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149B1 - Stick - Google Patents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149B1
KR101189149B1 KR1020100010544A KR20100010544A KR101189149B1 KR 101189149 B1 KR101189149 B1 KR 101189149B1 KR 1020100010544 A KR1020100010544 A KR 1020100010544A KR 20100010544 A KR20100010544 A KR 20100010544A KR 101189149 B1 KR101189149 B1 KR 10118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cane
coupled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0636A (en
Inventor
김상순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102010001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149B1/en
Publication of KR2011009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45B2009/025Handles or heads releasably connected to a wrist strap or a glo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지팡이가 개시된다. 이 지팡이는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에 관통부가 마련된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로킹(locking)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손잡이 커버;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분리 및 결합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 상에 배치되는 손잡이 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 끈이 상기 관통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커버가 가이드부에 의해 손잡이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손잡이 몸체에 용이하게 결합됨으로써, 손잡이 끈의 손잡이 몸체에 대한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
The wand is disclosed. This cane has a cane body;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ane body,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ane body, and a handle body having a through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A handl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the handle cover being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rotating between a locking position and a unlocking position;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handle cover when the handle cover is detached and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a first region forming a closed loop, and a second region other than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body, and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on the through portion. And a handle strap disposed, wherein the handle strap is movable along the through portion when the handle cover is in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first region is adjusted.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cov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by the guide portion, and is easi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thereby easily installing and replacing the handle body of the handle strap.

Description

지팡이{Stick}Stick {Stick}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e.

일반적으로 등산 및 레저용 지팡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인접한 파이프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여 지팡이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손잡이 부분에 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끈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된 끈은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불편하고, 끈의 교환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Generally, hiking and leisure canes comprise a plurality of pipes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Such a cane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adjacent pipes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cane. Such a cane has a string attached to its handle. This strap serves to wrap the user's wrist. By the way, the string used in the prior art was inconvenien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change of the string is difficult.

한편, 종래의 지팡이는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 다른 지팡이와 구별이 용이하지 않아 여러 사람이 동일한 디자인의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ane is not easy to distinguish from other canes having the same design, there is a problem that confusion occurs when several people use the cane of the same design.

한편, 종래에는 속이 비어 있는 지면이나 바위틈 같은 지역에서 지팡이가 사용될 때 지팡이와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지팡이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바스켓이 사용된다. 바스켓은 평소에는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촉의 일부와 최하단 파이프의 하단부를 타이트하게 감싸는 커버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바스켓은 상기 커버와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바스켓을 상기 커버에 결합할 때 바스켓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이 발생되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바스켓을 보관의 별도로 보관하는 과정에서, 바스켓을 쉽게 분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a basket is used to wid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ane and the ground so that the cane is safely supported when the cane is used in an area such as a hollow ground or a rock gap. The basket is usually sto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a cover that tightly wraps a portion of the nib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pipe if necessary. Since the basket is screwed with the cov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otate the basket when the basket is coupled to the cover is gener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sket is easily lost in a process of separately storing the basket that is not us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 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an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handle strap.

또한, 다른 지팡이와 구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ne configured to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canes.

또한, 바스켓의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o provide a can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storage of the baske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에 관통부가 마련된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몸체에 결합될 때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로킹(locking)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손잡이 커버;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분리 및 결합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 상에 배치되는 손잡이 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 끈이 상기 관통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되는 지팡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ane body;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ane body,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ane body, and a handle body having a through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A handl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disposed between the handle body and pivot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when coupled to the handle body;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handle cover when the handle cover is detached and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a first region forming a closed loop, and a second region other than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body, and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on the through portion. And a handle strap disposed therein, wherein the handle strap is movable along the through portion when the handle cover is in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cane is sized to adjust the size of the closed loop defined by the first region. .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에 브라켓 수용부가 마련된 베이스부; 및 상기 관통부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body, the bas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e body, the bracket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a bracket provided with the through part and accommodated in the bracket accommodating part and coupled to the base par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관통부를 한정하는 양측벽에 상호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개방단과 내측에 위치하는 회동 지지단을 구비한 한 쌍의 가이드홈; 및 상기 손잡이 커버의 양측부에 상호 대응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 회동 지지단에 위치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의 회동축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include a pair of guide grooves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side walls defining the through part, and having an open end positioned at an outer side and a rotation support end positioned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a pair of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handle cover and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s, and acting as a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cover when positioned at the respective rotational support ends. can do.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 커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위치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maintaining part which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handle cover when the handle cover is in the locking position.

상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손잡이 커버의 양측부에 대해 각각 출입 가능한 한 쌍의 출입부재; 및 상기 관통부를 한정하는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출입부재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a pair of access members each of which can be entered into and out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handle cover; And a pair of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side walls defining the through part, and coupled to each of the access members.

