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320B1 -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320B1
KR101181320B1 KR1020100107480A KR20100107480A KR101181320B1 KR 101181320 B1 KR101181320 B1 KR 101181320B1 KR 1020100107480 A KR1020100107480 A KR 1020100107480A KR 20100107480 A KR20100107480 A KR 20100107480A KR 101181320 B1 KR101181320 B1 KR 10118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gital
digital meter
met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902A (ko
Inventor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3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가(상가 등) 내에 구비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각 수용가에 설치되고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디지털계량기, 전주에 설치되어 수용가와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고,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데이터전송장치, 및 상기 데이터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각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를 취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원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 있어, 수용가에는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가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계량기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각각 구성되며, 일측에 제3커넥터가 구성되고 타측에 제4커넥터가 구성되는 케이블을 구성하되, 상기 케이블의 제3커넥터가 하나의 디지털계량기의 제2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제4커넥터가 상기 디지털계량기와 이웃하는 다른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하나의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는 케이블을 통해 외장형 모뎀의 제5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가(상가 등) 내에 구비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간단한 연결구조의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진 후 외장형 모뎀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시키도록 함에 따라 작업오류 및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현장작업의 난이도 및 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현장 설치 후 미관상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디지털계량기에 구성된 두 개의 커넥터를 암수 구별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계량기의 작동(데이터 송수신 등)을 표시하는 LED램프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개통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many digital meter in a remot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가(상가 등) 내에 구비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라 함은, 수용가(상가 등) 내에 구비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를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진 후 외장형 모뎀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시키도록 한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회사는 수용가에게 단순히 전기만을 공급하는 서비스업체로서 수동적인 관계유지만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전력산업의 개편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원격검침, 수요관리, 요금체계의 다양화 등과 같은 전력용 부가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통신 가입자망 기반기술이 확보되어야 하지만 새로운 통신회선을 구축한다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전기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전력선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기술이 결합(일명,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이라 함), 실용화 및 상용화되어 가고 있다. 전력선은 이미 전국 방방 곳곳에 가가호호마다 연결되어 이미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력선통신을 위한 모뎀이 구비되는데, 이 전력선통신모뎀의 메모리에는 수용가정보, 전력사용량 정보 등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수용가(상가 등)에는 집합체 형태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가 구성되는데, 이들 디지털계량기간 데이터 송수신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에는 디지털계량기간 연결할 때 암단자와 수단자가 분리되어 있어 작업자가 매번 현장에서 직접 결선작업을 일일이 진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현장 배선용역비 및 결선 오류 등에 따른 하자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여러 가닥의 선들이 복잡하게 헝클어져 있어 설치시 어려울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용가(상가 등) 내에 구비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간단한 연결구조의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진 후 외장형 모뎀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시키도록 하여, 작업오류 및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현장작업의 난이도 및 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현장 설치 후 미관상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도록 한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디지털계량기에 구성된 두 개의 커넥터를 암수 구별시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계량기의 작동(데이터 송수신 등)을 표시하는 LED램프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개통상태를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각 수용가에 설치되고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디지털계량기, 전주에 설치되어 수용가와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고,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데이터전송장치, 및 상기 데이터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각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를 취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원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 있어, 수용가에는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가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계량기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각각 구성되며, 일측에 제3커넥터가 구성되고 타측에 제4커넥터가 구성되는 케이블을 구성하되, 상기 케이블의 제3커넥터가 하나의 디지털계량기의 제2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제4커넥터가 상기 디지털계량기와 이웃하는 다른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하나의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는 케이블을 통해 외장형 모뎀의 제5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수구별된 케이블의 제3,4커넥터와 결합을 용이하도록 디지털계량기에 구성된 제1,2커넥터에 대하여 암수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는 암커넥터이고, 상기 디지털계량기의 제2 커넥터는 수커넥터이며, 상기 케이블의 제3커넥터는 상기 디지털계량기의 제2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암커넥터이고, 상기 케이블의 제4커넥터는 상기 디지털계량기와 이웃하는 다른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수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디지털계량기에 데이터 송수신을 표시하는 LED램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디지털계량기에는 소정 신호가 송수신될 때, 이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가 구성되고, 상기 임피던스 검출부에 의한 신호검출이 이루어지면 LED램프가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가(상가 등) 내에 구비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간단한 연결구조의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진 후 외장형 모뎀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시키도록 함에 따라 작업오류 및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현장작업의 난이도 및 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현장 설치 후 미관상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디지털계량기에 구성된 두 개의 커넥터를 암수 구별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계량기의 작동(데이터 송수신 등)을 표시하는 LED램프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개통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검침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도.
