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36B1 - Joypad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Joypad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936B1 KR101181936B1 KR1020100079219A KR20100079219A KR101181936B1 KR 101181936 B1 KR101181936 B1 KR 101181936B1 KR 1020100079219 A KR1020100079219 A KR 1020100079219A KR 20100079219 A KR20100079219 A KR 20100079219A KR 101181936 B1 KR101181936 B1 KR 101181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mobile device
- handle
- bar
- gear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게임과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때, 모바일기기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쉬운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바일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동일축 회전운동하도록 연결된 회동기어와,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와, 제1 손잡이에 결합되며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바와, 제2 손잡이에 결합되며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바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use when inputting a mobile application such as a game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nd the like. The joy pad for a mobile device is coupled to a body, a fixed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 rotating gear fixed to the mobile device to be coaxially rotated with the fixed part, and both ends of the body, respectively, The first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coupled to the slide movement, the first gear bar is coupled to the first handle and is engaged with the rotational gear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gear teeth are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nd formed to rotate And a second gearbar meshing with the gear.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게임과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때, 모바일기기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쉬운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pad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using a mobile application such as a game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nd can easily input to a mobile device and is easy to carry. And to a joypad for mobile devices easy to use.
최근,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보급이 빨라지면서, 모바일기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수와 종류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기기가 점차 고사양, 고성능화 되면서, 모바일기기는 선명한 디스플레이와 매우 빠른 처리 능력을 갖는 CPU를 탑재하게 되었고, 이러한 모바일기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DAs, etc. has accelerated, the number and types of applications provided through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rapidly. In particular, as mobile devices become increasingly high specification and high performance, mobile devices are equipped with a CPU having a clear display and very fast processing power, and applications that can fully utilize these mobile devices have emerged.
한편, 모바일기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면 전체에 터치 스크린을 설치하여, 모바일기기의 전체 면적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모바일기기의 전면을 디스플레이화 함에 따라, 키패드 등이 제거되거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인 형태로 부착되는 경우가 많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obile device by installing a touch screen on the entire fron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ntire area of the mobile device as a display. As such, as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the keypad is often removed or attached in a very restrictive form.
모바일기기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에 장착할 수 있는 조이패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이패드는 단순히 모바일기기를 고정하고,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만이 장착된 구조로서, 빠르게 발전하는 모바일기기의 기능을 모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In the case of a game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it is very inconvenient for a user to operate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game application cannot be effectively used. Accordingly, a joy pad that can be mounted on a mobile device has emerged. However, the conventional joypad is a structure in which only a keypad capable of simply fixing a mobile device and inputting a signal has a limitation in utilizing all the functions of a rapidly developing mobile device.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기기에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수신기 등이 탑재되면서, 이를 이용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기기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인식하여 화면이 변환되는 기능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PS receiver, and the like are mounted on a mobile device,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sam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exampl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onverting a screen as a mobile device is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is common, and such a function is installed in a game application.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중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전환이 자유로우며, 모바일기기가 방향을 바꾸더라도 연속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구조의 조이패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joypa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freely switch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directions while playing a game using a mobile device, and can continuously enjoy a game even when the mobile device changes direction.
또한, 다양한 모바일기기에 관계없이 결합이 가능하며, 장착이 신속하고 용이한 구조의 조이패드가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regardless of a variety of mobile devices, it is necessary to have a joy pad of quick and easy struc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게임과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때, 모바일기기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쉬운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mobile application, such as a game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smart phone, PDA, can easily input to the mobile device and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use mobile device It is to provide a joy pa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바일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동일축 회전운동하도록 연결된 회동기어와,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에 결합되며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바와, 상기 제2 손잡이에 결합되며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바를 포함한다.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ody, a fix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mobile device is fixed, and the same axis rotation with the fixing part A rotating gear coupled to each other, a first handle and a second handl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and slidably movable to the body, and a gear tooth coupled to the first handle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gear. And a first gear bar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bar, and a second gear bar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nd having a gear tooth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engaged with the rotation gear.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는 모바일기기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Joy pad for a wall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regardless of the shape or size of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gap of the handle.
한편, 가로 형태의 모바일기기 또는 세로 형태의 모바일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는 조이패드에 장착한 상태에서 변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바일기기를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applied to both a horizontal mobile device or a vertical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converte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joypad. Such a process of switching the mobile devic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이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이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이패드가 단축된 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이패드가 연장된 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조이패드에 장착된 모바일기기의 방향 전환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이패드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의 조이패드에 포함된 잠금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단축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고정판이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joypad of FIG. 1.
