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83B1 -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83B1
KR101184383B1 KR1020100013230A KR20100013230A KR101184383B1 KR 101184383 B1 KR101184383 B1 KR 101184383B1 KR 1020100013230 A KR1020100013230 A KR 1020100013230A KR 20100013230 A KR20100013230 A KR 20100013230A KR 101184383 B1 KR101184383 B1 KR 10118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upport ribs
panel
suppor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286A (ko
Inventor
김익배
이종민
Original Assignee
김익배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배,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익배
Priority to KR102010001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Ribbed Quadrilaterals Supporting)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지하주차장을 건설하기 위해 피씨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시공되는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하부에 다수개의 보강용 지지리브가 형성되되, 패널의 폭방향 일측에 받침용 리브가 형성되고, 타측에 받침용 리브가 대응되어 걸침되도록 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슬래브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시, 별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 없이도 연속 이음이 이루어져 피씨보에 걸침된 길이방향 단부와 함께 사면지지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4방향의 구조 연속성과 층간마다의 지상판, 지하판이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되고, 종래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 지점(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던 균열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시공용 피씨 슬래브에 있어서, 패널(100) 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리브(200)가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L자형 걸림턱(310)을 갖는 받침용 리브(30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용 리브(300)와 대응되는 패널의 반대측에는 ㅡ자형 자유단(400)이 형성되어 이웃한 슬래브와 연결시 연속성이 확보됨은 물론 길이방향 단부는 피씨보의 상부면에 걸침되어 사면지지(Quadrilaterals Supporting)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 효 과 >
따라서, 본 발명은 슬래브가 별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 없이도 폭방향으로 연속 이음이 이루어져 피씨보에 걸침된 길이방향 단부와 함께 사면지지를 확보하도록 형성되어 4방향의 구조 연속성과 층간마다의 지상판, 지하판이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되고, 종래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 지점(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던 균열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한편, 간단한 시공 작업으로 인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Ribbed Quadrilaterals Supporting for underground parking lo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을 건설하기 위해 피씨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시공되는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하부에 다수개의 보강용 지지리브가 형성되되, 패널의 폭방향 일측에 받침용 리브가 형성되고, 타측에 받침용 리브가 대응되어 걸침되도록 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슬래브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시, 별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 없이도 연속 이음이 이루어져 피씨보에 걸침된 길이방향 단부와 함께 사면지지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4방향의 구조 연속성과 층간마다의 지상판, 지하판이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되고, 종래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 지점(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던 균열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Quadrilaterals Supporting)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주차장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많은 하중이 요구되므로, 하프슬래브(Half PC Slab)를 이용한 PRC(Precast Reinforced Concrete Layer Construction Method) 복합화 공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즉, 이러한 PRC 복합화 공법은 철근 콘크리트 라멘(Rahmen) 구조의 건물을 PC(Precast Concrete)화하는 공법으로서, 공장에서 제작한 PC기둥, PC보, 하프슬래브 등 PC부재를 현장으로 운송, 양중하여 조립한 후 부재 간 접합부와 하프슬래브의 상부에 덧침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구조체를 일체화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지하주차장 시공(건설)의 경우 최근에는 차량의 크기가 증가되어 넉넉한 주차공간 확보가 요구됨으로써 긴 경간(장스팬)이 요구되고, 이에 대공간 건물을 시공시에는 일반적으로 스팬이 7.6 X 8.1 m, 8.0 X 8.0 m 또는 8.1 X 10.2 m가 요구되어, PRC 복합화 공법은 슬래브가 짧게 설계되어 1방향으로 시공이 부적합하기 때문에 2방향으로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방향으로 시공하게 되면 소요되는 구조부재인 PC단순보 및 PC거더가 증가되어 전체 PC물량이 증가되어 타 공법 대비 경쟁력이 낮아지며, 억지로 1방향 시공을 하려하면 PC물량은 증가되나 슬래브의 두께 및 철근량이 증가되어 공사비 증대를 초래되며, 장스팬(6m 초과)의 경우 구조역학상, 안전상 문제로 추가적인 지지보를 설치해야 하므로 추가 단가 상승 및 층고가 줄어들어 시공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HCS 공법은 콘크리트가 가지고 있는 취약점인 인장저항성능의 부족을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한 PS강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선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인장저항 성능을 증진시킨 프리스트레스드 구조물(Prestressed Structure)로서 콘크리트 단면에 중공을 형성시켜 구조물의 자중을 줄인 속빈 슬래브를 이용하여 10m 이상의 장스팬을 형성하여 지상층 구조물에만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HCS는 PS강선 인장으로 인한 최소두께 확보 및 HCS 부재 제작을 위한 별도의 고가 장비가 필요하여 단가상승을 초래하며 부재에 균열 발생시 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더블티 슬래브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S 공법이라고도 하는데 더블티 슬래브는 바닥판에 깊은 보강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리브의 하부에 스트랜드를 삽입하여 인장력을 가한 뒤 일체의 