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585B1 -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585B1
KR101185585B1 KR1020120054250A KR20120054250A KR101185585B1 KR 101185585 B1 KR101185585 B1 KR 101185585B1 KR 1020120054250 A KR1020120054250 A KR 1020120054250A KR 20120054250 A KR20120054250 A KR 20120054250A KR 101185585 B1 KR101185585 B1 KR 10118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saturation
facility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환
이내현
정다운
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1140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55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5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포가 분사될 시 보다 광범위한 지역까지 효과적으로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연결되어, 포소화설비로부터 포를 공급받는 연결부와, 연결부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연결부로부터 포를 공급받아 양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분사부에 각각 형성되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배치되어, 포를 배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제1,2홀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제1,2홀에 포가 배출될 시, 제1,2홀의 압력 차이에 따른 편심 회전력으로 분사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ROTATING TYPE NOZZLE FOR FOAM SYSTEM}
본 발명은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 끝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포소화설비의 압축공기포 혼합기에서 기 팽창된 포(foam)가 분사될 시, 보다 광범위한 지역까지 효과적으로 화재진압을 할 수 있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소화설비는, 물과 포소화약제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포(foam)가 공기에 의하여 발포되어 형성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가,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질식소화를 하게 된다.
이때, 포는 포소화설비의 압축공기포 혼합기를 통과하면서 압축공기포로 형성되므로, 분사노즐은 포가 방출될 때까지 손상되지 않은 완전한 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은 비용절감과 소화효과의 증대를 위해, 분사되는 포(foam)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보다 광범위한 지역까지 분사되어 화재진압을 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373호(2005.08.10. 공고)가 있다.
본 발명은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 끝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포(foam)가 분사될 시, 보다 광범위한 지역까지 효과적으로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사되는 포가 손상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하나의 관 형상으로 이뤄진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포소화설비로부터 포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포를 공급받아 양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배치되어, 포를 배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제1,2홀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홀에 포가 배출될 시, 상기 제1,2홀의 압력 차이에 따른 편심 회전력으로 상기 분사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양 측면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2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2분사관의 끝단에 각각 끼움 조립되는 한 쌍의 노즐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노즐캡은, 상기 제1,2분사관의 끝단에 끼움 조립되는 삽입축; 상기 삽입축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삽입축과 상기 플랜지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축의 외측면은, 상기 제1,2분사관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는, 외측이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홀은, 상기 제2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분사관의 끝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홀은, 상기 제2분사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과 연결되는 부위가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은,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 끝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포(foam)가 분사될 시, 보다 광범위한 지역까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은, 내부가 하나의 관으로 이뤄져, 포의 진행방향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배출되는 포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은, 분사되는 방향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홀을 구비하여, 편심 회전력을 유도함에 따라 별도의 동력원 없이 회전이 가능한 구조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의 구성 및 그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100)은 크게, 연결부(110)와, 분사부(120)와,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연결부(110)는,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 끝단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110)는 포소화설비로부터 포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포소화설비는, 물에 의한 소화 방법으로 소화효과가 적거나 오히려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 액체 등의 화재에 사용되는 설비를 말한다.
이러한 포소화설비는, 물과 포소화약제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포(foam)가 공기에 의하여 발포되어 형성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가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질식소화를 하게 된다. 이때, 포에 함유된 수분은 냉각소화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된 포소화설비에서 포를 배출하는 방출배관과 상기 연결부(110)가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방출배관과 탈, 부착이 되는 연결부위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120)는, 상기 연결부(110)와 회전축(14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10)로부터 포를 공급받아 양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분사부(120)는, 상기 회전축(140)의 하단부에 양 측면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2분사관(122, 1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제1,2분사관(122, 124)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축(140) 역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40)과 연결부(110) 사이에는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 부시 등과 같은 회전체(142)가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회전체(14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사부(120)는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의 끝단에 각각 끼움 조립되는 한 쌍의 노즐캡(1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캡(126)은, 관통홀(126c)을 구비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으로부터 배출되는 포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부(130)는, 상기 분사부(120)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14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배치되어, 포를 배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제1,2홀(132, 13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홀(132)은 상기 제2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분사관(122)의 끝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홀(134)은, 상기 제2분사관(124)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홀(134)은 상기 회전축(140)과 맞닿는 상기 제2분사관(124)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부(110)로부터 공급받은 포가 상기 제1,2홀(132, 134)을 배출할 시, 상기 제1,2홀의 압력 차이에 따른 편심 회전력이 용이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2홀(132, 134)의 배치관계에 따라 포가 배출되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압력 