상기 위치 유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에 대해 상기 손잡이 커버의 회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타단부의 양측부에 각각 경사부가 마련된 버튼부; 및 상기 각 출입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의 각 경사부와 대응하는 대응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손잡이 커버에 대해 탄성 이동할 때 상기 대응 경사부가 상기 버튼부의 각 경사부에 대해 상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각 출입부재를 상기 손잡이 커버에 대해 출입시키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maintaining par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cover, the other end is disposed inside the handle cover, and is elastical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cover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Button portions provided with incline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And a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access members and corresponding to each inclined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wherein the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moves relative to each inclined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when the button portion elas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Accordingly, the mov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mber mov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to allow each of the access members to enter and exit the handle cover.

상기 관통부를 한정하는 상기 양측벽에는,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위치와 상기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로부터 부분 인출된 상기 각 출입부재가 가이드되는 연장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wall defining the through portion, when the handle cover is rotated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extension grooves for guiding each access member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handle cover may be formed. .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2 영역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handle strap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andle body.

상기 손잡이 몸체에 결합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된 제 1 체결구; 및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2 영역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체결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andle body; A first fastener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 second fasten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handle strap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상기 손잡이 몸체의 타측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2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ver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and covers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of the handle strap.

상기 손잡이 커버는,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별부재; 및 상기 식별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광투과성을 갖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cover may include: a cover body having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formed at both sides; An identification member disposed above the cover body; And a coupling member dispos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body, and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상기 손잡이 커버는,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관통부 상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 끈의 이동을 방해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reventing part that prevents movement of the handle strap disposed on the through part when the handle cover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상기 지팡이 몸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상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nd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pe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andle part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most pipe of the plurality of pipes.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하단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커버; 및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바스켓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커버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A pipe cover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st pipe among the plurality of pipes; And a basket body forming an inwardly concave space, and a ring-shaped coupl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ket body and coupled to the pipe cov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ipe cover.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결합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 커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와 맞물리는 돌기 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having elasticity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ipe cover.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분리된 상기 바스켓의 상기 바스켓 몸체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sket body of the basket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상기 결합부는 제 1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커버는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first magnet, and the pipe cover may include a second magnet that interacts with the first magnet.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분리된 상기 바스켓의 상기 바스켓 몸체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sket body of the basket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는 설치되는 보조식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of the handle body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is installed.

상기 보조식별부재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body.

상기 손잡이 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1 영역을 걸림지지하는 폐루프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handle body may be a closed loop locking portion for holding the first area of the handle strap.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손잡이 커버가 가이드부에 의해 손잡이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손잡이 몸체에 용이하게 결합됨으로써, 손잡이 끈의 손잡이 몸체에 대한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cov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by the guide portion, and is easi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handle body of the handle strap.

또한, 손잡이 끈의 제 2 영역이 손잡이 몸체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폐루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region of the strap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andle body, it is easy for a user to adjust the size of the closed loop.

또한, 손잡이 커버의 상부에 광투과성을 갖는 결합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결합부재를 통해 보이는 식별부재에 의해 자신의 지팡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고, 다른 지팡이와의 혼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handle cov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his cane by the identification member visible through the coupling member, and confusion with other canes can be prevented.

또한, 바스켓이 파이프 커버에 대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지팡이의 사용이 간편하고 용이하다.In addition, the basket is easi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pipe cover, thereby making the use of the wand simple and easy.

또한, 파이프 커버에서 분리된 바스켓이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바스켓이 사용되지 않을 때, 바스켓의 보관이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basket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so that the basket is easily stored when the basket is not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손잡이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브라켓 및 손잡이 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손잡이 커버의 손잡이 몸체에 대한 회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와 손잡이 커버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손잡이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바스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바스켓이 손잡이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bracket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and the handle cover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handle body of the handle cover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osition maintaining part and a hand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A cross section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included in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cross-section of FIG.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ndle cover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basket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c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ket included in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andle bod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지팡이 몸체(110)와, 손잡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팡이(100)를 앞에 놓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20)를 파지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손잡이부(120)의 전방을 F로 표시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ane body 110 and a handle part 120. Her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grips the handle 120 in a state where the cane 100 is placed in front, and the front of the handle 120 is denoted by F.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팡이 몸체(110)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팡이 몸체(110)는 다단식으로 전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팡이(100)는 등산용 또는 레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파이프(112)를 상호 슬라이딩 시켜 지팡이 몸체(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등산용 지팡이의 일반적인 메커니즘을 따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몸체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으나, 지팡이 몸체는 단일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ne bod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pes 112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cane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overall length adjustment in multiple stages. In this case, the cane 100 may be used for climbing or leisure. Here, the method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cane body 110 by sliding each pipe 112 mutually follows the general mechanism of the cane for climbing. The can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but the cane body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a single pipe.

지팡이 몸체(110)의 상단부에 손잡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손잡이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20)는 손잡이 몸체(130), 손잡이 커버(140), 가이드부(150), 손잡이 끈(1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1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110.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handle part 120 may include a handle body 130, a handle cover 140, a guide part 150, and a handle strap 17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커버(140)는 가이드부(150)에 의해 손잡이 몸체(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손잡이 몸체(13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끈(170)의 손잡이 몸체(130)에 대한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cover 1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130 by the guide portion 150, i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130. Accordingly,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handle body 130 of the handle strap 170 may be facilitated.

