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840B1 -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 Google Patents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840B1
KR101186840B1 KR1020120008363A KR20120008363A KR101186840B1 KR 101186840 B1 KR101186840 B1 KR 101186840B1 KR 1020120008363 A KR1020120008363 A KR 1020120008363A KR 20120008363 A KR20120008363 A KR 20120008363A KR 101186840 B1 KR101186840 B1 KR 10118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xpansion body
rear end
screw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붕전
김정호
전현욱
김영광
백팔중
김현태
임원규
김용호
신현상
원청지
Original Assignee
실리기업 주식회사
한붕전
원청지
신현상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기업 주식회사, 한붕전, 원청지, 신현상, 김용호 filed Critical 실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4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of roller-cutt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4Directional drilling
    • E21B7/046Directional drilling horizontal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 관로공의 추가 확공작업에 있어 지중매설용 파이프 직경에 따라 확공기의 크기를 달리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착 관로공의 확공을 위한 자체회전 굴진은 물론 굴진력 증대 및 공벽 침하방지용 벤토나이트 이수액을 전방으로 고압분사할 수 있게 된 주확공체;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에 연속 증결된 상태로 동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관로공의 확장 확공이 가능토록 한 보조확공체; 및,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와 상기 보조확공체의 전단부 상호 간의 밀착 연계조립을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THE REAMER FOR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HAVING A VARIABLE STRUCTURE}
본 발명은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 관로공의 추가 확공작업에 있어 지중매설용 파이프 직경에 따라 확공기의 크기를 달리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 공급 및 오수 처리용 상?하수관 혹은 통신케이블의 지하선로 역할을 위한 파이프(Pipe)를 지중매설(地中埋設 : 땅속에 파묻음)하는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를 실시하기 마련이다.
최근 들어서는, 지표면을 개착(開鑿)하지 않고도 상기한 지하선로의 구축이 가능한 수평지향식 굴착공법(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 HDD)을 주로 하는바, 이는 기존의 오픈트렌치(Open trench) 방식을 이용한 지표면 개착시의 주변교통 정체는 물론 토사 되메우기(Backfilling, 覆土)로 인한 지반침하는 물론 하천 등지에서의 물막이 공사 및 선로 우회의 문제점을 단번에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수평지향식 굴착공법에 필요한 장비로는, 자체엔진과 굴진트랙 그리고 구동로드의 장착장치로 구성되고, 회전력과 추진력 제공을 위한 메인장치에 상기 구동로드가 연결되며, 상기한 구동로드의 그 선단에는 굴착시와 확공시 사용하는 드릴헤더 및 확공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드릴헤더는,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에 연결되는 굴착공구로써, 전면에 다수의 팁을 가진 비트가 설치되고, 회전 굴진(掘進, Digging)을 통해 소구경 관로공을 굴착하게 된다.
반면, 상기한 확공기는, 상기 드릴헤더를 대체하여 구동로드의 선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관로공을 역주행하면서 그 관로공을 확장시키게 된 굴착공구로써, 전단이 뾰족한 원추형 몸체이고, 다수의 팁이 전면에 장착된 회전형 추진체이다.
도 1은 통상의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를 이용한 관로공의 확공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써, 상술한 구조로 된 굴착장비를 이용한 통상의 지향식 수평굴착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드릴헤더를 전방으로 회전 굴진시켜 관로공(810)을 천공한 이후, 상기 관로공(810)의 대향 방향으로 인출된 구동로드(910)로부터 드릴헤더를 분리하고 확공기(920)를 대신 연결한 다음, 회전력을 갖는 상기 확공기(920)를 끌어당겨 소구경 관로공(810)을 재차 굴착하는 것에 따라 확장공(820)으로 확공시킨다.
