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792B1 -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792B1
KR101189792B1 KR1020100077891A KR20100077891A KR101189792B1 KR 101189792 B1 KR101189792 B1 KR 101189792B1 KR 1020100077891 A KR1020100077891 A KR 1020100077891A KR 20100077891 A KR20100077891 A KR 20100077891A KR 101189792 B1 KR101189792 B1 KR 10118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owder
unit
moving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668A (ko
Inventor
홍욱선
김덕진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0007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7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111a)와, 내부에 소화분말이 수용된 제1분말수용부(111b1)가 형성되며 수평바(111a)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는 제1바(111b)와, 내부에 제1바(111b)의 제1분말수용부(111b1)와 연통되며 소화분말이 수용되는 제2분말수용부(111c1)가 형성되고 일단이 수평바(111a)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며 타단이 제1바(111b)에 연결되는 제2바(111c)와, 제1바(111b) 또는 제2바(111c)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설치부(111d)를 갖춘 이동장치본체(111); 이동장치본체(111)의 제1바(11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바퀴(112); 이동장치본체(111)의 제2바(111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퀴(113); 단말장치설치부(111d)에 설치되는 접속단자(114); 제1바(111b) 및 제2바(111c)에 구비되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와 연통되는 소화분말분출구(115); 소화분말분출구(115)에 설치되어 소화분말이 외부로만 분출되도록 하는 본체체크밸브(116)를 갖춘 이동장치(110)와: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면이 라운드 져 이동장치(110)의 수평바(111a)에 설치되는 수용부(121a)와, 수용부(121a)를 폐쇄하는 덮개부(121b)를 갖춘 기울기측정장치본체(121); 기울기측정장치본체(121)의 덮개(12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121a)에 수용되며 내부에 밀도가 다른 두 종류의 제1,2액체(L1,L2)가 층져 수용되는 실린더 형상의 회전부(122a)와, 회전부(122a)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2b)를 갖춘 가압기구(122); 기울기측정장치본체(121) 내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가압기구(122)에 의해 가압되면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압력감지센서를 갖춘 압력감지장치(123); 제1액체(L1)의 밀도와 제2액체(L2)의 밀도 사이의 밀도를 가져 제1액체(L1)와 제2액체(L2)의 경계선에 배치되도록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에 수용되는 이동볼(124);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에 내설되어 이동볼(124)의 이동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125)를 갖춘 기울기측정장치(120)와: 이동장치(110)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현재위치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GPS장치(130)와: 이동장치(110)의 단말장치설치부(111d)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단말장치본체(141); 단말장치본체(141)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142); 단말장치본체(141)에 설치되어 연결단자(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GPS장치(130)로부터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압력감지장치(123)의 각각의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압력감지신호에 따라 해당위치에서의 이동장치(11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어유닛(143)을 갖춘 단말장치(140)와: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터치스크린패널(150)과: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송신유닛(160)과: 이동장치본체(111)의 제2바(111c)에 설치되어 제2분말수용부(111c)로 소화분말을 공급하는 소화분말공급부(171); 소화분말공급부(171)에 설치되어 제2분말수용부(111c)로만 소화분말이 이동하도록 하는 체크밸브(172); 이동장치본체(111)에 설치되며, 소화분말공급부(171)과 연결되어 제1바(111b)?제2바(111c)?소화분말공급부(171)에 수용된 소화분말에 압을 가하는 분말펌프(173)를 갖춘 소화분말공급기(170)와: 태엽이 내장되어 제2바(111c)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기구(181); 일단이 권취기구(181)에 연결되어 권취기구(181)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와이어(182); 제1와이어(182)의 타단에 설치되는 이동체(183); 제1바(111b)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186); 일단이 이동체(183)에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체(186)를 경유하여 제2바(111c)에 설치되며 화재시 단선되는 제2와이어(184); 권취기구(18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체(183)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체감지센서(185)를 갖춘 화재감지기구(180)와: 이동장치본체(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조명등(190)과: 이동장치본체(111)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등(19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명등조정장치(LA)를 포함하는 측지장치(100),
측지장치(100)로부터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210)로부터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수신하여, 항공측량정보를 포함하는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업데이트된 수치데이터를 나타내는 출력부(230)를 포함하는 통합서버(200)로 이루어져,
야간에도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수치데이터 수집기구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업으로 좀 더 정확한 측지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Image Imformation'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촬영을 하거나 지상에서 지형지물을 측지하여, 해당 지형지물에 대한 수치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치데이터를 매개로 해당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획득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지상에서 지형지물을 측지할 시, 야간에는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치데이터 수집도구가 화재에 쉽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수치데이터 수집도구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한 대처가 매우 미흡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수치데이터를 수집할 시, 수치데이터 수집도구의 사용이 매우 복잡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함에 있어, 많은 시간과 작업량이 