보다 상세히, 손잡이 몸체(130)는 지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지팡이 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112)(도 1 참조) 중 최상단 파이프(112a)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ndle body 130 is a part held by the user using the cane 100, the upper end of the top pipe 112a of the plurality of pipes 112 (see Fig. 1) constituting the cane body 110. Can be installed 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몸체(130)는 베이스부(132)와, 브라켓(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32)는 지팡이 몸체(110)의 최상단 파이프(112a)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32)의 상단부에는 브라켓 수용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134)은 브라켓 수용부(133)에 수용되어 베이스부(132)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handle body 130 may include a base part 132 and a bracket 134. Base portion 13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p pipe (112a) of the cane body 110, it may be made of a shape that is easy to grip the user. The bracket accommodating part 133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132. The bracket 134 may be accommodated in the bracket receiving part 133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part 13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34)에는 관통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134)은 관통부(131)를 한정하는 양측벽(134a)과 바닥부(134b)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front view of the bracket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through part 131 may be provided in the bracket 134. The bracket 134 may include both side walls 134a and a bottom portion 134b defining the through portion 131.

이와 같은 브라켓(134)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32)의 브라켓 수용부(133)에 수용되어 베이스부(132)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부(131는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racket 134 may be accommodated in the bracket accommodating part 133 of the base part 132 and combined with the base part 132. In this case, the through part 131 may b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130.

도 3을 참조하면, 관통부(131)는 상측으로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손잡이 몸체(130)에는 상측이 폐쇄된 형태의 관통부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hrough part 131 is shown to be open upwar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handle body 130 may have a through part having a closed upper shape.

브라켓(134)은 바닥부(134b)의 하측면에 마련된 중공형의 연장부(13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4c)는 브라켓 수용부(133)(도 2 참조)의 바닥면(미도시)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34)은 베이스부(132)(도 2 참조)에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134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extension part 134c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134b. The extension part 134c may be inserted into an opening (not shown)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not shown) of the bracket receiving part 133 (see FIG. 2). Accordingly, the bracket 134 may be effectively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32 (see FIG. 2).

브라켓(134)의 바닥부(134b)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이동방지부(180)에 포함된 제 1 돌기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기부(181)는 로킹 위치에 놓인 손잡이 커버(140)(도 2 참조)와 브라켓(123)의 바닥부(134b)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 끈(170)(도 2 참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34)의 바닥부(134b)에는 연장부(134c)의 중공부(135a)와 연결된 개구부(135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5b)는 후술하는 이동방지부(180)에 포함된 제 2 돌기부(182)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가압 돌기부(183)가 브라켓(134)의 바닥부(134b)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protrusion 181 included in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34b of the bracket 134. The first protrusion 181 moves the handle strap 170 (see FIG. 2) positioned between the handle cover 140 (see FIG. 2) placed i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bottom portion 134b of the bracket 123. It can prevent. In addition, an opening 135b connected to the hollow part 135a of the extension part 134c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part 134b of the bracket 134. The opening 135b prevents a relatively large pressing protrusion 183 from interfering with the bottom portion 134b of the bracket 134 among the second protrusions 182 included in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do.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 커버(140)는 손잡이 몸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커버(140)가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분리 및 결합될 때, 가이드부(150)가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handle cover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handle cover 140 is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handle body 130, the guide portion 150 may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브라켓 및 손잡이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50)는 관통부(131)의 양측벽(134a)에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51)과, 손잡이 커버(140)의 양측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51)은 외측에 위치하는 개방단(151a)과 내측에 위치하는 회동 지지단(151b)을 구비할 수 있다.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and the handle cover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guide part 150 protrudes from a pair of guide grooves 151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side walls 134a of the through part 131, and both sides of the handle cover 140,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153. The guide groove 151 may have an open end 151a located outside and a pivot support end 151b located inside.

손잡이 커버(140)가 손잡이 몸체(130) 보다 상세히 브라켓(134)에 결합될 때, 가이드돌기(153)는 개방단(151a)을 경유하여 가이드홈(151)을 따라 회동 지지단(151b)까지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3)가 회동 지지단(151b)에 위치할 때, 가이드돌기(153)는 손잡이 커버(140)의 회동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When the handle cover 140 is coupled to the bracket 134 in more detail than the handle body 130, the guide protrusion 153 extends along the guide groove 151 to the pivot support end 151b via the open end 151a. I can move it. When the guide protrusion 153 is located at the pivot support end 151b, the guide protrusion 153 may act as a pivot of the handle cover 140.

가이드홈(151)은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153)가 회동 지지단(151b)에 위치하여 손잡이 커버(140)의 회동축으로 작용할 때, 가이드돌기(153)가 회동 지지단(15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151 may have a hook shape. Accordingly, when the guide protrusion 153 is located at the pivot support end 151b to act as a pivot of the handle cover 140, the guide protrusion 153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vot support end 151b.

