 호출들을 더 지원한다. MGCF(258)는 SIP/IP 및 PSTN(예를 들어, SS7 ISUP)간에 시그널링 변환을 지시(direct)하고, 한 사용자로부터의 VoIP 호출이 PSTN 사용자로 이동할 때마다 사용된다.
V-PLMN 코어 네트워크(230a)는 위치 및 라우팅 펑션(LRF)(256) 및 홈 가입자 서버(HSS)(250)를 더 포함한다. LRF(256)는 임시의(interim), 최초의, 그리고 갱신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UE들을 위한 라우팅 및 위치 정보의 검색을 처리한다. 임시의 위치는 호출을 라우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략적인 위치이다. 최초의 위치는 UE에 대한 첫 번째 정확한 위치이고, 갱신된 위치는 UE에 대한 첫 번째 또는 그 다음의 정확한 위치이다. LRF(256)는 UE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개별적인 위치 서버와 상호작용할 수 있거나 통합된 위치 서버를 가질 수 있다. HSS(250)는 UE들에 대한 가입자-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V-PLMN(130)는 상기 UE들을 위한 상기 홈 네트워크이다.
V-PLMN 위치 엔티티들(270a)은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MLC)(272), 긴급 서비스들 SPL 위치 플랫폼(E-SLP)(274), 및/또는 V-PLMN(130a)과 통신하여 UE들에게 위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GMLC(272)는 3GPP 제어 평면 위치 시스템의 일부 일 수 있다. E-SLP(274)는 오픈 모바일 연합(OMA)로부터의 안전한 사용자 평면 위치(SUPL)를 지원한다.
H-PLMN(160a)은 도 1에서의 홈 네트워크(160)의 일례이고, H-PLMN 코어 네트워크(260)를 포함한다. H-PLMN 코어 네트워크(260)는 HSS(266), 인터로게이팅(Interrogating) CSCF(I-CSCF)(262) 및 서빙 CSCF(S-CSCF)(264)와 같은 IMS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I-CSCF(262) 및 S-CSCF(264)는 H-PLMN IMS 네트워크의 일부분이고 홈 네트워크(160)를 위해 IMS를 지원한다.
도 2는 V-PLMN(130a) 및 H-PLMN(160a)에 속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하나의 그룹분류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그룹분류는 별개의 2개의 서브시스템들―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120a) 및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230a) 및 코어 네트워크(260a)― 이다. 그러나, PLMN에 속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마찬가지로 다른 서브시스템들로 그룹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특정한 IP 액세스 기술에 따른 사용자 터미널들을 위해 IP 액세스를 지원하는 IP 연결성 액세스 네트워크(IP-CAN)에 속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210), BSS/RNC(212), SGSN(232), 및 GGSN(234)는 도 2에서 GPRS를 사용하여 IP 액세스를 지원하는 상기 V-PLMN을 위해 다른 IP-CAN을 포함한다. WLAN 액세스 포인트들(120b), WAG(236) 및 PDG(238)은 도 2에서 WLAN으로부터 IP 액세스를 지원하는 V-PLMN(130a)를 위한 다른 IP-CAN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IP-CAN들 ―예를 들어, WLAN 액세스 포인트들(214)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직접적인 IP 액세스를 사용하는 IP-CAN― 이 또한 가능하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다른 그룹분류는 IMS 펑션들을 지원하는 엘리먼트들의 집합(collection)이다. 통상적으로 IMS 코어라 불리는, 이러한 그룹분류는 도 2에서 V-PLMN을 위해 P-CSCF(252), E-CSCF(256), MGCF(258) 및 LRF(256)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음의 엘리먼트들은 또한 상기 IMS 코어 및 IP-CAN 서브시스템들에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임의의 네트워크를 위한 상기 IMS 코어 서브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의 서브세트일 것이다. 이하에 설명에서, 특정한 코어 네트워크에 기인한 SIP 및 IMS와 관련된 동작들이 통상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상기 IMS 코어 서브시스템에 적용될 것인 반면에 특정한 IMS 코어에 기이한 동작들은 또한 관련된 코어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IMS 코어 네트워크 및 IMS 코어와 같은 용어들은 이들 모두에 적용하는 동작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호 변경가능하게 사용된다.
도 3은 3GPP2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다. UE(110)은 3GPP2 액세스 네트워크(120c) 또는 WLAN 액세스 네트워크(120d)를 통해서 무선 액세스를 획득(gain)할 수 있다. 3GPP2 액세스 네트워크(120c)는 CDMA2000 1X 네트워크, CDMA2000 1x-DO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3GPP2 액세스 네트워크(120c)는 기지국들(220), 무선 리소스 제어/패킷 제어 펑션(RRC/PCF)(222), 및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RRC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로 불릴 수 있다. WLAN(120d)은 액세스 포인트들(224)을 포함하고, 3GPP2 네트워크와 관련된 임의의 WLAN일수 있다.
V-PLMN(130b)는 도 1에서의 방문 네트워크(130)의 다른 예이고, V-PLMN(130b) 코어 네트워크(230b) 및 3GPP2 위치 엔티티들(270b)을 포함한다. V-PLMN 코어 네트워크(230b)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242), 패킷 데이터 상호연동 펑션(PDIF)(244) 및 인증(Authentication), 권한검증(Authorization) 및 계정관리(Accounting) 서버(246)를 포함한다. PDSN(242) 및 PDIF(244)는 3GPP2 액세스 네트워크(120c) 및 WLAN(120d)과 각각 통신하여 패킷-교환 서비스들을 UE들에게 제공한다. V-PLMN 코어 네트워크(230a)는 또한 P-CSCF(252), E-CSCF(254), 및 MGCF(258)과 같은 IMS 또는 멀티미디어 도메인(MMD)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E-CSCF(254)는 또한 ES-AM(긴급 서비스들 애플리케이션 관리자)와 같은 다른 이름들을 가질 수 있다.