소요되었고,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현저히 떨어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야간에도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할 수 있고, 화재로부터 보호가 용이하며, 간단한 작업으로 수치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음은 물론, 수치데이터의 정확도가 향상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와, 내부에 소화분말이 수용된 제1분말수용부가 형성되며 수평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는 제1바와, 내부에 제1바의 제1분말수용부와 연통되며 소화분말이 수용되는 제2분말수용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수평바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며 타단이 제1바에 연결되는 제2바와, 제1바 또는 제2바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설치부를 갖춘 이동장치본체; 이동장치본체의 제1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바퀴; 이동장치본체의 제2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퀴; 단말장치설치부에 설치되는 접속단자; 제1바 및 제2바에 구비되어 제1분말수용부 및 제2분말수용부와 연통되는 소화분말분출구; 소화분말분출구에 설치되어 소화분말이 외부로만 분출되도록 하는 본체체크밸브를 갖춘 이동장치와: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면이 라운드 져 이동장치의 수평바에 설치되는 수용부와, 수용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갖춘 기울기측정장치본체; 기울기측정장치본체의 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밀도가 다른 두 종류의 제1,2액체가 층져 수용되는 실린더 형상의 회전부와, 회전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를 갖춘 가압기구; 기울기측정장치본체 내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가압기구에 의해 가압되면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압력감지센서를 갖춘 압력감지장치; 제1액체의 밀도와 제2액체의 밀도 사이의 밀도를 가져 제1액체와 제2액체의 경계선에 배치되도록 가압기구의 회전부에 수용되는 이동볼; 가압기구의 회전부에 내설되어 이동볼의 이동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를 갖춘 기울기측정장치와: 이동장치에 설치되어, 이동장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현재위치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GPS장치와: 이동장치의 단말장치설치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단말장치본체; 단말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이동장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 단말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GPS장치로부터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압력감지장치의 각각의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압력감지신호에 따라 해당위치에서의 이동장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어유닛을 갖춘 단말장치와: 이동장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의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터치스크린패널과: 이동장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단말장치의 제어유닛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송신유닛과: 이동장치본체의 제2바에 설치되어 제2분말수용부로 소화분말을 공급하는 소화분말공급부; 소화분말공급부에 설치되어 제2분말수용부로만 소화분말이 이동하도록 하는 체크밸브; 이동장치본체에 설치되며, 소화분말공급부과 연결되어 제1바?제2바?소화분말공급부에 수용된 소화분말에 압을 가하는 분말펌프를 갖춘 소화분말공급기와: 태엽이 내장되어 제2바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기구; 일단이 권취기구에 연결되어 권취기구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와이어; 제1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되는 이동체; 제1바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 일단이 이동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체를 경유하여 제2바에 설치되며 화재시 단선되는 제2와이어; 권취기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체감지센서를 갖춘 화재감지기구와: 이동장치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장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조명등과: 이동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이동장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의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등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명등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측지장치,
측지장치로부터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수신하여, 항공측량정보를 포함하는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업데이트된 수치데이터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통합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에도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수치데이터 수집기구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업으로 지형지물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수치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측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측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기구의 회전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및 조명등조정장치를 나타내기 위해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측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측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기구의 회전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및 조명등조정장치를 나타내기 위해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형지물을 측지하는 측지장치(100)와, 측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외부로 나타내는 통합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측지장치(100)는 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110)와, 이동장치(110)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장치(120)와, 이동장치(110)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GPS장치(130)와, 새로운 길을 측지하는 단말장치(140)와, 단말장치(14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터치스크린패널(150)과, 단말장치(14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송신유닛(160)과, 소화분말을 이동장치(110)으로 공급하는 소화분말공급기(170)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구(180)와, 이동장치(110) 주변을 밝히는 조명장치(190)와, 조명장치(19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조명등조정장치(LA)를 갖춘다.
