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835B1 -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835B1
KR101187835B1 KR1020100012921A KR20100012921A KR101187835B1 KR 101187835 B1 KR101187835 B1 KR 101187835B1 KR 1020100012921 A KR1020100012921 A KR 1020100012921A KR 20100012921 A KR20100012921 A KR 20100012921A KR 101187835 B1 KR101187835 B1 KR 10118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rior
exterior material
frame bar
nu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094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10001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8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E04F21/1877Leve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 앵커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 및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 브래킷 안쪽에서 고정 볼트에 체결되는 조절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통해서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설치되되 조절 너트의 회전을 통해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있어서, 길이가 긴 막대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이 된 프레임 바; 프레임 바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프레임 바의 전방 측에는 조절 너트의 외곽이 삽입되는 너트 캡이 형성되는 한편 프레임 바의 후방 측에는 너트 캡과 동일한 축으로 종동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종동 회전체; 프레임 바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프레임 바의 후방 측에는 종동 회전체의 종동 스프로킷과 대응하는 구동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한편 프레임 바의 전방 측에는 구동 스프로킷을 강제 구동시키기 위한 핸들이 형성된 구동 회전체; 및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연결시켜 구동 회전체의 회전력이 종동 회전체에 전달되게 하는 체인;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Tool for adjusting gap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의 벽과 건축외장재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 등 석재는 일정 형태와 크기로 가공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으로 건물의 벽면에 고정 부착된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통해서 건물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이용해 건축외장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벽면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2), 건축외장재(30)에 고정 설치된 앵커(32)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14), 앵커(32)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14)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14)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16) 및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이 전후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 너트(18)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고정 브래킷(12)의 전면 상에는 상부가 개방이 된 형태의 조절 너트 설치홈(12a)이 형성이 되어 있음에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 너트 설치홈(12a)에 위치된 조절 너트(18)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브래킷(12)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12)이 우선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가 된 상태에서 조절 너트(18)가 조절 너트 설치홈(12a) 상에 위치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조절 너트(18)를 회전 동작시키게 되면 건축외장재(30)에 매립된 앵커(32)에 나사 체결된 고정 볼트(14)가 동작이 되면서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건축외장재(30)가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고 조절 너트(18)는 건축외장재(30)의 뒤에 위치됨에 따라서 도면에 A로 표시된 구간 내의 조절 너트(18)는 다른 건축외장재(30)에 포위가 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 또는 소형 공구가 쉽게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의 벽면과 건축외장재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벽면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 앵커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 및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 브래킷 안쪽에서 고정 볼트에 체결되는 조절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통해서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설치되되 조절 너트의 회전을 통해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있어서, 길이가 긴 막대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이 된 프레임 바; 프레임 바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프레임 바의 전방 측에는 조절 너트의 외곽이 삽입되는 너트 캡이 형성되는 한편 프레임 바의 후방 측에는 너트 캡과 동일한 축으로 종동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종동 회전체; 프레임 바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프레임 바의 후방 측에는 종동 회전체의 종동 스프로킷과 대응하는 구동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한편 프레임 바의 전방 측에는 구동 스프로킷을 강제 구동시키기 위한 핸들이 형성된 구동 회전체; 및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연결시켜 구동 회전체의 회전력이 종동 회전체에 전달되게 하는 체인;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서 구동 회전체가 설치된 측의 프레임 바 끝단에는 작업시 작업자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서 손잡이 끝에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서 종동 회전체 및 구동 회전체가 조립되는 프레임 바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베어링의 설치를 위한 베어링 캡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의하면 건물 벽에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특성상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위치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조절 너트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의하면 건물의 벽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건물의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장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 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통해 건축외장재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의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의 단면도.