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616B1 -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616B1
KR101180616B1 KR1020100033196A KR20100033196A KR101180616B1 KR 101180616 B1 KR101180616 B1 KR 101180616B1 KR 1020100033196 A KR1020100033196 A KR 1020100033196A KR 20100033196 A KR20100033196 A KR 20100033196A KR 101180616 B1 KR101180616 B1 KR 10118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ork hardening
bending path
bending
shap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3878A (en
Inventor
윤승채
김훈동
이보룡
문만빈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616B1/en
Publication of KR2011011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가공경화를 이용하여 IF 강판 등을 고강도화할 수 있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강판 공급부; 입구 절곡 경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절곡 경로 및 출구 절곡 경로를 포함하는 절곡 경로(bending path)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되는 강판을 가공경화하는 가공경화 처리부; 및 상기 가공경화된 강판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경로는 상기 강판이 둔각(obtuse angle)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an IF steel sheet or the like using work hardening.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sheet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steel sheet; A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have a bending path including an inlet bending path, at least one internal bending path and an exit bending path, to harden the supplied steel sheet; And a winding-up part for winding the work hardened steel sheet, wherein the bending path is formed such that the steel sheet is bent at an obtuse angle.

Description

강판 가공경화 장치{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Steel Plate Work Hardening Equipment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본 발명은 강판의 가공경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단변형(shear strain)에 의한 가공경화를 이용하여 IF(Interstitial Free) 강판과 같이 연신율 대비 강도가 약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hardening apparatus of a steel sheet,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work hardening by shear strai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ength of a steel sheet having low strength to elongation as compared to an IF (Interstitial Free) steel sheet. A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강판은 합금 성분, 제조 공정, 최종 미세조식 등에 따라서 IF 강판, 마일드 강판, IF-HSS 강판, 소부경화 강판, TRIP 강판 등 여러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The steel sheet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IF steel sheet, mild steel sheet, IF-HSS steel sheet, baking hardened steel sheet, and TRIP steel sheet according to alloy composition, manufacturing process, final microstructure, and the like.

동종의 강판들은 대체로 비슷한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연신율(Elongation) 등의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Homogeneous steel sheets generally have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도 1은 강판의 종류에 따른 기계적 성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teel sheet.

도 1을 참조하면, IF 강판의 경우 연신율이 높은 반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the IF steel sheet, the elongation is high while relatively low in strength.

IF 강판의 경우, 탄소의 함량이 0.15중량% 전후로 다른 강종에 비하여 탄소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낮다. 이에 따라 성형성 및 시효 특성이 우수하다. In the case of the IF steel sheet, the carbon content is about 0.15% by weight, and the carbon content ratio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other steel grades. Accordingly, the moldability and aging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반면, IF 강판은 낮은 탄소 함량으로 인하여 다른 강종에 비하여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이에 따라 고강도가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IF 강판의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다. IF steel sheets, on the other hand, have relatively low strength compared to other steel grades due to their low carbon content. Accordingly, the application range of IF steel sheet is limited in the field where high strength is required.

이에 따라 연신율은 우수한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갖는 IF 강판 등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IF 강판을 고강도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n order to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IF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elongation while having relatively low strength, etc., a techniqu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IF steel shee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V자형 홈 프레싱 기술 등을 응용하여 절곡 경로(bending path)를 제공하여 강판이 전단변형(shear strain)에 의한 가공경화될 수 있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that can be hardened by shear strain by providing a bending path by applying a V-shaped groove pressing technique or the li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강판 공급부; 입구 절곡 경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절곡 경로 및 출구 절곡 경로를 포함하는 절곡 경로(bending path)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되는 강판을 가공경화하는 가공경화 처리부; 및 상기 가공경화된 강판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경로는 상기 강판이 둔각(obtuse angle)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eel sheet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steel sheet; A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have a bending path including an inlet bending path, at least one internal bending path and an exit bending path, to harden the supplied steel sheet; And a winding-up part for winding the work hardened steel sheet, wherein the bending path is formed such that the steel sheet is bent at an obtuse angle.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강판이 절곡 경로를 통과하면서 전단변형(shear strain)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단변형에 의한 가공경화 효과, 즉 강판의 결정립이 미세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강판의 고강도화를 추구할 수 있다. In the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r strain may be made while the steel sheet passes through the bending path. Therefore, the work hardening effect due to the shear deformation, that is, the grains of the steel sheet can be refined,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IF 강판과 같이 연성은 우수하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켜, IF 강판 등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a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but relatively weak strength, such as an IF steel sheet, and expanding an application range of an IF steel sheet.