3GPP2 위치 엔티티들(270b)은 E-SLP(274), 긴급 서비스들 위치(Position) 서버(E-PS)(276), 및/또는 V-PLMN(130b)와 통신하여 UE들에게 위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네트워크에 관하여,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다른 서브시스템들로의 다른 그룹분류들이 3GPP2 네트워크에 대하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V-PLMN을 위해, 간단한 IP 액세스 및/또는 모바일 IP 액세스를 지원하는 IP-CAN 서브시스템은 기지국들(220), RRC/PCF(222), PDSN(242) 및 AAA 서버(246)로 구성된다. V-PLMN(130b)을 위해 WLAN 액세스를 지원하는 다른 IP-CAN 서브시스템은 WLAN 액세스 포인트(224), PDIF(244) 및 AAA서버(246)로 구성된다. V-PLMN(130b)을 위한 IMS 코어 서브시스템은 P-CSCF(252), E-CSCF(254), MGCF(258) 및 LRF(256)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또한 이러한 다른 서브시스템들에 포함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도 2 및 도 3은 3GPP 및 3GPP2에서의 단지 몇몇 엔티티들만을 도시하며, 이들은 이하 설명에서 언급될 수 있다. 3GPP 및 3GPP2 네트워크들은 각각 3GPP 및 3GPP2에 의해 정의되는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해 확장된 호출 설정을 수행하고 확장된 위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상기 양상들은 음성 호출들, VoIP 호출들, 긴급 호출들, 긴급 VoIP 호출들, 등과 같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타입들의 호출들을 위해 사용된다. 긴급 호출은 긴급 서비스를 위한 음성 호출이다. 긴급 VoIP 호출은 VoIP 또는 패킷 모드를 사용하는 긴급 호출이다. 적절한(suitable) 위치 추정을 획득(obtain)하는 것, 상기 긴급 호출을 적합한(appropriate) PSAP로 라우팅하는 것 등과 같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일반 호출과 긴급 호출은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특성들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양상들은 방문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로밍에 있어서 이점이 될 수 있고 상기 긴급 호출의 설정의 실패 가능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양상들은 상기 3GPP 제어 평면 위치 솔루션 및 OMA SUPL 이외에 다른 가능한 위치 솔루션들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현재의 3GPP 및 3GPP2 아키텍쳐 프레임워크 및 관련된 절차들을 확장하기 위해 방문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로밍에 있어서 이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솔루션들을 허용하는 확장된 3GPP의 아키텍쳐 프레임워크를 갖는 것은 오퍼레이터들 및 판매자들에게 유용할 것이고 전개된 솔루션이 3GPP 정의 내에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명확함을 위해, 상기 기술들의 양상들이 3GPP 네트워크들에서의 긴급 VoIP 호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된다. VoIP를 위해, UE(11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IMS 엔티티들과의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시그널링을 통해 홈 네트워크(160)와 IMS 등록을 수행한다. SIP는 VoIP와 같은 IP에 기반하여 쌍방향의 사용자 세션들을 개시, 수정, 및 종료시키기 위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이고 제목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고, 2002년 6월 발행되어 공중이 이용가능한 RFC3261에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개시된 예들은 대안적인 솔루션들을 제공하며 그에 의해 서빙 VSP는 상당한 시간을 소비할 수 있고, 어떠한 경우에는 호출이 실패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VSP에 대한 새로운 탐색을 UE가 수행하도록 요구하지 않고 IMS 긴급 호출을 좀더 적합한 로컬 VSP로 향하게 할 수 있다. 현재 3GPP 및 3GPP2 솔루션에서, 서빙 VSP(예를 들어, 홈 VSP)는 몇몇의 UE로부터의 VoIP 긴급 호출 요청을 지원할 수 없는 경우에, 서빙 VSP는 UE에게 더 많은 로컬 VSP에서 상기 호출을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UE는 이러한 VSP를 발견하고 선택하는 것― 현재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IP-CAN이 이러한 VSP와 관련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VSP가 VoIP 긴급 호출들에게 상기 3GPP 또는 3GPP2 솔루션을 제공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소유되지 않는다면) 발견하고 선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에 대한 책임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하나의 솔루션의 일 양상에서, 상기 본래의 서빙 VSP는 UE에게 대안적인 VSP의 식별을 제공하기 위해 SIP 380 응답을 사용한다. 상기 식별은 URL(예를 들어, 상기 VSP의 IMS 코어에서 엘리먼트의 URL) 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또는 IP 주소 또는 3GPP 또는 3GPP2 모바일 국가 코드(MCC) +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또는 몇몇 다른 지정 또는 상기 VSP의 주소 특성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식별은 즉각적으로 사용가능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VSP에서 몇몇의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상기 IP 주소 또는, 3GPP 또는 3GPP2 VSP를 위한, VSP의 IMS 코어 내에서) 변환을 필요로 할 수 있거나 몇몇의 직접적인 엔티티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은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서버를 사용하여 IP 주소로 번역될 필요가 있는 FQD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상은 TS 23.167에서 이미 정의된 기존의 구조에 대한 임의적인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양상에서, 호출이 리다이렉팅하게 되는 상기 서빙 VSP 및 새로운 VSP는 모두 상기 구조를 지원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호출 리디렉션을 통한 IMS 긴급 호출의 설정 방법의 일례에서, 샘플 호출 플로우(flow)는 IMS 코어 네트워크 1 및 P-CSCF(252)들, MGCF(258)들, LRF(256)들과 같은 관련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제 1 V-PLMN(130) 또는 H-PLMN(160)과 같은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 IMS 코어 네트워크 2 및 P-CSCF(252)들, MGCF(258)들, LRF(256)들과 같은 관련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제 2 V-PLMN(130)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 UE(110)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활동들을 포함한다. 제 1 단계에서, 긴급 호출이 사용자 장비(UE)에서 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음성 입력 또는 "911"로 상징되는 키 입력과 같은 긴급 호출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상기 긴급 호출은 도 2에서 V-PLMN(130a) 및 도 3에서 V-PLMN(130b)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임의의 것들과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성 액세스 네트워크(IP-CAN)(120)를 통해서 개시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상기 UE(110)는 자신의 위치 또는 위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거나 상기 IP-CAN(12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UE(110)는 GPS 시스템과 같은 위성-기반 시스템들로부터의 정보 또는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120a) 또는 WLAN 액세스 네트워크(120b)와 같은 지상-기반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 상기 UE(110)는 긴급 호출의 요청을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25)에 속하는 IMS 코어 네트워크 1에 있는 엔티티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은 V-PLMN(130) 또는 H-PLMN(160)에 속하는 IMS 코어와 같은 현재 서빙 IMS 코어(IMS 코어1)(125)로 송신되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요청은 각각의 IMS 코어의 P-CSCF(252)에의해 송,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REGISTER 또는 INVITE 메시지는 UE(110)가 지니고 있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는 상기 긴급 호출을 지원할 수 없음을 결정하고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상기 UE(110)로 송신한다. 