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의 구성 및 사용 상태 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를 지시하는 것이며, 일부의 도면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배경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는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를 이용해서 건축외장재(3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전술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배경기술의 설명에서 이미 설명이 이루어진 바와 같이, 벽면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12a)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12), 건축외장재(30)에 고정 설치된 앵커(32)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14), 앵커(32)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14)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14)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16) 및 벽(20)에 대하여 건축외장재(30)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 브래킷(12) 안쪽에서 고정 볼트(14)에 체결되는 조절 너트(18)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는 전술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를 이용해서 건물의 벽(20)에 건축외장재(30)를 부착 고정을 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 직접 닿지 않는 곳에 위치된 조절 너트(18)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 조절을 위해 구성되는 공구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는 길이가 긴 막대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이 되는 프레임 바(110), 프레임 바(110)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회전체(120), 프레임 바(110)의 다른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회전체(130) 및 종동 회전체(120)와 구동 회전체(130)를 상호 연결시켜 구동 회전체(130)의 회전력이 종동 회전체(120)에 전달되게 설치되는 체인(14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에서 종동 회전체(120)는 조절 너트(18)의 외곽이 삽입되게 프레임 바(11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너트 캡(124)과, 너트 캡(124)과 동일한 축(122)으로 프레임 바(11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종동 스프로킷(12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너트 캡(122)의 내각은 전술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의 조절 너트(18)의 외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조절 너트(18)가 6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너트 캡(124)의 내각도 6각형으로 형성이 된다. 따라서, 전술한 너트 캡(124)에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의 조절 너트(18)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에서 구동 회전체(130)는 전술한 종동 스프로킷(126)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바(11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구동 스프로킷(136)과, 작업자가 구동 스프로킷(136)을 강제 구동시키기 위해 프레임 바(110)의 전방 측에 구동 스프로킷(136)과 동일한 축(132)으로 형성되는 핸들(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핸들(134)은 작업자가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핸들(134)은 프레임 바(110)의 전방으로 너트 캡(12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돌출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에서 프레임 바(110)에 대한 종동 회전체(120) 및 구동 회전체(130)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종동 회전체(120)의 종동축(122)과 구동 회전체(130)의 구동축(132)은 각각 베어링(128,138)을 매개로 프레임 바(110)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128,138)을 매개로 종동 회전체(120)와 구동 회전체(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 바(110)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베어링(112,114)의 설치를 위한 베어링 캡(112,114)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장착이 된다.
그리고 전술한 종동 회전체(120)의 종동 스프로킷(126)과 구동 회전체(130)의 구동 스프로킷(136)은 체인(140)으로써 연결이 됨으로써 작업자가 구동 회전체(130)의 핸들(134)을 강제로 돌릴 경우,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의 조절 너트(18)를 감싸고 있는 종동 회전체(120)의 너트 캡(124)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에서 구동 회전체(130)가 설치된 측의 프레임 바(110) 끝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50)가 형성이 된다.
또한, 전술한 손잡이(150) 끝단 부분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걸어두기 위한 고리(152)가 형성이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가 사용되는 상태 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는 전술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가 고정 설치되고,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에 매립된 앵커(32)에는 고정 볼트(14)가 체결된다.
그리고 고정 볼트(14)의 후단 부분에 조절 너트(18)가 나사 체결이 된 상태에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는 전술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에 설치가 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 볼트(14)에 나사 체결된 조절 너트(18)는 고정 브래킷(12)에 형성된 조절 너트 설치홈(12a)에 위치된다.
한편, 한 장의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로써 설치가 되는데, 이때 다른 건축외장재(30)로 포위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소형 공구가 닿지 않는 A 구간에 위치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의 조절 너트(1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를 통해서 해당 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된다. 이때,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의 너트 캡(124)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의 조절 너트(18)를 감싼 상태가 된다.
즉, 작업자가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의 핸들(134)를 회전시키게 되면 체인(140)를 통해서 구동 회전체(130)의 회전력이 종동 회전체(120)로 전달되고, 조절 너트(18)를 감싸고 있는 너트 캡(124)이 회전되면서 조절 너트(18)는 해당 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되면서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100)를 이용하면, 건물의 벽(20)에 대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의 간격 조절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가 있다.
