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40B1 -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40B1
KR101182840B1 KR1020100108843A KR20100108843A KR101182840B1 KR 101182840 B1 KR101182840 B1 KR 101182840B1 KR 1020100108843 A KR1020100108843 A KR 1020100108843A KR 20100108843 A KR20100108843 A KR 20100108843A KR 101182840 B1 KR101182840 B1 KR 10118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unit
user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131A (ko
Inventor
김응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40B1/ko
Priority to US13/284,256 priority patent/US8700797B2/en
Publication of KR2012004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1Operating system [OS] processes, e.g. server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라 현 시점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와,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서버가 제공하는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경로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reaming service using composite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 변화에 따라 현 시점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는 다양한 단말과 서비스들의 통신 환경에 둘러싸여 있다. 앞으로는 유무선 단말, 홈 네트워크 이외에도 PAN(Personal Area Network), BAN(Body Area Network) 등 수많은 종류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 또는 단말이 수많은 서비스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디바이스 또는 단말은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서비스를 사용하기를 원하고 현재보다 더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스트리밍 서비스는 각 사업자마다 고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지고 독자적인 코덱 및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 및 네트워크 상황 변화에 수동적이며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단말에서 단위 서비스들을 직접 선택하여, 협상 및 조합하여 동작시켜야 하므로 서비스에 대한 부가적 오버헤드가 매우 많이 발생된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별로 독자적인 서비스 개발에 따른 중복 개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므로 비용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또한, 종래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미디어게이트웨이 등에서 서비스되는 콘텐츠 정보 및 서비스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며 웹 기반으로 동작하는 서비스 브로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 창출이 어렵고 사용자들도 동일한 서비스를 접속하는 네트워크와 단말에 상관없이 제공받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광대역 통합망에서도 인터넷 기반 VOD 및 인터넷 TV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도 유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서비스 되고 있는 IPTV도 방송서비스, VoD, 기본적인 양방향 TV 서비스들을 유선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사업자 중심의 폐쇄형 서비스 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어, 현재의 서비스 대부분은 사용자나 네트워크의 상황이 변화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반응함에 있어 수동적이며,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라 현 시점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 측면에 따른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와,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서버가 제공하는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경로 처리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서비스 사업자에게 다양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쉽게 개발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폐쇄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개발 환경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개방적인 서비스 개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 및 단말의 변화에 관련된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 시점에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기술을 선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이미 구축되었거나 향후 만들어질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관련 단위 서비스들이 다시 이용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재사용성이 높아져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개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이용하는 복합 상황 정보인 사용자 프로파일, 디바이스 프로파일, 서비스 프로파일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황 정보 기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실행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라 현 시점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를 동적으로 찾아내어 조합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상황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감지하며,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재조합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에게 사용하기 쉽고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로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합 상황 정보 기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 응용 서버(120),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 및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한다. 복합 상황 정보 기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이하에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이라고 한다.
사용자 단말(140)은 사용자 단말의 종류, 형태 및 사용자 단말의 설정 상태 등 여러 환경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제1 사용자 단말(142), 제2 사용자 단말(144) 및 제3 사용자 단말(1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사용자 단말(142), 제2 사용자 단말(144) 및 제3 사용자 단말(146)은 동일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40)을 나타내는 것으로, 서로 다른 상황에 있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이종의 사용자 단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42)은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의 개인용 컴퓨터이고, 제2 사용자 단말(144)은 음소거 환경에 있는 상태의 제1 사용자 단말(142)과 동일한 개인용 컴퓨터이고, 제3 사용자 단말(144)은 제1 사용자 단말(142) 및 제2 사용자 단말(144)와 동일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42), 제2 사용자 단말(144) 및 제3 사용자 단말(146)은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응용 서버(120)를 통해서 요청할 수 있다.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은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은 비디오 스트리밍을 단위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134), 온라인 자막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 및 코드 변환 서비스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 및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가 각각 1개씩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에 포함되어 있으나, 동일한 종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복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 및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는 각각 다른 서비스 및 콘텐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응용 서버(120)가 스마트 스트리밍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작 요청을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전달하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존재하는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적응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합 상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현 시점의 사용자가 처해 있는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위 서비스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의 환경이 변화하여 관련된 상황 정보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황 정보 이벤트에 따라 그 복합 상황에 대응하는 가장 적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경로를 새롭게 구성하고, 그 새롭게 선정된 서비스 경로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42)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응용 서버(120)를 통해서 요청하면, 응용 서버(120)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사용자 단말(140)의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리밍에 대한 사용 권한을 확인한 후, 사용 권한이 있으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종류를 추출하고,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통해서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통해서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142)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가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바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단위 서비스인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로부터 제공된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 데이터에, 광고 서비스 서버(134)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해서 추출된 선호 광고 종류에 해당하는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1 사용자 단말(14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42)을 음소거 하는 환경으로 변경하게 되면 제1 사용자 단말(142)은 제2 사용자 단말(144)이 된다.