3 is a front view of the joypad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joy pad of FIG. 1 is shortened.
FIG. 5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joypad of FIG. 1 extended. FIG.
6A through 6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direction of a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joypad of FIG. 1.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joy pad of FIG. 7.
9A to 9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locking part included in the joypad of FIG. 7.
10 is a front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hortened state of the joypad for a mobile device of FIG. 10.
12 is a front view of a joy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of the joy pad for a mobile device of FIG. 12 is rota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joy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이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이패드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joy pad of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joy pad of FIG. 1.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1)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M)와 결합하여, 모바일기기(M)에 각종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조이패드(1)는 고정부(40)가 결합된 몸체(10)와 몸체(1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이패드(1)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바일기기(M)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각종 게임기, 내비게이션 등 외부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통칭한다. 즉, 반드시 게임 기능이 있는 모바일기기뿐만 아니라, PMP와 같이 주기능이 동영상 재생인 기기나, 길 안내가 주 기능인 내비게이션과 같은 기기도 외부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면 본 명세서 상의 모바일기기의 범주에 속한다.Specifically, the mobile device M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모바일기기(M)는 고정부(40)에 의하여 몸체(10)에 고정된다. 몸체(10)의 양측에는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이동'이라 함은,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각각 몸체(10)와 접하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의미로서,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의 일단부와 몸체(10)가 면접촉 상태로 움직이거나, 롤러 등을 매개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의 일단부가 몸체(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몸체(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mobile device M is fixed to the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사용자가 각각 오른손과 왼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 된다. 즉, 모바일기기(M)는 몸체(10)에 고정되고,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몸체(10)의 양측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모바일기기(M)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를 파지하여, 모바일기기(M)를 제어하게 된다.The
제1 손잡이(20)는 오른손 손가락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향키(25)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손잡이(30)는 왼손 손가락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버튼(35)을 포함하고 있다. 이밖에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에는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40)는 모바일기기(M)를 흡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착판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체에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대부분의 모바일기기(M)는 광택이 나는 매끄러운 표면을 갖고 있어, 흡착판에 의하여 쉽게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다만, 흡착판은 고정부(4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고정부(40)는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판, 자석을 이용한 자석판, 요철 구조를 갖는 요철부, 또는 클램프 형식 등 다양한 고정 수단이 가능하다.However, the adsorption plat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한편, 고정부(40)는 회전축(41)에 의해 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고정부(40)에 결합된 모바일기기(M)는 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모바일기기(M)는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에 관계없이 조이패드(1)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몸체(10)는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 보다 얇게 형성되어, 모바일기기(M)가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가 몸체(10) 내부에 삽입 또는 배출되어, 조이패드(1)가 단축 또는 연장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hortening or extending the
도 4는 도 1의 조이패드가 단축된 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조이패드가 연장된 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평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joy pad of FIG. 1 shortened,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joy pad of FIG. 1 extended.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기기(M)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일단부가 몸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조이패드(1)의 길이는 단축된다. 즉,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 사이에 세워진 모바일기기(M)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 남겨놓고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 when the mobile device M is u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 of the
제1 손잡이(20)는 몸체(10)를 향하여 연장된 제1 연장부(21)를 포함하며, 제1 손잡이(20)의 일측에는 제1 기어바(22)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연장부(21)는 조이패드(1)가 연장될 때, 몸체(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손잡이(20)와 몸체(10)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The
제1 연장부(21)는 몸체(10)의 내면과 밀착하여, 제1 손잡이(20)가 몸체(10)로부터 멀어질 때,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체(10)로부터 배출된다.The
