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573B1 -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573B1
KR101186573B1 KR1020100111348A KR20100111348A KR101186573B1 KR 101186573 B1 KR101186573 B1 KR 101186573B1 KR 1020100111348 A KR1020100111348 A KR 1020100111348A KR 20100111348 A KR20100111348 A KR 20100111348A KR 101186573 B1 KR101186573 B1 KR 10118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image reproducing
reproducing apparatus
master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041A (ko
Inventor
전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to KR102010011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5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영상들에서,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영역을 각각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각각의 선택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결합하여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결합부; 및 상기 부분 입체 영상을 상기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MULTIVISION SYSTEM AND 3-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METHOD INCLUDING MULTI 3-DIMENTIONAL IMAGE REPRODUCING APPPARATUS}
개시된 기술은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3-Dimension, 3D) 영상 콘텐츠의 상업화가 크게 성공함에 따라, 3차원 제품에 대한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3D TV, 3D 노트북, 3D 모니터, 3D 플레이어 등의 제품들이 출시되거나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은 관측자의 양안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인지되도록 하여 관측자가 인지한 영상을 머릿속으로 합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입체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대표적인 예로 입체 안경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입체 안경을 쓰지 않고도 입체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패럴렉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이 존재한다.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편광필터 방식(패시브 방식)과 셔터 글라스 방식(액티브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멀티비전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결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영상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종래에는 입체 영상을 멀티비전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PC를 통해 좌안 및 우안 영상을 크로핑(Cropping)하여 입체 영상 형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또한, 입체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에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 탑앤바텀(Top and bottom) 등이 있다.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하의 베젤(Bezel) 사이즈만 조정이 가능하였고, 좌우의 베젤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렌더링(Rendering)을 다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탑앤바텀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좌우의 베젤 사이즈만 조정이 가능하였고, 상하의 베젤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렌더링을 다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을 미리 설정한 입체 영상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은,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영상들에서,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영역을 각각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각각의 선택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결합하여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결합부; 및 상기 부분 입체 영상을 상기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서 수신한 이차원 영상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자체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을 미리 설정한 입체 영상 형식으로 변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서 입체 영상의 상하 및 좌우 베젤 사이즈 모두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의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의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사이즈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의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PC를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 영상을 부분 입체 영상으로 생성하여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송신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PC에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에 적합하게 분할하여 각각의 장치에 맞는 영역을 선택한다. PC는 선택된 영역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한다. 일 예로서, 좌안 및 우안 영상의 좌우 너비 또는 상하 높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PC는 크기가 조절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결합하여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할 때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 또는 탑앤바텀(Top and bottom) 형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부분 입체 영상이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식으로 제작된 것을 볼 수 있다. PC는 부분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수신한 부분 입체 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에 의해 각 영상이 베젤만큼 분리되어 보일 수 있어, 입체 영상 재생 장치에서 베젤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종래기술의 입체 영상을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식으로 제작하는 경우, 베젤(Bezel) 영역의 사이즈는 좌우 사이즈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입체 영상을 탑앤바텀 형식으로 제작하는 경우, 베젤 영역의 사이즈는 상하 사이즈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 장치(10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 제 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30), 제 3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가 3개이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230), 제 4 디스플레이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연결되고,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20)와 연결되고, 제 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30)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230)와 연결되고, 제 3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40)는 제 4 디스플레이 장치(240)와 연결될 수 있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먼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여기에서, 좌안 및 우안 영상은 2차원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수신된 좌안 및 우안 영상은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은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디코딩된 영상들 중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상응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의 경우, 일 실시예로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 130, 140)를 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20, 230, 240)의 영역과 상응하도록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하여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 130, 14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20, 230, 240)의 영역에 맞게 자체적으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내지 140)는 선택된 영상들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10 내지 240)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한다. 각각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내지 140)는 크기가 조절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결합하여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은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탑앤바텀 방식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입체 영상 재생 장치(110 내지 140)는 생성한 부분 입체 영상을 송신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10 내지 240)에 부분 입체 영상을 출력한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수신부(111), 디코딩부(112), 선택부(113), 조절부(114), 결합부(115) 및 출력부(116)를 포함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수신부(111)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일반적인 2차원 영상으로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동일할 영상일 것이 요구된다.