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음소거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로부터 제공되던 비디오 스트리밍과 관련된 온라인 자막을 수신하고, 제공하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온라인 자막을 삽입하여, 음소거 환경에 있는 제2 사용자 단말(144)에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144)을 휴대 단말인 제3 사용자 단말(146)로 변경하게 되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통해 단말 변경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트랜스코딩 단위 서비스 서버(138)로부터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에 해당하는 코덱 정보를 수신하고, 제공되던 비디오 스트리밍의 데이터를 수신된 코덱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사용자 단말(146)이 처리가능한 코덱으로 변환하고,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변환된 코덱으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3 사용자 단말(146)에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 단위 서비스 등록부(220),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 사용자 프로파일(260) 및 디바이스 프로파일(270) 및 서비스 프로파일(28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260) 및 디바이스 프로파일(270) 및 서비스 프로파일(280)는 정보를 저장하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응용 서버(120)로부터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40)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응용 서버(120)로 전송하면, 응용 서버(120)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에 따라 스마트 스트리밍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260)을 이용하여, 스마트 스트리밍 API를 전송한 사용자가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단위 서비스 등록부(220)는,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으로부터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단위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프로파일(280)을 구성한다.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 기반으로 서비스 경로를 선택하여 선택된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상황 변화에 따른 상황 정보 이벤트를 처리한다.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에서 선택된 서비스 경로에 따라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에서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정보를 조합하여 통합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260) 및 디바이스 프로파일(270) 및 서비스 프로파일(280)을 구성하는 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상인 복합 상황 정보 기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이용하는 복합 상황 정보인 사용자 프로파일(260), 디바이스 프로파일(270), 서비스 프로파일(280)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프로파일(260)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260)은 사용자별로, 연령, 성별, 직업과 같은 사용자 개인정보, 스트리밍 사용 권한 정보, 선호하는 광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은 사용자별로 이용하는 단말 종류,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 단말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상태 정보는, 음소거 상태와 같이, 현재의 단말의 설정 정보, 단말의 가용 네트워크 용량 정보, 네트워크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파일(280)은 등록된 단위 서비스들의 정보로 구성되는데 서비스 범주(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광고, 온라인 자막, 트랜스코딩 등), 각 범주에 관련된 단위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광고 서비스 범주에 관련 광고 단위 서비스 1, 광고 단위 서비스 2 등), 각 단위 서비스 사용 가능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 프로파일(260)을 통해서 수신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한 사용자가 해당 스트리밍 사용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 권한이 없으면 해당 서비스의 사용 권한이 없음을 응용 서버(120)에게 바로 응답을 하고, 사용 권한이 있으면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42)을 이용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의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42)이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42)이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사용자 프로파일(260)의 선호 광고 정보를 통해서 얻은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위 서비스 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280)내 선호 광고 범주에 속해 있는 광고 서비스 서버(134)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및 광고 서비스 서버(134)는 서비스 범주별로 존재하는 복수 개의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와 선택한 광고 서비스 서버(134)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를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단위 서비스를 수행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와 선택한 광고 서비스 서버(134)로부터 수신된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14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단말을 음소거 환경으로 변경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42)은 제2 사용자 단말(144)로 표시한다.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환경이나 사용자 단말 종류 등이 변경되면 변경 사항이 갱신되어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은 현재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 사용 환경에 변화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의 환경 변화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가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에 저장된 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의 환경이 변화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황 정보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감지된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가 존재하는 복합 상황에 적합한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을 음소거 환경으로 변경한 경우,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의 정보 중 음소거 상황 정보의 변화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하고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로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비스 경로 선정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프로파일(280)내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를 선택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및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로 구성된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 선택시 서비스 범주별로 존재하는 복수 개의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를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단위 서비스를 수행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및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로부터 수신된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 및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에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144)을 휴대 단말인 제3 사용자 단말(146)로 변경하게 되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의 단말 변경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로 새로운 서비스 경로 선정을 요청한다.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프로파일(280)에 등록된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를 선택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및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로 구성된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 선택시 서비스 프로파일(280)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범주별로 존재하는 복수 개의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를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에 따라 단위 서비스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트랜스코딩하여 제3 사용자 단말(146)에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있는 사용자의 스트리밍 사용 권한 정보, 선호하는 광고 정보 및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있는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 단말의 상태 정보 그리고 서비스 프로파일에 있는 현재 사용 가능한 단위 서비스 정보 등을 가지고 구성한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트리밍 서비스 요구에 따라,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의 복합적인 상황 정보 변화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서비스의 실행을 구성하고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 환경, 단말 능력, 네트워크 변화 등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에서도,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지된 복합 상황 요소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한다(410).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420).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430).