상기 결정은 코어 네트워크(125)에서 능력의 부족(예를 들어, VoIP 긴급 호출들을 위한 지원이 없는) 또는 리소스들의 부족(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25) 또는 IP-CAN(120)) 중 어느 하나의 혼잡에 의한 원인으로), 또는 UE(110)의 위치가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의 긴급 서빙 지역의 범위 밖에 있다는 결정 또는 다른 요소들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의 상기 위치가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의 긴급 서빙 지역의 범위 밖에 있다는 결정에서, 상기 서빙 IMS 코어(125) 또는 그것들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상기 P-CSCF(252) 또는 E-CSCF(254))는 관련된 LRF(256)와 통신할 수 있고, 일부 양상들에서, LRF(256)는 IP-CAN(120) 및/또는 UE(110)으로부터의 최초의 또는 추가적인 UE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같은 지리적 정보, 또는 예를 들어, 기지국처럼, 네트워크 컴포넌트의 식별자와 같고 지리적 정보와 상호관련 있는 네트워크-기반 위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는, 예를 들어, IMS 코어1, 제 3 단계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및/또는 LRF(256)을 통해서(상기 IP-CAN(120) 및/또는 UE(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UE(110)가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를 위한 긴급 서빙 지역의 범위 밖에 위치함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는 코어네트워크(125)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이후에 모두 PSAP로 지칭되는, 임의의 공중 안전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긴급 호출(180)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지리적 위치의 바깥에 UE 위치가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 예를 들어 IMS 코어2, 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UE는 긴급 호출을 개시하기 위해 참조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UE가 구체적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식별하는 반면에,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는 긴급 호출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해 상기 UE가 탐색하는 네트워크의 타입을 식별한다. 특히, 일 양상에서, 상기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는 상기 UE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 서빙 지역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127)을 결정할 수 있고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UE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UE 위치를 UE 위치와 일치하는 긴급 서비스 지역을 갖거나 또는 UE 위치를 포함하는 서빙 지리적 위치들을 가지는 PSAP들을 갖는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들로 맵핑(mapping)하는 것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대신에 UE를 가장 즉각적으로 서빙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IP-CAN(120) 또는 서빙 WLAN 또는 서빙 기지국과 같은 IP-CAN(120)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를 UE 위치와 일치하는 긴급 서비스 지역들을 갖거나, 또는 UE 위치를 포함하는 서빙 지리적 위치들을 갖는 PSAP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로 맵핑하는 것에 기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양상에서, 상기 서빙 IMS 코어(125)는 대안적인 IMS 코어(IMS 코어2)에서―예를 들어, 380 응답의 SIP 컨택트 주소 헤더에서― P-CSCF의 상기 식별(예를 들어, URI을 포함하는 IP 주소 또는 FQDN)을 포함하는 SIP(380)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반환한다. 상기 서빙 IMS 코어는 추가적인 IMS 코어들을 위한 식별(예를 들어, URIs)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서빙 IMS 코어(125)가 다른 P-CSCF(252)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UE(110)로 리다이렉팅할 때, 380 응답 대신에, 상기 서빙 IMS 코어(125)는 다른 SIP 3xx 응답을 반환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새로운 P-CSCF(252)의 주소가 상기 3xx(예를 들어, 305) 응답의 컨택트 헤더에서 반환될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서비스 식별자를 메시지들의 다른 부분들에 둘 수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게다가, 네트워크의 타입을 식별하는 일례에서, 상기 380 응답에서 P-CSCF(252)의 범용 리소스 식별자(URI)에 대한 대안으로, 서빙 IMS 코어(250)는 긴급 호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패킷 코어 네트워크를 연결하도록 표시하는 몇몇의 다른 식별자(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또는 MCC 및 MN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E(110)가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에, 다음의 단계들로 진행하기 전에 상기 UE(110)는 식별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고 P-CSCF 발견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관련해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LRF(256)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들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제 5 단계에서, 상기 UE(110)는 제 4 단계에서 식별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 중 하나와 관련되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도 4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IP-CAN을 액세스할 수 있거나 또는 UE(110)는 IP-CAN(120)의 사용을 계속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UE(110)은 제 4 단계에서의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에서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전송한다. 일 양상으로, 예를 들어, 상기 UE(110)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를 제 4 단계에서 표시한 대안적인 IMS 코어 또는 상기 대안적인 IMS 코어들 중 하나로 보낸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REGISTER 메시지는 상기 UE가 지니고 있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제 6 단계에서, IMS 코어2와 같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 또는 상기 네트워크의 UE(110)가 자신의 긴급 서비스 지역의 범위 바깥에 있다는 점 또는 긴급 호출이 다른 이유들(예를 들어, UE의 홈 네트워크에서의 동의가 없는 경우, H-PLMN(160)) 때문에 지원할 수 없다는 점을 결정하는 경우에, 제 4 단계에서와 같이, 다른 IMS 코어들을 위해 하나 이상의 URI들을 운반하는 380 대안적인 응답과 같은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서비스 식별자들로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반환한다. 이러한 경우에, UE(110)는 제 5 단계에서처럼, 제 4 단계 또는 제 6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다른 대안적인 서비스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다른 요청들을 시도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UE의 홈 네트워크(160)를 통해서 긴급 등록을 계속한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 또는 그것들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P-CSCF(252))는 상기 UE의 홈 네트워크(160)를 통해서 상기 긴급 등록을 계속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UE(110)의 신원이 인증될 수 있고 상기 UE(110)에 대한 안전한 IP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제 7 단계에서, UE(110)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IMS 코어2 또는 그것들의 컴포넌트와 같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에 보낸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UE가 소유하고 있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 안에서, 예를 들어 P-CSCF(252)로부터 E-CSCF(254)로 전송될 수 있고, 추가적인 위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예를 들어, 관련된 LRF(256)에 의해서).
제 8 단계에서, IMS 코어 2 와 같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는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PSAP(180) 또는 긴급 센터 또는 제 7 단계에서 계속되는 것을 선택한다.
제 8a 단계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MGCF/MGW(258)로 전송되고, 제 8b 단계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MGCF(258)에 의해 PSAP(180)이 IP 케이블이 아닌 경우에 상기 긴급 센터 또는 상기 PSAP로 전송되거나 나아가는 SS7 ISDN 사용자 파트(ISIP) 최초 주소 메시지(IAM)로 번역된다. 대안적으로, 제 8c 단계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PSAP(180)이 IP 케이블인 경우에 상기 긴급 센터 또는 상기 PSAP로 직접적으로 전송된다.
