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025B1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025B1
KR101181025B1 KR1020090070931A KR20090070931A KR101181025B1 KR 101181025 B1 KR101181025 B1 KR 101181025B1 KR 1020090070931 A KR1020090070931 A KR 1020090070931A KR 20090070931 A KR20090070931 A KR 20090070931A KR 101181025 B1 KR101181025 B1 KR 10118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onnector
shape
emitt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985A (ko
Inventor
손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0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리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각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형합부; 및 상기 발광 소자의 형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형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발광소자, LED, 어레이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실시 예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GaAs 계열, AlGaAs 계열, GaN 계열, InGaN 계열 및 InGaAlP 계열 등의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발광 원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패키지화되어 다양한 색을 방출하는 발광 장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발광 장치는 칼라를 표시하는 점등 표시기, 문자 표시기 및 영상 표시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시 예는 어레이가 용이한 발광 소자를 구비한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양측에 형합부 또는 이음 구조물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몸체에 리드 전극용 비아 또는 비아 홀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몸체의 측면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합부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사이에 이음 구조물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리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각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형합부; 및 상기 발광 소자의 형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형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리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각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형합부; 및 상기 인접한 발광소자의 형합부 를 서로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기구적인 형합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간의 형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어레이에서의 임의의 발광 소자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간의 형합을 통해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를 앞/뒤 방향으로 형합하여 다양한 각도를 갖는 어레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사이를 별도의 핀 타입 또는 확장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어, 교체나 간격 조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어레이에서의 확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정의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각 층의 두께는 일 예이며, 도면의 두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directly"와 "indirectly"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장치(150)는 복수의 발광 소자(151a,151b) 및 핀 타입의 커넥터(159)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151a,151b)는 캐비티(152), 수지물(153) 및 발광 다이오드(154)를 포함하며, 그 양 측면에 슬라이드 홈(155,156)을 포함한다.
상기 각 발광 소자(151a,151b)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54)를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청색, 녹색, 적색 등과 같은 유색의 광이나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출 광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형광체 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광이 방출될 수 있으며,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는 상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캐비티(152), 상기 캐비티(15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54), 및 상기 캐비티(152)에 형성된 수지물(153)을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 몸체는 고반사 수지 계열(예; PPA), 폴리머 계열, 플라스틱 계 열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출 성형되거나, 단층 또는 다층의 기판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52)는 상기 패키지 몸체의 상부에 오목한 베이스 튜브 형상의 홈, 원형 홈 또는 다각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각 발광소자(151a,151b)는 제1 및 제2리드 전극(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의 일단은 상기 캐비티(152)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의 일단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5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54)는 적어도 하나의 LED 칩을 포함하며, 상기 LED 칩은 청색, 녹색, 적색 등과 같은 유색의 LED 칩이거나, UV 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52)에는 수지물(15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지물(153)은 투명한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한 종류의 형광체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각 발광소자(151a,151b)의 적어도 일측에는 형합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합부는 몸체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이거나 모서리 부분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합부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구조물에 의해 끼워맞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합부는 슬라이드 홈(155,156)으로서, 각 리드 전극(157,158)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각 측면이 개방된 원 기둥, 다각 기둥, 뿔 형상, 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라이드 홈(155)과 제2슬라이드 홈(156)은 패키지 측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라이드 홈(155)과 제2슬라이드 홈(156)은 예컨대, 원 기둥 형상인 경우,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홈(155,156)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151a,151b)를 