여기서, 상기 드릴헤더와 확공기(920)를 이용한 굴착 및 확공시, 굴진 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관로공(810)의 공벽(孔壁) 침하방지를 위해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적정비율로 물에 혼합한 이수액(泥水掖, "이하 벤토나이트 이수액"이라 한다)을 굴진방향 전방으로 고압분사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관로공(810)의 확공시 상기 확공기(920)에 지중매설을 위한 관체(도시하지 않음)를 매달아 함께 인입시켜 즉시 매설하거나 차후 별도로 상기한 확장공(820) 내로 삽입시켜 매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확공기(920)는, 직경 크기가 미리 정해져 제작되는 단일구조체인 관계로, 시공 의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경으로의 지하선로 확공작업을 위하여는 지름 크기가 제각기 다른 여러 대의 확공기(920)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확공기(920)들마다, 자체 회전장치(모터 등)는 물론 벤토나이트 이수액의 고압분사를 위한 분사장치 등이 독립적으로 내장됨에 따라, 판매가격이 고가로 책정될 수밖에 없어 그로 인한 장비구매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재정적 부담을 구매자가 떠안게 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져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확공체의 후단부로부터 밀착 증결(增結, Additional connection)이 가능한 지름 확장형 보조확공체를 더 구비하여, 관로공의 확장 직경에 용이 대응 상태로 확공작업을 신속히 이룰 수 있게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착 관로공의 확공을 위한 자체회전 굴진은 물론 굴진력 증대 및 공벽 침하방지용 벤토나이트 이수액을 전방으로 고압분사할 수 있게 된 주확공체;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에 연속 증결된 상태로 동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관로공의 확장 확공이 가능토록 한 보조확공체; 및,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와 상기 보조확공체의 전단부 상호 간의 밀착 연계조립을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확공체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경사형 경단부와, 상기 경단부 이후로부터 기체의 말단까지 동일 지름으로 연이어 형성됨에 따라, 굴진 기체가 공벽에 밀착된 상태로 굴진트랙을 이탈치 않도록 한 평행형 평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보조확공체가 관통삽입될 수 있는 연계샤프트가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조확공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계샤프트가 관통삽입될 수 있는 중앙통공이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각각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확공체는, 상기 주확공체의 최대 지름 크기와 같거나 큰 지름으로 된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경사형 경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단부 이후로부터 기체의 말단까지 동일 지름으로 연이어 형성됨에 따라, 굴진 기체가 공벽에 밀착된 상태로 굴진트랙을 이탈치 않도록 한 평행형 평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보조확공체는, 최대 지름 크기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 다수로 구성된 상태로,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로부터 순차적 연계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 중앙 및 상기 보조확공체의 후단부 중앙에 각각 내향형성되되, 나사산이 내경면에 더 형성된 암나사홀과, 상기 보조확공체의 전단부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암나사홀에 나사식 삽입체결을 이루게 된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홀 및 상기 수나사부의 나사산은, 상기 주확공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확공체 및 상기 보조확공체 각각의 후단부로 일 부위로부터 다수 내향형성되되, 나사산이 내경면에 더 형성된 스크류체결공과, 상기 스크류체결공과 연통하도록 상기 보조확공체의 일 부위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형성된 다수의 스크류통공과, 상기 스크류통공을 각각 통과 후 상기 스크류체결공에 나사식 체결을 이루는 스크류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계샤프트의 선단부에 상기 주확공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역나사산형 치형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확공체의 후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 와셔와, 상기 치형부에 나사식 체결을 이루는 압착너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는, 주확공체 그 후단부로부터의 보조확공체 증결을 통해, 다양한 직경 크기로의 관로공 확공작업을 위하여 규격이 제각기 다른 여러 대의 확공기 구입(확보)으로 인한 재정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은 보조확공체의 증결구조 달성으로, 공사현장에서의 관로공 확공 크기 변경시에도 그에 신속 대응한 확공작업을 이룰 수 있는 등의 작업효율 향상 및 이에 따른 공정기간의 획기적 단축을 통하여, 동종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동종업계의 투자유치 상승에 크게 기여할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통상의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를 이용한 관로공의 확공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를 이용한 관로공의 확공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에 있어,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를 이용한 관로공의 확공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A)는, 굴착 관로공의 확공을 위한 자체회전 굴진 및 굴진력 증대와 더불어 공벽 침하방지용 벤토나이트 이수액을 전방으로 고압분사할 수 있게 된 주확공체(1)와,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에 연속 증결된 상태로 동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관로공의 확장 확공이 가능토록 한 보조확공체(2)와,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와 상기 보조확공체(2)의 전단부 상호 간의 밀착 연계조립을 위한 체결부재(3)로 구성된다.