도 1은 강판의 종류에 따른 기계적 성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개의 절곡 경로를 갖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4개의 절곡 경로를 갖는 가공경화 처리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teel sheet.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steel plate work hardening apparatus having three bending path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having four bending path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steel plate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강판 공급부(210), 가공경화 처리부(220) 및 권취부(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illustrated steel plate work hardening device includes a steel plate supply unit 210, a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220, and a winding unit 230.

강판 공급부(210)는 가공경화의 대상이 되는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강판은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권취된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고, 압연 공정 등과 연계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steel sheet supply unit 210 continuously supplies the steel sheet to be subjected to work hardening. The steel sheet may be supplied in a wound stat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and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in connection with a rolling process.

본 발명에서 강판은 가공경화를 통하여 고강도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서, 연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가 부족한 IF(Interstitial Free) 강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sheet is aimed at high strength through work hardening, and an IF (Interstitial Fre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insufficient strength may be applied.

가공경화 처리부(220)는 입구 절곡 경로, 적어도 3개의 절곡 경로(bending path)를 구비하여 공급되는 강판을 가공경화한다. 강판이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은 절곡 경로(225a, 225b, 225c)를 통과할 경우, 강판이 절곡되면서 강판에 전단 변형(shear strain)이 발생하고, 변형이 축적되면서 강판의 결정립이 미세화될 수 있다.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220 hardens the steel sheet supplied with an inlet bending path and at least three bending paths. When the steel sheet passes through the bending paths 225a, 225b, and 225c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shear strain occurs in the steel sheet as the steel sheet is bent, and grains are refined as the strain accumulates. Can be.

비철인 구리(Cu)와 티타늄(Ti)의 경우 결정립 미세화 효과로 강도와 연성이 증가하는 현상인 Valiev’s Paradox이 알려져 있다. 또한 홀-페치 관계식(Hall-Petch equation)에 의하여도 결정립 미세화에 따른 강도 상승 효과가 알려져 있는 바, IF 강판과 같이 강도가 부족한 강판의 경우도 결정립의 미세화를 통하여 고강도화를 추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non-ferrous copper (Cu) and titanium (Ti), Valiev's Paradox, a phenomenon in which strength and ductility increase due to grain refinement, is known. In addition, the Hall-Petch equation (Hall-Petch equation) is also known to increase the strength due to the grain refinement, even in the case of steel sheets lacking strength, such as IF steel sheet can be pursued to increase the strength through the refinement of the grain.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절곡 경로(225a, 225b, 225c)에서 강판의 절곡을 이용한 강판의 고강도화는 일종의 가공에 의한 것이므로 가공경화(work hardening)라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using the bending of the steel sheet in the bending paths 225a, 225b, and 225c may be regarded as work hardening because it is a kind of processing.

가공경화는 주로 단속적 공정으로, 벌크(bulk) 소재에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압연 공정 등과 연계하여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강판 절곡을 이용함으로써 판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Work hardening is mainly applied to a bulk material as an intermittent proces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a rolling process and the like, and can also be applied to a plate by using steel sheet bending.

본 발명에서 가공경화 처리부(220)에 포함되는 각각의 절곡 경로(도2의 225a, 225b, 225c)는 강판이 90°보다 큰 둔각(obtuse angle)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강판이 90° 혹은 90°보다 작은 예각(acute angle)으로 절곡될 경우 과도한 절곡으로 인하여 판 파단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ending paths 225a, 225b, and 225c included in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220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steel sheet is bent at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90 °. The reason is that when the steel sheet is bent at an acute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or less than 90 degrees, plate breakage is more likely to occur due to excessive bending.

또한, 각각의 절곡 경로(225a, 225b, 225c)는 강판이 절곡되는 각도가 100° ~ 15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의 절곡 각도가 100° 미만일 경우 상기와 같은 과도한 절곡의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강판의 절곡 각도가 155°를 초과할 경우 절곡 정도가 낮아 가공경화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bending paths 225a, 225b, and 225c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angle at which the steel sheet is bent is 100 ° to 155 °. When the bending angle of the steel sheet is less than 100 ° may indicate the problem of excessive bend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nding angle of the steel sheet exceeds 155 ° bending degree is low may be insufficient work hardening effect.

또한, 강판의 절곡 각도가 상기와 같이, 100° ~ 155°로 제한될 때, 강판이 3회 이상의 절곡을 거칠 경우 가공경화 효과, 즉 강판의 결정립 미세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1회 또는 2회의 절곡만이 있을 경우 강판의 결정립 미세화가 불충분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bending angle of the steel sheet is limited to 100 ° ~ 155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eel sheet is subjected to three or more bendings, the work hardening effect, that is, the grain refinement of the steel sheet is large, is shown once or twice. If only bending was present, the grain refinement of the steel sheet was insufficient.