상기 이동장치(110)는 이동장치본체(111)와, 이동장치본체(111)를 이동시키는 제1바퀴(112) 및 제2바퀴(113)와, 단말장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114)와, 제1바퀴(112) 및 제2바퀴(113)에 설치되는 소화분말분출구(115)와, 소화분출구(115)에 설치되는 본체체크밸브(116)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장치본체(111)는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111a)와, 수평바(111a)에 설치되는 제1바(111b)와, 제1바(111b1)에 설치되는 제2바(111c1)와, 제2바(111c)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설치부(111d)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111b)는, 수평바(111a)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소화분말이 수용되는 제1분말수용부(111b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바(111b)는, 일단이 수평바(111a)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며 중심부에 제1분말수용부(111b1)와 연통되어 소화분말이 수용되는 제2분말수용부(111c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바(111a)와 제1바(111b)와 제2바(111c)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연결되며, 단말장치설치부(111d)는 패널형상을 가지고서 이동장치본체(111)의 제2바(111b)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1바퀴(112)는 제1바(111b)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바퀴(113)는 제2바(111c)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장치본체(111)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제2바퀴(113)는 이동장치(11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2개 이상이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단자(114)는 이동장치본체(111)의 단말장치설치부(111d)에 내설되어, 기울기측정장치(120)?GPS장치(130)?단말장치(140)?터치스크린패널(150)?송신유닛(160)?소화분말공급기(170)?화재감지기구(180)?조명등(190)?조명등조정장치(L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화분말분출구(115)는 제1바(111b) 및 제2바(111c)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와 연통된다.
상기 본체체크밸브(116)는, 통상적인 일방향 밸브로서, 소화분출구(115)에 설치되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에 수용된 소화분말이 외부로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기울기측정장치(120)는 이동장치(110)의 수평바(111a)에 설치되는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와,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에 내설되는 가압기구(122)와,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에 내설되는 압력감지장치(123)와, 가압기구(122)에 내설되는 이동볼(124)과, 이동볼(124)의 이동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125)로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는 내면이 반호 형상을 이루어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부(121a)와, 수용부(121a)를 폐쇄하는 덮개(121b)로 구성된다. 이때 수용부(121a)는 내면이 반호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수용부(121a)와 가압기구(122)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가압기구(122)는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의 덮개(121b)의 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22a)와, 회전부(122a)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2b)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122a)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밀도가 다른 두 종류의 제1,2액체(L1,L2)가 층져 수용되되, 제1액체(L1)는 제2액체(L2) 보다 밀도가 작아 제1액체(L1)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액체(L1,L2) 밀도차이만 있으면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체(122b)는 바퀴 형상을 가져,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가 기울더라도,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부(122a)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감지장치(123)는 기울기측정장치본체 수용부(121a)의 내면을 따라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가 설치되어, 가압기구 회전체(122b)의 가압을 감지한다.
상기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압력이 감지되면 단말장치(140)로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1압력감지센서(123a)는 기울기측정장치본체(111)의 내면 중앙부에 설치되되, 제2~6압력감지센서(123b~123f)는 제1압력감지센서(123a)를 중심으로 기울기측정장치본체 수용부(121a)의 내면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7~제11압력감지센서(123b'~123f')는 제2~6압력감지센서(123b~123f)와 대향되게 제1압력감지센서(123a)를 중심으로 우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는 이동장치본체 수평바(111a)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의 설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기울기 측정의 정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가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각각 15°가 이루도록 기울기측정장치본체 수용부(121a)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센서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압력감지센서를 적용하지만, 가압기구 회전체(122b)의 접촉에 따라 ON-OFF되어 단말장치(140)로 신호를 출력하는 ON-OFF 스위치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볼(124)은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된다. 이때 이동볼(124)은 제1액체(L1) 보다 밀도가 크고 제2액체(L2) 보다는 밀도가 작아, 제1액체(L1)와 제2액체(L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볼(124)은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124a)이 구비되어, 상하 이동할 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볼(124)은 제1액체(L1)와 제2액체(L2)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정압 이하에서는 이동하지 않고, 일정압 이상이 되었을 경우만 상하 이동을 한다. 따라서 이동볼(124)은 이동장치(110)가 기준값 이상의 충격을 받았을 때에만 상하 이동을 한다.