주확공체(1)는, 구동로드(910)의 그 선단에 밀착 연계장착된 상태로 상기한 구동로드(91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력에 의해 내부 추진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분사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펌핑작용에 따라 자체 회전 굴진 및 굴진 전방으로 벤토나이트 이수액의 고압분사가 가능케 된 독립 구조체로, 상기 관로공 공벽에 밀착상태로 역주행시의 확공이 용이토록 원추형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경단부(1-1), 상기 경단부(1-1) 이후로부터 기체(機體)의 말단까지 동일 지름으로 연이어짐에 따라 관로공 확공에 의한 확장공 공벽에 밀착된 기체가 굴진트랙을 이탈치 않도록 한 평단부(1-2)가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로드(도 1, 910)가 전단부에 조립결합되며, 상기 보조확공체(2)가 후단부에 밀착결합된다.
상기 경단부(1-1)에는, 상기한 관로공의 공벽 확장을 위한 기체의 자체회전시 토사나 암석을 파쇄할 수 있는 다수의 굴착팁(11)이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구동로드를 통해 공급되는 벤토나이트 이수액이 굴진 전방으로 고압분사될 수 있는 노즐공(12)이 다수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보조확공체(2)가 연이어 관통삽입됨에 적당한 길이로 된 연계샤프트(13)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연계샤프트(13)의 최 선단에는 관로공의 확장시 지하매설용 파이프를 연결시킨 상태로 동시 삽입을 가능케 하기 위한 목적으로 걸이공(131a)이 관통된 걸이구(131)가 더 연장형성된다.
보조확공체(2)는,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한 주확공체(1)의 직경보다 큰 관로공의 확공작업을 가능케 하는 증결 구조체로, 상기 주확공체(1)의 최대 지름 크기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경단부(2-1), 상기 경단부(2-1) 이후로부터 기체의 말단까지 동일 지름으로 연이어짐에 따라 관로공 확공에 의한 확장공 공벽에 밀착된 기체가 굴진트랙을 이탈치 않도록 한 평단부(2-2)에 의해, 상기 주확공체(1)와 마찬가지로 원추형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한 보조확공체(2)의 상기 경단부(2-1)에는, 상기의 주확공체(1)에 연계한 회동시 토사나 암석의 파쇄를 위한 다수의 굴착팁(21)이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확공체(2)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주확공체(1)의 연계샤프트(13)가 관통삽입될 수 있는 중앙통공(22)이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각각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3)는,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로부터 상기한 보조확공체(2)를 밀착 연계결합함에 필요한 장착수단으로,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 중앙 및 상기 보조확공체(2)의 후단부 중앙에 각각 내향형성되되 나사산이 내경면에 더 형성된 암나사홀(31)과, 상기 보조확공체(2)의 전단부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주확공체(1) 및 보조확공체(2) 각각의 각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홀(31)에 나사식 삽입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된 수나사부(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암나사홀(31) 및 수나사부(32)의 나사산 형성방향은, 상기 구동로드에 의해 자체회전하는 상기 주확공체(1)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역사산으로써, 확공작업시 상기 주확공기(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에 있어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써, 상기 체결부재(3)의 그 구성을 달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보조확공체(2)를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조확공체(2)의 후단부를 압박고정하도록 된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계샤프트(13)의 선단부에 역나사산형 치형부(33)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조확공체(2)의 후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 와셔(34)와, 상기 와셔(34)에 의한 상기 보조확공체(2)의 밀착상태 유지를 위해 상기 치형부(33)에 나사식 체결을 이루는 압착너트(35)로 구성된다.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주확공체(1) 및 상기 보조확공체(2) 각각의 후단부로부터 내향형성되되, 나산이 내경면에 더 형성된 스크류체결공(36)과, 상기한 스크류체결공(36)과 연통하도록 상기 보조확공체(2)의 일부위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스크류통공(37)과, 상기한 스크류통공(37)을 각각 통과한 후 상기 스크류체결공(36)에 나사식 체결을 이루도록 된 스크류볼트(38)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의 보조확공체(2)에 관통형성된 상기 스크류통공(37) 각각의 일측 선단부에는, 상기한 스크류볼트(38)의 두부(頭部)가 상기 후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내재수용 가능한 수용홈(371)이 더 내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로 상기 보조확공체(2)를 밀착 연계장착하되, 상기한 보조확공체(2)를 하나 이상 다수로 하여 순차적으로 연계장착함을 통해 상기 관로공(810) 확공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공(820)의 내경을 더 확장시킬 수 있음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드릴헤더를 이용하여 관로공(810)을 천공한 이후, 상기 관로공(810)의 대향 