밀착시키면, 인접한 발광 소자(151a,151b) 간의 슬라이드 홈(155,156)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155,156)에는 핀 타입의 커넥터(159)가 삽입되며,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159)는 두 개의 기둥 형상을 나란하게 형성한 형상으로서, 인접한 슬라이드 홈(155,15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159)는 서로 대면하는 복수의 형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151a,151b)는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159)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150)는 복수의 발광 소자(151a,151b) 사이를 핀 타입의 커넥터(159)를 통해 서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각 발광 소자(151a,151b)에 슬라이드 돌기를 돌출시키지 않더라도 서로 결합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159)는 복수의 발광 소자(151a,151b)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159)는 복수의 발광소자(151a,151b)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경우, "∩"자 형상의 커넥터 형상으로 형성하여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51a,151b)는 서로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핀 타입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 타입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 타입의 커넥터를 통해 복수의 발광 소자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타입의 커넥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일 직선 또는 소정 각도로 틀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51a,151b)에는 상기 커넥터(159)가 결합되지 않는 측면의 형합부인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2개의 발광 소자를 커넥터로 결합시켜 하나의 광원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변형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150)는 복수의 발광 소자(151a,151b) 및 핀 타입의 커넥터(159A)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151a,151b)는 캐비티(152), 수지물(153) 및 발광 다이오드(154)를 포함하며, 그 양 측면에 슬라이드 홈(155A,156A)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홈(155A,156A)은 상기 발광 소자(151a,151)의 측면 예컨대, 리드 전극(157,158)의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수직한 방향의 하부가 막혀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155A,156A)의 형상은 커넥터(159A)가 하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홈(155A,156A)과 상기 커넥터(159A)는 기둥 형상, 뿔 형상,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변경은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장치(160)는 핀 타입의 커넥터(175,176)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17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70)에 결합된 발광 소자(16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70)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70)에는 한 쌍의 핀 타입의 커넥터(175,176)를 발광소자 단위로 어레이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175,176)에는 발광 소자(161)의 슬라이드 홈(165,166)이 끼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165,166)과 상기 커넥터(175,176)의 형상은 기둥 형상, 또는 뿔 형상 등이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61)는 캐비티(162), 발광 다이오드(164) 및 수지물(163)을 포함하고, 양 측면에 슬라이드 홈(165,166)이 배치된다.
상기 발광소자(161)의 슬라이드 홈(165,166)은 각 리드 전극(167,168)에 형성되며, 핀 타입의 커넥터(175,176)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발광 소자(161)는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발광소자(161)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170) 위에 서로 밀착시켜 배열할 수 있다.
도 4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180)는 비아 홀 타입의 커넥터(195,196)가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19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90)에 결합되는 발광소자(18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90)에는 비아홀 타입의 한 쌍의 커넥터(195,196)를 발광소자 단위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81)에는 복수의 리드 전극(187,188)의 하부에 하향 돌출된 복수의 슬라이드 돌기(185,186)를 비아 타입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185,186)와 상기 커넥터(195,196)의 형상은 기둥 형상, 또는 뿔 형상 등이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81)는 캐비티(182), 수지물(183), 및 발광 다이오드(18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하부의 슬라이드 돌기(185,186)를 상기 비아홀 타입의 커넥터(195,196)에는 끼워 결합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81)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90) 위에 서로 밀착시켜 배열할 수 있다.
도 5는 제4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장치(200)는 비아 홀 타입의 슬라이드 홈(205,206)를 구비한 발광소자(201)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201)가 배열되는 지지 플레이트(21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201)는 복수의 리드 전극(207,208)에 비아 홀 타입의 슬라이드 홈(205,206)을 형성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1)의 캐비티(202), 수지물(203) 및 발광 다이오드(204)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207,208)의 발광소자(201)의 양 측면에 절곡되며, 그 측면에는 슬라이드 홈(205,206)이 비아 홀 타입으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의 비아 타입의 커넥터(215,216)에는 상기 발광소자(201)의 슬라이드 홈(205,206)이 결합됨으로써, 발광소자(201)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홈(205,206)은 몸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도금 공정을 수행하여 비아 홀을 형성하고, 상기 리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205,206)과 상기 커넥터(215,216)의 형상은 기둥 형상, 또는 뿔 형상 등이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5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장치(220)는 복수의 발광소자(221a,221b,221c)가 어레이되며, 각 발광 소자(221a,221b,221c)는 그 양측의 슬라이드 홈(225,226)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221a,221b,221c)의 리드 전극(227,228)의 타단(227a,228a)에 각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홈(225,226)이 형성된다.