디코딩부(112)는 수신부(111)에서 수신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디코딩한다. 디코딩부(112)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동기화를 수반할 수 있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재생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각 입체 영상 재생장치 사이의 프레임의 재생 시간 차이를 산출하고, 프레임의 재생 시간 차이가 설정 값보다 크면, 기준 재생 시간 정보를 각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전송하여 재생 영상을 동기화한다. 또한,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의 경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재생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 전송하고,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기준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 영상을 동기화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은,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택부(113)는 디코딩된 영상들 중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에 연결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상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113)는 디코딩된 영상들을 멀티비전 시스템이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210 내지 240)의 수에 맞추어 분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코딩된 영상들은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수가 4개이므로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가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4개로 설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도 2에서 4개의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윗부분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13)는 선택된 영상들에서 베젤 영역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조절부(114)에 제공할 수 있고, 베젤을 제외한 영역의 사이즈는 상하 및 좌우로 조절가능하다.
조절부(114)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선택한 영상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한다. 일 예로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선택한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의 크기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이즈에 맞춰서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115)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결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일 예로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크기가 조절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결합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출력할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은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탑앤바텀 방식이 될 수 있다.
출력부(116)는 부분 입체 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결합부(115)에서 결합한 부분 입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부분 입체 영상 4개를 합하여 하나의 입체 영상을 출력한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한다(S310). 여기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일반적인 2차원 영상에 해당될 수 있다. 입체 영상 장치(10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 제 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30), 제 3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가 3개이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수신된 영상들을 디코딩한다(S320). 디코딩부(112)는 수신부(111)에서 수신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디코딩한다.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동기화를 수반할 수 있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재생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각 입체 영상 재생장치 사이의 프레임의 재생 시간 차이를 산출하고, 프레임의 재생 시간 차이가 설정 값보다 크면, 기준 재생 시간 정보를 각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전송하여 재생 영상을 동기화한다. 또한,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의 경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재생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 전송하고,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기준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 영상을 동기화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은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디코딩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서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상응하는 영역을 각각 선택한다(S33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230), 제 4 디스플레이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연결되고,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20)와 연결되고, 제 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30)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230)와 연결되고, 제 3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40)는 제 4 디스플레이 장치(2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디코딩된 영상들을 멀티비전 시스템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수에 맞추어 분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코딩된 영상들은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 130, 140)를 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20, 230, 240)의 영역과 상응하도록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하여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 130, 14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20, 230, 240)의 영역에 적합하게 자체적으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도 2에서 4개의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윗부분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는 도 2에서 4개의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윗부분의 영상을 선택하고, 제 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30)는 왼쪽 아랫부분의 영상을 선택하고, 제 3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40)는 오른쪽 아랫부분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선택된 영상들에서 베젤 영역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조절부(114)에 제공할 수 있고, 베젤을 제외한 영역의 사이즈는 상하 및 좌우로 조절가능하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각각의 선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한다(S340).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된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이즈에 맞춰서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크기가 조절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결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S350). 일 예로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의 결합부(115)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출력할 크기가 조절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결합하여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은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탑앤바텀 방식이 될 수 있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부분 입체 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한다(S360).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결합부(115)에서 결합한 부분 입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부분 입체 영상 4개가 합하여 하나의 입체 영상을 출력한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의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재생파일명과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배치를 조정한다(S502).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각각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가 재생해야 할 파일명과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의 배치 정보를 전송하고,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의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한다. 