손잡이 커버(140)가 손잡이 몸체(130) 또는 브라켓(134)에서 분리될 때, 가이드돌기(153)는 손잡이 커버(130)의 결합 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15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handle cover 140 is detached from the handle body 130 or the bracket 134, the guide protrusion 153 may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51 by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path of the handle cover 130. hav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손잡이 커버의 손잡이 몸체에 대한 회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30)에 결합된 손잡이 커버(140)는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손잡이 커버(130)는 관통부(131)에 배치되어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로킹 위치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손잡이 끈(170)이 관통부(131)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손잡이 몸체(140)에 대한 손잡이 커버(140)의 상대 위치를 말한다. 또한, 로킹 해제 위치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손잡이 끈(170)이 관통부(1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 몸체(130)에 대한 손잡이 커버(140)의 상대 위치를 말한다.5 and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handle body of the handle cover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the handle cover 140 coupled to the handle body 13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130. In more detail, the handle cover 130 may be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131 to rotate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Here, the locking position refers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andle cover 140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140 to prevent the handle string 17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along the through portion 131, as can be seen in FIG. Say. In addition, the unlocking position refers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andle cover 140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130 to which the handle strap 170 to be described later can move along the through portion 131, as can be seen in FIG.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통부(131) 상에 손잡이 끈(17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 끈(170)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171)과, 제 1 영역(171)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173)으로 구분될 수 있다.5 and 6, a portion of the handle strap 170 may be disposed on the penetrating portion 131. The handle strap 17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71 forming a closed loop and a second region 173 that is a portion other than the first region 171.

제 1 영역(171)은 지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부분으로서, 손잡이 몸체(1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지팡이(100)를 전방에 놓은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제 1 영역(171)은 손잡이 몸체(130)의 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71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wrist of the user who uses the cane 100 and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handle body 130. In general, since the user uses the cane 100 in a front state, the first region 171 surrounding the user's wrist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handle body 130.

손잡이 끈(170)의 제 2 영역(172)은 일부가 관통부(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영역(172)의 나머지 부분은 손잡이 몸체(130)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 2 영역(172)의 단부는 손잡이 몸체(130)의 타측부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72 of the handle strap 170 may be disposed on the through portion 131.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72 may extend to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130, and the end of the second region 172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13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손잡이 커버(140)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끈(170)은 관통부(131)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제 1 영역(171)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6, when the handle cover 140 is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handle strap 170 is movable along the through portion 131, and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first region 171 is formed. The size can be adjus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위치 유지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유지부(160)은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회동하는 손잡이 커버(140)가 로킹 위치(도 5 참조)에 있을 때 손잡이 커버(14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위치 유지부(160)는 손잡이 커버(140)의 양측부에 대해 각각 출입 가능한 한 쌍의 출입부재(161) 및 관통부(131)를 한정하는 양측벽(134a)에 각각 형성되고 각 출입부재(161)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163)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maintaining unit 160. 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160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handle cover 140 when the handle cover 140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130 is in a locked position (see FIG. 5). 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160 is formed on both side walls 134a defining a pair of access members 161 and a through portion 131 which are respectively accessible to both sides of the handle cover 140 and each access member ( 161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grooves 163 coupl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와 손잡이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위치 유지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sition maintaining part and a hand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Hereinafter, 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위치 유지부(160)는 버튼부(164)와 이동부재(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64)는 일단부가 손잡이 커버(14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손잡이 커버(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164)는 손잡이 커버(140)에 대해 손잡이 커버(140)의 회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부(164)의 타단부와 손잡이 커버(140)의 내측부 사이에 탄성부재(165)가 개재될 수 있다. 버튼부(164)의 타단부의 양측부에는 각각 경사부(164a)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unit 164 and a moving member 166.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16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cover 140,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handle cover 140. The button unit 164 may elastically move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1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cover 140.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6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164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handle cover 140. Inclined portions 164a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164, respectively.

이동부재(166)는 버튼부(164)의 경사부(164a)와 대응하는 대응 경사부(166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66)의 측부에는 출입부재(161)가 연결될 수 있다. 버튼부(164)가 손잡이 커버(140)에 대해 탄성 이동할 때, 이동부재(166)의 대응 경사부(166a)가 버튼부(164)의 경사부(164a)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164a)와 대응 경사부(166a)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166)가 버튼부(164)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출입부재(161)는 손잡이 커버(140)에 대해 출입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166 may include a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166a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164a of the button portion 164. In addition, the access member 161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ving member 166. When the button portion 164 elas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140, the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166a of the moving member 166 may move relative to the inclined portion 164a of the button portion 164.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164a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166a may b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moving member 166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164, and the access member 161 may enter and exit the handle cover 140.

이동부재(166)가 버튼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재(166)는 손잡이 커버(140)에 형성된 오목부(14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When the moving member 166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portion, the moving member 166 may be guided by the recess 141 formed in the handle cover 14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유지부(160)는 버튼부(164)에 압력이 가해질 때 출입부재(161)가 손잡이 커버(140)로 인입되고, 버튼부(164)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출입부재(161)가 손잡이 커버(140)로부터 인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손잡이 커버(140)로부터 인출된 출입부재(161)는 결합홈(163)(도 2 및 도 4 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164, the access member 161 is introduced into the handle cover 140, the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164 If not, the access member 161 may be operated to be drawn out from the handle cover 140. The access member 161 drawn out from the handle cover 14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63 (see FIGS. 2 and 4).

