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631B1 -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 Google Patents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631B1
KR101185631B1 KR20100078571A KR20100078571A KR101185631B1 KR 101185631 B1 KR101185631 B1 KR 101185631B1 KR 20100078571 A KR20100078571 A KR 20100078571A KR 20100078571 A KR20100078571 A KR 20100078571A KR 101185631 B1 KR101185631 B1 KR 10118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astening hole
fastening
roller
roll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319A (ko
Inventor
라복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7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6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6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는, 제1 바디(112)의 상측에 파이프 구조물(200)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1 메인 그루브(114)가 형성되고 제1 메인 그루브(114)의 양측에 제1 체결 홀(116)이 형성된 제1 블록(110), 제1 블록(110)의 상측에 제2 바디(122)가 배치되고 제2 바디(122)의 상측에 파이프 구조물(200)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2 메인 그루브(124)가 형성되며 제1 체결 홀(1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126)이 형성되고 제2 바디(112)의 상측에 롤러 유닛(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 서브 그루브(128)가 형성되고 서브 그루브(128)의 일측에 암나사(134)가 형성된 제2 블록(120), 제2 블록(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롤러 유닛(10)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제2 서브 그루브(148)가 형성되며 암나사(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홀(144)이 형성된 제3 블록(140) 및 제1 체결 홀(116)과 제2 체결 홀(126) 또는 암나사(134)와 체결 홀(144)에 체결되는 제1,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The structure clamp of the roller conveyer}
본 발명은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에 롤러 조립체를 설치하도록 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컨베이어는 여러 개의 롤러를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술한 여러 개의 롤러의 상측에는 이송대상물이 얹히며 그 이송대상물은 롤러의 상측에서 미끄러지듯이 어느 한쪽방향으로 이송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술한 롤러 컨베이어는 각각의 롤러에 샤프트가 구비되고, 샤프트와 롤러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며, 상술한 샤프트의 양측 단부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롤러 컨베이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롤러 컨베이어에서 구조물에 롤러가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롤러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구조물(10)은 각형 프로파일이고, 그러한 구조물(10)은 상하좌우 측면에 T그루브(12)가 형성된다.
상술한 T그루브(12)에는 T볼트의 볼트 헤드 또는 인서트 타입의 너트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물(10)의 상측에는 제1 블록(22)과 제2 블록(24)이 분할된 구조로 제공되고, 상술한 제1 블록(22)과 제2 블록(24)이 마주하는 면에는 반원 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된다.
상술한 제1 블록(22)과 제2 블록(24)의 사이에는 롤러 유닛(30)이 설치되고, 상술한 롤러 유닛(30)은 일례로서 롤러 샤프트의 외경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상술한 롤러 샤프트의 일부가 상술한 제1, 제2 블록(22)(24)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블록(22)과 상술한 제2 블록(24)은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요소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물(10)에 조립된 T볼트의 볼트부는 상술한 제1 블록(22)에 조립된 후에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구조물(10)의 T볼트는 상술한 제1, 제2 블록(22)(24)을 관통한 후에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블록(24)의 상측에서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구조물(10)에 T볼트 대신에 인서트 타입의 너트가 T그루브(12)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체결 볼트를 제1, 제2 블록(22)(24) 쪽에서 삽입하여 체결볼트의 볼트부가 상술한 인서트 타입의 너트에 체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일반적으로 롤러 컨베이어는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킬 목적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롤러 컨베이어는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구조물(10)은 T그루브(12)가 사면에 설치되는 프로파일 형태로서 대단히 정밀하고, T그루브(12)에 T볼트 또는 인서트 타입의 너트를 이용함으로써 롤러 유닛을 조립하는데에 롤러 컨베이어의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물(10)은 가격이 고가이고 이로써 롤러 컨베이어의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데에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곳에서 고가의 프로파일 타입의 구조물(10)을 이용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낭비로 지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러 컨베이어를 시공함에 있어서 프로파일 형태의 구조물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에 롤러 유닛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롤러 컨베이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는, 제1 바디의 상측에 파이프 구조물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1 메인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인 그루브의 양측에 제1 체결 홀이 형성된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상측에 제2 바디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의 하측에 상기 파이프 구조물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2 메인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측에 롤러 유닛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 서브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 그루브의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유닛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제2 서브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홀이 형성된 제3 블록; 및 상기 제1 체결 홀(116)과 상기 제2 체결 홀(126)에 체결되는 제1 체결 유닛 또는 상기 암나사(134)와 상기 체결 홀(144)에 체결되는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 홀 또는 상기 제2 체결 홀 중에 어느 하나는 암나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는 너트가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인서트 사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 홀 또는 상기 제2 체결 홀 중에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제2 체결 유닛의 헛돌림을 방지하는 헛돌림 방지 홀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는 단면형상이 원형, 사각형 등 단순한 형태의 파이프에 롤러 유닛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프로파일 타입의 구조물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조물에 롤러 유닛을 설치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롤러 컨베이어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롤러 컨베이어에서 구조물에 롤러유닛이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 및 분해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정면도면 및 측면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 및 분해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100)는, 파이프 구조물(200)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 및 제2 블록(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롤러 유닛(30)을 지지하는 제3 블록(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블록(110)은 제1 바디(112)의 상측에 상술한 파이프 구조물(200)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는 제1 메인 그루브(114)가 형성되고, 상술한 제1 메인 그루브(114)의 양측에는 제1 메인 그루브(11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체결 홀(116)이 형성된다.
