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921B1 -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921B1
KR101187921B1 KR1020110025394A KR20110025394A KR101187921B1 KR 101187921 B1 KR101187921 B1 KR 101187921B1 KR 1020110025394 A KR1020110025394 A KR 1020110025394A KR 20110025394 A KR20110025394 A KR 20110025394A KR 101187921 B1 KR101187921 B1 KR 101187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driving
impedance
vibration
impeda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엽
김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6Drive 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H02N2/062Small signal circuits; Means for controlling position or derived quantities, e.g. for removing hysteres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75Electrical details, e.g. drive or control circuits or metho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1Analogue/digital/analogue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 및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진동 모듈의 개체 조절 기능 없이 드라이버 IC 스스로 최적화된 구동 주파수를 찾아 일정한 진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 모듈 어셈블리 이후 검증 및 관리 공정의 간소화 및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여 원가 및 택트 타임(tact time)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가 액추에이터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아 인터페이스 및 개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설계 및 생산에 넓은 스펙 공차를 가져가 넓은 재료 선택의 폭 및 수율 향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vibration module}
본 발명은 내부에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IC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 주파수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재료에 따른 편차 및 조립 오차는 고려되지 않아 제품간 진동력 편차가 존재한다. 또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여러 개의 액추에이터를 멀티 타입으로 배치할 경우,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로 인해 진동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일정한 진동면을 구현할 수 없다. 일정한 진동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 IC를 사용해도 단품 및 생산 공정 오차에 기인한 진동력은 넓은 산포를 가지며, 생산 수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액추에이터 상태를 드라이버 IC로 피드백하여 각 개체간 최적 주파수를 드라이버 IC에서 스스로 보정하여 호스트의 관리가 없더라도 일정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 및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임피던스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에 이득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구동수단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시마다 상기 구동수단으로 디지털로 변환된 임피던스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 및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내부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임피던스 수신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기록 및 독출 가능한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에 이득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구동수단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시마다 상기 구동수단으로 디지털로 변환된 임피던스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구동수단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시마다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a)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임의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b)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최적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b)단계 이후에 상기 임피던스 신호를 이득 증폭 및 필터링 한 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a)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임의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b)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된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내부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e) 호스트의 구동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b)단계 이후에 상기 임피던스 신호를 이득 증폭 및 필터링 한 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진동 모듈의 개체 조절 기능 없이 드라이버 IC 스스로 최적화된 구동 주파수를 찾아 일정한 진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 모듈 어셈블리 이후 검증 및 관리 공정의 간소화 및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여 원가 및 택트 타임(tact time)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가 액추에이터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아 인터페이스 및 개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설계 및 생산에 넓은 스펙 공차를 가져가 넓은 재료 선택의 폭 및 수율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다른 드라이버 IC의 상세도 이다.
도 3은 주파수 대비 임피던스 상관 그래프 이다.
도 4는 도 1 중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드라이버 IC의 상세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 중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두께 및 크기 등을 일부 과장되게 그린 부분도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장치는 진동 모듈(100) 및 진동 모듈(10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IC(200)를 포함한다.
진동 모듈(100)은 진동 액추에이터(110), 지지 프레임(120), 탄성 부재(130),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은, 진동 액추에이터(110), 지지 프레임(120), 탄성 부재(130),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진동 액추에이터(110)는 베이스 부재(미도시), 절연층(미도시), 압전소자부(113), 전극부(114)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는 압전 소자(113)의 신장과 수축 작용에 의해 소정의 모드로 진동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의 바(bar)가 사용된다. 베이스 부재의 표면에는 절연층이 코팅되는데, 상면과 하면에 위치한 절연층에는 각각 압전소자부(113)가 배치된다. 압전소자부(113)는 단일의 압전소자층으로 구성되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의 압전소자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압전소자부(113)는 베이스 부재의 양면(상면과 하면) 방향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의 일면 방향에만 압전소자부(113)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압전소자부(113)의 단부에는 압전소자부(113)에 전원을 인가해주기 위한 전극부(114)가 설치된다.