상기 초음파센서(125)는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에 내설되어 이동볼(124)의 상하 이동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센서(125)가 회전부(122a)의 내부 상하부에 설치되어 이동볼(124)의 상하이동을 감지한다.
상기 GPS장치(130)는 GPS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동장치(110)에 설치되며,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장치(110)의 현재위치를 단말장치(140)으로 출력한다.
상기 단말장치(140)는 단말장치본체(141)와, 단말장치본체(141)에 설치되는 연결단자(142)와, 단말장치본체(141)에 설치되는 제어유닛(143)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장치본체(141)는 사각박스형상을 갖추고서, 이동장치본체(111)의 단말장치설치부(111d)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단자(142)는 단말장치(141)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143)과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를 통전시킨다.
상기 제어유닛(143)은 단말장치본체(141)에 내설되어 연결단자(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울기측정장치(120)?GPS장치(130)?터치스크린패널(150)?송신유닛(160), 소화분말공급기(170), 화재감지기구(180)?조명등(190)?조명등조정장장치(LA)를 작동제어하며, 맵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30)로부터 이동장치(110)의 현재 위치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고, 기울기측정장치(120)의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로부터 각각의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이동장치본체 수평바(111a)의 기울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유닛(143)은 각각의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로부터의 압력감지신호에 따른 기울기값이 저장되어 있어, 각각의 제1~제11압력감지센서(123a,123b~123f,123b'~123f')로부터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이동장치본체 수평바(111a)가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기울어졌는 지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본체(111)의 수평바(111a)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그 기울기가 변한다. 따라서 수평바(111a)의 기울기는 사실상 지면의 경사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43)은 초음파센서(125)로부터 초음파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초음파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이동볼(122)이 기준값 이상을 이동하였을 시, 이동볼(122)이 기준값 이상을 이동한 구역에서 수신된 압력감지신호는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구역 지면의 기울기 값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기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은 이동장치본체(111)의 단자설치부(111d)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유닛(143)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거나 제어유닛(143)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패널(150)은 입력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유닛(160)은 이동장치본체(111)의 단자설치부(111d)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상기 소화분말공급기(170)는 제2바(111c)에 설치되는 분말공급부(171)와, 분말공급부(171)에 설치되는 공급기체크밸브(172)와, 제2바(111c)에 설치되는 분말펌프(173)를 갖춘다.
상기 분말공급부(171)는 제2분말수용부(111c)와 연통되는 연결부(171a)와, 소화분말을 저장하며 연결부(171a)와 연통되어 연결부(171a)로 소화분말을 공급하는 저장부(171b)를 갖춘다.
상기 공급기체크밸브(172)는 통상의 일방향 밸브로서, 연결부(171a)에 설치되어, 저장부(171b)에 수용된 소화분말이 제2분말수용부(111c1)로만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분말펌프(173)는 통상의 펌프로서, 연결부(171a)와 연통되며,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에 수용된 소화분말에 공압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유닛(143)은 이동체감지센서(185)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분말펌프(173)을 작동한다. 한편 분말펌프(173)은 제2바(111c)에 구비되는 지지대(B)에 설치되어 위치고정된다.
상기 화재감지기구(180)는 제2바(111c)에 설치되는 권취기구(181)와, 권취기구(181)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82)와, 제1와이어(182)에 연결되는 이동체(183)와, 제1바(111b)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186)와, 일단이 이동체(183)에 연결되며 타단이 고정체(186)을 경유하여 제2바(111c)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184)와, 권취기구(181)에 설치되는 이동체감지센서(185)를 갖춘다.
상기 권취기구(181)는 태엽이 내장된 통상의 것으로서, 제2바(111c)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와이어(182)를 감거나 푼다.
상기 제1와이어(182)는, 일단이 권취기구(181)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체(183)에 연결되어, 이동체(183)를 상방으로 당긴다.