일 예로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왼쪽 윗부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조정하고,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에 오른쪽 윗부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배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502)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배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재생파일명 및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를 수신하고(S504), 수신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배치를 조정한다(S506).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오픈하고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을 연결하고, PAUSE 상태가 된다(S508).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TCP를 사용하여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에 연결하고, 이로 인해 기존에 UDP 사용으로 인해 데이터를 일부 놓치는 문제점을 수정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동기화를 위해 시작 STC(System Time Clock) 값을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한다(S510). STC는 MPEG 시스템의 영상 스트림에서 영상과 음성을 동기시키기 위한 기준 클럭을 말한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100)는 시스템의 STC 값과 영상 데이터 프레임의 디코딩 시간(또는, 재생 시간)을 매칭하여 재생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UDP를 브로드캐스팅을 위해 오픈하고 TCP를 오픈하며, PAUSE 상ㅌ태가 된다(S512).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시작 STC 값을 수신하고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가 영상 재생이 준비되었는지 확인한다(S514). 여기에서, 시작 STC 값을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수신하는 것은 TCP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영상 재생을 시작하는 명령을 전송한다(S516).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영상 재생을 시작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니캐스팅 방식과는 달리 한 번에 여러 대의 재생장치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어 재생장치들 간의 시간지연이 줄어들고, 시작할 때 동기화를 정확하게 한다면 중간 재생장치들 간의 동기화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영상 재생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고, 재생을 시작한다(S518).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재생되는 프레임의 수가 미리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동기가 맞는지 판단하기 위해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현재 STC 값을 전송한다(S520). 일 예로서, 미리 설정된 프레임 수는 24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하는 방식은 브로드캐스팅에 해당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현재 STC 값을 수신한다(S52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수신한 STC 값을 토대로 동기가 맞는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의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재생파일명과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에 의해 디스플레이 배치를 조정한다(S602).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각각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가 재생해야 할 파일명과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의 배치 정보를 전송하고,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한다.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1대1로 전송하는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배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재생파일명 및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를 수신하고(S604), 수신한 정보에 의해 디스플레이 배치를 조정한다(S606).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UDP(User Datagram Protocol)의 오픈을 스킵(skip)하고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을 연결하고, PAUSE 상태가 된다(S608). 도 5의 시작 과정에서 UDP를 오픈하고 TCP 연결하는 과정이 동기 맞춤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다시 반복하지 않는 것이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시작 STC(System Time Clock)값을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한다(S610). STC는 MPEG 시스템의 영상 스트림에서 영상과 음성을 동기시키기 위한 기준 클럭을 말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UDP를 오픈하는 것을 스킵하고 TCP를 개방하며, PAUSE 상태가 된다(S612).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시작 STC 값을 수신하고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가 영상 재생이 준비되었는지 확인한다(S614). 여기에서, 시작 STC 값을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로부터 수신하는 것은 TCP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영상 재생을 시작하는 명령을 전송한다(S616).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영상 재생을 시작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영상 재생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고, 재생을 시작한다(S618).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재생되는 프레임의 수가 미리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동기가 맞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현재 STC 값을 전송한다(S620). 일 예로서, 미리 설정된 프레임 수는 24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하는 방식은 브로드캐스팅에 해당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로부터 현재 STC 값을 수신한다(S62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수신한 STC 값을 토대로 동기가 맞는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베젤 사이즈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베젤(bezel)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을 둘러싸는 케이스(case) 부분에 의해 각 영상이 베젤 크기만큼 분리되어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각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내지 140)는 베젤 영역의 사이즈에 맞추어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이 베젤에 의해 가리어 진 것과 같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각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내지 140)에서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4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동기화된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이다. 예컨대,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및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를 포함하는 전체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 내지 140)의 수인 4로 분할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분할된 영상 중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3개의 분할 영상들을 각각 상응하는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하나의 영상 데이터에서 좌측 상부 영역의 영상을 베젤 사이즈를 고려하여 확대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상 데이터가 1920×1080 픽셀 크기의 영상 데이터인 경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좌측 상부 영역의 영상을 확대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데이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4 등분하는 경우, 좌측 상부 영역의 영상은 960×540 픽셀 크기의 영상이 된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960×540 픽셀 크기의 좌측 상부 영상에서, 우측과 하측에 위치한 영역을 베젤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거하고, 남은 영역을 1920×1080 픽셀 크기의 영상으로 확대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에서 SX와 SY는 각각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영상의 좌측 모서리 시작 위치를 나타내며, SW는 X축을 기준으로 영상의 수평 영역 길이를 나타내며, SH는 Y축을 기준으로 영상의 수직 영역 길이를 나타낸다.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는 영상의 우측과 하측에 위치한 영역을 베젤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거하므로, SX와 SY는 각각 0, 0 위치에서 시작하며, SW는 960-LTH 길이를 가지고, SH는 540-LTV 길이를 가진다. LTH와 LTV 값은 상수이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2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는 960×540 픽셀 크기의 우측 상부 영상에서, 좌측과 하측에 위치한 영역을 베젤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거하므로, SX와 SY는 각각 960+RTH, 0 위치에서 시작하며, SW는 960-RTH 길이를 가지고, SH는 540-RTV 길이를 가진다. 