한편, 제2 손잡이(30)는 몸체(10)를 향하여 연장된 제2 연장부(31)를 포함하며, 제2 손잡이(30)의 일측에는 제2 기어바(32)가 결합되어 있다. 제2 연장부(31)는 조이패드(1)가 연장될 때, 몸체(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손잡이(30)와 몸체(10) 사이를 연결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제2 연장부(31)는 제1 연장부(21)와 동일한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체(10)로부터 배출된다.The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방향키(25) 또는 버튼(35) 등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각각 삽입되는 몸체(10)의 중앙부에는 고정부(도 1의 40 참조)가 결합되는 회동기어(42)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기어(42)는 회전축(도 3의 41 참조)에 의해 고정부(40)에 연결되어 있어, 고정부(40)와 동일축 회전 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회동기어(42)가 회전하는 각도만큼 고정부(4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한편,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의 일측에는 각각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가 결합되어 있다.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는 각각 제1 연장부(21)와 제2 연장부(31) 내부를 통하여 회동기어(42)와 결합하고 있다.Meanwhile, the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는 바(bar) 형상의 일측에 일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된 것으로서, 랙 기어 또는 랙바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에 치합되는 회동기어(42)는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즉, 랙과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의 직선 운동을 고정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고정부(40)의 회전 운동을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는 회동기어(42)를 사이에 두고, 각각 회동기어(42)와 치합된다. 따라서, 회동기어(42)가 회전하면,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는 동시에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의 기어비는 서로 동일하도록 일치시켜, 회동기어(42)가 회전할 때,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의 이동거리가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한편, 제1 기어바(22), 제2 기어바(32) 및 회동기어(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구동기어(50)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기어(50)는 제1 기어바(22), 제2 기어바(32) 및 회동기어(4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구동기어(5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좌우로 연장되며, 회동기어(42)는 고정부(40)를 회전시킨다.Meanwhile, the
구동기어(50)는 별도의 서보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기어바(22), 제2 기어바(32) 및 회동기어(42)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기어(50)는 피니언 기어 형태로서, 제1 기어바(22) 또는 제2 기어바(3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동기어(42)에 직접 치합될 수도 있다.The
서보 모터가 구동기어(50)를 구동시키면,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자동으로 연장되며, 모바일기기(M)도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servo motor drives the
한편, 제1 기어바(22) 및 제2 기어바(32)와 회동기어(42)는 제1 기어바(22) 및 제2 기어바(32)가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최대 평행 이동할 때, 회동기어(42)는 90도 회전하도록 기어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어비를 맞추게 되면,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최대한 몸체(10) 내부에 삽입되면, 모바일기기(M)는 세로 방향을 이루게 되고,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몸체(10) 외부로 최대한 연장되면, 모바일기기(M)는 가로 방향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와 모바일기기(M)의 회전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몸체(10) 외측으로 연장되어, 모바일기기(M)가 가로 방향으로 전환하더라도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1)의 사용 상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6A to 6C, the use state of the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조이패드에 장착된 모바일기기의 방향 전환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6A through 6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direction of a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joypad of FIG. 1.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모바일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이 세로 화면에 최적화된 경우, 모바일기기(M)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조이패드(1)는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서로 가깝게 단축된 상태가 된다. 즉, 제1 손잡이(20)의 제1 연장부(21)와 제2 손잡이(30)의 제2 연장부(31)는 각각 몸체(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며, 모바일기기(M)의 양측에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First, referring to FIG. 6A, when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is optimized for a vertical screen, the mobile device M may be us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가 가로 방향으로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모바일기기(M)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모바일기기(M)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환 가능하다. 자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서보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구동기어(50)를 회전시킨다. 구동기어(50)는 제2 기어바(32)에 치합되어 있어, 구동기어(50)의 회전 운동은 제2 기어바(3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구동기어(50)가 제2 기어바(32)를 몸체(10)의 외부로 밀어내면, 제2 기어바(32)는 제2 손잡이(30)를 외측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회동기어(42)를 회전시킨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6B, the display device may rotate the mobile device 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drive an application optimiz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method of switching the mobile device M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conver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automatic conversion, the user drives the servo motor (not shown) to rotate the drive gear (50). The
회동기어(42)는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와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 회동기어(42)가 회전하면 제1 기어바(22)는 제2 기어바(32)가 이동한 거리만큼 제2 기어바(32)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기어(50)가 회전하면, 제1 기어바(22)와 제2 기어바(32)가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를 몸체(10)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회동기어(42)가 회전력에 의해 모바일기기(M)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한편,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의 연장 과정은 수동으로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구동기어가 구비되지 않은 조이패드(1)의 경우,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를 각각 손으로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는 각각 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운동되어 몸체(10) 밖으로 연장되며, 동시에 모바일기기(M)는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ding process of the
이어서,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가 몸체(10) 밖으로 완전히 연장되고, 모바일기기(M)는 90도 만큼 회전되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와 회동기어(42)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가 완전히 외측으로 연장되면, 회동기어(42)는 90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6C, the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 사이에는 몸체(10)와 제1 연장부(21) 및 제2 연장부(31)가 배치되며, 그 위에는 모바일기기(M)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자동으로 또는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30)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다.The
