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130B1 -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130B1
KR101184130B1 KR1020100117038A KR20100117038A KR101184130B1 KR 101184130 B1 KR101184130 B1 KR 101184130B1 KR 1020100117038 A KR1020100117038 A KR 1020100117038A KR 20100117038 A KR20100117038 A KR 20100117038A KR 101184130 B1 KR101184130 B1 KR 10118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urrent
power
array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348A (ko
Inventor
신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 H02H7/125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responsive to internal faults, e.g. by monitoring ripple in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류 제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및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어레이 전류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3차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 LED 패널에 공급되어야 할 피크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계통의 열 손상이나 시스템 전체의 오작동 내지 셧다운을 방지함은 물론, 시스템 설계 및 제조 시 공간 및 비용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of 3 dimensional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3 dimensional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LED 패널에 공급되어야 할 피크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계통의 열 손상이나 시스템 전체의 오작동 내지 셧다운을 방지함은 물론,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시에 공간 및 비용 효율을 개선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ED 디스플레이 패널(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은 LED를 정렬한 RGB 픽셀의 배열을 통해 선택적으로 빛을 방사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한다. 최근, 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3차원 LED TV 등의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명세서에서 LED TV라 함은 LED 백라이트를 구비한 LCD TV임을 알려둔다.
그러나,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2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보다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더욱 높은 피크치를 지닌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열에 의한 주변 부품의 열 손상이나 시스템 전체의 오작동 내지 셧다운(shutdown) 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많은 전력이 충?방전되기 때문에 전압 리플(Ripple)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들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된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등 공간 및 비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LED 패널에 공급되어야 할 피크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계통의 열 손상이나 시스템 전체의 오작동 내지 셧다운을 방지함은 물론, 많은 전력이 충?방전됨으로써 야기되는 전압 리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에 요구되는 용량성 소자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시에 공간 및 비용 효율을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및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어레이 전류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의 위상을 동일하게 변환하는 제1 변환기부;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저장하는 링크 커패시터부; 및 상기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부는,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을 펄스 형태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소정 주파수를 지닌 외부 전원을 상기 교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동일한 펄스 폭 및 전류값을 지니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값의 합이 상기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ED 패널부; 및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은, 전원 변환 장치에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단계; 및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LED 드라이버에서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어레이 전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LED 패널에 공급되어야 할 피크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계통의 열 손상이나 시스템 전체의 오작동 내지 셧다운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많은 전력이 충?방전됨으로써 야기되는 전압 리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전력 공급 장치에 요구되는 용량성 소자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시에 공간 및 비용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의 전원 변환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각의 LED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입?출력 전력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최악의 입?출력 전력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에 의해 각각의 LED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예컨대 3차원 LED TV 시스템은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100) 및 LED 패널부(1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LED TV라 함은 LED 백라이트를 구비한 LCD TV임을 알려둔다.
상기 LED 패널부(130)는, 사용자 선택 모드(2D mode 또는 3D mode)에 따라 LED 패널(LED Panel)을 통해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100)는,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LED Array)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한다(S210 내지 S240). 이를 위해, 상기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100)는 전원 변환부(110) 및 어레이 전류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10)는, 상기 LED 패널부(130)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도 3에는 상기 전원 변환부(11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변환부(110)는 제1 변환기부(330), 링크 커패시터(340) 및 제2 변환기부(350)을 포함하며, 정류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2 변환기부(35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360)는 상기 제2 변환기부(350)의 출력 용량(capacitance)을 나타내고, 저항(370)은 부하(load)의 모델 링 저항(resistance)을 나타낸다.
상기 정류부(320)는, 소정 주파수를 지닌 외부 전원(310)을 교류 전원으로 정류한다(S210). 이 경우, 상기 정류부(320)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전파 정류기(full wave rectifier)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환기부(330)는, 최대 역률(Unity Power Factor)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의 위상을 동일하게 변환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변환기부(330)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 즉 입력 전력(Pin)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동일하며, 그 모양도 정현파(Pure Sine-Wave)에 가까워진다. 또한, 상기 입력 전력(Pin)의 모양은 오프셋(Offset)을 가지며 외부 전원(310) 주파수의 두 배의 주파를 지닌다.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는,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저장한다.