상기 이동체(183)는, 일단이 제1와이어(18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와이어(184)에 연결되어, 제2와이어(184)가 단선되었을 시,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체(186)는 제1바(111b)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2와이어(184)의 경로가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 제2와이어(184)는, 일단이 이동체(183)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체(186)를 경유하여 제2바(111c)의 하단에 연결되며, 제1바퀴(112) 및 제2바퀴(1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단선시 이동체(183)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체감지센서(185)는 권취기구(181)의 저면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이동체(183)의 이동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체감지센서(185)가 압전소자를 이용한 압력감지센서가 사용되어, 이동체(183)과 접촉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이동체감지센서(185)는 이동체(183)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근접센서와 같이 이동체(183)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조명등(190)은 이동장치본체(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이동장치(110)의 주변을 밝힌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B)의 상부에 조명등조정장치수용케이스(C)가 구비되고, 조명등조정장치수용케이스(C)의 정면에 조명등(19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조명등조정장치케이스(C)의 정면에는 회전축(C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C1)의 선단 측부에 조명등(190)의 후단이 고정되되, 조명등은 이동장치(110)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조명등조정장치(LA)는 조명등조정장치수용부(C)에 내설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등조정장치케이스(C)의 회전축(C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조명등조정장치(LA)는 조명등조정장치수용부(C)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주동치차(LA1)와, 조명등조정장치수용부(C)에 내설되어 주동치차(LA1)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LA2)와, 조명등조정장치수용부(C)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되 주동치차(LA1)와 이웃되게 배치되어 주동치차(LA1)와 연동하는 종동치차(LA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동치차(LA1) 및 종동치차(LA3)의 상호 맞물리는 잇수의 조정을 통해, 조명등조정장치수용케이스(C)의 회전축(C1)을 매개로 종동치차(LA3)에 연결되는 조명등(190)의 회전각이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LA2)는 모터와 같이 주동치차(LA1)에 연결되어 주동치차(LA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통합서버(200)는, 측지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기존의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통상의 것으로, 측지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기존의 수치데이터 및 업데이트 된 수치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230)를 갖추고서,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다.
상기 수신부(210)는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측지장치(100)의 송신유닛(160)으로부터 새로운 길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작동제어하며, 수신부(210)로부터 새로운 길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기존의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제어부(220)에 저장된 기존의 수치데이터는 레이저를 이용한 항공측량을 통해 획득된 수치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23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기존의 수치데이터 및 업데이트 된 수치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출력부(230)를 통해 수치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로서,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작업현장을 이동 중 새로운 길을 발견하면, 측지장치(100)를 새로운 길의 시작위치에 배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터치스크린패널(150)를 조작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동작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지 작업을 평지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의 터치스크린패널(150) 조작에 의해 도 7과 같이 터치스크린패널(150)의 우측에 맵이 나타나고, 맵에는 측지장치(100)의 현재위치(P1)가 나타난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맵에 표시된 현재위치(P1)을 터치하면, 제어유닛(143)으로 시작신호가 입력되고, 제어유닛(143)은 압력감지장치(123)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받을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이동장치(110)를 조작하여 새로운 길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30)로부터 이동장치(110)의 이동에 따른 각각의 위치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110)가 출발하면, 기울기측정장치(120)의 회전부(122a)는 관성에 의해 도 8과 같이 후방으로 약간 회전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30)로부터 해당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압력감지장치(123)의 제1압력감지센서(123a)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유닛(143)이 제1압력감지센서(123a)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143)은 해당위치에서의 이동장치(110) 기울기가 0°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이동장치(110)를 매개로 평지를 계속 이동하면,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30)와 제1압력감지센서(123a)로부터 각각의 위치에 따른 위치신호 및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장치(110)의 각각의 위치에 따른 지면의 경사도를 0°로 저장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30)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도 9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150)의 맵에 이동장치(110)의 현재위치 및 이동경로를 표시한다.
계속해서 상기 이동장치(110)가 이동중 도 10과 같이 오르막길을 이동하게 되면, 이동장치(110)는 길의 경사진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장치(110)가 기움에 따라 기울기측정장치(120)가 기울지만,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는 중력에 의해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는 제2압력감지센서(123b)에 압력을 가하고, 이에 따라 제2압력감지센서(123b)가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으로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80)로부터 해당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유닛(143)이 제2압력감지센서(123b)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143)은 이동장치(110)가 반시계방향으로 15°기운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위치에서 지면이 수평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15°경사진 것으로 저장한다.