이하,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joy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B.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사시도이고,도 8은 도 7의 조이패드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의 조이패드에 포함된 잠금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joy pad of FIG. 7, and FIGS. 9A to 9B are included in the joy pad of FIG. 7.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이패드(1)는 고정판(60)과 고정클립(61)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고, 모바일기기(M)와 통신을 하는 커넥터(62)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7 and FIG. 8,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판(60)과 고정클립(61)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는 구조는 모바일기기(M)를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판(60)은 모바일기기(M)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며, 회동기어(42)와 연결된 회전축(41)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판(60)은 전술한 방식과 같이, 회동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동일축 상에서 함께 회전한다.Specifically,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mobile device (M) using the fixing
고정판(60)은 모바일기기(M)의 형상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판(60)의 양 끝단에는 고정클립(61)이 형성된다. 고정클립(61)은 탄성을 갖고 있어, 고정클립(61) 사이에 모바일기기(M)가 삽입되면, 모바일기기(M)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판(60)에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판(60)과 고정클립(61)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클립(61)의 위치는 모바일기기(M)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클립(61)은 모바일기기(M)가 위치하는 내측으로 굴절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모바일기기(M)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범위가 넓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고정클립(61)과 고정판(60)의 자체 탄성력 이외에 추가적인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클립(61)과 모바일기기(M) 사이에 별도의 탄성패드(미도시)를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모바일기기(M)의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The fixed
한편, 고정판(60)의 일측에는 모바일기기(M)와 조이패드(1)를 연결하는 커넥터(62)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62)는 모바일기기(M)와 조이패드(1)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조이패드(1)의 제어 신호를 모바일기기(M)에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ixing
커넥터(62)는 단지 조이패드(1)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M)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기기(M)가 방전된 경우, 조이패드(1) 내부의 전원 또는 조이패드(1)에 연결된 어댑터 전원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M)를 구동하고, 동시에 모바일기기(M)에 충전을 할 수도 있다.The
또한, 커넥터(62)는 모바일기기(M)의 음향 신호를 조이패드(1)에 전달할 수 있다. 조이패드(1)는 자체적으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M)의 음향을 증폭하여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만, 고정판(60)에 결합된 커넥터(6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기기(M)가 블루투스 등의 무선 규약을 지원하는 경우, 모바일기기(M)와 조이패드(1) 사이에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커넥터로 접속하지 않더라도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음향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However, the
한편, 조이패드(1)는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의 슬라이드 이동과 고정판(6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잠금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70)는 제1 기어바(22), 제2 기어바(32) 및 회동기어(4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제1 기어바(22) 및 제2 기어바(32)가 직선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회동기어(42)의 회전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부(71)에 치합되어, 제1 기어부(71)이 직선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7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Meanwhile, the
잠금부(70)는 제1 기어바(22)에 치합되는 기어부(71), 및 기어부(71)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기어바(22)와 기어부(71)를 치합시키는 탄성부재(72)를 포함한다.The
도 8 및 도 9a를 참조하면, 기어부(71)는 제1 기어바(22)와 서로 치합되어 있다. 제1 기어바(2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나, 기어부(71)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어부(71)가 제1 기어바(22)에 치합되어 있으면 제1 기어바(2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8 and 9A, the
기어부(71)는 일측에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버튼(73)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탄성부재(72)와 결합되어 있다. 기어부(71)는 제1 기어바(22)에 치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72)가 결합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탄성부재(72)가 기어부(71)에 탄성을 가하여, 기어부(71)가 제1 기어바(22)에 항상 치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누름버튼(73)에 압력이 가해지면, 기어부(71)는 탄성부재(72)를 수축시키면서 제1 기어부(71)로부터 이탈된다. 즉, 누름버튼(73)에 압력이 가해지면 기어부(71)와 제1 기어바(22)의 치합을 해제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기어부(71)와 제1 기어바(22)는 다시 치합되는 구조이다. 탄성부재(72)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고무 등 탄성력을 저장하고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The
도 9b를 참조하면, 누름버튼(73)에 압력이 가해지고 기어부(71)가 제1 기어바(22)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 기어바(2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기어바(22)는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구조이다. 반면에, 기어부(71)는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기능하며, 수평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어부(71)는 제1 기어바(22)와 관계없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제1 기어바(22)는 기어부(71)와 결합이 해제되지 않으면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B, whil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누름버튼(73)에 압력이 가해지고, 기어부(71)가 제1 기어바(22)로부터 이탈되면 제1 기어바(2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한 잠금부(70)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1 기어부(71), 제2 기어부(71) 및 회동기어(42)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joy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단축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hortened view of the joy pad for a mobile device of FI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1b)는 제1 손잡이(20b)와 제2 손잡이(30b)에 검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제1 검지버튼(26L)과 제2 검지버튼(26R)을 포함하며, 모바일기기(M)가 회전과 동시에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손잡이(20b)와 제2 손잡이(30b)가 좌우로 신장되고 모바일기기(M)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가 가능하다. 모바일기기(M)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면, 모바일기기(M)가 조이패드(1b) 내부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0, the