상기 제2 변환기부(350)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에 저장된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S220). 상기 제2 변환기부(350)는,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에 저장된 전원을 펄스 형태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S230). 이를 위해, 상기 제2 변환기부(350)는 스위치 형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 변환부(110)는, 상기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3D 모드 성능(performance)을 최대화하기 위해 외부 전원(310) 주기의 반 주기 중 일부 시간 동안만 상기 LED 패널부(130)의 LED 패널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도 4에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각의 LED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예컨대 3차원 LED TV 시스템에서 3D 모드가 선택되어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보다 LED 패널에 필요한 전류의 피크치가 높다. 즉,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값의 합은 특정 순간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보다 커지게 된다.
도 5에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입?출력 전력 상황이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예컨대 3차원 LED TV 시스템에서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에 의한 입력 전력(Pin)의 주파수를 120Hz로 가정하면, 상기 3차원 LED TV의 3D 모드 성능 구현을 위해,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출력 전력(Po)은 8.33ms 주기를 지닌 펄스(Pulse) 형태로, 한 주기당 최대 전력(Po.max) 공급 구간이 17%(0.42ms), 최소 전력(Po.min) 공급 구간이 83%(6.91ms)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소 전력(Po.min)이 0이 아닌 이유는 LED 패널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운드 출력 또는 스탠바이 블록(Standby Block)을 위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변환기부(330)에 의해 입력 전압 및 전류가 동위상을 가지므로 입력 전력(Pin)은 평균 입력 전력을 오프셋으로 갖는 사인파형이 된다. 상기 입력 전력(Pin)의 크기가 상기 출력 전력(Po)의 크기에 비해 작은 경우(A 영역)에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가 방전되며, 반대의 경우(B 영역)에는 그 차이만큼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가 충전된다. 이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에는 링크 전압(Vlink)이 걸리게 되며 상기 입력 전력(Pin)과 상기 출력 전력(Po)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링크 전압(Vlink)의 크기가 변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 전압(Vlink)이 최대값(Vlink . max)과 최소값(Vlink . min) 사이에서 변동하는 리플(Ripple)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도 5의 A 영역 및 B 영역 만큼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충?방전하면서 상기 링크 전압의 리플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출력 전력(Po)의 최대 전력(Po.max) 구간은 일정한 위상이 아닌 임의의 위상에 놓일 수 있다.
도 6에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최악의 입?출력 전력 상황이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전력(Po)의 최대 전력(Po.max) 구간이 상기 입력 전력(Pin)의 최소 전력 구간과 일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로부터 방전되는 전력량(A 구간) 및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로 충전되는 전력량(B 구간)이 최대치에 이르게 된다. 이는 상기 링크 전압(Vlink)의 리플이 최대가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시스템을 설계한 경우, 상기 제1 변환기부(330) 및 상기 제2 변환기부(350)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의 링크 전압(Vlink)이 설계된 최소값 이하로 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전류 방지(OCP) 동작에 의한 시스템 셧다운(Shutdown)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1차 측 전류 증가로 인한 발열 문제 등 시스템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할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340)의 용량을 증가시켜야만 링크 전압(Vlink)이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값보다 떨어지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 장치의 크기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비해 LED 패널로 큰 피크성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전력 계통은 물론 시스템 전체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120)는,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한다(S240). 이 경우,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상기 펄스 형태의 전류는 동일한 펄스 폭 및 전류값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값의 합이 상기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LED 어레이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에 의해 각각의 LED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류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예컨대 3차원 LED TV 시스템의 LED 패널이 총 10개의 LED 어레이(Array)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어레이는 16개의 스트링(St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3차원 LED TV 시스템의 3D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LED에 공급하여야 하는 전류가 150mA라고 한다면, 1개의 어레이에는 150mA×16=2.4[A]의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LED 패널에 공급하여야 하는 피크성 전류는 24[A]가 된다.