차이에 의해 편심 회전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편심 회전력을 통해 상기 분사부(120)가 회전하며 포를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120)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축(140)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상기 편심 회전력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부(120)가 회전하여 포를 분사하게 되면, 그 회전되는 관성력에 의해 보다 넓은 화재지역까지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부(130)의 변형 실시가 가능한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배출부(130)는, 포를 배출하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홀은 각각 제1,2분사관(122, 124)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100)은 크게, 연결부(110)와, 분사부(120)와,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상술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된 내용이라도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시된 연결부(110)는,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그 연결되는 부위가 나사산(111)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10)는 내측면 하부측 일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1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단턱(112)은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체(142)와 상기 연결부(110) 내측에 용이하게 결속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연결부(110)는, 상기 회전체(142)와 마찰면적을 최소화하고, 윤활 작용을 유도하여 상기 회전체(142)가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단턱(112)의 상부면에 윤활제를 수용할 수 있는 윤활제수용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10)의 내측면에서 나사산(111)이 형성되지 않은 면은,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과 상기 연결부(110)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10)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축(140)이 사이의 공간으로써,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될 시 상기 방출배관과 마찰되지 않고 원활한 회전력을 도출하기 위해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분사부(120)는 상기 연결부(110)와 회전축(14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10)로부터 포를 공급받아 양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분사부(120)는, 상기 회전축(140)의 하단부에 양 측면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2분사관(122, 1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제1,2분사관(122, 124)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축(140) 역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40)과 연결부(110) 사이에는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 부시 등과 같은 회전체(142)가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회전체(14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사부(120)는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의 끝단에 각각 끼움 조립되는 한 쌍의 노즐캡(1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노즐캡(126)은 크게, 삽입축(126a)과, 플랜지(126b)와, 관통홀(126c)을 포함하며,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축(126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분사관(122, 124)의 끝단에 끼움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축(126a)의 외측면은,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26b)는, 상기 삽입축(126a)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의 양단을 마감 처리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126b)의 외측 형상은,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제1,2분사관(122, 124)로부터 공급받은 포를 배출하는 상기 관통홀(126c)의 분사각도를 결정지을 수 있다.
즉, 하향 경사진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면, 상기 관통홀(126c)의 상부면보다 하부면의 길이가 짧게 되어, 그 길이의 차이로 인해 상기 포의 분사되는 각도는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홀(126c)은, 상기 삽입축(126a)과, 상기 플랜지(126b) 사이를 관통하며,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으로 공급된 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홀(126c)은 도시된 것처럼,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관통되는 형태가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126c)이 상기 삽입축(126a)부터 플랜지(126b)까지 상부로 형성되면, 포가 분사되는 각도 및 분사되는 범위는 넓어질 것이다. 이와 반면에, 상기 관통홀(126c)이 상기 삽입축(126)부터 플랜지(126)까지 하부로 형성되면, 포가 분사되는 각도 및 분사되는 범위는 작아질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캡(126)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노즐캡(126)은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의 끝단에 각각 끼움 조립되는 제1,2노즐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노즐캡은 상기 제1,2분사관(122, 124)의 끝단에 끼움 조립되는 제1,2삽입축(미도시)과, 상기 제1,2삽입축에 연장 형성되는 제1,2플랜지를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2노즐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이 상기 제1노즐캡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삽입축과 상기 제1플랜지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사관(122)으로 공급된 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와 반면에, 상기 관통공이 상기 제2노즐캡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제2삽입축과 상기 제2플랜지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분사관(124)으로 공급된 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의 구성 및 그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동시에 참조하면, 포소화설비(10)의 방출배관(12)에 연결된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100)을 확인할 수 있다.
포소화설비(10)에서 전용혼합기(미도시)를 통과해 생성되어 압축공기로 분사되는 포를 공급하면, 방출배관(12)에 연결된 연결부(110)에 포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10)와 회전축(140)을 통해 연결된 분사부(120)에 상기 포가 공급된다.
그 후에 분사부(120)에 형성된 배출부(130)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제1,2홀(132, 134)에 의해 포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2홀(132, 134)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1,2홀(132, 134)은 상기 회전축(14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설치되므로, 편심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편심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분사부(1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부(120)의 양단에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노즐캡(126)이 끼움 조립된다. 이때, 상기 분사부(120)로 공급된 포는 상기 노즐캡(126)을 통과하며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100)은, 분사부(120)가 회전하며 포를 외부로 분사함에 따라, 회전 관성력으로 보다 넓은 지역까지 화재진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은,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 끝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포가 분사될 시 보다 광범위한 지역까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은, 내부가 하나의 관으로 이뤄져, 포의 진행방향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배출되는 포가 손상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은, 분사되는 방향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홀을 구비하여, 편심 회전력을 유도함에 따라, 별도의 동력원 없이, 회전이 가능한 구조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포소화설비 12 : 방출배관
100 :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110 : 연결부
111 : 나사산 112 : 단턱
113 : 윤활제수용홈 120 : 분사부
122 : 제1분사관 124 : 제2분사관
126 : 노즐캡 126a : 삽입축
126b : 플랜지 126c : 관통홀
130 : 배출부 132 : 제1홀
134 : 제2홀 140 : 회전축
142 : 회전체