제 9 단계에서, UE(110)과 UE(100)의 위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PSAP(180) 또는 긴급 센터간에 긴급 호출 설정이 완료된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일 양상에서, IMS 긴급 호출 포워딩은 상기에 설명된 확장과 같이 동일한 목적들 및 원리를 갖는 릴리스(Release) 8에서의 VoIP 긴급 호출들에 대한 상기 3GGP 및 3GGP2 솔루션의 또 다른 확장이다. 그것은 이러한 목적들에 대한 대안적인 솔루션으로 볼 수 있다. 호출을 되돌려 상기 UE로 리다이렉팅하는 대신에, 제 1의 서빙 IMS 코어는 상기 호출을 대안적인 IMS 코어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여기에서 정의되는 솔루션은 TS 23.167에서 정의되는 구조를 확장시킨다. 특히, E-CSCF 2(254b) 및 LRF 2(256)가 IMS 코어 네트워크 2 ―예를 들어, UE의 현재 위치에서의 IMS 긴급 호출들을 지원하는― 로 지칭되는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에 속하는 반면에, P-CSCF 1(252) 및 E-CSCF 1(254a)은 IMS 코어 네트워크 1(예를 들어 상기 홈 IMS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H-PLMN(160) 또는 현재 서빙 IMS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V-PLMN)로 지칭되는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에 속한다. P-CSCF 1로부터 E-CSCF 2로의 CSCF 와 CSCF(CSCF to CSCF)(Mw)간의 인터페이스 및 E-CSCF 1로부터 E-CSCF 2로의 상기 Mw 인터페이스는 양자택일적이다 ―그 둘 중 하나만을 필요로 한다. IMS 코어 1로부터 IMS 코어 2로의 다른 인터페이스들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P-CSCF 1 또는 E-CSCF 1에서 IMS 코어 2에 있는 I-CSCF로의 인터페이스. IMS 코어 네트워크 1이 상기 UE의 홈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에 S-CSCF(264)는 IMS 코어 네트워크 1 (예를 들어 V-PLMN(130) 또는 H-PLMN(160)), 또는 개별적인 홈 IMS 코어 (예를 들어, H-PLMN(160))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일례에서, 긴급 IMS 호출의 포워딩하는 호출에 대한 메시지 플로우는 상기에 설명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동작들을 수반한다. 아래에서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제공하기보다는 상기 호출을 포워딩하도록 동작하더라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단계들이 도 4와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된 양상들과 대응하는 양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제 1 단계에서, 상기 UE(110)는 긴급 호출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긴급 호출 개시는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UE(110)는 자신의 위치 또는 위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IP-CAN(120)으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정보 결정은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 UE(100)는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110)는 긴급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를 P-CSCF 1(252a)로 보냄으로써 현재 서빙 IMS 코어와 함께 IMS 긴급 등록을 개시한다. 상기 경우에, P-CSCF 1(252a)은 TS 23.167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홈 IMS 네트워크와의 상기 긴급 등록을 계속한다. IMS 코어 1(125)이 상기 홈 네트워크(160)이고 상기 UE(110)는 로밍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IMS 긴급 등록이 필요하지않을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은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P-CSCF 1(252a)로 전송하는 UE(110)를 더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UE(110)에의해 인식되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단계에서, 일 양상에서, 긴급 호출을 지원하기 위한 능력의 부족에 기반하여 또는 제 4 단계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또는 관련된 LRF(256)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P-CSCF 1(252a)은 UE(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IMS 긴급 호출을 지원하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IMS 코어 2)에서 상기 INVITE를 E-CSCF 2(254b)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에 의해 이뤄지는 긴급 호출을 전송하기 위한 결정은 임의의 위치 결정 및 상기 도 4에서 설명되거나 도 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 절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은 UE 위치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긴급 서빙 지역 사이에서의 통신에 기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6 단계 및 제 7 단계는 생략된다.
제 6 단계에서, 다른 양상에서, 제 5 단계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P-CSCF 1(252a)은 동일한 IMS 코어 네트워크(125)에서 INVITE 메시지를 E-CSCF 1(254a)로 전송한다. 제 7 단계에서, E-CSCF 1(254a)은 제 6 단계에서 획득되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검증할 수 있고 추가적인 위치 정보(예를 들어, 관련된 LRF(256)로부터;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방법에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또는 다른 요소들(예를 들어, 리소스들의 부족)에 기반하여, E-CSCF 1(254a)은 상기 INVITE 메시지를 UE(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IMS 긴급 호출들을 지원하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IMS 코어2)에 있는 E-CSCF 2(254b)로 전송한다.
제 5 단계 또는 제 6 단계 및 제 7 단계에 대한 또 다른 대안에서, 제 8 단계에서, P-CSCF 1(252a)은 INVITE 메시지를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예를 들어, IMS 코어 2)에 있는 P-CSCF 2(252b)로 포워딩한다. 그리고, 제 9 단계에서, P-CSCF 2(252b)는 INVITE 메시지를 UE(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IMS 긴급 호출들을 지원하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127)(IMS 코어2)에 있는 E-CSCF 2(254b)로 포워딩한다. IMS 코어 네트워크 1의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로부터 IMS 코어 네트워크 2의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로 포워딩하는 다른 수단들도 또한 가능하다.
제 10 단계에서, E-CSCF 2(254b)는 그 자신이 또는 관련된 LRF(256)을 사용하여 제 5 단계, 제 7 단계 또는 제 9 단계의 각각 단계에서 획득된 임의의 위치 정보를 검증할 수 있고, 추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긴급 센터 또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PASP(180)를 결정할 수 있고, 상호관련 정보(긴급 서비스 쿼리 키(ESQK))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0a 단계에서, INVITE 메시지는 MGCF/MGW(258)로 전송되고, 제 10b단계에서, IAM은 상기 긴급 센터 또는 PSAP(180)로 지속된다. 대안적으로, 제 10a 단계 및 제 10b단계에서의 상기 포워딩을 대신하여, 제 10c단계에서는, E-CSCF 2(254b)가 직접적으로 INVITE 메시지를 상기 긴급 센터 또는 PSAP(180)로 보낼 수 있다.
제 11 단계에서, 긴급 호출 설정이 완료된다.
대안적으로, IMS 코어 네트워크2가 VoIP 긴급 호출을 지원할 수 없는 경우에, 제 5 단계, 제 6 단계, 제 7 단계, 또는 제 8 단계 및 9 단계와 관련된 상기 동작들을 반복함으로써 호출을 제 3 IMS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 IMS 코어 네트워크는 제 10a 및 제10b 단계들 또는 제 10c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들)와 유사한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호출을 더 멀리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호출을 긴급 센터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도 4에서 예시된 상기 절차는 도 6에서 예시된 상기 절차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IP 긴급 호출은 도 4에서 예시된 상기 절차를 사용하여 몇몇의 코어 네트워크 1로부터 좀더 적합한 다른 코어 네트워크 2로 리다이렉팅될 수 있고, 그 다음에 코어 네트워크 2에 의해 도 6에서 예시되는 상기 절차를 사용하여 제 3 코어 네트워크 3으로 포워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VoIP 긴급 호출은 몇몇 코어 네트워크 1에 의해 도 6에서 예시된 상기 절차를 사용하여 좀더 적합한 다른 코어 네트워크 2로 포워딩될 수 있고, 그 다음에 코어 네트워크 2에 의해 도 4에서 예시된 상기 절차를 사용하여 제 3 코어 네트워크 3으로 리다이렉팅될 수 있다. 상기 절차들의 다른 조합들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절차는 UE 및 PSAP에 투명하고, IMS 코어2(예를 들어, E-CSCF 2 또는 P-CSCF 2)가 IMS 코어 1로부터의 IMS 긴급 호출들을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예를 들어, 언제나 통신 엔티티들 사이에 안전한 IP 연결들을 유지함으로써 또는 상기 안전한 연결들을 필요한 경우에 역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허용함으로써) IMS 코어 2에 투명할 수 있다. IMS 코어 1에 대한 영향은 P-CSCF가 IMS 코어 2로 호출을 포워딩하는지 E-CSCF가 IMS 코어 2로 호출을 포워딩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오직 P-CSCF 또는 오직 E-CSCF에 국한될 수 있다. UE가 단지 IMS 코어 1을 통해서 등록될 것이기 때문에, 신뢰관계가 IMS 코어 1 및 IMS 코어 2 사이에서 존재하여 IMS 코어 2는 IMS 코어 1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UE 신원 및 호출 백(back) URI이 이미 인증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오직 IMS 코어 네트워크 1만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영향들은 3GPP 릴리스 8에서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현재 3GPP 및 3GPP2 솔루션과 역방향 호환될 수 있다.