제2 블록(120)은 상술한 제1 블록(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 바디(122)의 하측에 상술한 파이프 구조물(200)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2 메인 그루브(124)가 형성되고, 상술한 제1 체결 홀(1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126)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메인 그루브(114)와 상술한 제2 메인 그루브(124)는 서로 맞대었을 때에 폐곡선의 형태를 띠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파이프 구조물(200)의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단순한 모양일 수 있고, 이러한 단순한 단면 모양을 갖는 파이프 구조물(200)은 T홈이 형성된 프로파일 형태의 구조물(10)에 비교하여 제조원가가 현저하게 저렴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 구조물(20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때에는 상술한 제1, 제2 메인 그루브(114)(124)의 형상은 반원형 혀앙일 수 있고, 파이프 구조물(200)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일 때에는 해당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바디(112)의 상측에 롤러 유닛(30)을 설치하기 위한 결속 시트(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결속 시트(130)는 상술한 롤러 유닛(30)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하는 제1 서브 그루브(128)가 형성되고, 제1 서브 그루브(128)의 한쪽에는 암나사(134)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결속 시트(130)의 모서리는 돌출 테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돌출 테는 상술한 제3 블록(140)과 조립될 때에 위치를 정렬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제3 블록(140)은 상술한 제2 블록(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술한 롤러 유닛(10)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제2 서브 그루브(148)가 형성되며 상술한 암나사(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홀(144)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제1 서브 그루브(128)과 상술한 제2 서브 그루브(148)이 조합되었을 때에 폐곡선을 이룰 수 있으며, 일례로 롤러 유닛(30)의 샤프트가 원형봉 형태일 때에는 상술한 제1, 제2 서브 그루브(128)(148)는 각각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쪽의 반원형상이 조합되었을 때에 원형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체결 홀(116) 또는 상술한 제2 체결 홀(126) 중에 어느 하나는 암나사일 수 있고, 이로써 어느 한쪽의 체결홀에 볼트를 체결하면 다른 한쪽의 암나사에 볼트에 체결되어 상술한 제1 블록(110)과 상술한 제2 블록(120)을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의 사이에는 고무 패드와 같은 댐퍼 유닛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발생하는 압착력은 파이프 구조물(200)에 좀 더 강한 압력으로 조립될 수 있어 롤러 컨베이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블록(110)(120)은 합성수지 재질로 셩형될 수 있고, 이때 상술한 암나사는 금속 재질의 너트가 상술한 제1 바디(112) 또는 상술한 제2 바디(122)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더욱 견고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성술한 제1 체결 홀(116)과 상술한 제2 체결 홀(126)은 제1 체결 유닛에 의해 결속될 수 있고, 상술한 암나사(134)와 상술한 체결 홀(144)은 제2 체결 유닛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체결 유닛은 볼트와 너트 등 알려진 체결요소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체결 홀(116) 또는 상술한 제2 체결 홀(126) 중에 어느 하나의 단부는 제1, 제2 체결 유닛의 헛돌림을 방지하는 헛돌림 방지 홀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제2 체결 홀(116)(126)은 육각 볼트의 볼트 헤드 또는 육각 너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이로써 육각 볼트의 헤드 또는 육각 너트가 제1, 제2 체결 홀(116)(126)에 수납되었을 때에 육각볼트 또는 육각너트가 헛돌지 않음으로써 좀 더 편리하게 제1, 제2 체결 유닛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100)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1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정면도면 및 측면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클램프(100)의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의 사이에는 파이프 구조물(200)이 배치되고, 제1 체결 유닛에 의해 제1, 제2 블록(110)(120)은 파이프 구조물(200)에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의 사이에 고무 패드와 같은 부재를 삽입할 경우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고 특히 파이프 구조물(200)이 원형 파이프 형상이더라도 비틀러지거나 회전되지 않고 작업자가 의도하여 설치한 자세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블록(120)과 제3 블록(140)의 사이에는 롤러 유닛(30)이 설치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1, 제2 서브 그루브(128)(148)에 롤러 유닛(30)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서브 그루브(128)(148)를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1, 제2 서브 그루브(128)(148)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킴으로써 롤러 유닛(30)의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롤러 유닛(30)은 롤러 컨베이어의 사용이 거듭될수록 변형되거나 훼손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유지보수를 하여야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가 필요한 롤러 유닛(30)은 수십 개의 롤러 유닛(30) 중에 특정한 곳의 한 두 개의 롤러 유닛(30)을 유지 보수하여야 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100)는 유지보수가 필요한 해당 롤러 유닛(30)이 설치된 곳의 제3 블록(140)을 분해함으로써 유지보수 대사의 롤러 유닛(30)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메인 그루브(114)(12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므로 상술한 파이프 구조물(200)는 종래에서처럼 T그루브가 형성된 프로파일 타입의 구조물이 아니더라도 제1 블록(110)(120)에 의해 파이프 구조물(20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파이프 구조물(200)은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소 단순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단순한 형태의 파이프 구조물(200)은 제조가 용이하여 프로파일 타입의 구조물에 비교하여 가격이 현저하게 저렴하게 구매가 가능하므로 롤러 컨베이어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는 단면형상이 단순한 파이프 구조물에 롤러 유닛을 설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구조물 12: T그루브