계속해서 상기 이동장치(110)가 다시 평지로 접어들면 제어유닛(143)은 제1압력감지센서(123)으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고, GPS장치(130)으로부터 해당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위치에서의 지면의 경사도를 0°으로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110)가 도 11과 같이 내리막길을 이동하게 되면 이동장치(110)는 길의 경사진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장치(110)가 기움에 따라 기울기측정장치(120)가 기울지만,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는 중력에 의해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는 제7압력감지센서(123b')에 압력을 가하고, 이에 따라 제7압력감지센서(123b')가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으로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유닛(143)은 GPS장치(130)로부터 해당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유닛(143)이 제7압력감지센서(123b')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143)은 이동장치(110)가 시계방향으로 15°기운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위치에서 지면이 수평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5°경사진 것으로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110)가 새로운 길의 종착점인 종료위치(P2)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도 12와 같이 터치스크린피널(150)의 맵에 나타난 종료위치(P2)를 터치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143)은 종료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을 통해 측지된 새로운 길의 경로와, 경로의 각각의 위치에 따른 지면의 경사도를 송신유닛(160)을 매개로 외부로 무선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새로운 길의 경로와 측지된 새로운 길의 경사도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수신된 새로운 길의 경로와 경사값을 매개로 기존의 수치데이터를 갱신한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110)가 이동할 시, 돌과 같이 노면에 존재하는 방해물과 부딪히면,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가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실제 노면의 경사도에 맞지 않는 압력감지장치(123)의 압력감지센서가 작동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압력감지장치(123)가 오작동하였을 오작동을 감지하여, 압력감지장치(123)가 오작동 된 구역의 노면 기울기 값을 획득하지 않음으로써, 노면의 기울기값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가 급격하게 회전하면, 도 13과 같이 이동볼(124)이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고, 초음파센서(125)가 이를 감지하여, 초음파감지신호를 제어유닛(143)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143)은 초음파센서(125)로부터의 초음파감지신호를 수신하고, GPS장치(130)로부터 초음파감지신호가 수신된 구역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구역에서 수신된 압력감지장치(123)로부터의 압력감지신호에 따른 노면의 기울기값을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43)은 송신유닛(160)을 매개로 노면의 기울기값이 저장되지 않은 구역의 위치를 통합서버(200)로 송신하고, 수신부(210)를 매개로 이를 수신한 통합서버(200)의 제어부(220)는 해당 구역이 재측지가 필요한 것으로 기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이동볼(124)이 밀도차가 있는 제1,2액체(L1,L2)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강도 이하에서는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장치(110)이 이동하면서, 미세한 물체에 의해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이동볼(124)이 이동하지 않아, 제어유닛(143)이 해당 구역의 노면 경사도를 저장하지 않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어유닛(143)은 이동볼(124)의 오작동으로 인해 해당 구역의 노면 경사도를 저장하지 않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140)는 이동장치(1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 작업자는 단말장치(140)를 이동장치(110)로부터 분리한 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이는 갱신된 측지정보의 정확한 갱신을 위한 것으로, 전파 장애 등으로 인해 측지정보가 통합서버(200)로 전달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단말장치(140)을 통합서버(200)에 연결함으로써,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저장된 수치데이터를 통합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퀴(112) 또는 제2바퀴(113)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화재감지기구(180)의 제2와이어(184)가 연소되어 끊어지며, 이동체(183)는 권취기구(181)의 권취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 14와 같이 이동체감지센서(185)와 접촉한다.
이때 상기 이동체감지센서(185)는 제어유닛(143)으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143)은 소화분말공급기(170)의 분말펌프(173)을 동작하고, 이에 분말펌프(173)는 분말공급부(171)의 연결부(171a)로 공압을 가한다.