정상적인 네트워크의 서비스 범위(예를 들어, 도 6에서의 IMS 코어 1)를 벗어난 IMS 긴급 호출들의 지원을 가능케 하는 것 이외에, 긴급 호출이 필요한 엔티티들을 모두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예를 들어, E-CSCF 및 LRF가 없는 경우에) 상기 절차는 또한 IMS 코어 네트워크가 사용자를 위해 IMS 긴급 호출들을 지원하도록 한다 ― 상기 P-CSCH로부터 하나의 E-CSCH로 또는 여러 개의 대안적인 E-CSCH들로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IMS 엔티티들로 모든 IMS 응급 호출들을 포워딩함으로써.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양상에서, 상기 LRF(256)는 인터페이스 Z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가 IP-CAN(120)으로부터 및/또는 인터페이스 Y를 사용하여 UE(110)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솔루션들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110)는 인터페이스 X를 사용하여 IP-CAN(12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P-CSCF(252) 및 E-CSCF(254)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LRF(256)로 전달할 수 있다. 형태가 인터페이스 X, Y 및 Z를 지원하도록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들의 예들은 X, OMA RLP의 경우에, Z 및 OMA ULP인 경우에, Y인 경우에 IETF HELD 프로토콜이다.
다른 양상에서, 도 8을 참조하여,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확장된 위치 지원의 방법은 상기에 설명된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다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상기 단계들이 도 4 및 도 6과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된 상응하는 양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제 1 단계에서, UE(110)는 긴급 호출을 개시한다.
제 2 단계에서, 상기 UE(110)는 자신의 위치 또는 위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UE(110)가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 UE(110)는, 가능하다면, 사용된 IP-CAN(120)을 위해 지원된다면, IP-CAN(120)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적용가능한 경우, 상기 IP-CAN(120)은 상기 UE(110)로 상기 UE의 지리적 위치 정보 및/또는 위치 식별자를 전달한다.
제 3 단계에서, 상기 UE(110)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서빙 코어 네트워크(125)(예를 들어, IMS 코어)로 보낸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INVITE 메시지는 상기 UE(110)에 의해 인식된 임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지리적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식별자일 수 있고, 이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에 의존한다. UE(110)가 어떠한 위치 정보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IMS 코어(125)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LRF(256)로부터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상기 INVITE 메시지는 UE(110)에 의해 지원되는 위치(location) 해결들 및 위치(position) 방법들에 관하여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 제 3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정확한 PSAP(180)를 결정하기 위해 충분하고 신뢰성 있는 경우, 절차는 제 7 단계에서부터 앞으로 계속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이거나 상기 IMS 코어(125)가 긴급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이거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상기 IMS 코어(125)가 필요한 경우이거나, 상기 IMS 코어(125)가 UE(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 식별자를 지리적 위치 정보와 일치하도록 맵핑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상기 IMS 코어(125)는 위치 요청을 LRF(256)로 보낸다. UE의 IP 주소와 같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상기 요청은 IP-CAN(120) 및 UE(110)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UE(110)를 액세스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요청은 또한 제 2 단계에서 UE(110)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요청은 UE(110)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위치 솔루션들 및 위치(position) 방법들에 관하여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단계에서, 상기 LRF(256)는 이미 IMS 코어(125)에 의해 요청되는 상기 정보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LRF(256)는 UE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UE(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메커니즘은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125)를 액세스하기 위해 UE(110)가 사용하고 있는 액세스 기술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LRF(256)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IP-CAN(120) 및/또는 UE(11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IP-CAN(120)과의 상호작용의 경우, 상기 LRF(256)는 IP-CAN(120)에서 위치 서버(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MLC)), 오픈 모바일 연합(OMA) 안전한 사용자 평면 위치(SUPL) 또는 SULP 위치 플랫폼(SLP) 또는 몇몇의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거나, UE IP 연결성(예를 들어, SGSN(232))을 지원하는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상호작용은 3GPP에 의해 정의될 수 있거나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비(non)-3GPP 솔루션의 일례는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OMA AD SUPL: "안전한 사용자 평면 위치 구조", OMA TS ULP: "사용자 평면 위치 프로토콜" 에서 정의되는 OMA SUPL 이다. UE(110)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에 그리고 UE 및 SUPL 서버 사이에 사용자 평면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솔루션은 사용될 수 있다. UE(110)에 의해 지원되는 위치 솔루션들 및 위치(position) 방법들에 관하여 제 4 단계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LRF(256)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LRF(256)는 제 4 단계에서 수신되거나 제 5 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를 PSAP 라우팅 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라우팅 결정 펑션(RDF)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지역적 필요들에 따라서 오직 특정 지역들에서 규정된 제한 시간 동안 상기 LRF(256)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6 단계에서, 상기 LRF(256)는 위치 정보 및/또는 라우팅 정보를 IMS 코어(125)로 보낸다. 상기 LRF(256)는 또한 그 자신을 식별하는 상관 정보(예를 들어, ESQK) 및 제 5 단계에서 저장되는 임의의 기록을 반환한다.
제 7 단계에서, 상기 IMS 코어(125)는 제 6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사용하거나 제 3 단계 또는 제 6 단계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PASP(180) 또는 긴급 센터를 선택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임의의 상관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및, 일부 양상들에서, 위치 정보 소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포지셔닝 방법을 긴급 센터 또는 PASP(180)로 보낸다.
제 7a 단계에서, INVITE 메시지는 MGCF/MGW(258)로 전송된다.
제 7b 단계에서, IAM은 긴급 센터 또는 PSAP(180)를 향해 계속되거나, 또는 제 7c 단계에서, INVITE 메시지는 직접적으로 긴급 센터 또는 PSAP(180)로 전송된다.
어떠한 경우라도, 제 8 단계에서, 상기 긴급 호출 설정은 완료된다.
