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392B1 -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 Google Patents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392B1
KR101183392B1 KR20100058341A KR20100058341A KR101183392B1 KR 101183392 B1 KR101183392 B1 KR 101183392B1 KR 20100058341 A KR20100058341 A KR 20100058341A KR 20100058341 A KR20100058341 A KR 20100058341A KR 101183392 B1 KR101183392 B1 KR 10118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ttom plate
caster
transport device
direc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450A (ko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김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학 filed Critical 김용학
Priority to KR2010005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3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3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에 관련되며, 이때 방향 전환 가이드는 통행로 바닥에 설치되어 캐스터에 의해 이송되는 쇼핑카트를 포함하는 운반장치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도록 안내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 중인 운반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운행로 바닥에 구비되는 안내가이드에 의해 캐스터 진행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환승구간을 포함하는 신속한 방향전환을 요하는 위치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방향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Direction conversion guide for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스터의 구름성에 의해 이동하는 쇼핑카트를 포함하는 운반장치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한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쇼핑카트를 포함하는 운반장치는 하부에 다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되고, 캐스터의 구름성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물건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캐스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힌지를 축으로 선회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운반장치가 좁은 공간에서도 위치이동 및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모든 바퀴가 선회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이동 중에 방향 전환시 큰 반경을 그리면서 사용자의 선회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방향 전환이 어렵고, 특히 쇼핑카트 방향 전환시 허리를 돌려서 척추의 한쪽방향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므로 근력이 약한 노약자, 여성 등의 사용자에게 부적합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4214호에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물건이 담겨지는 바스켓과, 프레임에 하부에 고정되어 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바퀴와, 프레임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으로 연장부로 형성되어 그 단부에는 원호형의 기어부가 연결되고, 기어부는 카트 전방의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손잡이의 회전으로 전방의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전환이 용이한 카트는 프레임 및 바퀴, 바스켓으로 구성된 기본 카트상에 손잡이 및 연장부, 기어부, 원형기어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부품을 설치 조립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특히 기존 카트에 적용이 불가능하여 카트를 전량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를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쇼핑카트를 포함하는 운반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이송중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한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통행로 바닥에 설치되어 일단으로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진입되고, 다른 일단은 운반장치(1)가 방향전환되어 진행해야할 방향을 향하는 안내가이드(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통행로 바닥에 위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상면에 형성되어 일단으로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진입되고, 다른 일단은 운반장치(1)가 방향 전환되어 진행해야할 방향으로 향하는 안내가이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20)는 바닥판(10)상에 따내기 또는 음양각 구조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수용되어 순간적으로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내주면에 보조안내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은 캐스터(2)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확장형 경사면(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적어도 1개소에 부채꼴형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통행로 바닥에 위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 상면에 형성되고, 운반장치(1)의 캐스터(2)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형성되는 마찰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30)는 요철 및 자석, 탄성판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은 양단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은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40)는 바닥에 고정되어 길이 조절되는 수평봉(42)과, 수평봉(42)상에 선단부가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고 하단부가 바닥판(10)에 고정되는 수직봉(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 중인 운반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운행로 바닥에 구비되는 안내가이드에 의해 캐스터 진행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층간 환승구간을 포함하는 신속한 방향전환을 요하는 위치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방향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운반장치가 방환 전환시 허리의 한쪽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허리디스크, 허리통증 등을 포함하는 부상이 예방된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층간 환승구간에서 운반장치의 진행방향을 전환해주는 도우미가 불필요하므로 인건비 및 운영예산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도 1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도 3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도 3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에 관련되며, 이때 방향 전환 가이드는 통행로 바닥에 설치되어 캐스터에 의해 이송되는 쇼핑카트를 포함하는 운반장치의 선회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시켜 주는바, 여기서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실시 예를 통하여 상사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도 1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는 통행로 바닥에 설치되어 일단으로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진입되고, 다른 일단은 운반장치(1)가 방향 전환되어 진행해야할 방향을 향하는 안내가이드(20)가 구비된다. 안내가이드(20)는 사출성형 또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통행로 바닥에 설치하는 부착형으로 형성되거나, 바닥시공시 일체로 시공되는 매립 또는 바닥 블럭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조립 시공된다.
여기서, 안내가이드(20)는 U형, V형, 아치형을 포함하는 유선형으로 자연스럽게 절곡 형성되고, 운반장치(1)의 전륜 캐스터(2)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바, 일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이동을 위해 방향을 180도 전환해야 하는 에스컬레이터 환승구간 바닥에 설치되어 전륜 캐스터(2)의 진행방향을 강제로 진입 안내해 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운반장치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수용되어 순간적으로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내주면에 보조 안내홈(24)이 형성된다. 보조 안내홈(24)은 도 2처럼 안내가이드(20)의 중간위치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안내가이드(10)를 타고 이송되는 캐스터(2)가 일시적으로 진입 수용된다.