핀 타입의 커넥터(229)는 복수의 기둥이 부착된 형상 예컨대, 8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슬라이드 홈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225,226)의 형상은 기둥 형상, 또는 뿔 형상 등이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221a,221b,221c)를 일렬로 밀착시켜 주면, 인접한 발광 소자 사이의 슬라이드 홈(225,226)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229)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21a,221b,221c) 사이의 상기 슬라이드 홈(225,226)에 수평 방향으로 끼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221a,221b,221c)는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229)에 의해 직렬 방식 또는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221a,221b,221c)의 캐비티(222), 수지물(223) 및 발광 다이오드(224)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핀 타입의 커넥터(229)는 각각 독립된 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핀 타입의 커넥터(229)는 별도의 절연 지지 구조에 의해 다지창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제6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장치(240)는 복수의 발광소자(241a,241b)가 어레이되며, 각 발광 소자(241a,241b)는 그 양측의 슬라이드 홈(245) 및 슬라이드 돌기(246)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241a,241b)의 양 측면에는 리드 전극(247,248)이 배치되며, 상기 리드 전극(247,248)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245) 및 슬라이드 돌기(246)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245) 및 슬라이드 돌기(246)는 각 측면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기둥 형상, 또는 뿔 형상 등이 원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41a,241b) 사이에는 확장 커넥터(2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 커넥터(250)는 소정 크기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홈(251) 및 타측면에는 슬라이드 돌기(25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확장 커넥터(250)는 일정 크기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41a,241b) 사이에 밀착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홈(251)에는 제1발광 소자(241a)의 슬라이드 돌기(246)에 끼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252)는 상기 제2발광 소자(241b)의 슬라이드 홈(245)에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41a,241b)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에는 확장 커넥터(25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241a,241b)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2개 이상의 발광 소자를 직렬 또는 병렬로 어레이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21a,221b,221c)는 적어도 일측에 형합부로서, 슬라이드 홈 또는/및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 커넥터(250)에는 인접한 상기 형합부와 형합 가능한 형상 예컨대, 복수의 슬라이드 홈 형상 및/또는 슬라이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241a,241b)의 캐비티(242), 수지물(243) 및 발광 다이오드(244)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제7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 장치(280)는 복수의 발광소자(70)가 매트릭스 형태로 어레이되며, 각 발광 소자(70)는 모서리 부분에 슬라이드 홈(7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80)를 밀착하거나 소정 간격을 두어 배치한 후, 핀 타입의 커넥터(80)이나 형합부를 갖는 확장 커넥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소자를 서로 결합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70)는 상기 커넥터(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80)의 형상은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4개의 발광 소 자(70)의 슬라이드 홈(75)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 형상 또는뿔 형상을 갖는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8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8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 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270)는 발광 다이오드(274), 캐비티(272) 및 수지물(273)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271a~271e)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핀 타입의 커넥터(286)에 의해 어레이되며, 상기 커넥터(286)는 각 발광 소자(271a~271e)의 슬라이드 홈(285)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285)은 각 발광 소자(271a~271e)의 리드 전극(287,288) 또는/및 패키지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발광 소자 사이의 슬라이드 홈(285)은 서로 대응되며, 상기 대응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홈(285)에는 핀 커넥터(286)를 끼워 결합되어, 인접한 발광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85)의 형상은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4개의 발광 소자의 슬라이드 홈(285)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 형상 또는뿔 형상을 갖는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285)는 핀 타입의 커넥터가 아닌 확장 커넥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확장 커넥터에는 돌기 또는/및 홈 구조의 형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의 변경은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커넥터를 배치한 경우, 각 발광 소자(271a~271e)는 서로 대응되는 형합부로서,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돌기, 그리고 슬라이드 홈과 돌기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 개시된 발광 소자의 형합 구조는 각 측면에 홈 또는 돌기로 형성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홈과 돌기가 사인파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홈 또는/및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끼워지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의 발광 장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발광 소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뒤집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형합부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는 발광 소자 간의 결합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의 SMT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는 조명 장치, TV, 모니터 등의 라이트 유닛, 전광판, 휴대폰 단말기, 전자 앨범, 컴퓨터, 신호등과 같은 지시장치, 봉 타입의 광원 등 다양하게 분야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의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는 탑 뷰 타입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이드 타입으로도 구현 및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즉, 캐비티의 배치를 몸체 전면에 배치하고, 양측에는 상기에 개시된 슬라이드 돌기 및/또는 홈을 형성하여, 형합 구조를 갖는 사이드 뷰 타입의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의 특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 발광소자의 몸체 형상, 슬라이드 홈, 슬라이드 돌기의 구조는 다른 실시 예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변형된 예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 슬라이드 돌기, 핀 등의 용어는 일 예이며, 슬라이드 부재, 몸체 형합부, 전극 형합부, 형합부, 이음 구조물 등으로 변경 가능하며, 상기의 용어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커넥터는 형합부 예컨대,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를 갖는 구조물이거나, 소정 폭을 갖는 금속 프레임의 양 측면에 슬라이드 홈 또는/및 돌기를 갖는 형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에서의 형합부의 위치는 몸체 또는/및 리드 전극의 상면, 하면, 측면, 모서리 부분 등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복수의 발광 소자는 서로 동일한 광 또는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타켓 발광에 따라 다양한 광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4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5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6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7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8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13)