한편, 지지 프레임(120)은 막대 형상을 가지는데, 지지 프레임(120)의 양 단부에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수용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21)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데, 수용부(121)에는 진동 액추에이터(110)가 수용된다. 수용부(121)의 안쪽면에는 접속부(121a)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접속부(121a)는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전극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수용부(121)의 일단에는 탄성 부재(1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제한부(121b)가 형성되고, 수용부(121)의 안쪽에는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전극부(11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제한부(121c)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120)에는 회로 패턴(122)이 형성되는데, 회로 패턴(122)은 주로 지지 프레임(120)의 내부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로 패턴(122)의 일부는 접속부(12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회로 패턴(122)의 타부는 연결부(12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회로 패턴(122)의 연결부(122a)는 지지 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어, 외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탄성 부재(130)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수용부(121)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전극부(114a)와 접속부(12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탄성 부재(130)는 탄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면서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철 등의 금속성의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130)의 일부 형상은 "V" 형상을 가지도록 일부가 굴곡되어 형성된다. 즉, 탄성 부재(130)는 일부가 굴곡된 판스프링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30)는 제1부분(131), 제2부분(132), 제3부분(133)으로 구성되는데, 제1부분(131)과 제3부분(133)은 수평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2부분(132)은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160)의 높이(세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제1부분(131)과 제3부분(133) 사이의 거리(L)가 증가되고 높이(H)가 줄어들면서, 주로 높이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탄성 부재(130)에 높이 방향으로 하중을 약간 가하여 원래의 형상으로부터 형상을 변형시키고 그 변형된 상태로 탄성 부재(130)를 수용부(121)에 배치시킴으로써, 진동 액추에이터(110)가 수용부(12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탄성 부재(130)의 제1부분(131)은 수용부(121)의 제1 제한부(121c)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는데, 그러한 구성은 진동 액추에이터(110)가 진동하여 탄성 부재(130)가 움직이더라도 탄성 부재(130)가 수용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탄성 부재(130)의 제2부분(132)의 하단부는 전극부(1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3부분(133)의 상단부는 접속부(121a)에 접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극부(114)와 접속부(121a)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수용부(121)마다 1개의 탄성 부재(130)가 전극부(114)와 접속부(121a) 사이에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부(114)와 접속부(121b) 사이에 복수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30)는 전극부(114)와 접속부(121a) 사이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전극부(114)와 접속부(121b) 사이에도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40)는 지지 프레임(120)을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 프레임(120) 내부에 설치된 진동 액추에이터(110)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케이스(140)는 지지 프레임(120)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일측면만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에서, 진동 모듈(100)은 케이스(140)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드라이버 IC(200)는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내부에 기록하고, 호스트(미도시)의 명령에 의해 기록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킨다.
도 2는 드라이버 IC(200)의 상세도로서, 인터페이스부(210), 레지스터(220), 콘트롤 로직(230), 타이밍 콘트롤러(240), 부스트 콘트롤러(250) 및 드라이버&스위칭부(260), 임피던스 컨버터(270) 및 다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Command 단자는 호스트로부터 제어 명령이 인가된다. CS/EN 단자는 드라이버 IC(200)의 칩 선택 및 인에이블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된다. RESET 단자는 드라이버 IC(200)의 리셋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된다. AUDIO/PWM 단자는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파형이 인가된다. CLK 단자는 호스트에서 클록이 인가된다. VOP 단자는 진동 액추에이터(110)에 정(+, positive) 전압을 출력하며, n개의 채널까지 설정될 수 있다. VON 단자는 진동 액추에이터(110)에 부(-, negative) 전압을 출력하며, n개의 채널까지 설정될 수 있다. REFn 단자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임피던스 컨버터(270)로 인가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드라이버 IC(200)를 제어하는 객체 즉, 호스트로부터 Command 단자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레지스터(210)로 인터페이스 한다. 특히, 인터페이스부(210)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유효한 정보(어드레스, 임피던스, 주파수, 위상, R, L, C데이터 등)를 분리한다.
레지스터(220)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기록/독출이 가능하다.