이에 층간이동을 위해 방향을 180도 전환해야 하는 에스컬레이터 환승구간에서 안내가이드(20)를 타고 진입된 캐스터(2)가 보조 안내홈(24)에 수용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정지 또는 서행되고, 이때 운반장치(1) 본체는 정지된 캐스터(2)를 축으로 180도 선회하면서 환승해야할 에스컬레이터를 향하게 되며, 이어서 운반장치(1)를 미는 힘에 의해 캐스터(2)가 보조안내홈(24)상에서 벗어나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은 캐스터(2)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확장형 경사면(26)이 형성된다. 이에 캐스터가 진입하는 안내가이드의 입구부분이 확장형 경사면(26)에 의해 넓게 형성됨에 따라 캐스터의 진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적어도 1개소에 부채꼴형태로 이격 배치된다. 즉, 적어도 1개소에 배치된 안내가이드(20)가 순차적으로 넓고 길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전환위치에서 운반장치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실시 예 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도 3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도 3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통행로 바닥에 위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상면에 형성되어 일단으로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진입되고, 다른 일단은 운반장치(1)가 방향 전환되어 진행해야할 방향을 향하는 안내가이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10)과 안내가이드(20)는 사출성형 또는 금속판을 따내기(펀칭)/절곡하여 통행로 바닥상면에 설치되거나, 바닥 시공시 매립 또는 바닥 블럭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가이드(20)는 U형, V형, 아치형을 포함하는 유선형으로 자연스럽게 절곡 형성되고, 운반장치(1)의 전륜 캐스터(2)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바, 일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이동을 위해 방향을 180도 전환해야 하는 에스컬레이터 환승구간 바닥에 설치되어 전륜 캐스터(2)의 진행방향을 강제로 전환시켜 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운반장치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수용되어 순간적으로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내주면에 보조 안내홈(24)이 형성된다. 도 5처럼 보조 안내홈(24)은 안내가이드(20)의 중간위치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안내가이드(10)를 타고 이송되는 캐스터(2)가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이에 층간이동을 위해 방향을 180도 전환해야 하는 에스컬레이터 환승구간에서 안내가이드(20)를 타고 진입된 캐스터(2)가 보조 안내홈(24)에 수용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이때 운반장치(1) 본체는 정지된 캐스터(2)를 축으로 180도 선회하면서 환승해야할 에스컬레이터를 향하게 되며, 이어서 운반장치(1)를 미는 힘에 의해 캐스터(2)가 보조안내홈(24)상에서 벗어나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은 캐스터(2)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확장형 경사면(26)이 형성된다. 이에 캐스터가 진입하는 안내가이드의 입구부분이 확장형 경사면(26)에 의해 넓게 형성됨에 따라 캐스터의 진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적어도 1개소에 부채꼴형태로 이격 배치된다. 즉, 적어도 1개소에 배치된 안내가이드(20)가 순차적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터닝위치에서 운반장치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은 양단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캐스터(2)가 진입되는 바닥판(10)의 일단부가 통행로 바닥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바닥판(10) 상면으로 캐스터(2)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7에서, 상기 바닥판(10)은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40)는 바닥에 고정되어 길이조절되는 수평봉(42)과, 수평봉(42)상에 선단부가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고 하단부가 바닥판(10)에 고정되는 수직봉(46)이 구비된다. 이때 수평봉(42)은 운반장치(1)의 방향이 전환되는 터닝축지점에 인접하게 설치(예컨대, 에스컬레이터의 환승구간에 설치된 안내봉)되고, 수평봉(42) 단부에 수직봉(46)이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며,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봉(46)의 하단부가 통행로의 바닥상으로 밀착력이 작용한다.
이에 수평봉(42)의 길이조절에 따라 바닥판(10)의 위치가 조절되고, 설정된 위치에서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판(10)이 통행로 바닥에 밀착됨에 따라 일예로서 에스컬레이터의 환승에 따른 터닝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안내봉의 위치를 조절시 바닥판(10)의 위치가 함께 조절되는 유연성이 제공된다.
[실시 예 3]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a 내지 6f에서, 통행로 바닥에 위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 상면에 형성되고, 운반장치(1)의 캐스터(2)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형성되는 마찰부(30)가 구비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마찰부(30)가 요철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c 내지 6d는 바닥판(10)을 따내기 하여 음각으로 마찰부(30)를 형성한 구성이며, 도 6e 내지 6f는 마찰부(30)가 자석, 탄성판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30)는 요철 및 자석, 탄성판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형성된다. 이에 바닥판(10)상으로 진입한 전방 캐스터(2)가 마찰부(30)에 의해 이동성이 저하되면서 브레이크역할을 수행하고, 이때 운반장치(1) 본체는 전방 캐스터(2)를 축으로 선회하면서 환승해야할 에스컬레이터를 향하게 되며, 이어서 운반장치(1)를 미는 힘에 의해 캐스터(2)가 마찰부(30)상에서 벗어나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은 양단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캐스터(2)가 진입되는 바닥판(10)의 일단부가 통행로 바닥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바닥판(10) 상면으로 캐스터(2)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7에서, 상기 바닥판(10)은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40)는 바닥에 고정되어 길이 조절되는 수평봉(42)과, 수평봉(42)상에 선단부가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고 하단부가 바닥판(10)에 고정되는 수직봉(46)이 구비된다. 이때 수평봉(42)은 운반장치(1)의 방향이 전환되는 터닝축지점에 인접하게 설치(예컨대, 에스컬레이터의 환승구간에 설치된 안내봉)되고, 수평봉(42) 단부에 수직봉(46)이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며,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봉(46)의 하단부가 통행로의 바닥상으로 밀착력이 작용한다.