제 3 디스플레이 장치(23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30)는 960×540 픽셀 크기의 좌측 하부 영상에서, 영상의 우측과 상측에 위치한 영역을 베젤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거하므로, SX와 SY는 각각 0, 540+LBV 위치에서 시작하며, SW는 960-LBH 길이를 가지고, SH는 540-LBV 길이를 가진다. 제4 디스플레이 장치(2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3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40)는 960×540 픽셀 크기의 우측 하부 영상에서, 영상의 좌측과 상측에 위치한 영역을 베젤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거하므로, SX와 SY는 각각 960+RBH, 540+RBV 위치에서 시작하며, SW는 960-RBH 길이를 가지고, SH는 540-RBV 길이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분할된 영상을 각각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하면, 각각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120,130,140)는 전송 받은 영상에서 베젤을 제거하고, 제거된 베젤 사이즈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달리,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110)가 분할된 영상에서 베젤을 제거하고 제거된 베젤 사이즈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이를 각각의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120,130,1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의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한 프레임에 들어간 입체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수신된 영상을 디코딩한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디코딩된 영상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영상은 수평으로 분할하고, 수평으로 배열된 영상은 수직으로 분할한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분할된 영상을 수평 또는 수직 중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된 비율로 확대시킨다. 일 예로서, 확대부는 2배의 비율로 확대시킬 수 있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확대된 영상을 수직 또는 수평 중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된 비율로 축소시킨다. 일 예로서, 확대된 영상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1/2 비율로 축소시킬 수 있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축소된 영상에 대하여, 수직으로 분할된 영상은 수평으로 합성하고 수평으로 분할된 영상은 수직으로 합성한다. 입체 영상 재생장치(810)는 합성된 영상을 재배치하여 디스플레이장치(8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입체 영상이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식으로 입력된 경우에 탑앤바텀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하고, 입체 영상이 탑앤바텀 형식으로 입력된 경우에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의 상단은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식으로 입력하여 탑앤바텀 형식으로 변환한 것이고, 도 8의 하단은 탑앤바텀 형식으로 입력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식으로 변환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입체 영상 재생장치 110 :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
111 : 수신부 112 : 디코딩부
113 : 분할부 114 : 확대부
115 : 합성부 116 : 출력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0 : 제 1 디스플레이장치
810 : 입체 영상 재생장치 82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0)

  1.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영상들에서,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영역을 각각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각각의 선택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입체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결합하여 부분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결합부; 및
    상기 부분 입체 영상을 상기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영상들에서 베젤 영역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상기 조절부에 제공하고, 상기 베젤을 제외한 영역의 사이즈는 상하 및 좌우로 조절가능하고,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 에게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시작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 에게 현재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재생 영상을 동기화하고,
    상기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배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작시간 정보(System Time Clock, 이하 STC)를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재생 영상을 동기화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디코딩된 영상들을 상기 멀티비전 시스템이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수에 맞추어 분할하고,
    상기 마스터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디코딩된 영상들을 상기 멀티비전 시스템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수에 맞추어 분할하고, 상기 각각의 분할된 영상을 상응하는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입체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분할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STC 값과 영상 데이터 프레임의 디코딩 시간을 매칭하여 재생하는 멀티 비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111348A 2010-11-10 2010-11-10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KR10118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48A KR101186573B1 (ko) 2010-11-10 2010-11-10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48A KR101186573B1 (ko) 2010-11-10 2010-11-10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41A KR20120050041A (ko) 2012-05-18
KR101186573B1 true KR101186573B1 (ko) 2012-10-08

Family

ID=4626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348A KR101186573B1 (ko) 2010-11-10 2010-11-10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68B1 (ko) * 2014-03-07 2015-03-12 큐보스 주식회사 공간 및 위치 감응형 영상 송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41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3916B2 (ja) Gui提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US20160041662A1 (en)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10063422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EP2365699A2 (en) Method for adjusting 3D image quality, 3D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US20100265315A1 (en) Three-dimensional image combining apparatus
WO2011132242A1 (ja) 3次元映像再生方法、および3次元映像再生装置
US8994787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WO2010092823A1 (ja) 表示制御装置
JP5390016B2 (ja) 映像処理装置
JP5505637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装置の表示方法
EP2448272A1 (en) 3d image provid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390017B2 (ja) 映像処理装置
WO2012057048A1 (ja) 立体画像データ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立体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JP2012205132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WO2012067021A1 (ja) 情報統合装置、情報表示装置、情報記録装置、情報統合方法、情報統合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統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806082B2 (ja) 電子機器及び画像出力方法
US2011013422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3d image thereof
JP2012089906A (ja) 表示制御装置
US20130147912A1 (en) Three dimensional video and graphics processing
KR101186573B1 (ko) 복수의 입체 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입체 영상 재생방법
WO2012063675A1 (ja) 立体画像データ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装置
US20110310222A1 (en) Image distribu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tributing method thereof
JP2014207492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5335022B2 (ja) 映像再生装置
JP201106136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