방향으로 인출된 구동로드(910)로부터 드릴헤더를 분리함과 동시에 확공기(920)를 대신 연결한 다음 상기한 확공기(920)를 끌어당겨 소구경 관로공(810)을 재차 굴착하는 것으로써 대구경 확장공(820) 형성을 위한 확공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관로공(810)의 확공 직경 크기가 소구경일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확공체(1)만을 구동로드(910)의 그 선단에 연결시킨 상태로 상기한 관로공(810)의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주확공체(1)의 최대 직경보다 큰 대구경 확장공(820)으로 상기 관로공(810)을 확공할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상기 보조확공체(2)를 상기한 체결부재(3)(3')(3")를 이용하여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에 연이어 증결시키는 것으로써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확공체(2)를 하나 이상 다수로 하여 상기 주확공체(1)의 후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계장착하는 것을 통해, 관로공(810) 확공작업에 의해 최종 형성되는 상기 확장공(820)의 내경 지름을 더욱 크게 확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직경에 맞는 크기로의 관로공 확장시 그에 맞는 직경의 규격으로 된 확공기를 상기 구동로드(910)에 장착 사용해야만 하였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상기한 관로공(810)의 확공 직경 크기에 맞춰 상기 보조확공체(2)를 단순 증결(장착)함을 통해서, 시공 의뢰업체에서 요구하는 관로공(810)의 확공은 물론 공사현장에서의 확공작업 변경시에도 즉시 대응하여 그에 적합한 확장공(820)의 형성을 위한 확공작업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확공기, 1 : 주확공체
1-1, 2-1 : 경단부, 1-2, 2-2 : 평단부
2 : 보조확공체, 3, 3', 3" : 체결부재
11, 21 : 굴착팁, 12 : 노즐공
13 : 연계샤프트, 22 : 중앙통공
31 : 암나사홀, 32 : 수나사부
33 : 나사치형, 34 : 와셔
35 : 압착너트, 36 : 스크류체결공
37 : 스크류통공, 38 : 스크류볼트
131 : 걸이구, 131a : 걸이공
371 : 수용홈

Claims (8)

  1. 굴착 관로공의 확공을 위한 자체회전 굴진은 물론 굴진력 증대 및 공벽 침하방지용 벤토나이트 이수액을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 주확공체;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에 연속 증결된 상태로 동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관로공의 확장 확공이 가능토록 한 보조확공체; 및,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와 상기 보조확공체의 전단부 상호 간의 밀착 연계조립을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보조확공체를 관통할 수 있는 연계샤프트가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조확공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계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중앙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확공체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경사형 경단부와,
    상기 경단부 이후로부터 기체의 말단까지 동일 지름으로 연이어 형성됨에 따라, 굴진 기체가 공벽에 밀착된 상태로 굴진트랙을 이탈치 않도록 한 평행형 평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확공체는, 상기 주확공체의 최대 지름 크기와 같거나 큰 지름으로 된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경사형 경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단부 이후로부터 기체의 말단까지 동일 지름으로 연이어 형성됨에 따라, 굴진 기체가 공벽에 밀착된 상태로 굴진트랙을 이탈치 않도록 한 평행형 평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확공체의 후단부 중앙 및 상기 보조확공체의 후단부 중앙에 각각 내향형성되되, 나사산이 내경면에 더 형성된 암나사홀과,
    상기 보조확공체의 전단부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암나사홀에 나사식 삽입체결을 이루게 된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홀 및 상기 수나사부의 나사산은, 상기 주확공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확공체 및 상기 보조확공체 각각의 후단부로부터 다수 내향형성되되, 나사산이 내경면에 더 형성된 스크류체결공과,
    상기 스크류체결공과 연통하도록 상기 보조확공체의 일 부위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형성된 다수의 스크류통공과,
    상기 스크류통공을 각각 통과 후 상기 스크류체결공에 나사식 체결을 이루는 스크류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계샤프트의 선단부에 상기 주확공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역나사산형 치형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확공체의 후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 와셔와,
    상기 치형부에 나사식 체결을 이루는 압착너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KR1020120008363A 2012-01-27 2012-01-27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KR10118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63A KR101186840B1 (ko) 2012-01-27 2012-01-27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63A KR101186840B1 (ko) 2012-01-27 2012-01-27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840B1 true KR101186840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363A KR101186840B1 (ko) 2012-01-27 2012-01-27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8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035B1 (ko) * 2017-02-28 2017-12-13 실리기업 주식회사 스크류 구조를 갖는 지향식 수평굴착용 확공기