1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2. 고정 브래킷
14. 고정 볼트 18. 고정 너트
20. 벽 30. 건축외장재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110. 프레임 바
112. 베어링 캡 114. 베어링 캡
120. 종동 회전체 124. 너트 캡
126. 종동 스프로킷 130. 구동 회전체
134. 핸들 136. 구동 스프로킷
150. 손잡이

Claims (4)

  1. 벽면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 상기 앵커에 나사 결합이 된 상기 고정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 볼트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 안쪽에서 고정 볼트에 체결되는 조절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통해서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설치되되 상기 조절 너트의 회전을 통해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에 있어서, 길이가 긴 막대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이 된 프레임 바; 상기 프레임 바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 바의 전방 측에는 조절 너트의 외곽이 삽입되는 너트 캡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 바의 후방 측에는 상기 너트 캡과 동일한 축으로 종동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종동 회전체; 상기 프레임 바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 바의 후방 측에는 상기 종동 회전체의 종동 스프로킷과 대응하는 구동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 바의 전방 측에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을 강제 구동시키기 위한 핸들이 형성된 구동 회전체; 및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연결시켜 상기 구동 회전체의 회전력이 종동 회전체에 전달되게 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동 회전체가 설치된 측의 상기 프레임 바 끝단에는 작업시 작업자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끝에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회전체 및 구동 회전체가 조립되는 상기 프레임 바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베어링의 설치를 위한 베어링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KR1020100012921A 2010-02-11 2010-02-11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KR10118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21A KR101187835B1 (ko) 2010-02-11 2010-02-11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21A KR101187835B1 (ko) 2010-02-11 2010-02-11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094A KR20110093094A (ko) 2011-08-18
KR101187835B1 true KR101187835B1 (ko) 2012-10-04

Family

ID=4492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21A KR101187835B1 (ko) 2010-02-11 2010-02-11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07B1 (ko) * 2015-03-23 2015-09-21 (주)영앤핀치 식생토낭을 결속시켜 암반 사면 또는 구조물 벽체에 고정하는 부재 및 식생토낭을 이용한 암반 사면 또는 구조물 벽체의 녹화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366A (zh) * 2018-11-28 2019-02-15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可调节装饰板安装结构
IT202000006886A1 (it) * 2020-04-01 2021-10-01 Cdm Tradings S R L Meccanismo di regolazione, in particolare per la regolazione della posizione di pannelli su pareti a facciata continu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099U (ko) 1975-01-29 1976-07-30
JPS5378697U (ko) 1976-12-03 1978-06-30
JPS63154169U (ko) 1987-03-30 1988-10-11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099U (ko) 1975-01-29 1976-07-30
JPS5378697U (ko) 1976-12-03 1978-06-30
JPS63154169U (ko) 1987-03-30 1988-10-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07B1 (ko) * 2015-03-23 2015-09-21 (주)영앤핀치 식생토낭을 결속시켜 암반 사면 또는 구조물 벽체에 고정하는 부재 및 식생토낭을 이용한 암반 사면 또는 구조물 벽체의 녹화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094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835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간격조절 공구
EP2405089A2 (en) Door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EP1342521A3 (en) Interchangeable blade cutting tool
CN106457609A (zh) 改进的墙壁或地板锯
CN201713192U (zh) 自动人行道上的支撑结构
JP4215128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KR20100010115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589042B1 (ko)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KR101208103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CN101153512A (zh) 弧形屋面连接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302552B1 (ko)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KR10079545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13124444A5 (ko)
KR101017373B1 (ko) 핸드레일
CN108908729A (zh) 一种装配建筑用混凝土搅拌装置
KR101032926B1 (ko) 루버장치
CN203500224U (zh) 一种闭锁螺栓组件
KR101028425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CN207214466U (zh) 一种装配效率高的燃气热水器
JP4820844B2 (ja) 動力伝達軸の継手構造
CN106168064B (zh) 一种捶力均匀的施工用橡胶锤
CN105058572A (zh) 一种烟道机
KR200427238Y1 (ko) 회전식 캐리어로울러 스탠드
CN214237936U (zh) 手持工具
KR100986284B1 (ko) 건축 마감재 설치용 앵커 볼트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