Claims (10)

  1.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포소화설비로부터 포(foam)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포를 공급받아 양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배치되어, 포를 배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제1,2홀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홀에 포가 배출될 시, 상기 제1,2홀의 압력 차이에 따른 편심 회전력으로 상기 분사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양 측면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2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2분사관의 끝단에 각각 끼움 조립되는 한 쌍의 노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노즐캡은,
    상기 제1,2분사관의 끝단에 끼움 조립되는 삽입축;
    상기 삽입축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삽입축과 상기 플랜지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의 외측면은,
    상기 제1,2분사관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외측이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상기 제2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분사관의 끝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은,
    상기 제2분사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에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포소화설비의 방출배관과 연결되는 부위가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KR1020120054250A 2012-05-22 2012-05-22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KR10118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50A KR101185585B1 (ko) 2012-05-22 2012-05-22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50A KR101185585B1 (ko) 2012-05-22 2012-05-22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585B1 true KR101185585B1 (ko) 2012-09-24

Family

ID=4711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250A KR101185585B1 (ko) 2012-05-22 2012-05-22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5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09B1 (ko) 2012-10-08 2014-06-24 (주)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의 냉각수 분사용 회전식 노즐 및 그를 채용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WO2016159498A1 (ko) * 2015-03-30 2016-10-06 정호동 화재진압용 소화액 방사기
KR101723491B1 (ko) * 2016-07-04 2017-04-05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분사장치
KR102449615B1 (ko) * 2022-03-16 2022-09-29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용 회전식 노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09B1 (ko) 2012-10-08 2014-06-24 (주)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의 냉각수 분사용 회전식 노즐 및 그를 채용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WO2016159498A1 (ko) * 2015-03-30 2016-10-06 정호동 화재진압용 소화액 방사기
KR101723491B1 (ko) * 2016-07-04 2017-04-05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분사장치
KR102449615B1 (ko) * 2022-03-16 2022-09-29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용 회전식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85B1 (ko)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US20150306437A1 (en) Fire fighting tool
RU2543863C1 (ru) Рассекатель кочетова потока жидкости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WO2006023033A2 (en) Fire fighting nozzle for projecting fog cloud
KR20170036431A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2091208B1 (ko) 소화약제의 선택 또는 혼합비 조절이 가능한 방출장치
CN106807563A (zh) 雾化多向旋转喷头
RU2533108C1 (ru) Активный рассекатель для форсунки
CN103272355A (zh) 一种液体灭火剂雾化喷洒头
CN1759904B (zh) 消防设备
KR101890878B1 (ko) 가스분사노즐
JP4927999B2 (ja) 液体噴霧ノズルおよび液体噴霧システム
RU2404835C1 (ru) Генератор полидисперсной высокократной пены вихревого типа
CA3029714C (en) End cap agent nozzle
RU138822U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вертикаль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CN107127067A (zh) 一种泡沫喷头
RU2452542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вертикаль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RU2625137C1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их грузов
CN210768662U (zh) 一种锚索钻孔喷淋降尘装置
JP4824306B2 (ja) 噴霧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噴霧消火ヘッド
RU2653490C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потока огнетушащего порошка
RU2455080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KR20120071481A (ko)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RU2646726C2 (ru) Дренч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404833C1 (ru) Генератор полидисперсной пе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67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18

Effective date: 201703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