제1 손잡이(20b)는 좌측 검지 손가락으로 조작이 가능한 제1 검지버튼(26L)을 포함하고 있고, 제2 손잡이(30b)는 우측 검지 손가락으로 조작이 가능한 제2 검지버튼(26R)을 포함하고 있다. 모바일기기(M)가 조이패드(1b)에 파지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아,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제1 검지버튼(26L)과 제2 검지버튼(26R)은 다양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이패드(1b)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 유저로 하여금 쉽고 다양한 동작의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검지버튼(26L)과 제2 검지버튼(26R)은 제1 손잡이(20b)와 제2 손잡이(30b)의 일측변에 방향키(25) 및 버튼(35)과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손잡이(20b)와 제2 손잡이(30b)를 중심 방향으로 단축시켜, 모바일기기(M)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모바일기기(M)는 중앙부가 조이패드(1b)의 중앙부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모바일기기(M)의 중앙부는 조이패드(1b)의 중앙부보다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기기(M)의 하단부와 조이패드(1b)의 하단부가 일치하여, 모바일기기(M)의 시야각이 좋아질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11, the
인체의 구조상 시야의 위치보다 손의 위치가 낮게 있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되는 모바일기기(M)가 조이패드(1b) 보다 상부로 돌출된 구조는 게임 유저가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배치가 된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the position of the hand i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visual field,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bile device M, which becomes the display screen, protrudes upward from the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joy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의 고정판이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2 is a front view of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how the fixing plate of the joy pad for a mobile device of FIG. 12 is rotated.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1c)는 검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제1 검지버튼(26L)과 제2 검지버튼(26R)을 포함하며, 방향키(25) 및 버튼(35)이 모바일기기(M)의 하부에 위치한 몸체(10c)에 배치된다.The
게임 유저의 취향에 따라 방향키(25)와 버튼(35)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방향키(25)와 버튼(35)이 몸체(10c)에 형성되어, 모바일기기(M)의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It may not be desired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direction key 25 and the
몸체(10c)는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 방향키(25)와 버튼(35)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1 검지버튼(26L)과 제2 검지버튼(26R)이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모바일기기(M)는 몸체(10c)의 전면에 방향키(25)와 버튼(35)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부로 편중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이 방향키(25)와 버튼(35) 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모바일기기(M)의 파지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device (M) is formed to be biased upward so as not to overlap the direction key 25 and the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기기(M)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게임이 가능하다. 모바일기기(M)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몸체(10c)에 형성된 제1 검지버튼(26L)과 제2 검지버튼(26R)이 노출되어, 게임 유저가 더 자유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때, 모바일기기(M)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동시에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바일기기(M)가 방향키(25) 또는 버튼(35)을 가리지 않게 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13, the mobile device M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ame is possible. When the mobile device M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조이패드 10: 몸체
20: 제1 손잡이 21: 제1 연장부
22: 제1 기어바 25: 방향키
30: 제2 손잡이 31: 제2 연장부
32: 제2 기어바 35: 버튼
40: 고정부 41: 회전축
42: 회동기어 50: 구동기어
60: 고정판 61: 고정클립
62: 커넥터 70: 잠금부
71: 기어부 72: 탄성부재
73: 누름버튼1: joypad 10: body
20: first handle 21: first extension portion
22: first gear bar 25: direction keys
30: second handle 31: second extension portion
32: second gear bar 35: button
40: fixed part 41: rotating shaft
42: rotating gear 50: driving gear
60: fixing plate 61: fixing clip
62: connector 70: locking part
71: gear portion 72: elastic member
73: pushbutton
Claims (10)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바일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동일축 회전운동하도록 연결된 회동기어;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에 결합되며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바; 및
상기 제2 손잡이에 결합되며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회전축에 의해 회동기어와 동일축으로 고정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바 및 상기 제2 기어바가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최대 평행 이동할 때, 상기 회동기어는 90도 회전하도록 기어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Body;
A fix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to which the mobile device is fixed;
A rotating gear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nd coaxially rotating;
First and second handle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body to be slidably movable;
A first gear bar coupled to the first handle and having a gear tooth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rotation gear; And
A second gear bar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nd having a gear tooth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engaged with the rotation gear;
The fixing part is fixedly connected to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 gear by the rotation shaft,
Joy gear for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ratio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gear rotates 90 degrees when the first gear bar and the second gear bar is moved in parallel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The method of claim 1,
And a driving gear mesh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gear bar, the second gear bar, and the rotation gear to transmit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first gear bar, the second gear bar, and the rotation gear. Joypad for mobile devices.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판인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unit is a joy pad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an adsorption plate for fixing by fixing the mobile device.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모바일기기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모바일기기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unit fixing plate o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eated; And a fixing clip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to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to fix the mobile device.