다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유지부는 관통부의 양측벽에 대해 각각 출입가능한 한 쌍의 출입부재와, 손잡이 커버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각 출입부재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위치 유지부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position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access members respectively accessible to both side walls of the through portion, and a pair of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andle cover and coupled to each of the access members. In addi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osition holder.

도 2를 참조하면, 관통부(131)를 한정하는 양측벽(134a)에는 각각 연장홈(134d)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커버(140)가 로킹 위치(도 5 참조)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도 6 참조)에서 회동할 때, 손잡이 커버(140)로부터 부분 인출된 출입부재(161)는 연장홈(134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extension grooves 134d may be formed in both side walls 134a defining the through part 131. When the handle cover 140 is rotated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see FIG. 5) and the unlocking position (see FIG. 6), the access member 161 partially drawn out of the handle cover 140 follows the extension groove 134d. I can move i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관통부(131)를 한정하는 브라켓(134)의 양측벽(134a)의 내측면에 연장홈(134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장홈(134d)은,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커버(140)가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손잡이 커버(140)로부터 부분 인출된 출입부재(161)를 가이드 한다. 연장홈(134d)은 결합홈(163)과 연결될 수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included in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 and 10, extension grooves 134d may b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both side walls 134a of the bracket 134 defining the through part 131.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xtension groove 134d has an access member partially drawn out of the handle cover 140 when the handle cover 140 rotates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Guide 161). The extension groove 134d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163.

연장홈(134d)을 한정하는 바닥부(137)는 결합홈(163)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역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홈(134d)의 깊이는 결합홈(163)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역으로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커버(140)로부터 부분 인출된 출입부재(161)가 연장홈(134d)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손잡이 몸체(130) 또는 브라켓(1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37 defining the extension groove 134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an area away from an area adjacent to the coupling groove 163. That is, the depth of the extension groove 134d may linearly increase to an area away from the area adjacent to the coupling groove 163.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access member 161 partially drawn out of the handle cover 140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130 or the bracket 134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extension groove 134d.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끈(170)의 제 2 영역(172)의 단부는 손잡이 몸체(130), 보다 상세히 베이스부(132)의 타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영역(172)의 단부는 베이스부(132)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72 of the handle strap 17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body 130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132 in more detail. In this case,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72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132.

이와 같은 손잡이 끈(170)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은다음과 같다. 폐루프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140)를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로킹 해제 위치(도 6 참조)에 위치하도록 회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의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손잡이 끈(170)을 손잡이 몸체(130)의 일측으로 잡아당긴다. 그리고,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140)를 로킹 위치(도 5 참조)로 회동시켜 폐루프의 크기를 고정시킨다.The process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handle strap 170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increasing the size of the closed loop, the user first rotates the handle cover 140 to be in the unlocked position (see FIG. 6)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130. T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string 170 to one side of the handle body 130 to form a closed loop of a desired size. T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cover 140 to the locking position (see Fig. 5) to fix the size of the closed loop.

반대로, 폐루프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140)를 로킹 해제 위치(도 6 참조)로 회동시킨다. 이 경우, 손잡이 끈(170)은 손잡이 몸체(130)의 타측부에서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손잡이 끈(170)은 자동적으로 손잡이 몸체(14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폐루프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 후, 폐루프가 소정의 크기로 줄어들면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140)를 로킹 위치(도 6 참조)로 회동시켜 폐루프의 크기를 고정시킨다.In contrast, when the size of the closed loop is reduced, first, the user rotates the handle cover 140 to the unlocked position (see FIG. 6). In this case, since the handle strap 170 is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130, even if the user does not provide a separate force, the handle strap 170 automatically moves to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140 to be closed. The loop is smaller in size. Thereafter, when the closed loop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the user rotates the handle cover 140 to the locking position (see FIG. 6) to fix the size of the closed loop.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끈(170)의 제 2 영역(172)이 손잡이 몸체(130)에 탄성지지됨으로써, 폐루프의 크기를 조절할 때 특히, 폐루프의 크기를 작게 조절할 때,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다. 즉, 손잡이 끈(170)의 제 1 영역(171)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172 of the handle strap 17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andle body 130, so that the user's manipulation when adjusting the size of the closed loop,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closed loop is adjusted small This is easy. That is, the size of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first region 171 of the handle strap 170 can be easily adjusted.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손잡이 몸체(130)에 지지되는 탄성부재(176)와, 탄성부재(176)와 결합된 제 1 체결구(177)와, 제 2 영역(172)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 1 체결구(177)와 결합되는 제 2 체결구(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astic member 176 supported by the handle body 130, a first fastener 177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176, and a second region 172.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astener 178 is installed at the end of and coupled with the first fastener 177.