제 9 단계에서, 상기 PSAP(180)는 타겟 UE(110)에 대한 최초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또는 타겟 UE(110)에 대한 갱신된(예를 들어, 현재의) 위치 정보를 얻도록 LRF(256)에게 요청하기 위해 위치 요청을 상기 LRF(256)으로 보낼 수 있다. 상기 PSAP(180)는 제 7 단계에서 수신되는 위치 및/또는 상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LRF(256)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PSAP(180)는 또한 LRF(256)에 대한 요청에서 상기 상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0 단계에서, 상기 LRF(256)는 상기 제 5 단계로부터의 메커니즘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타겟 UE(110)의 위치를 결정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LRF(256)는 제 5 단계에서 저장되는 UE(110)에 관한 정보를 리트리브(retrieve)하기 위해 제 9 단계에서 수신된 상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1 단계에서, 상기 LRF(256)는 최초 또는 갱신된 위치 정보를 긴급 센터 또는 PSAP(180)로 반환한다. 최초의 위치를 위한 옵션으로서, 상기 LRF(256)는 제 9 단계에서의 요청이 수신되기 전에 위치 제 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제 9 단계에서의 요청이 수신된 이후 또는 수신되기 이전에 최초 위치를 긴급 센터 또는 PSAP(180)로 보낼 수 있다.
제 12 단계에서, 긴급 호출은 해제된다.
제 13 단계에서, IMS 코어(125)는 LRF(256)에게 긴급 호출이 해제됨을 지시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LRF(256)는 제 5 단계에서 저장된 임의의 기록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예들은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기본 솔루션을 재방문할 필요 없이 판매자들 및 오퍼레이터들에게 미래에 새로운 위치 솔루션들의 지원 가능성을 허용한다. 이것은 상기 솔루션의 뚜렷한 확장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도 9를 참작하여,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의 일례는 UE(110), 액세스 네트워크(120), P-CSCF(252), E-CSCF(254), LRF(256), 및 PSAP(180), 및 그것들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간단하게, 도 9는 각각의 엔티티에 대한 하나의 제어기/프로세서 및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도 9는 또한 UE(110)에 대한 하나의 송신기/수신기(TMTR/RCVR)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대한 하나의 송신기/수신기, 및 각각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하나의 통신(Comm) 유닛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엔티티는 임의의 수의 제어기들, 프로세서들 , 메모리들, 송신기들, 수신기들, 통신 유닛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기능성이 각각의 컴포넌트에 각각의 제어기/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이 그 예이다. 상기 명령들은 각각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거나, 각각의 프로세서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운 링크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있는 기지국들은 트래픽 데이터, 메시지/시그널링, 및 파일럿을 기지국들의 서비스 지역 내에 있는 UE들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는 다운링크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서(1120)에 의해 처리되고, 송신기(1124)에 의해 조절되고, 이는 상기 UE들로 전송된다. UE(110)에서, 기지국들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고, 이는 등록, 호출 설정 등을 위해 정보를 획득하도록 수신기(1114)에 의해 조절되고, 프로세서(1110)에 의해 처리된다. 도 4, 도 6 및 도 8 등과 관련하는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프로세서(1110)는 UE(1100)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112 및 1122)는 UE(110) 및 액세스 네트워크(120) 각각에 대한, 여기에 설명되는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업 링크를 통해, UE(110)는 트래픽 데이터, 메시지/시그널링, 및 파일럿을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있는 기지국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는 업 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프로세서(1110)에 의해 처리되고, 송신기(1114)에 의해 조절되고, 이는 상기 UE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액세스 네트워크(120)에서, UE(110) 및 다른 UE들로부터의 상기 업링크 신호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메시지/시그널링, 등)를 획득하도록 수신기(1124)에 의해 수신되고 조절되고 또다시 프로세서(1120)에 의해 처리된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통신 유닛(1126)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다.
P-CSCF(252)내에서, 프로세서(1130)는 상기 P-CSCF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메모리(1132)는 상기 P-CSCF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 유닛(1134)은 상기 P-CSCF가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도 4, 도 6, 및 도 8, 등에 관련된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프로세서(1130)는 P-CSCF(252)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E-CSCF(254)내에서, 프로세서(1140)는 상기 E-CSCF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메모리(1142)는 상기 E-CSCF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 유닛(1134)은 상기 E-CSCF가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도 4, 도 6, 및 도 8, 등에 관련된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프로세서(1140)는 E-CSCF(254)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LRF(256)내에서, 프로세서(1150)는 상기 LRF(256)에 대한 위치 및/또는 포지셔닝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메모리(1152)는 상기 LRF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 유닛(1154)은 상기 LRF가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도 4, 도 6, 및 도 8, 등에 관련된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프로세서(1150)는 LRF(256)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PSAP(180)내에서, 프로세서(1160)는 UE(110)에 대한 긴급 호출을 위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메모리(1162)는 상기 PSAP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 유닛(1164)은 상기 PSAP가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도 4, 도 6, 및 도 8, 등에 관련된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프로세서(1160)는 PSAP(180)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것처럼, 상기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및 이들과 같은 것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과 같지만 이들로 국한되지 않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thread),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유선 터미널 또는 무선 터미널이 될 수 있는 터미널과 같은 사용자 장비와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다. 터미널은 또한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 국,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 국, 액세스 터미널, 사용자 터미널, 터미널,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터미널은 셀룰러 전화, 위성 전화, 가입자 국, 무선 장치, 셀룰러 전화, PCS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단말기(PDA),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연결 능력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과 관련하여 여기서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터미널(들)과 통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다른 기술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임의의 자연적인 내포적 순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한다면,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 하에서도 만족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서로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한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및 다른 다양한 CDMA를 포함한다. 게다가,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OFDMA 시스템은 진화된(Evolved)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 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UTRA, E-UTRA, 및 GSM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은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다음 릴리스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또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게다가,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추가적으로 종종 비대칭 비승인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BLUETOOTH 및 임의의 다른 단-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를 들어,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과 관련해서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들의 조합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재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쉬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프로그램어블 ROM(EPROM); 전기적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ROM(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ROM(CD-ROM); 또는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로서 존재한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 에 위치한다. 또한, ASIC 는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양상들에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명령 또는 임의의 명령들의 조합 또는 세트 및/또는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의 명령들로서 상주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상에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개시물은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양상들을 논의하는 한편, 다양한 변형(change)들 및 수정(modification)들이 기재된 양상들 및/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양상들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여기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기재된 양상들 및/또는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재되거나 청구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수로의 제한이 명백히 명시되지 않으면 복수로 간주된다. 부가적으로, 임의의 양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 및/또는 양상은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임의의 양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 및/또는 양상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2)