콘트롤 로직(230)은 CS/EN 단자, AUDIO/PWM 단자 또는/및 CLK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레지스터(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제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콘트롤 로직(230)은 임피던스 컨버터(27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는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생성하여 내부에 기록한다.
도 3에는 주파수 대비 임피던스 상관 그래프 이다. 콘트롤 로직(230)은 임피던스 컨버터(270)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대비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가 가장 큰 지점의 공진 주파수를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최적 구동 주파수로 계산한다.
콘트롤 로직(230)은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생성한 후, 기존에 생성된 최적의 구동 주파수와 비교 판단한 후, 최적의 데이터로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롤 로직(230)은 매 전원인가 때마다 또는 호스트에서 요청이 있을 경우 새로운 구동 주파수로 강제 수행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콘트롤 로직(230)은 온도 보상 회로(미도시)를 포함하여 피드백 데이터가 항상 동일한 주파수나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후로는 호스트의 특정 명령 없이도, 콘트롤 로직(230)은 피드백된 임피던스 데이터를 기준으로 드라이버 IC(200) 내부에서 구동 주파수 최적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호스트에서 Command 단자를 통해 특정 주파수로 변경이 들어올 경우 콘트롤 로직(230)은 구동 주파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40)는 드라이버 IC(200) 내부적 동기화를 담당하며, 특히 구동 주파수의 타이밍을 조절한다. 내부 동기화를 담당하기 위해 CLK 단자 대신 콘트롤 로직(230)에 클록을 제공할 수 있다.
부스트 콘트롤러(250)는 전원부로서,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생성한다.
드라이버&스위칭부(260)는 콘트롤 로직(230)이 계산한 최적 구동 주파수를 진동 액추에이터(110)에 출력하도록 스위칭 역할을 한다.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신호를 가공 처리하여 콘트롤 로직(230)으로 전송한다.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수신된 임피던스 신호를 이득 증폭 및 필터링(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한 후 콘트롤 로직(230)으로 전송한다.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은 콘트롤 로직(2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드라이버 IC(200)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드라이버 IC(2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드라이버 IC(200)의 상세도를 설명한다. 도 2와 비교 시에 도 4에서는 콘트롤 로직(230)이 계산한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저장하는 비 휘발성 메모리(280)가 더 포함된다. 다른 구성 요소의 설명은 도 2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비 휘발성 메모리(280)는 콘트롤 로직(230)에 의해 계산된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는 최적의 구동 주파수가 기록된다. 종래의 진동 모듈 드라이버 IC에서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주파수가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레지스터에 기록된 자료들은 모두 초기화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비 휘발성 메모리(280)에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동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삭제되지 않으며, 각 진동 액추에이터(110) 마다 최적의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최적의 구동 주파수가 저장되는 비 휘발성 메모리(280)가 드라이버 IC(200)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드라이버 IC(200) 외부에 위치(예를 들어 호스트의 메모리 영역)되어, 구동 시마다 외부에 위치된 비 휘발성 메모리(280)로부터 최적 구동 주파수를 독출하여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방법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510단계), 콘트롤 로직(230)은 임의의 구동 주파수를 출력하여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한다(520단계).
진동 액추에이터(110)가 구동되면,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530단계).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피드백된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 및 필터링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임피던스 데이터를 생성한 후 콘트롤 로직(230)으로 전송한다(540단계).
콘트롤 로직(230)은 임피던스 컨버터(27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는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레지스터(220)에 기록한다(550단계). 콘트롤 로직(230)은 임피던스 컨버터(270)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대비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가 가장 큰 지점의 공진 주파수를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최적 구동 주파수로 산출한다.
이후, 산출한 최적의 구동 주파수로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한다(560단계). 따라서 이후로는 호스트의 특정 명령 없이도, 콘트롤 로직(230)은 피드백된 임피던스 데이터를 기준으로 드라이버 IC(200) 내부에서 구동 주파수 최적화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 구동 방법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610단계), 콘트롤 로직(230)은 임의의 구동 주파수를 출력하여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한다(620단계).
진동 액추에이터(110)가 구동되면,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진동 액추에이터(110)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630단계).