이에 수평봉(42)의 길이조절에 따라 바닥판(10)의 위치가 조절되고, 설정된 위치에서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판(10)이 통행로 바닥에 밀착됨에 따라 일예로서 에스컬레이터의 환승에 따른 방향전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안내봉의 위치를 조절시 바닥판(10)의 위치가 함께 이동 조절되는 유연성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바닥판(10)의 일측 빈 공간부에 진입방향표시판 및 광고물을 부착할 수 있는 표시부를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10: 바닥판 20: 안내가이드 30: 마찰부
40: 위치조절부재

Claims (10)

  1. 삭제
  2. 통행로 바닥에 위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상면에 형성되어 일단으로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진입되고, 다른 일단은 운반장치(1)가 방향 전환되어 진행해야할 방향을 향하는 안내가이드(2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은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40)는 바닥에 고정되어 길이 조절되는 수평봉(42)과, 수평봉(42)상에 선단부가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고 하단부가 바닥판(10)에 고정되는 수직봉(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바닥판(10)상에 따내기 또는 음양각 구조로 절곡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운반장치(1)의 캐스터(2)가 수용되어 순간적으로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내주면에 보조 안내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20)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은 캐스터(2)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확장형 경사면(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적어도 1개소에 부채꼴형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7. 통행로 바닥에 위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 상면에 형성되고, 운반장치(1)의 캐스터(2) 이동성이 저하되도록 형성되는 마찰부(3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은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40)는 바닥에 고정되어 길이 조절되는 수평봉(42)과, 수평봉(42)상에 선단부가 스프링(44)과 함께 설치되고 하단부가 바닥판(10)에 고정되는 수직봉(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30)는 요철 및 자석, 탄성판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9.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양단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10. 삭제
KR20100058341A 2010-06-21 2010-06-21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KR10118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8341A KR101183392B1 (ko) 2010-06-21 2010-06-21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8341A KR101183392B1 (ko) 2010-06-21 2010-06-21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50A KR20110138450A (ko) 2011-12-28
KR101183392B1 true KR101183392B1 (ko) 2012-09-14

Family

ID=4550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8341A KR101183392B1 (ko) 2010-06-21 2010-06-21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58B1 (ko) * 2016-03-25 2017-01-16 박주한 에스컬레이트와 에스컬레이트 사이의 방향전환이 용이한 쇼핑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23Y1 (ko) * 2001-05-28 2001-10-1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무빙워크의 카트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23Y1 (ko) * 2001-05-28 2001-10-1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무빙워크의 카트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50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3205A3 (en) Conveyer system with individual load carriers.
FR2855964B1 (fr) Structure de suspension pour ensemble de roue avant de chaise roulante
JP2011518073A (ja) ユニット的連接転動具および同連接転動具を含む転動用集合体
KR101183392B1 (ko) 운반장치용 방향 전환가이드
DK1407956T3 (da) Mobil indköbskurv
ZA200700994B (en) Device for offering goods for sale
KR101096305B1 (ko) 본체의 무게중심 조정기능을 갖는 외바퀴형 손수레
US5988659A (en) Portable panel lift device
JP5425587B2 (ja) 車椅子電動化装置
WO2007067040A3 (en) Wheel construction enabling to roll over threshold
KR100994281B1 (ko) 수동 방향 조절 이송장치
CN111703481B (zh) 一种医用手推车装置
CN210116527U (zh) 一种购物手拉车
GB2440310A (en) Travel bag with retractable handle and wheeled support frame
CN208915210U (zh) 一种纵横平移式配电柜用转运小车
CN201823239U (zh) 具支撑可旋转的腿部伸展健身器
KR101100857B1 (ko) 적재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3륜 바퀴의 쇼핑카트
KR20110112759A (ko) 수동 방향 조절 이송장치
CN110126894B (zh) 一种购物手拉车
NL1016505C2 (nl) In een warenhuis of dergelijke te gebruiken wagen.
KR200492175Y1 (ko) 캐스터 및 그를 갖는 손수레
CN103963809A (zh) 机动道牙坡道抬升拖拉器
KR100984009B1 (ko) 운반구용 캐스터
CN207118705U (zh) 可移动行李箱
KR200460814Y1 (ko) 회전 캐스터용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