  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설정을 위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EGISTER 메시지 또는 상기 INVITE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며,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은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에 있는 상기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제 2 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REGISTER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인,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의 시퀀스를 통한 상기 긴급 호출의 포워딩에 기반하고,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의 상기 시퀀스의 마지막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인,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1 긴급 서비스 지역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2 긴급 서비스 지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용량(capacity)의 부족을 결정하는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능력(capability)의 부족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연관된 위치 검색 기능부(LRF)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사용자 장비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위치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1 긴급 서비스 지역의 범위 밖에 있음을 또한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범용 리소스 식별자(URI),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IP 주소, 또는 모바일 국가 코드(MCC) +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 1 긴급 서비스 지역과 상이한 제 2 긴급 서비스 지역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 위치는 상기 제 2 긴급 서비스 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위치를 포함하는 서빙 지리적 위치를 갖는 공중(public) 안전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은 다수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과 대응하는 다수의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다수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중 하나 보다 많은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일련의 추가적인 대안적인 네트워크 응답들 ― 상기 네트워크 응답들 각각은 일련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중 하나에 대한 개별적인 대안적인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함 ― 의 수신에 기반하여, 그리고 상기 일련의 추가적인 대안적인 네트워크 응답들 중 각각의 응답의 순차적인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일련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각각으로의 상기 긴급 호출을 위한 추가적인 요청들의 순차적인 전송에 또한 기반하여, 상기 일련의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중 마지막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INVITE 메시지를 제 1 인터넷 프로토콜 매체 서브시스템(IMS) 코어의 제 1 프록시 호출 세션 제어 기능부(P-CSCF)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380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 메시지 또는 305 응답 메시지 또는 3xx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2 프록시 호출 세션 제어 기능부(P-CSCF)의 범용 리소스 식별자(URI), 상기 제 2 P-CSCF의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상기 제 2 P-CSCF의 IP 주소, 또는 상기 제 2 P-CSCF의 모바일 국가 코드(MCC) +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서 공중 안전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중 안전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장비 위치를 포함하는 서빙 지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380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 메시지 또는 상기 305 응답 메시지 또는 상기 3xx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컨택트 주소 헤더에서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7.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설정을 위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INVITE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 위치 및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2 긴급 서빙 지역간의 대응 관계(correspondence)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가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포워딩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며,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의 포워딩은 상기 INVITE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포워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인,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의 시퀀스를 통한 상기 긴급 호출의 포워딩에 추가적으로 기반하고, 제 1 포워딩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시퀀스 내에 있는 제 1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발생하고, 마지막 포워딩은 상기 시퀀스 내에 있는 마지막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발생하고, 포워딩의 다른 인스턴스(instance)들은 상기 시퀀스 내의 중간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 위치를 포함하는 서빙 지리적 위치를 갖는 공중 안전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위치를 포함하는 서빙 지리적 위치를 갖는 상기 공중 안전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위치와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위치 검색 기능부(LRF)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제 1 인터넷 프로토콜 매체 서브시스템(IMS) 코어의 제 1 프록시 호출 세션 제어 기능부(P-CSCF)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INVITE 메시지를 제 2 인터넷 프로토콜 매체 서브시스템(IMS) 코어의 제 2 프록시 호출 세션 제어 기능부(P-CSCF)로 포워딩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2 인터넷 프로토콜 매체 서브시스템(IMS) 코어의 상기 제 2 프록시 호출 세션 제어 기능부(P-CSCF)로 포워딩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인터넷 프로토콜 매체 서브시스템(IMS)의 긴급 호출 세션 제어 기능부(E-CSCF)를 통한 포워딩에 추가적으로 기반하고, 연관된 위치 검색 기능부(LRF)로부터 사용자 장비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E-CSCF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성 액세스 네트워크(IP-CAN)의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와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위치 검색 기능부(LRF)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와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위치 검색 기능부(LRF)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방법.
  26. 긴급 음성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장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모듈; 및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제 2 모듈 ―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설정을 위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REGISTER 메시지 또는 상기 INVITE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며,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것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은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에 있는 상기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 및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제 2 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REGISTER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긴급 음성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장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7. 긴급 음성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장비 내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 ―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설정을 위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REGISTER 메시지 또는 상기 INVITE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며,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것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은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에 있는 상기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 및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제 2 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REGISTER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8.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장치로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설정을 위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REGISTER 메시지 또는 상기 INVITE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며,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은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에 있는 상기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제 2 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REGISTER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장치.
  29.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로서,
    긴급 호출에 대한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설정을 위해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REGISTER 메시지 또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REGISTER 메시지 또는 상기 INVITE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고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은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대안적인 서비스 응답에 있는 상기 대안적인 코어 네트워크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출에 대한 다른 요청을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등록을 수행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표시를 포함하는 제 2 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REGISTER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와 동일한,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의 시퀀스를 통한 상기 긴급 호출의 포워딩에 추가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들의 상기 시퀀스의 마지막 대안적인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인,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1 긴급 서비스 지역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의 제 2 긴급 서비스 지역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용량(capacity)의 부족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능력(capability)의 부족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서빙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 2 서빙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긴급 음성 호출을 위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KR1020107017393A 2008-01-04 2009-01-02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위치 지원 및 확장된 호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89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15808P 2008-01-04 2008-01-04
US1916408P 2008-01-04 2008-01-04
US61/019,164 2008-01-04
US61/019,158 2008-01-04
US12/346,586 2008-12-30
US12/346,586 US8254877B2 (en) 2008-01-04 2008-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all establishment for IMS emergency calls
PCT/US2009/030010 WO2009089087A1 (en) 2008-01-04 2009-01-02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all establishment and location support for ims emergency ca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039A KR20100107039A (ko) 2010-10-04
KR101189903B1 true KR101189903B1 (ko) 2012-10-11

Family

ID=4052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393A KR101189903B1 (ko) 2008-01-04 2009-01-02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위치 지원 및 확장된 호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54877B2 (ko)
EP (1) EP2238728B1 (ko)
JP (1) JP5437269B2 (ko)
KR (1) KR101189903B1 (ko)
CN (1) CN101960818B (ko)
TW (1) TW200943869A (ko)
WO (1) WO2009089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1773B (zh) * 2008-01-16 2013-12-04 阿尔卡特朗讯美国公司 用于有限目的的接入网络
WO2009102354A1 (en) * 2008-02-13 2009-08-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electronic devices using an electronic device as a root of trust
WO2009102352A1 (en) * 2008-02-13 2009-08-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viding manageability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s location limited manageability functionality