  1.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리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각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형합부; 및
    상기 발광 소자의 형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2.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리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각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형합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형합부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은 상기 발광 소자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형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양 측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으로 형성되는 발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형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소자의 형합부들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은 상기 발광 소자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형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양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리드 전극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및 슬라이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형합부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발광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양 측면에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측면, 모서리 부분, 하면 중 적어도 한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 슬라이드 홈, 기둥 형상, 뿔 형상, 홀, 비아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핀 타입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주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형합부에 결합되는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1.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리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각 발광 소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형합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형합부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형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각 발광 소자의 몸체 및 리드 전극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발광 소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뒤집혀 배치되는 발광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발광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광 소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수지물 또는 형광체가 첨가된 수지물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KR1020090070931A 2009-07-31 2009-07-31 발광 장치 KR10118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31A KR101181025B1 (ko) 2009-07-31 2009-07-31 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31A KR101181025B1 (ko) 2009-07-31 2009-07-31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85A KR20110012985A (ko) 2011-02-09
KR101181025B1 true KR101181025B1 (ko) 2012-09-07

Family

ID=4377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31A KR101181025B1 (ko) 2009-07-31 2009-07-31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36B1 (ko) * 2016-11-04 2018-07-11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27989A (zh) * 2017-09-12 2017-12-29 深圳市毅宁亮照明有限公司 一种侧发光led灯珠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37Y1 (ko) * 2000-03-14 2000-08-16 조순애 조립식 발광다이오드 홀더
JP2002118039A (ja) 2000-10-06 2002-04-19 Rohm Co Ltd 電子部品の保持部材
KR100735432B1 (ko) 2006-05-18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37Y1 (ko) * 2000-03-14 2000-08-16 조순애 조립식 발광다이오드 홀더
JP2002118039A (ja) 2000-10-06 2002-04-19 Rohm Co Ltd 電子部品の保持部材
KR100735432B1 (ko) 2006-05-18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85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057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 방법
TWI488343B (zh) Led 封裝結構與具有 led 封裝結構的發光燈條
KR101020992B1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JP5512689B2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と、発光装置
US20100149806A1 (en) Led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315363A (zh) 发光器件模块
KR20050105838A (ko) 백라이트용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백라이트 유닛
JP6653022B2 (ja) ビデオウォールモジュールおよびビデオウォール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114069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장치
US20190355884A1 (en) Molded surface mount device led display module
JP2001177156A (ja) 側面発光型ledランプ
KR101181025B1 (ko) 발광 장치
CN102194981A (zh) 发光器件封装及具有发光器件封装的显示设备和发光系统
KR20170031969A (ko) 발광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10216035B2 (en) Connector, light source module including the connector, and light source module array including the light source module
US20130039091A1 (en) Backlight unit
JP6336787B2 (ja) 光源ユニット
KR101484915B1 (ko) Rgb led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광 장치
JP6565672B2 (ja) 発光装置
KR20150125222A (ko) 핀 통전식 엘이디 모듈
KR101304611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KR20130078214A (ko) 엘이디 블록, 이를 연결하기 위한 버퍼 블록 및 이들을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KR100626397B1 (ko)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성 방법
KR101647953B1 (ko) 엘이디 모듈, 엘이디 모듈 어셈블리
US20200091119A1 (en) Aligned arrangement of l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