부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바, 이러한 더블티 슬래브는 스트랜드의 인장력으로 인해 더블티 슬래브의 몸판 중앙부가 소폭 치켜올려지도록 형성되어 약 10m 이상의 장스팬으로 지상층 구조물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더블티 슬래브공법은 PC보에 걸침시 단순보 형태로 안착됨으로써 연속적인 슬래브 형태(양단고정보)를 이루기 어려운 바, 이는 휨 및 전단력 등 수직력에 대해 저항능력이 저하되어 구조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자 상기 보강리브를 추가로 부설하거나 돌출된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결국 PC기둥 다수 사용 등 제작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며 건설 구조의 층고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주차장의 층간 수직방향에 대한 저항력을 개선하고 구조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멀티슬래브가 시공되고 있는 바, 상기 멀티슬래브는 4개의 보강리브를 패널의 하부에 균등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수직 저항률(분담률)을 조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더블티 슬래브 또는 멀티슬래브는 이웃한 슬래브와 연결 이음시 맞닿은 양단부에 별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을 고정시킨 후 현장콘크리트로 하여금 덧침하여 해당 층을 양생하도록 하는 바, 이러한 종래의 슬래브들은 구조상 패널의 폭방향 연속성이 확보되지 못할 뿐 아니라, 연결근 또는 보강근의 추가 배근으로 인해 원가상승 및 작업성 저하의 원인이 되며, 특히 맞닿은 양단부 이음매 부분은 수직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는 등 내구성과 안정성이 저하되어 시공상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지하주차장을 건설하기 위해 피씨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시공되는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하부에 다수개의 보강용 지지리브가 형성되되, 패널의 폭방향 일측에 받침용 리브가 형성되고, 타측에 받침용 리브가 대응되어 걸침되도록 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슬래브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시, 별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 없이도 연속 이음이 이루어져 피씨보에 걸침된 길이방향 단부와 함께 사면지지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4방향의 구조 연속성과 층간마다의 지상판, 지하판이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되고, 종래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 지점(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던 균열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Quadrilaterals Supporting) 슬래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시공용 피씨 슬래브에 있어서, 패널(100) 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리브(200)가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L자형 걸림턱(310)을 갖는 받침용 리브(30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용 리브(300)와 대응되는 패널의 반대측에는 ㅡ자형 자유단(400)이 형성되어 이웃한 슬래브와 연결시 연속성이 확보됨은 물론 길이방향 단부는 피씨보의 상부면에 걸침되어 사면지지(Quadrilaterals Supporting)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알큐에스 슬래브는 패널(100) 하부의 지지리브(200)와 받침용 리브(300)가 이웃한 알큐에스 슬래브의 지지리브(200-1) 및 받침용 리브(300-1)와 폭방향으로 동일한 피치간격(P)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슬래브가 별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 없이도 폭방향으로 연속 이음이 이루어져 피씨보에 걸침된 길이방향 단부와 함께 사면지지를 확보하도록 형성되어 4방향의 구조 연속성과 층간마다의 지상판, 지하판이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되고, 종래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 지점(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던 균열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한편, 간단한 시공 작업으로 인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큐에스 슬래브의 사면지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리브가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종전의 더블티 슬래브 및 멀티슬래브를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주차장을 시공함에 있어서, 슬래브의 폭방향으로는 양단부가 일부 겹쳐지면서 조립되도록 하되, 길이방향으로는 피씨보에 걸침되어 사면지지 즉, 4방향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되어 현장콘크리트 타설시 층 자체가 하나로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구조 안정성과 내구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알큐에스(Ribbed Quadrilaterals Supporting) 슬래브는 패널(100) 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리브(200)가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L자형 걸림턱(310)을 갖는 받침용 리브(30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용 리브(300)와 대응되는 패널의 반대측에는 ㅡ자형 자유단(400)이 형성되어 이웃한 슬래브와 연결시 연속성이 확보됨은 물론 길이방향 단부는 피씨보의 상부면에 걸침되어 사면지지(Quadrilaterals Supporting)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받침용 리브에 이웃한 알큐에스 슬래브의 자유단이 걸침되어 폭방향으로 계속적인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결국, 맞닿은 이음매 부분에 있어서 종전의 연결근 또는 보강근의 생략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번거로운 작업이 해소되도록 하여 공기 단축과 함께 생산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알큐에스 슬래브는 패널(100) 하부의 지지리브(200)와 받침용 리브(300)가 이웃한 알큐에스 슬래브의 지지리브(200-1) 및 받침용 리브(300-1)와 폭방향으로 동일한 피치간격(P)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리브와 받침용 리브가 동일한 피치간격으로 나란하게 연속됨으로써, 실내에서 천정을 바라보았을 때 미관이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리브(지지리브 및 받침용 리브)간 분담폭을 동일하게 적용시켜 불필요한 리브 과설계가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결국, 리브 과설계 방지로 인해 슬래브 제작시 발생되는 원가 절감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알큐에스 슬래브는 기존 더블티 슬래브 및 멀티슬래브 대비 수직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종래에 비해 15% 이상 개선되어 중량 대비 구조가 견고해지고, 개선된 저항능력은 기존의 장스팬 시공 면적대비 PC기둥의 사용, 기타 구조부재 및 시공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시공 기간이 단축되어 공사에 따른 경제성과 작업 생산성 및 구조 저항능력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알큐에스 슬래브의 수직력에 대한 저항능력 수식 단순보 방식인 종래 더블티슬래브의 수직력에 대한 저항능력 수식