US8825109B2 (en) * 2008-02-15 2014-09-02 Blackberry Limited Policy-based data routing for a multi-mode device
KR101295460B1 (ko) * 2008-10-06 2013-08-0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Ims 의 비요청 통신에 대한 보호
EP2364556A1 (en) * 2008-11-07 2011-09-14 Nokia Siemens Networks OY Emergency call in radio system
US8131325B2 (en) 2009-02-27 2012-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attery resource management via traffic steering
US8301160B2 (en) * 2009-03-16 2012-10-30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SUPL roaming using a held client
EP2409501B1 (en) 2009-03-17 2017-01-18 Alcatel Lucent Method of operating a cellular wireless network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cellular wireless network and mobile terminal
US8559909B2 (en) * 2009-03-2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iques for supporting emergency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71979A1 (en) * 2009-04-27 2010-10-2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To Facilitate Automatic System Configuration
US9560509B2 (en) * 2009-11-02 2017-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mergency signalling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IN2012DN01872A (ko) * 2009-11-02 2015-08-21 Ericsson Telefon Ab L M
US9185139B2 (en) * 2010-04-13 2015-11-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Location based routing
ES2458118T3 (es) * 2010-06-21 2014-04-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étodo y aparato para el manejo de información de zona horaria en una red del subsistema de multimedios de protocolo de Internet, IMS
KR101266692B1 (ko) * 2010-12-28 2013-05-22 주식회사 팬택 VoIP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2721800B1 (en) 2011-06-17 2020-09-09 Vesta Solution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and distributed emergency multimedia data management
US9037158B2 (en) 2013-03-05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Localized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emergency session
US9144103B2 (en) 2013-04-30 2015-09-22 Motorola Solutions, Inc. Wireless loca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rom WAN fallback
US9380609B2 (en) * 2013-08-2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s
US9391879B2 (en) 2013-09-25 2016-07-12 Airbus Ds Communications, Inc. Mixed media call routing
US9860722B1 (en) * 2014-01-30 2018-01-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verting location information in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PSAP) signaling
US8929856B1 (en) 2014-02-07 2015-01-06 Cassidian Communications, Inc. Emergency services routing proxy cluster management
CN104853331A (zh) * 2014-02-17 2015-08-19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被叫紧急呼叫处理方法及系统
US10299099B2 (en) * 2014-09-17 2019-05-21 Nokia Technologies Oy Emergency call handling using over-the-top services
US9756664B2 (en) 2014-11-24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supporting location and emergency calls for an over-the-top service provider
US10097979B2 (en) 2014-11-24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by reference for an over-the-top emergency call
CN105992147A (zh) * 2015-02-13 2016-10-05 中国移动通信集团北京有限公司 一种紧急呼叫方法和装置
WO2016160053A1 (en) * 2015-03-31 2016-10-06 Intel IP Corporation Epdg identification techniques for routing ims emergency calls
US20160295386A1 (en) * 2015-04-03 2016-10-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to support emergency services
US9578541B2 (en) 2015-04-06 2017-02-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ximity based sub-pooling of network devices in mobile wireless networks
US10051684B2 (en) 2015-05-04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fer of uncompensated barometric pressure information
CN106464653A (zh) * 2015-05-18 2017-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紧急呼叫方法、装置及设备
WO2016208768A1 (ja) 2015-06-26 2016-12-29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端末、及び通信方法
EP3332525B1 (en) * 2015-08-07 2020-06-17 Intel IP Corporation Ims emergency call routing techniques
KR102369000B1 (ko) * 2015-10-05 2022-03-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ms에서의 와이파이 접속 단말의 위치 획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396800B1 (ko) 2015-11-19 2022-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US10716152B2 (en) * 2016-01-22 2020-07-14 Blackberry Limited Access point name determination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US10681198B2 (en) 2016-09-12 2020-06-09 Nymbus, Llc Audienc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9820090B1 (en) * 2016-09-15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fallback mechanism for SLP connection during emergency SUPL sessions
JP2019004406A (ja) 2017-06-19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ーザ装置、amf、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p−cscf、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8235025A1 (en) * 2017-06-22 2018-12-27 Reliance Jio Infocomm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INTERROGATION EVALUATION
CN110167000B (zh) * 2018-02-11 2021-05-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紧急服务的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2019186719A (ja) * 2018-04-09 2019-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
US11381612B2 (en) * 2018-06-08 2022-07-05 T-Mobile Usa, Inc. Voice over long-term evolution (VoLTE) call normalization and alert policy system
JP6847892B2 (ja) * 2018-06-21 2021-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通信制御方法
US11368571B1 (en) 2019-03-06 2022-06-21 Nymbus, Llc Dense audience interac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681609B2 (en) * 2019-04-12 2020-06-09 Jacob Brown Location-based call rerouting systems
US10887749B1 (en) * 2019-08-15 2021-01-05 Blackberry Limited Emergency services handling
US10893501B1 (en) * 2019-08-30 2021-01-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ower allocation at wireless network coverage edge
US20220110187A1 (en) * 2020-10-01 2022-04-07 Apple Inc. Emergency Communication Routing for Non-cellular Coverage
CN115134797B (zh) * 2021-03-24 2024-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紧急服务的处理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US11936694B2 (en) 2021-11-18 2024-03-19 T-Mobile Usa, Inc. Cross-domain routing based o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information
CN114172866B (zh) * 2021-11-30 2023-10-20 西安中诺通讯有限公司 基于ims网络承载和管理终端定位服务的方法、装置及终端
CN117560647A (zh) * 2022-08-05 2024-02-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呼叫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1824904B1 (en) 2022-11-18 2023-11-21 T-Mobile Usa, Inc. Verifying delivery of rich call data object to a terminating wireless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3986A1 (en) 2006-01-03 2007-07-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Emergency Calls in a VoIP System
US20070254625A1 (en) 2006-04-28 2007-11-01 Edge Stephen W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all continuity for voip emergency cal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5301D0 (en) * 1999-06-30 1999-09-0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ervice management
US7031714B1 (en) * 2001-11-14 2006-04-1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based on location
US7020087B2 (en) * 2003-01-13 2006-03-28 Motorola, Inc. Segmented and distributed path optimiz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0422192D0 (en) * 2004-10-06 2004-11-03 Nokia Corp 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718094A1 (en) * 2005-04-28 2006-11-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advertisement information via a network advertisement broker
US8532606B2 (en) * 2005-10-07 2013-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location service using interoperability between IMS core and access network
US20070149166A1 (en) 2005-12-23 2007-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oice call continuity for emergency calls
US7463880B2 (en) * 2006-01-13 2008-12-09 Kyocera Wireless Corp. E911 behavior with GSR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7251357A (ja) * 2006-03-14 2007-09-27 Fujitsu Ltd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957373B2 (en) * 2007-12-12 2011-06-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contac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3986A1 (en) 2006-01-03 2007-07-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Emergency Calls in a VoIP System
US20070254625A1 (en) 2006-04-28 2007-11-01 Edge Stephen W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all continuity for voip emergency c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2704A (ja) 2011-04-21
TW200943869A (en) 2009-10-16
CN101960818B (zh) 2015-04-29
US8254877B2 (en) 2012-08-28
WO2009089087A1 (en) 2009-07-16
JP5437269B2 (ja) 2014-03-12
EP2238728B1 (en) 2015-07-29
EP2238728A1 (en) 2010-10-13
US20090191841A1 (en) 2009-07-30
KR20100107039A (ko) 2010-10-04
CN101960818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903B1 (ko) Ims 긴급 호출들을 위한 위치 지원 및 확장된 호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708748B2 (en) VoIP emergency call support
CN101485169B (zh) 用于并行注册和紧急呼叫建立的方法和装置
KR101030627B1 (ko) Voip 긴급 호출 처리
KR101243955B1 (ko) 무선 긴급 호들에 대한 음성 호 연속성(vcc)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JP5529219B2 (ja) Voip緊急呼出支援
KR20090005341A (ko) Voip 응급 호출을 위한 음성 호출 연속성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RU2491752C2 (ru) Поддержка экстренного вызова vo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