22, 24: 제1, 제2 블록 30: 롤러 유닛
100: 구조물 클램프 110: 제1 블록
112: 제1 바디 114: 제1 메인 그루브
116: 제1 체결 홀
120: 제2 블록 122: 제2 바디
124: 제2 메인 그루브 126: 제2 체결 홀
128: 제1 서브 그루브 130: 결속 시트
134: 암나사
140: 제3 블록 144: 체결 홀
148: 제2 서브 그루브
200: 파이프 구조물

Claims (4)

  1. 제1 바디(112)의 상측에 파이프 구조물(200)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1 메인 그루브(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인 그루브(114)의 양측에 제1 체결 홀(116)이 형성된 제1 블록(110);
    상기 제1 블록(110)의 상측에 제2 바디(12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122)의 하측에 상기 파이프 구조물(200)의 일부가 수납되는 제2 메인 그루브(12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 홀(1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12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112)의 상측에 롤러 유닛(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 서브 그루브(128)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 그루브(128)의 일측에 암나사(134)가 형성된 제2 블록(120);
    상기 제2 블록(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유닛(10)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제2 서브 그루브(148)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홀(144)이 형성된 제3 블록(140); 및
    상기 제1 체결 홀(116)과 상기 제2 체결 홀(126)에 체결되는 제1 체결 유닛 또는 상기 암나사(134)와 상기 체결 홀(144)에 체결되는 제2 체결 유닛;
    을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홀(116) 또는 상기 제2 체결 홀(126) 중에 어느 하나는 암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는 너트가 상기 제1 바디(112) 또는 상기 제2 바디(122)에 인서트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홀(116) 또는 상기 제2 체결 홀(126) 중에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제2 체결 유닛의 헛돌림을 방지하는 헛돌림 방지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KR20100078571A 2010-08-16 2010-08-16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KR10118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8571A KR101185631B1 (ko) 2010-08-16 2010-08-16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8571A KR101185631B1 (ko) 2010-08-16 2010-08-16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319A KR20120016319A (ko) 2012-02-24
KR101185631B1 true KR101185631B1 (ko) 2012-09-24

Family

ID=4583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8571A KR101185631B1 (ko) 2010-08-16 2010-08-16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17U (ja) 1984-07-26 1986-02-20 麒麟麦酒株式会社 アキユムレ−トコンベア
JPS62108311U (ko) 1985-12-27 1987-07-1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17U (ja) 1984-07-26 1986-02-20 麒麟麦酒株式会社 アキユムレ−トコンベア
JPS62108311U (ko) 1985-12-27 1987-07-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319A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7359C (en) Cast back clamp and mounting component
US20150240924A1 (en) Screw assembly and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same
CN108561690B (zh) 采用楔块式柔性辅助支承装置的产品装配结构
CN108602406B (zh) 轴单元
US20120036691A1 (en) Bearing mounting and dismounting tool
JP5555733B2 (ja) ナットを有するプラグコネクターのハウジングの接続システム
KR101185631B1 (ko)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물 클램프
US9303718B2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EP2798232B1 (en) Hinge device having anti-rotation device for pivot
JP2016204911A (ja) 鉄筋交差部締結金具
CN107327456B (zh) 一种固定组件
KR101101842B1 (ko) 케이블 크리트
KR20150005285A (ko) 체결부재
US20080092867A1 (en) Paintball Gun Loading Device
US20130219678A1 (en) Clamping And Sliding Device For Polygonal Shaft
US9841057B2 (en) Bearing assembly
JP6512009B2 (ja) 締結装置
KR2014013284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N202545520U (zh) 一种止退螺栓
US20160252135A1 (en) Insert title
JP3199619U (ja) 緩み止めナット
KR20110005565U (ko) 리드 스크류 어셈블리
CA2911611A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JP4885106B2 (ja) レール・ナット装置
CN204917051U (zh) 一种辊筒用货物定位易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