도 3은 도 2의 케이블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디지털계량기의 일측면도.
도 5는 도 2의 외장형 모뎀의 일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원격검침시스템도로, 각 수용가(100)에 설치되고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디지털계량기(10)와, 전주(104)에 각각 설치되어 수용가(100)와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고, 수용가(100)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데이터전송장치(106)와, 데이터전송장치(106)로부터 제공되는 각 수용가(100)의 전력 사용량, 각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를 취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원격관리서버(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격검침시스템은 데이터전송장치(106)와 통신하여 고객의 검침정보를 수집 및 원격관리서버(108)와 통신부하를 줄이는 전단처리기(Front End Processor;FEP)(110)와, 데이터전송장치(106)에 설치된 웹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계량기(10)는 수용가(100)의 전력 사용량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사용량 검출부와, 전력사용량 검출부에서 검출한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검출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전송장치(106)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검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전송장치(106)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전력사용량 검출부는 수용가(100)의 전력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전력사용량 검출부는 수용가(100)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입력 전류 및 입력 전압을 검출한다.
메모리는 전력사용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데이터 저장, 사용자 전달 메시지 및 디지털계량기(10)를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웹 서버 응용프로그램(JAVA, HTML 등)을 구비하여 원격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검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전력사용량 검출부에서 검출되어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각 데이터전송장치(106)로 전송한다.
통신모듈은 원격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원격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웹 서버 응용프로그램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신모듈은 IEEE 802 표준, Wibro, 지그비,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양방향 통신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전송장치(106)는 검침주기에 따라 수용가(100)에 설치된 디지털계량기(10)의 검침정보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최신 검침정보 및 장비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112)는 데이터전송장치(106)와 전단처리기(FEP)(110) 사이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NMS)(112)는 데이터전송장치(106) 등 각 장치에 설치된 네트워크망 관리 웹 응용프로그램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장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원격관리서버(108)등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네트워크 관리시스템(NMS)(112)는 CDMA, xDSL, 케이블 및 광인터넷, GSM, UMTS, 휴대인터넷, WiFi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단처리기(Front End Proccessor, FEP)(110)은 원격관리서버(108)와 데이터전송장치(106)에서 데이터 및 설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어, 전단처리기(FEP)(110)는 원격관리서버(108)의 통신부하를 줄이고 향후 타 시스템과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위하여 구비된다. 전단처리기(FEP)(110)는 데이터전송장치(106)와 통신하여 고객의 검출 데이터를 수집 및 각종 설정 명령을 전송하며, 원격관리서버(108)와 통신하여 수집된 검출 데이터를 전송한다.
원력관리서버(108)는 전기를 공급하는 기간 사업장에 설치되어 정보통신 전용망을 통해 원격지에 연결된 전단처리기(FEP)(110)에서 취득된 각 고객의 검침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고 필요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원격관리서버(108)는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HFC 망, 광통신망 등)을 통하여 수용가(100) 주변 전주(104)에 설치된 데이터전송장치(106)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검침정보 수집 및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이러한 데이터통신 과정을 통해 고객정보에서부터 전력사용량, 계량기 상태 정보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 수집이 가능하고 요금부과, 각종 통계분석 및 전력품질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서, 원격관리서버(108)는 일반적으로 AMR(Automatic Meter Reading) 서버, 빌링(Billing) 서버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AMR 서버는 전력 사용량 확인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과 전단처리기(FEP)(110)에서 취득된 각 수용가(100)의 검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고 필요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타 시스템과 데이터 링크를 제공하는 장치로 사용되기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블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2의 디지털계량기의 일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외장형 모뎀의 일측면도이다.