임피던스 컨버터(270)는 피드백된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 및 필터링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임피던스 데이터를 생성한 후 콘트롤 로직(230)으로 전송한다(640단계).
콘트롤 로직(230)은 임피던스 컨버터(27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시키는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산출한다(650단계). 콘트롤 로직(230)은 임피던스 컨버터(270)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대비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가 가장 큰 지점의 공진 주파수를 진동 액추에이터(110)의 최적 구동 주파수로 산출한다.
이어서, 콘트롤 로직(230)은 산출한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비 휘발성 메모리(280)에 기록한다(660단계).
이후, 콘트롤 로직(230)은 호스트로부터 진동 액추에이터(110) 구동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670단계), 구동 명령이 수신되면, 비 휘발성 메모리(280)에 기록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진동 액추에이터(110)를 구동한다(680단계). 따라서 이후로는 호스트의 특정 명령 없이도, 콘트롤 로직(230)은 피드백된 임피던스 데이터를 기준으로 드라이버 IC(200) 내부에서 구동 주파수 최적화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진동 모듈 110: 진동 액추에이터
120: 지지 프레임 121: 수용부
200: 드라이버 IC 230: 콘트롤 로직
270: 임피던스 컨버터 280: 비 휘발성 메모리

Claims (13)

  1. 삭제
  2.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 및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임피던스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에 이득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구동수단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시마다 상기 구동수단으로 디지털로 변환된 임피던스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5. 삭제
  6.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 및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내부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임피던스 수신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기록 및 독출 가능한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에 이득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수신부는
    상기 구동수단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시마다 상기 구동수단으로 디지털로 변환된 임피던스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구동수단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시마다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장치.
  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a)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임의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b)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최적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동작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상기 임피던스 신호를 이득 증폭 및 필터링 한 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방법.
  12.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진동 모듈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a)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임의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b)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 되는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적 구동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된 최적의 구동 주파수를 내부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e) 호스트의 구동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최적 구동 주파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동작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상기 임피던스 신호를 이득 증폭 및 필터링 한 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동작 방법.
KR1020110025394A 2011-03-22 2011-03-22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18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94A KR101187921B1 (ko) 2011-03-22 2011-03-22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94A KR101187921B1 (ko) 2011-03-22 2011-03-22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921B1 true KR101187921B1 (ko) 2012-10-10

Family

ID=4728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394A KR101187921B1 (ko) 2011-03-22 2011-03-22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982A (ja) 2003-03-28 2004-10-21 Seiko Epson Corp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駆動方法、時計、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982A (ja) 2003-03-28 2004-10-21 Seiko Epson Corp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駆動方法、時計、および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536B2 (en) Head suspens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ead suspension with particular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between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wiring member
CN101714359B (zh) 头悬架及制造头悬架的方法
US8331061B2 (en) Head suspension including integral piezoelectric element electrode support member
CN101155442B (zh) 校准微机电话筒
JP4272701B2 (ja) 超音波アクチュエータ
US7608980B2 (en) Vib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2124643B (zh) 压电发电装置
US9510103B2 (en) Micro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ysical effect
CN1797550A (zh) 微驱动器、减振器、磁头折片组合及其磁盘驱动单元
KR100514032B1 (ko) 진동 특성이 제어되는 회로 카드 조립체
US9722168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10121048B2 (en) Operating method for a fingerprint sensing device and fingerprint sensing system
JP2007012203A (ja) マイクロ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ドジンバルアッセンブリ並びに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ヘッドジンバ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101187921B1 (ko)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CN109362003A (zh) 扬声器
CN109640233A (zh) 微机电扬声器
CN209017311U (zh) 扬声器
KR101204098B1 (ko) 진동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TW201234759A (en) Digital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micro-electromechanical element
JP2009124234A (ja) 電子部品、電子部品ユニット、スピーカ、及び、該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端末
KR2017003546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2045629A (zh) 非固定结构的电容扩音器组件
CN101350574A (zh) 驱动装置
US7294950B2 (en) Electrostatic actuator, electrostatic actuator driving metho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driving method
KR100502782B1 (ko) 압전형 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