한편 상기 제1바(111b)의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바(111c)의 제2분말수용부(111c1)는 소화분말공급기(170)의 분말공급부(171a)를 통해 소화분말이 공급되어, 가득 채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분말펌프(173)에 의해 가해진 공압이 분말공급부(171)의 연결부(171a)를 통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으로 전달되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에 수용된 소화분말은 이동장치(100)의 본체체크밸브(116)를 개방하면서 도 14와 같이 외부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소화분말은 제1바퀴(112) 또는 제2바퀴(113)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여, 화염이 측지장치(100)의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의 작업현장이 어두울 경우, 작업자는 터치스크린패널(150)을 매개로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조명등 작동신호를 입력하여, 조명등(190)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어두운 작업환경에서도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터치스크린패널(150)을 매개로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조명등조정장치 작동신호를 입력하여, 조명등조정장치(LA)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조명등조정장치(LA)를 통해 조명등조정장치수용케이스(C)에 설치된 회전축(C1)의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도 15와 같이 조명등(190)의 상하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조명등(190)의 조명각을 조정하면서 좀더 용이하게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치데이터 수집작업을 함에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길이 생성되었을 시, 간단한 작업을 통해 새로운 길에 대한 경로 및 경사도를 측지할 수 있다.
특히 새로운 길의 경로뿐만 아니라 경사도를 측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정확한 측지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통해 생성되는 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지장치(100)에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측지장치(100)의 소실을 막을 수 있다.
100; 측지장치 110; 이동장치
120; 기울기측정장치 130; GPS장치
140; 단말장치 150; 터치스크린패널
160; 송신유닛 170; 소화분말공급기
180; 화재감지기구 190; 조명등
LA; 조명등조정장치 200; 통합서버
210; 수신부 220; 제어부
230; 출력부

Claims (1)

  1.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111a)와, 내부에 소화분말이 수용된 제1분말수용부(111b1)가 형성되며 수평바(111a)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는 제1바(111b)와, 내부에 제1바(111b)의 제1분말수용부(111b1)와 연통되며 소화분말이 수용되는 제2분말수용부(111c1)가 형성되고 일단이 수평바(111a)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방을 향하며 타단이 제1바(111b)에 연결되는 제2바(111c)와, 제1바(111b) 또는 제2바(111c)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설치부(111d)를 갖춘 이동장치본체(111); 이동장치본체(111)의 제1바(11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바퀴(112); 이동장치본체(111)의 제2바(111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퀴(113); 단말장치설치부(111d)에 설치되는 접속단자(114); 제1바(111b) 및 제2바(111c)에 구비되어 제1분말수용부(111b1) 및 제2분말수용부(111c1)와 연통되는 소화분말분출구(115); 소화분말분출구(115)에 설치되어 소화분말이 외부로만 분출되도록 하는 본체체크밸브(116)를 갖춘 이동장치(110)와: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면이 라운드 져 이동장치(110)의 수평바(111a)에 설치되는 수용부(121a)와, 수용부(121a)를 폐쇄하는 덮개부(121b)를 갖춘 기울기측정장치본체(121); 기울기측정장치본체(121)의 덮개(12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121a)에 수용되며 내부에 밀도가 다른 두 종류의 제1,2액체(L1,L2)가 층져 수용되는 실린더 형상의 회전부(122a)와, 회전부(122a)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2b)를 갖춘 가압기구(122); 기울기측정장치본체(121) 내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가압기구(122)에 의해 가압되면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압력감지센서를 갖춘 압력감지장치(123); 제1액체(L1)의 밀도와 제2액체(L2)의 밀도 사이의 밀도를 가져 제1액체(L1)와 제2액체(L2)의 경계선에 배치되도록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에 수용되는 이동볼(124); 가압기구(122)의 회전부(122a)에 내설되어 이동볼(124)의 이동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125)를 갖춘 기울기측정장치(120)와: 이동장치(110)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현재위치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GPS장치(130)와: 이동장치(110)의 단말장치설치부(111d)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단말장치본체(141); 단말장치본체(141)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142); 단말장치본체(141)에 설치되어 연결단자(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GPS장치(130)로부터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압력감지장치(123)의 각각의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압력감지신호에 따라 해당위치에서의 이동장치(11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어유닛(143)을 갖춘 단말장치(140)와: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터치스크린패널(150)과: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송신유닛(160)과: 이동장치본체(111)의 제2바(111c)에 설치되어 제2분말수용부(111c)로 소화분말을 공급하는 소화분말공급부(171); 소화분말공급부(171)에 설치되어 제2분말수용부(111c)로만 소화분말이 이동하도록 하는 체크밸브(172); 이동장치본체(111)에 설치되며, 소화분말공급부(171)과 연결되어 제1바(111b)?