탄성부재(176)는 손잡이 몸체(130)의 타측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부(138)에 수용될 수 있다. 제 1 체결구(177)와 제 2 체결구(178)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2 체결구(177, 178)은 예를 들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체결구(177)가 설치된 손잡이 끈(170)을 제 2 체결구(178)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다른 제 1 체결구가 설치된 새로운 손잡이 끈을 제 2 체결구(178)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76 may be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art 138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130. The first fastener 177 and the second fastener 17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77 and 17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one-touch mann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for example. Accordingly, the handle strap 170 in which the first fastener 177 is installed is easily removed from the second fastener 178, and the new handle strap in which the other first fastener is installed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er 178. Can be used.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손잡이 몸체(130)의 타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 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커버(190)는 손잡이 끈(170)의 제 2 영역(172)의 일부를 커버한다. 이에 따라 제 2 영역(172)의 일부와 제 1, 2 체결구(177, 178)가 손잡이 몸체(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정돈된 심미감이 발휘될 수 있다.2, the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ver 190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130. The secondary cover 190 covers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172 of the handle strap 170. Accordingly, part of the second region 172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77 and 178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130, and an ordered aesthetic may be exert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손잡이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커버(140)는 커버 몸체(143)와, 식별부재(144)와, 결합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ndle cover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handle cov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cover body 143, an identification member 144, and a coupling member 145.

커버 몸체(143)의 양측부에는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돌기(153)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몸체(143)의 상부에는 식별부재(144)가 배치될 수 있다. 식별부재(144) 상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결합부재(145)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45)는 커버 몸체(1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몸체(143)에는 결합홈(143a)이 마련될 수 있고, 결합부재(145)에는 결합홈(143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Both side portions of the cover body 14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53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he identification member 144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body 143. A coupling member 145 having light transparency may be dispos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144. The coupling member 145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body 143. In this case, the cover body 143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43a, and the coupling member 145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43a.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140)의 상부, 즉 결합부재(143)를 통해 보이는 식별부재(144)에 의해 자신의 지팡이를 구별할 수 있고, 다른 지팡이와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distinguish his wand by the identification member 144 visible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cover 140, that is, the coupling member 143, and prevent confusion with other wands. can do.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손잡이 커버(140)가 로킹 위치(도 6 참조)에 위치할 때 관통부(131) 상에 배치된 손잡이 끈(170)의 이동을 방해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방지부(180)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부(131)를 한정하는 바닥부(134b)에 형성된 제 1 돌기부(181)과,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커버(140)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 2 돌기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커버(140)의 하측면 중앙에는 제 2 돌기부(182) 중 상대적으로 큰 돌기부인 가압 돌기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ovement prevent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handle strap 170 disposed on the penetrating portion 131 when the handle cover 140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position (see FIG. 6). It may include. As shown in FIG. 3,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18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81 formed on the bottom 134b defining the through part 131, and a handle cover as shown in FIG. 7. It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8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140.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cover 140, a pressing protrusion 183, which is a relatively large protrusion among the second protrusions 182,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부(131)는 브라켓(134)에 의해 한정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부(131)는 브라켓이 배제된 상태로 베이스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즉, 브라켓이 제외된 베이브부 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직접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 브라켓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된 가이드홈 등은 베이스부 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몸체에 직접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enetrating portion 131 is defined by the bracket 134.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enetrating portion 131 may be defined by the base portion with the bracket removed. That is, the bracket may be directly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made of the babe portion itself.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 described as formed in the bracket in the previous embodiment may be provided directly to the handle body made of the base portion itself.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30)의 일측부에는 손잡이 끈(170)의 제 1 영역(171)을 걸림 지지하는 폐루프 걸림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losed loop locking part 139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le body 130 to hold the first area 171 of the handle strap 1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영역(171)의 크기를 조절하고 제 1 영역(171)을 폐루프 걸림부(139)에 걸림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영역(171)은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영역(171)에 다른 물건이 걸려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tores the bag without using the cane, the user may adjust the size of the first area 171 and support the first area 171 by the closed loop locking part 139. 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171 may be fixed to the handle body 13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objects from being caught and damaged in the first region 171.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몸체(110)를 구성하는 최하단 파이프(112b)에 설치되는 파이프 커버(191)와, 파이프 커버(191)에 설치되는 바스켓(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ipe cover 191 installed at the lowermost pipe 112b constituting the body 110 and a basket 192 installed at the pipe cover 191. It may further includ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바스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스켓(192)은 바스켓 몸체(193)와, 결합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몸체(193)는 내측에 오목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94)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스켓 몸체(19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스켓(192)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2 is a view showing a basket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the basket 192 may include a basket body 193 and a coupling unit 194. The basket body 193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space inside. Coupling portion 194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ket body 193. Such a basket 192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스켓(192)은 파이프 커버(19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igure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basket 19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pe cover 191.

여기서, 파이프 커버(191)는 최하단 파이프(112b)의 하단부와 최하단 파이프(112b)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촉부(199)를 감싸서 보호한다. 바스켓(192)이 파이프 커버(19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결합부(194)의 내측면에는 결합 돌기부(194a)가 마련되고, 파이프 커버(191)의 외측면에는 결합 돌기부(194a)와 맞물리는 돌기 수용부(191a)가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ipe cover 191 wraps and protects the tip 199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pipe 112b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pipe 112b. In order for the basket 192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pe cover 191, a coupling protrusion 194a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coupling part 194, and a coupling protrusion 194a is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pipe cover 191. And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91a may be provided.