수용가에는 하나의 디지털계량기(10)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가와 같은 수용가에는 다수의 디지털계량기(11~13)가 집합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수의 디지털계량기(11~13)간 간단구조의 직렬연결하여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진 후 외장형 모뎀(30)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시키도록 한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계량기간 간단구조의 직렬연결은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계량기(1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디지털계량기(11)에는 이웃하는 다른 디지털계량기(12)(13) 또는 외장형모뎀(30)과 연결하기 위한 제1커넥터(11a)와 제2커넥터(11b)가 구성되고, 데이터 송수신을 표시하는 송신 LED램프(26) 및 수신 LED램프(27)가 구성되며, 소정 신호가 송수신될 때, 이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28)가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케이블(23)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케이블(23)의 일측에는 제3커넥터(21)가 구성되고 케이블(23)의 타측에는 제4커넥터(22)가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장형 모뎀(30)은 일측에 제5커넥터(31a)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외장형 모뎀(30)의 제5커넥터(30a)는 제1케이블(23a)의 제3커넥터(21a)에 연결되고, 제1케이블(23a)의 제4커넥터(22a)는 제1디지털계량기(11)의 제1커넥터(11a)에 연결된다.
또한, 제1디지털계량기(11)의 제2커넥터(11b)는 제2케이블(23b)의 제3커넥터(21b)에 연결되고, 제2케이블(23b)의 제4커넥터(22b)는 상기 제1디지털계량기(11)와 이웃하는 제2디지털계량기(12)의 제1커넥터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디지털계량기(12)의 제2커넥터는 제3케이블(23c)의 제3커넥터(21c)에 연결되고, 제3케이블(23c)의 제4커넥터(22c)는 상기 제2디지털계량기(12)와 이웃하는 제3디지털계량기(13)의 제1커넥터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3디지털계량기(13)에서 수집된 전력량데이터는 제3케이블(23c)을 통해 제2디지털계량기(12)에 전송되고, 다시 제2케이블(23b)을 통해 제1디지털계량기(11)에 전송된 후, 다시 제1케이블(23a)을 통해 외장형 모뎀(30)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간 데이터전송함에 있어, 이웃하는 디지털계량기간 직렬연결함에 따라 데이터전송속도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설치)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현장 설치 후 미관상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23)의 제3,4커넥터(21)(22) 및 디지털계량기(10)의 제1,2커넥터(도4의 부호 11a 및 11b에 해당함)의 암수 구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케이블(23)의 제3커넥터(21)를 암커넥터로 구성하고, 케이블(23)의 제4커넥터(22)를 수커넥터로 구성한다. 또한, 케이블(23)의 제3커넥터(21)와 연결되는 제1디지털계량기(11)의 제2커넥터(11b)를 수커넥터로 구성하고, 케이블(23)의 제4커넥터(22)와 연결되는 상기 제1디지털계량기(11)와 이웃하는 제2디지털계량기(12)의 제1커넥터(도4의 부호 11a에 해당함)를 수커넥터로 구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현장의 작업자는 커넥터가 암수 구별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일례로서, 커넥터들은 4포트로 구성되는데, 그 중 2개의 와이어는 데이터통신을 위하여 구성되고, 나머지 2개의 와이어는 전원선으로 구성된다.
케이블(23)은 일례로서, RS-485통신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디지털계량기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표시하는 LED램프(26)(27)가 구성된다. 즉, LED램프는 송신LED램프(26)와 수신LED램프(27)로 구성되는데, 각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디지털계량기에는 이웃하는 디지털계량기 또는 외장형모뎀에 신호가 송수신될 때, 이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28)가 구성되고, 상기 임피던스 검출부(28)에 의한 신호검출이 이루어지면 LED램프(26)(27)가 온(ON)된다.