제2바(111c)?소화분말공급부(171)에 수용된 소화분말에 압을 가하는 분말펌프(173)를 갖춘 소화분말공급기(170)와: 태엽이 내장되어 제2바(111c)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기구(181); 일단이 권취기구(181)에 연결되어 권취기구(181)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와이어(182); 제1와이어(182)의 타단에 설치되는 이동체(183); 제1바(111b)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186); 일단이 이동체(183)에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체(186)를 경유하여 제2바(111c)에 설치되며 화재시 단선되는 제2와이어(184); 권취기구(18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체(183)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체감지센서(185)를 갖춘 화재감지기구(180)와: 이동장치본체(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조명등(190)과: 이동장치본체(111)에 설치되어, 이동장치(110)의 접속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40)의 제어유닛(143)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등(19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명등조정장치(LA)를 포함하는 측지장치(100),
    측지장치(100)로부터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210)로부터 새로운 길의 위치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수신하여, 항공측량정보를 포함하는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업데이트된 수치데이터를 나타내는 출력부(230)를 포함하는 통합서버(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변화를 통한 측량데이터 검색비교와 이를 통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00077891A 2010-08-12 2010-08-12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891A KR101189792B1 (ko) 2010-08-12 2010-08-12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891A KR101189792B1 (ko) 2010-08-12 2010-08-12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668A KR20120021668A (ko) 2012-03-09
KR101189792B1 true KR101189792B1 (ko) 2012-10-10

Family

ID=4612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891A KR101189792B1 (ko) 2010-08-12 2010-08-12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663B1 (ko) * 2012-05-30 2013-01-14 대한항업(주) 토탈스테이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 데이터 수집전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223181B1 (ko) * 2012-08-30 2013-01-2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수치지도제작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121B1 (ko) 2005-10-18 2006-04-13 한진정보통신(주) 항공 레이저 측량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121B1 (ko) 2005-10-18 2006-04-13 한진정보통신(주) 항공 레이저 측량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시스템 및 그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차경애 외1인,"영상정보와 환경정보를 이용한 실내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pp.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668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4085B1 (en) System for orienting an implement on a vehicle
KR100937984B1 (ko) 항공영상 이미지의 기준점 입력을 위한 영상도화용 업그레이드시스템
US20120152280A1 (en) Touch Sensitive Display For Surface Cleaner
CN106959450A (zh) 勘测杆
CN101526353A (zh) 地理数据收集装置
JP5383121B2 (ja) 無線による重機遠隔操作システム
KR20180002018A (ko) 작업차
KR101189792B1 (ko) 항공기레이저측량정보와 수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08324B1 (ko) 지피에스 좌표를 기반으로 한 지형지물의 측지 및 측량확인시스템
CN101519015A (zh) 削铅笔器
KR101223125B1 (ko)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KR101126352B1 (ko) 지표 및 고도정보를 이용한 지형의 수치지도 제작용 측지확인시스템
KR101126356B1 (ko) 지형의 측지측량 및 변위의 지아이에스별 확인을 통해 수치정보를 갱신하는 측지측량시스템
EP3698854B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mesure de paramètres physiques dans une compétition de trampoline
KR101223124B1 (ko) 지표면 측지측량의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 관측시스템
CN116391107A (zh) 激光水平仪接口和控制件
US20200260692A1 (en) Environmentally Aware Pet Leash
KR101008283B1 (ko) 기준위치 변화를 통한 측량데이터 검색비교와 이를 통한 측지정보 갱신시스템
KR102295126B1 (ko) 그린 정보를 기초로 퍼팅 가이드를 제공해 주는 퍼팅 보조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7117005B2 (ja) ホール位置検出システム
KR100918877B1 (ko) 항공촬영물과 좌표점의 합성을 위한 영상도화 보정시스템
JP5520039B2 (ja) 燃料供給装置
KR101008279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확인에 의한 지형 측지시스템
KR101008278B1 (ko) 지형별 지상물의 위치변동 여부를 감지해 수치화하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318268B1 (ko) 지피에스 성과를 기반으로 한 기준점 및 지형의 측량성과 갱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