Figure 112010009604554-pat00001

Figure 112010009604554-pat00002

즉, 상기 알큐에스 슬래브는 구조 연속성에 따른 시공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고, 전단 보강성이 증대되며, 현장 콘크리트의 건조시 슬래브가 상향 올림되어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양단보 걸침에 의한 공간활용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패널 200 ... 지지리브
300 ... 받침용 리브 310 ... L자형 걸림턱
400 ... ㅡ자형 자유단

Claims (2)

  1. 패널(100) 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리브(200)가 형성되되, 상기 패널(100)은 폭방향 일측단에 L자형 걸림턱(310)을 갖는 받침용 리브(300)가 형성되고, 받침용 리브(300)와 대응되는 패널(100)의 반대측에는 ㅡ자형 자유단(400)이 형성되어 이웃한 슬래브와 연결시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패널(100) 하부의 지지리브(200)와 받침용 리브(300)는 이웃한 슬래브의 지지리브(200-1) 및 받침용 리브(300-1)와 폭방향으로 동일한 피치간격(P)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200,200-1)와 받침용 리브(300,300-1)는 피씨보의 상부면에 위에 걸침되어 패널(100)과 함께 사면지지(Quadrilaterals Supporting)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2. 삭제
KR1020100013230A 2010-02-12 2010-02-12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KR10118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230A KR101184383B1 (ko) 2010-02-12 2010-02-12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230A KR101184383B1 (ko) 2010-02-12 2010-02-12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86A KR20110093286A (ko) 2011-08-18
KR101184383B1 true KR101184383B1 (ko) 2012-09-20

Family

ID=4493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230A KR101184383B1 (ko) 2010-02-12 2010-02-12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86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001208B1 (ko) 샌드위치 피씨-월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41515B1 (ko) 피씨 구조물용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KR101394193B1 (ko)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KR100903398B1 (ko) 프리캐스트 섬유보강 와이어매쉬 슬래브
KR101765334B1 (ko)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KR101347113B1 (ko) 강합성 교량의 전단포켓형 상부슬래브 시공을 위한 압출가설 장치
KR100905806B1 (ko) 조립식 계단
KR20090024511A (ko) 장지간 하이브리드 딥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림 플로어구조물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614722B1 (ko) 피씨 복합화 건축물용 플랫 리브드 슬래브
KR101230049B1 (ko) 거푸집 및 레일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111862A (ko) 상부 돌출 보강보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US20090301011A1 (en) Reinforced concrete ceiling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1192362B1 (ko) 패널의 전단 저항력 보강 구조를 갖는 피씨 슬래브 및 상기 피씨 슬래브의 제조방법
KR101036177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84383B1 (ko) 지하주차장 시공용 알큐에스 슬래브
KR20100090553A (ko)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103680B1 (ko) 아치형 지지리브를 갖는 건축물용 피씨 슬래브
KR100763979B1 (ko) 지하주차장 시공용 멀티슬래브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457070B1 (ko) 피씨 구조물용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KR20130035355A (ko) 내진용 전단보강체를 갖는 건축물용 피씨 슬래브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JP5729566B2 (ja) コンクリート平版のせん断補強の形成方法と、道路床版及びフラットス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