상기 몸체 또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기기와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The method of claim 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or the fixed portion, the mobile device joy pad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mobile device.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The method of claim 1,
Joy pad for a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unit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gear bar, the second gear bar and the rotating gear.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치합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치합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king unit may be engag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gear bar, the second gear bar and the rotation gear; And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gear part to engage at least one of the gear part, the first gear bar, the second gear bar, and the rotation gear.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치합을 해제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바, 상기 제2 기어바 및 상기 회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치합시키는 누름 버튼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gear unit, the gear unit and the first gear bar, the second gear bar and the at least one rotation gear are released,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gear unit and the first gear are released. Bar, the joystick for a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push button for engag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gear bar and the rotating ge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219A KR101181936B1 (en) | 2010-08-17 | 2010-08-17 | Joypad for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219A KR101181936B1 (en) | 2010-08-17 | 2010-08-17 | Joypad for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6775A KR20120016775A (en) | 2012-02-27 |
KR101181936B1 true KR101181936B1 (en) | 2012-09-12 |
Family
ID=4583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9219A KR101181936B1 (en) | 2010-08-17 | 2010-08-17 | Joypad for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9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232Y1 (en) | 2018-08-01 | 2018-12-31 | 정대선 | Mobile game pa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92675A (en) * | 2016-04-26 | 2016-08-24 |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 Handle-base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headset |
KR102570003B1 (en) | 2018-05-16 | 2023-08-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key operating device |
CN212107636U (en) * | 2020-09-09 | 2020-12-08 | 深圳市壹代数码科技有限公司 | Split screen display device for notebook computer screen |
US20240082699A1 (en) * | 2022-09-12 | 2024-03-14 | T2M, Inc. | Video gam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513B1 (en) * | 2008-03-27 | 2009-01-20 | (주)쉘-라인 | Personal portable device |
-
2010
- 2010-08-17 KR KR1020100079219A patent/KR1011819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513B1 (en) * | 2008-03-27 | 2009-01-20 | (주)쉘-라인 | Personal portable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232Y1 (en) | 2018-08-01 | 2018-12-31 | 정대선 | Mobile game p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6775A (en) | 2012-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1936B1 (en) | Joypad for mobile device | |
JP5370600B1 (en) |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 |
CN108803939B (en) | Touch device assembly and touch system | |
JP2018110680A (en) | Accessory device | |
KR102180169B1 (en) | Smart controller | |
WO2013099734A1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older and controller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JP2008509593A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70293316A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s | |
EP1855157B1 (en) |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
CN108404403B (en) | Operating handle and terminal equipment | |
CN102981555A (en) | Movable type product expansion device | |
KR101861530B1 (en) | Patch type controller | |
JP2005292883A (en) | Information input device | |
CN211344498U (en) | Electronic device | |
CN102340939B (en) | Flip cover type electronic device structure | |
JP6072165B1 (en) | Gripping ai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KR101381611B1 (en) | Operating apparatus | |
TWM488335U (en) | Telescopic structure of control device | |
JP5135426B2 (en) | Remote control device | |
JP6151468B1 (en) | Attached equipment | |
KR101947027B1 (en) | Stylus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its thickness and length | |
US933826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 |
TWI822135B (en) | Vertical mouse | |
EP3674855B1 (en) | Pen-shaped folding mouse | |
JP2009112004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bent in width direction, slide module therefor, and its compon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