바스켓(192)이 파이프 커버(191)에 결합될 때, 결합 돌기부(194a)는 돌기 수용부(191a)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When the basket 192 is coupled to the pipe cover 191, the coupling protrusion 194a may be supported by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91a.

결합 돌기부(194a)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192)이 파이프 커버(191)에 결합 및 분리될 때 결합 돌기부(194a)가 돌기 수용부(191a)에 대해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고, 바스켓(192)이 파이프 커버(191)에 대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Coupling protrusion 194a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ccordingly, when the basket 192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191, the coupling protrusion 194a may elastically move relative to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91a, and the basket 192 may be moved to the pipe cover 191.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스켓(192)의 결합부(194)는 제 1 마그네트(194b)를 포함하고, 파이프 커버(191)는 제 1 마그네트(194b)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마그네트(191b)를 포함할 수 있다.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c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coupling portion 194 of the basket 192 includes a first magnet 194b, and the pipe cover 191 interacts with the first magnet 194b. It may include a second magnet 191b.

이 경우, 제 1 마그네트(194b)와 제 2 마그네트(191b)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사용자가 바스켓(192)을 파이프 커버(191)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 194b and the second magnet 191b may be large enough to allow the user to easily separate and couple the basket 192 to the pipe cover 191. .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스켓(192)이 파이프 커버(191)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asket 192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pipe cover 191.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된 바스켓이 손잡이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스켓(192)이 파이프 커버(191)(도 13 참조)로부터 분리되면,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1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ket included in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andle body.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basket 192 is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191 (see FIG. 13), the basket 192 may be stored in a state coupled with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130.

이를 위해, 바스켓 몸체(193)의 내측에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locking jaw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basket body 193, and a lock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130 to hold the locking jaw.

또는, 바스켓 몸체(193)의 내측에 제 3 마그네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에 상기 제 3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하는 제 4 마그네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third magne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basket body 193, and a fourth magnet (not shown) interacting with the third magnet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130. have.

이와 같이 바스켓(192)이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바스켓(192)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As the basket 19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130 as described above, the basket 192 may be easily stor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손잡이 몸체(130)의 측면에 설치된 보조식별부재(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식별부재(105)는 손잡이 몸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지팡이와 타인의 지팡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1 and 2, the ca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105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body 130. In this case, the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105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body 13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his staff and someone else's staff.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e addition of components, Alteration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지팡이 몸체
120 : 손잡이부
130 : 손잡이 몸체
131 : 관통부
140 : 손잡이 커버
150 : 가이드부
160 : 위치 유지부
170 : 손잡이 끈
110: cane body
120: Handle portion
130: handle body
131: through part
140: handle cover
150: guide part
160: position holding unit
170: strap