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사업자에게 다양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쉽게 개발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폐쇄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개발 환경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개방적인 서비스 개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및 단말의 변화에 관련된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 시점에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 기술을 선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이미 구축되었거나 향후 만들어질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관련 단위 서비스들이 다시 이용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재사용성이 높아져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개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대상인 복합 상황 정보 기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실행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는 응용 서버(120)를 통해서 스마트 스트리밍 API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작 요청을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달한다(510).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작 요청을 수신한다(512).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파일(260)을 통해서 해당 스트리밍 사용 권한이 있는지를 비교한다(514).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사용 권한이 없으면(514), 사용 권한이 없음을 알리기 위하여 응용 서버(120)에게 바로 응답을 한다(516).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210)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사용 권한이 있으면(514),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위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경로 선정 요청을 전송한다(518).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경로 선정 요청을 수신한다(520).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의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를 검색하여(522) 사용자 단말이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524). 또한,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사용자 프로파일(260)의 선호 광고 정보를 검색해서(526), 검색된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위 서비스 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280)내 선호 광고 범주에 속해있는 광고 단위 서비스 서버 그룹(130) 중에 사용 가능한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528).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와 선호 광고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134)로 구성된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30).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에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대한 서비스 수행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532).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로부터 서비스 경로 정보에 대한 서비스 수행 요청을 수신한다(534).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수신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단위 서비스를 수행한 다음(536),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538).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42)의 환경을 음소거 환경으로 변경한 경우에 대하여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소 환경에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42)은 이하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144)이라고 한다.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42)을 음소거하는 환경으로 변경하여 제2 사용자 단말(144)이 되면(540),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의 음소거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542).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비스 경로를 선정할 것을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에게 요청한다(544).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경로 선정 요청을 수신한다(546).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프로파일(280)내 사용가능한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를 선택한다(548).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및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136)로 구성된 서비스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550).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에 대한 서비스 수행 요청을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로 전달한다(552).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수행 요청을 수신한다(554).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단위 서비스를 수행한다(556).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에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558).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142)을 휴대 단말인 제3 사용자 단말(144)로 변경한 경우에 대하여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휴대 단말인 제3 사용자 단말(146)로 변경하게 되면(560),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디바이스 프로파일(270)의 단말 변경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한다(562).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240)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에게 새로운 서비스 경로 선정을 요청한다(564).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경로 선정 요청을 수신한다(566).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서비스 프로파일(280)에 등록된 사용 가능한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를 선택한다(568).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132), 광고 서비스 서버(134) 및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138)로 서비스 경로를 구성하고, 구성된 서비스 경로를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70). 서비스 경로 선택부(230)는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대한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에 서비스 수행 요청을 전달한다(572).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서비스 수행 요청을 수신하고(574), 서비스 경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수행한다(576). 서비스 경로 처리부(25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트랜스코딩하여 제3 사용자 단말(146)에 표시가 가능한 형태의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578).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210: 스마트 스트리밍 API 처리부 220: 단위 서비스 등록부
230: 서비스 경로 선택부 240: 상황정보 이벤트 처리부
250: 서비스 경로 처리부 260: 사용자 프로파일
270: 디바이스 프로파일 280: 서비스 프로파일

Claims (16)

  1.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경로 선택부; 및
    상기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경로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작을 요청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API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스트리밍 요청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스트리밍 API를 전송한 사용자가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결정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원본 비디오 스트림을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프로파일의 선호 광고 정보를 통해서 얻은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사용 가능한 광고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경로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각각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경 변화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하는 상황정보 이벤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감지된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가 존재하는 복합 상황에 적합한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다시 생성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비디오 스트리밍을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광고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상기 상황정보 이벤트 처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의 음소거 상황 정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음소거 환경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서비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자막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사용 가능한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경로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온라인 자막 서비스 서버로부터, 각각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및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에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비디오 스트리밍을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광고 정보를 단위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상기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의 단말 변경 상황 정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휴대 단말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서비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 가능한 트랜스코딩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경로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트랜스코딩 서비스 서버로부터, 원본 비디오 스트리밍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및 트랜스코딩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트랜스코딩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표시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상기 휴대 단말에 전달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상황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및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별 사용자 개인 정보,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 권한 정보, 및 선호하는 광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능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은, 서비스 범주 정보, 단위 서비스 종류 정보 및 해당 단위 서비스 사용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11.