RU176117U1 (ru) * 2017-08-31 2018-01-09 Владимир Вадимович Калинин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асширитель
KR101961598B1 (ko) 2018-10-01 2019-03-22 안종하 직진성향을 갖는 수평 굴착공사용 확공기
RU201325U1 (ru) * 2020-03-02 2020-12-09 Владимир Вадимович Калинин Расширитель режуще-уплотняющий пластинчатый
KR102453712B1 (ko) * 2021-12-30 2022-10-12 비손 주식회사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방법
KR102524630B1 (ko) 2023-01-31 2023-04-21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워터 해머를 이용한 고압 분사 기반의 지향식 압입 공법
KR102524624B1 (ko) 2023-01-31 2023-04-21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천공 부산물의 처리 기능을 강화한 지향식 압입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5277A1 (en) * 2001-06-20 2002-12-26 David Camp Back reamer assembly
JP2004293141A (ja) * 2003-03-26 2004-10-21 Komatsu Ltd 地盤孔明機のリーマ装置
US20060060384A1 (en) 2004-09-22 2006-03-23 Michael Tod J Interchangeable rea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5277A1 (en) * 2001-06-20 2002-12-26 David Camp Back reamer assembly
JP2004293141A (ja) * 2003-03-26 2004-10-21 Komatsu Ltd 地盤孔明機のリーマ装置
US20060060384A1 (en) 2004-09-22 2006-03-23 Michael Tod J Interchangeable ream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035B1 (ko) * 2017-02-28 2017-12-13 실리기업 주식회사 스크류 구조를 갖는 지향식 수평굴착용 확공기
RU176117U1 (ru) * 2017-08-31 2018-01-09 Владимир Вадимович Калинин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асширитель
KR101961598B1 (ko) 2018-10-01 2019-03-22 안종하 직진성향을 갖는 수평 굴착공사용 확공기
RU201325U1 (ru) * 2020-03-02 2020-12-09 Владимир Вадимович Калинин Расширитель режуще-уплотняющий пластинчатый
KR102453712B1 (ko) * 2021-12-30 2022-10-12 비손 주식회사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방법
KR102524630B1 (ko) 2023-01-31 2023-04-21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워터 해머를 이용한 고압 분사 기반의 지향식 압입 공법
KR102524624B1 (ko) 2023-01-31 2023-04-21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천공 부산물의 처리 기능을 강화한 지향식 압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840B1 (ko)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수평지향식 굴착공사용 확공기
KR100919628B1 (ko) 초경팁이 구비된 굴착면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직천공장치용 천공비트
US9611696B2 (en) Directional drill hammer pullback device
US6250403B1 (en) Device and method for enlarging a Bore
HK1109183A1 (en) Method for laying pipes without digging trenches
KR100722825B1 (ko) 굴삭기 부착형 다각도천공기 및 이의 지중 천공방법
CN102597597A (zh) 具有内加强器环的钻杆管状连接件
US7699123B2 (en) Bore hole sleeve reaming apparatus and method
JP3493014B2 (ja) トンネル拡幅方法
KR101309774B1 (ko) 지중관로의 굴착방법
RU2428544C2 (ru) Сб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ротаскив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 скважинах, выполненных методом горизонтально направленного бурения в неустойчивых грунтах
KR100769089B1 (ko) 다각도 암반천공장치
CN115874613A (zh) 一种超前斜向螺纹扩大体复合桩、施工设备及其施工工艺
CN100510320C (zh) 隧道挖掘方法
JP3272324B2 (ja) 削孔用連結ロッド組立体の解体方法及び装置並びに回転止め治具
JP2011184898A (ja) シールドルーフ工法
CN212427488U (zh) 一种污水管道混凝土堵塞疏通钻头及装置
JP4967103B2 (ja) 合成樹脂管の地中敷設工法
JP3235704U (ja) 地中掘削装置
KR102453712B1 (ko)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방법
KR100769088B1 (ko) 다용도 천공각도 조절장치
CN113483147A (zh) 水平定向钻和顶管组合装置以及钢筋混凝土管施工方法
RU126359U1 (ru) Расширитель скважин
US73898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ored hole
JP3542108B2 (ja) 地中管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