Claims (21)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에 관통부가 마련된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몸체에 결합될 때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로킹(locking)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손잡이 커버;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분리 및 결합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 상에 배치되는 손잡이 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 끈이 상기 관통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되는 지팡이.
Cane body; And
It includes a handl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e body,
The handle portion
A handle bod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and having a through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 handl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disposed between the handle body and pivot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when coupled to the handle body;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handle cover when the handle cover is detached and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A first region forming a closed loop and a second region other than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body, and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disposed on the through portion. Includes a hand strap,
The cane is movable along the penetrating portion when the handle cover is in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closed loop defined by the first region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에 브라켓 수용부가 마련된 베이스부; 및
상기 관통부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body,
A base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and having a bracket receiving par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wand is provided, and the ca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관통부를 한정하는 양측벽에 상호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개방단과 내측에 위치하는 회동 지지단을 구비한 한 쌍의 가이드홈; 및
상기 손잡이 커버의 양측부에 상호 대응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 회동 지지단에 위치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의 회동축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uide unit,
A pair of guide grooves respectively formed in correspondence to both side walls defining the through part, the pair of guide grooves having an open end positioned at an outer side and a rotation support end positioned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Each of the handle cover is formed to protrude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is movable along the respective guide grooves, and includes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cting as a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cover when located in each of the pivot support end Ca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 커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위치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position holder for retain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cover when the handle cover is in the locked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손잡이 커버의 양측부에 대해 각각 출입 가능한 한 쌍의 출입부재; 및
상기 관통부를 한정하는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출입부재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A pair of access members, each of which is accessible to both sides of the handle cover; And
Can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side walls defining the through portion, a pair of engaging grooves coupled to each entry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에 대해 상기 손잡이 커버의 회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타단부의 양측부에 각각 경사부가 마련된 버튼부; 및
상기 각 출입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의 각 경사부와 대응하는 대응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손잡이 커버에 대해 탄성 이동할 때 상기 대응 경사부가 상기 버튼부의 각 경사부에 대해 상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각 출입부재를 상기 손잡이 커버에 대해 출입시키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5,
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cover, the other end is disposed inside the handle cover, elastical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cover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both sides of the other end A button portion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n each; And
A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access members, and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inclined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and as the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moves relative to each inclined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when the button portion elas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Cane further comprises a moving member to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utton portion for entering and exiting each access member with respect to the handle 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를 한정하는 상기 양측벽에는,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위치와 상기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손잡이 커버로부터 부분 인출된 상기 각 출입부재가 가이드되는 연장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5,
On both side walls defining the through portion, when the handle cover is rotated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an extension groove for guiding each of the access members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handle cover is formed, respectively. Walking sti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2 영역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handle strap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andl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에 결합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된 제 1 체결구; 및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2 영역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체결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9. The method of claim 8,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andle body;
A first fastener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nd a second fasten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handle strap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타측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2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econdary cover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of the handle stra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는,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별부재; 및
상기 식별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광투과성을 갖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3,
The handle cover is,
A cover body having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formed at both sides;
An identification member disposed above the cover body; And
The wand dispos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removably coupled to the cover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having a light transmiss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는,
상기 손잡이 커버가 상기 로킹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관통부 상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 끈의 이동을 방해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andle cover is,
And a movement preventing portion that prevents movement of the handle strap disposed on the penetrating portion when the handle cover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 몸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상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n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handle portion can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pipe of the plurality of pip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하단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커버; 및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바스켓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커버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13,
A pipe cover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st pipe among the plurality of pipes; And
And a basket body that forms a concave space therein, and a ring-shaped coupl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ket body and coupled to the pipe cover, the basket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pipe cover. ca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결합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 커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와 맞물리는 돌기 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n elastic,
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cover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분리된 상기 바스켓의 상기 바스켓 몸체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6. The method of claim 15,
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ket body of the basket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 1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커버는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magnet,
And the pipe cover includes a second magnet that interacts with the first magne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분리된 상기 바스켓의 상기 바스켓 몸체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8. The method of claim 17,
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ket body of the basket separated from the pip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는 설치되는 보조식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an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bod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식별부재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a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membe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andle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상기 제 1 영역을 걸림지지하는 폐루프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ane, characterized in that a closed loop engaging portion for holding the first area of the handle stra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body.
KR1020100010544A 2010-02-04 2010-02-04 Stick KR101189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544A KR101189149B1 (en) 2010-02-04 2010-02-04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544A KR101189149B1 (en) 2010-02-04 2010-02-04 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36A KR20110090636A (en) 2011-08-10
KR101189149B1 true KR101189149B1 (en) 2012-10-10

Family

ID=4492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544A KR101189149B1 (en) 2010-02-04 2010-02-04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1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65A (en) * 2014-07-01 2016-01-11 김상순 Sti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293A (en) 1976-07-26 1978-12-19 Ignaz Hinterreiter Ski pole handle of synthetic resin
US4416036A (en) 1981-02-16 1983-11-22 Exel Oy Fastening means for the wrist strap of a ski stick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6439610B1 (en) 1999-05-18 2002-08-27 Gipron Giuseppe Pronzati S.P.A. Stick handle for ski, trekking and the like with adjustable wrist strap
KR200398330Y1 (en) 2005-07-28 2005-10-12 김광석 Alpenst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293A (en) 1976-07-26 1978-12-19 Ignaz Hinterreiter Ski pole handle of synthetic resin
US4416036A (en) 1981-02-16 1983-11-22 Exel Oy Fastening means for the wrist strap of a ski stick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6439610B1 (en) 1999-05-18 2002-08-27 Gipron Giuseppe Pronzati S.P.A. Stick handle for ski, trekking and the like with adjustable wrist strap
KR200398330Y1 (en) 2005-07-28 2005-10-12 김광석 Alpenst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65A (en) * 2014-07-01 2016-01-11 김상순 Stick
KR101597674B1 (en) * 2014-07-01 2016-02-25 김상순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36A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3493B (en) The container of luggage case, suitcase, draw-bar box and the like type
ES2818543T3 (en) Hand holding device, in particular glove, for attachment to a cane grip
US7637371B2 (en) Lipstick case
US7726326B2 (en) Umbrella with repositionable grip
KR101189149B1 (en) Stick
KR100953888B1 (en) Stick
JP2020151031A (en) Stick aid and stick
CN109124239A (en) A kind of dispireme cup lid
KR100522304B1 (en) Cosmetics case
JP7073521B2 (en) Cosmetic container
US7770587B2 (en) Interlocking container
JP2015116485A (en) Pole/wrist strap assembly
US20070157680A1 (en) Computer lock with lock cylinder and canal
JP7060516B2 (en) umbrella
JP2005013739A (en) Device used for fixing, quickly releasing, safely detaching, and adjusting of strap attached to grip part of walking stick, ski stick, hiking stick or the like
KR100953887B1 (en) Stick
US9560908B2 (en) Camera carrying case
KR102005331B1 (en)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KR101129081B1 (en) Moving body of zipper
JP3226739U (en) Rucksack type insulation bag
KR20140017360A (en) Alpine stick integrated with tongs
JP2016028671A (en) Storage part, cane, cane with storage part, and storage body with cane function
JP2009201608A (en) Opening/closing type storage apparatus
CN207693686U (en) Portable anesthesia case
JP2002165627A (en) Adjuster for holding length of portabl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