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사용자 단말 및 단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서비스 서버 중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복합 상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서비스 경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정보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경 변화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황 정보 이벤트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가 존재하는 복합 상황에 적합한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경로 정보를 다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 서버에 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경이 변화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황 정보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108843A 2010-11-03 2010-11-03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8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43A KR101182840B1 (ko) 2010-11-03 2010-11-03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3/284,256 US8700797B2 (en) 2010-11-03 2011-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reaming service using composite contex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43A KR101182840B1 (ko) 2010-11-03 2010-11-03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131A KR20120047131A (ko) 2012-05-11
KR101182840B1 true KR101182840B1 (ko) 2012-09-14

Family

ID=4604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843A KR101182840B1 (ko) 2010-11-03 2010-11-03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00797B2 (ko)
KR (1) KR101182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93B1 (ko) * 2011-03-15 2016-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복합 상황정보 제공방법
KR20130005524A (ko) * 2011-07-06 2013-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기반 이동성 보장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30132521A1 (en) * 2011-11-23 2013-05-2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resenting alternative media content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US9577974B1 (en) * 2012-02-14 2017-02-21 Intellectual Ventures Fund 79 Llc Methods, devices, and mediums associated with manipulating social data from streaming services
US9277262B2 (en) * 2013-04-05 2016-03-01 Disney Enterprises, Inc. Content orchestration for assembly of customized content streams
US20140348156A1 (en) * 2013-05-22 2014-11-27 Rogers Communications Inc. Optimizing route selection based on transcoding
US10021436B2 (en) * 2014-10-14 2018-07-10 Disney Enterprises, Inc. Storage of tags in video for carriage in real-time
US10489496B1 (en) * 2018-09-04 2019-11-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within a subtitle of a media ass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90B1 (ko) * 2005-08-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을 보장하는 다중 사용자 지원 멀티미디어 컨텐츠제공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KR100868468B1 (ko) * 2006-11-29 2008-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186B1 (ko) 2003-11-28 2005-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화질 인터넷 방송 서비스 시스템
US7571232B2 (en) * 2004-03-22 2009-08-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hannel information
US8073941B2 (en) * 2006-05-25 2011-12-06 AppToU Technolog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access to applications
KR100954687B1 (ko) 2008-07-24 2010-04-2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00618A1 (en) * 2008-10-22 2010-04-22 Matthew Kuhlke Differentiating a User from Multiple Users Based on a Determined Pattern of Network Usage
US9215255B2 (en) * 2008-12-18 2015-12-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content transfer
US9538142B2 (en) * 2009-02-04 2017-01-03 Google Inc. Server-side support for seamless rewind and playback of video stream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90B1 (ko) * 2005-08-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을 보장하는 다중 사용자 지원 멀티미디어 컨텐츠제공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KR100868468B1 (ko) * 2006-11-29 2008-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24232A1 (en) 2012-05-17
US8700797B2 (en) 2014-04-15
KR20120047131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840B1 (ko) 복합 상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9245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delivery of prioritized content
US9288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user interface to manage the recording, downloading and sharing of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JP5905392B2 (ja) オンライ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による自動メディア資産アップデート
US201402863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ve use of heterogeneous networks according to unprocessed state of data being streamed
US201302910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edia Content
US88926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user interfa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1684A (ko) 미디어 배신 장치
WO2002076099A1 (en) Realtime/on-demand wireless multicast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8924305B2 (en) DLNA data distribution from a remote source
KR101354925B1 (ko) 복수 무선 통신망의 다중접속에 의한 컨텐트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US10027609B2 (en) Experience redirection with interactive feature changes
CN102474517A (zh) 转换移动装置媒体内容的方法
US20100146570A1 (en) Web service gateway for iptv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070169142A1 (en) Using a presence status in a media-on-demand system
US11687229B2 (en) Dynamic user interface based on input classifications
KR20020092519A (ko)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티브이 시청 및 예약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5683B1 (ko) 공유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단말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09257B1 (ko) 단말로부터 요청된 가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1216392B1 (ko) 오픈 플랫폼에서의 vod 시스템 및 vod 데이터 전송 방법
JP6590920B2 (ja) メディアサービス推奨を表示する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
KR20190111255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35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선호하는 콘텐츠 또는템플릿 유형을 표시하는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그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94199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lue-based resource management and admission control
JP5053423B2 (ja) コンテンツ記録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記録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記録装置及びコンテンツ記録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