따라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120)는 1개의 어레이마다 0.489ms의 지연시간을 두어 순차적으로 3D 성능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LED 패널에 매 순간 공급되는 전류의 순시치는 최대 3개의 LED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치 합이 된다. 즉, 상기 LED 패널에 공급되는 전류의 피크치는 2.4A×3=7.2[A]에 불과하다. 반면, 3차원 LED TV 시스템에서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1개의 LED 어레이에 공급하여야 하는 전류량은 0.95[A]이지만, 10개의 LED 어레이 전체가 쉬는 구간 없이 모두 켜져 있어야 하므로 LED 패널에 공급하여야 하는 전류의 피크치는 9.5[A]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D 모드 시의 피크 전류를 2D 모드 시의 피크 전류보다 낮출 수 있게 되어 과전류에 의해 초래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120)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LED 패널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LED 드라이버(LED Driver)의 마이컴(Microcomputer)으로 하여금 상술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별도 장치의 추가 없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또한,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의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을 통해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코드를 분산방식으로 저장하고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LED 패널에 공급되어야 할 피크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계통의 열 손상이나 시스템 전체의 오작동 내지 셧다운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많은 전력이 충?방전됨으로써 야기되는 전압 리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전력 공급 장치에 요구되는 용량성 소자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시에 공간 및 비용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및
    복수의 LED 어레이로 구성되는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LED 패널에 공급되는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어레이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로 전류를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중 일부인 최대 3개의 LED 어레이에 동시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의 위상을 동일하게 변환하는 제1 변환기부;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저장하는 링크 커패시터부; 및
    상기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기부를 포함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부는,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을 펄스 형태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소정 주파수를 지닌 외부 전원을 상기 교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동일한 펄스 폭 및 전류값을 지니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값의 합이 상기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8. 복수의 LED 어레이로 구성되는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ED 패널부; 및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LED 패널에 공급되는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는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로 전류를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중 일부인 최대 3개의 LED 어레이에 동시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는,
    교류 전원을 펄스 형태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어레이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동일한 펄스 폭 및 전류값을 지니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값의 합이 상기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변환 장치에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단계; 및
    복수의 LED 어레이로 구성되는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LED 패널에 공급되는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LED 드라이버에서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일정 지연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어레이 전류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 단계는 상기 LED 패널의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로 전류를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중 일부인 최대 3개의 LED 어레이에 동시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 단계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의 위상을 동일하게 변환하는 제1 변환 단계;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 단계는, 상기 LED 패널을 통해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을 펄스 형태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 단계는, 소정 주파수를 지닌 외부 전원을 상기 교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동일한 펄스 폭 및 전류값을 지니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전류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들의 순시값의 합이 상기 LED 패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LED 어레이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인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방법.
KR1020100117038A 2010-11-23 2010-11-23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18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038A KR101184130B1 (ko) 2010-11-23 2010-11-23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038A KR101184130B1 (ko) 2010-11-23 2010-11-23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48A KR20120055348A (ko) 2012-05-31
KR101184130B1 true KR101184130B1 (ko) 2012-09-18

Family

ID=4627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038A KR101184130B1 (ko) 2010-11-23 2010-11-23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5763A1 (en) * 2012-11-07 2014-05-08 Robert Nathan Cohen 3d led output device and process for emitting 3d content output for large screen applications and which is visible without 3d glasses
KR102266133B1 (ko) * 2014-11-17 2021-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95Y1 (ko) 2004-10-26 2005-02-07 이대일 3차원 카메라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95Y1 (ko) 2004-10-26 2005-02-07 이대일 3차원 카메라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48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262B2 (en) Smart power adap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ay thereof
CN102906951B (zh) 配电装置及使用该配电装置的配电系统
CN104980053A (zh) 以反驰式架构为基础的电源转换装置
EP2728971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evices
CN103378736B (zh) 供电设备及其操作方法和包括供电设备的太阳能发电系统
CN103370863A (zh) 移动设备适配器和充电器
KR20200048913A (ko) 폐배터리 기반의 독립형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6162523B2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電源制御プログラム
US10404069B2 (en) Driving circuit, driving arrangement and driving method, suitable for grid feeding
US9072141B2 (en) Driving circuit for a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KR101184130B1 (ko)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70018934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CN202737879U (zh) 光模块用低功耗电路及光模块
EP3741189B1 (en) Constant current driver charging energy storage unit
CN104267572B (zh) 一种投影幕和投影系统
CN110352531B (zh) 便携用能量存储装置用能量级转换电路
CN104600768A (zh) 电源装置
EP3104485B1 (en) Power providing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electricity sources
CN105247961B (zh) 用于发光二极管照明的驱动器及驱动发光二极管照明的方法
KR101330639B1 (ko) 대기모드 저전력이 가능한 전원공급장치
KR20160137010A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시간 구간별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1145977B1 (ko) 전력 공급 장치, 상기 전력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3차원 led tv 시스템 및 전력 공급 방법
KR10205295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7410641B2 (ja) Led照明用のドライバ及びled照明を駆動する方法
JP2015149858A (ja) 昇圧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