임피던스 검출부(28)는 RX 수신대기시 라인 임피던스(line impedance)가 높고, TX 송출 시 라인 임피던스(line impedance)가 낮아지는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임피던스 검출부(28)를 각 node 전단에 위치시켜 데이터(data) 수신인지 송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일례로, 제2디지털계량기(12)에서 제1디지털계량기(11)로 데이터송신이 이루어지면 임피던스 검출부(28)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2디지털계량기(12)의 송신LED램프(26)가 온(ON)이 됨과 동시에 제1디지털계량기(11)의 수신LED램프(27)가 온(ON)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디지털계량기
11: 제1디지털계량기
11a: 제1커넥터
11b: 제2커넥터
12: 제2디지털계량기
13: 제3디지털계량기
21, 21a, 21b, 21c: 제3커넥터
22, 22a, 22b, 22c: 제4커넥터
23, 23a, 23b, 23c: 케이블
26: 송신LED램프
27: 수신LED램프
28: 임피던스 검출부
30: 외장형 모뎀
30a: 제5커넥터
100: 수용가
104 : 전주
106 : 데이터전송장치
108 : 원격관리서버
110 : 전단처리기(FEP)
112 : 네트워크 관리시스템(NMS)

Claims (4)

  1. 각 수용가에 설치되고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디지털계량기, 전주에 설치되어 수용가와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고,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데이터전송장치, 및 상기 데이터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각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를 취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원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 있어,
    수용가에는 다수의 디지털계량기가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계량기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각각 구성되며,
    일측에 제3커넥터가 구성되고 타측에 제4커넥터가 구성되는 케이블을 구성하되,
    외장형 모뎀의 제5커넥터는 제1케이블의 제3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케이블의 제4커넥터는 제1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1디지털계량기의 제2커넥터는 제2케이블의 제3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케이블의 제4커넥터는 상기 제1디지털계량기와 이웃하는 제2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2디지털계량기의 제2커넥터는 제3케이블의 제3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3케이블의 제4커넥터는 상기 제2디지털계량기와 이웃하는 제3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3디지털계량기에서 수집된 전력량데이터가, 제3케이블을 통해 제2디지털계량기에 전송되고, 다시 제2케이블을 통해 제1디지털계량기에 전송된 후, 제1케이블을 통해 외장형 모뎀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디지털계량기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표시하는 LED램프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는 암커넥터이고, 상기 디지털계량기의 제2 커넥터는 수커넥터이며,
    상기 케이블의 제3커넥터는 상기 디지털계량기의 제2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암커넥터이고, 상기 케이블의 제4커넥터는 상기 디지털계량기와 이웃하는 다른 디지털계량기의 제1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수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지털계량기에는 소정 신호가 송수신될 때, 이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가 구성되고, 상기 임피던스 검출부에 의한 신호검출이 이루어지면 LED램프가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KR1020100107480A 2010-11-01 2010-11-01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KR10118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480A KR101181320B1 (ko) 2010-11-01 2010-11-01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480A KR101181320B1 (ko) 2010-11-01 2010-11-01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02A KR20120046902A (ko) 2012-05-11
KR101181320B1 true KR101181320B1 (ko) 2012-09-10

Family

ID=4626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480A KR101181320B1 (ko) 2010-11-01 2010-11-01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33Y1 (ko) * 2014-08-12 2015-01-23 (주)청우전자 전력통신모뎀 전원공급 및 전자식 계량기용 분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02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480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ter reading and high speed data transfer
CN102590670B (zh) 高压电缆智能接地箱
US20130335062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140277B1 (ko) 다중 통신 방식의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와 전력량 수집기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JP6982107B2 (ja) スマート統合電気メーター及び該スマート統合電気メーターを採用するソーラーパネル電力管理システム
US20130335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nderground Power Lines
KR101103613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계량시스템
WO2013173230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653148B1 (ko) 원격검침시스템용 보안장치
JP5854953B2 (ja) 断線検出装置
KR101181320B1 (ko)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KR101141286B1 (ko)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를 통한 개별 전력 소비처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39671B1 (ko) 지능형 에이엠아이 변압기 관리시스템
CN102879036A (zh) 智能移动监测设备
KR100974191B1 (ko)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연결구조
KR101080712B1 (ko)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집합체 형태의 디지털계량기간 병렬형 연결구조
CN107367706A (zh) 电子化排查及分析电能表异常的系统
CN210579253U (zh) 一种无线无源电缆巡视测温系统
KR20130129752A (ko) 계량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067299B1 (ko) 원격계량용 모뎀
KR101071226B1 (ko)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계량시스템
CN211019118U (zh) 一种电子站牌抄表系统
CN111093167A (zh) 一种无线无源电缆巡视测温系统及其方法
CN205335978U (zh) 基于Zigbee的配电网测温系统
KR20190036753A (ko) 전력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전기선로 위상식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