가공경화 처리부(220)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경로가 3개 이상일 경우, 절곡 경로는 입구 절곡 경로(225a), 하나 이상의 내부 절곡 경로(225b)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절곡 경로 및 출구 절곡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다고 가정할 때, 입구 절곡 경로에서는 첫번째 절곡에 의하여 이송되는 강판의 방향이 수평에서 좌하향, 좌상향으로 바뀌고, 출구 절곡 경로에서는 마지막 절곡에 의하여 강판의 이송 방향이 좌하향, 좌상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바뀐다. As shown in FIG. 2 in the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220, when the bending path is three or more, the bending path includes an inlet bending path 225a, at least one inner bending path 225b and at least one inner bending path and an outlet bending. It may include a path.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teel sheet is transported horizontally from right to left, the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conveyed by the first bend in the inlet bending path is changed from horizontal to left to left and upwards, and in the exit bending path to the last bend. As a result,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s changed from the lower left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horizontally.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가공경화 처리부(220)는 하부 금형(221) 및 상부 금형(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220 may include a lower mold 221 and an upper mold 222.

하부 금형(221)에는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금형(222)은 하부 금형의 상기 V자형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The lower mold 221 has a V-shaped groove, and the upper mold 2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shaped groove of the lower mold.

상부 금형(222)는 상부 금형 승하강 제어부(223)를 통하여 승하강이 제어되어, 상기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에서 각각 절곡 경로(225a, 225b, 225c)를 제공하여 강판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pper mold 222 is controlled to raise and lower through the upper mold rais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223 to provide bending paths 225a, 225b, and 225c at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to pass the steel sheet. To help.

이때, 하부 금형(221)과 상부 금형(222)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금형(221)과 상부 금형(222)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강판 통과가 용이하나, 그 간격이 너무 클 경우 강판에 걸리는 압축력이 작아져 쉽게 판 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하부 금형(221)과 상부 금형(222) 사이의 간격은 강판 두께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mold 221 and the upper mold 2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larger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mold 221 and the upper mold 222, the easier it is to pass through the steel sheet. However, if the interval is too large,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steel sheet becomes small, which may easily cause plate breakage. Thus, the spacing between the lower mold 221 and the upper mold 222 is preferably similar to the steel sheet thickness.

한편, 하부 금형(221)의 V자 홈은 강판이 둔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V홈 내부에서의 절곡 각도(θ2)가 100° ~ 130°일 때 V자 홈 입구에서의 절곡 각도(θ1) 및 V자 홈 출구에서의 절곡 각도(θ3)가 140° ~ 155°가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shaped groove of the lower mold 221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steel sheet can be bent at an obtuse ang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when the bending angle θ2 inside the V-groove is 100 ° to 130 °, the bending angle θ1 at the inlet of the V-shaped groove and the bending angle θ3 at the exit of the V-shaped groove are 140. ° to 155 °.

물론, 도 2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대칭형 V홈이 형성되어 있고, 강판의 이송 방향도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이므로, 상기와 같은 강판의 절곡 각도의 범위가 제한된다. 그러나, V홈의 형태, 개수, 강판의 이송 방향 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에서 강판이 절곡되는 각도를 100° ~ 155°로 조절할 수 있다.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example shown in FIG. 2, one symmetrical V-groove is formed, and sinc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s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whole, the range of the bending angle of the steel sheet as described above is limited. However, the shape, the number of V grooves, and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steel sheet may vary. Accordingly, the angle at which the steel sheet is bent at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as a whole may be adjusted to 100 ° to 155 °.

하부 금형(221)에서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는 각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금형(221)에서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in the lower mold 221 may be formed in an angular shap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in the lower mold 22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전단 변형량은 곡면 형태보다 각진 형상에서 더 크게 부여될 수 있으므로, 각진 형상의 곡률을 0 이라고 할 때, 곡률은 0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강판 혹은 금형의 마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ince the amount of shear deformation may be greater in the angular shape than in the curved shape, when the curvature of the angular shape is zero, the curvature is preferably closer to zero. However, this may cause a wear problem of the steel sheet or the mold.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V자형의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는 강판 두께의 대략 1/2 이하의 가급적 낮은 곡률(curvature)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view of these poi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s are formed into curved surfaces having as low curvature as possible, approximately 1/2 or less of the steel sheet thickness.

또한, 가공경화 처리부(220) 내부에는 강판의 가공경화 중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기 위한 냉각 채널(2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channel 224 for controlling heat generated during work hardening of the steel sheet.

냉각 채널(224)은 하부 금형(221)과 상부 금형(2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222) 및 하부 금형(221)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The cooling channel 224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lower mold 221 and the upper mold 222, and as shown in FIG. 2, the cooling channel 224 may be provided in both the upper mold 222 and the lower mold 221. Can be.

강판 양면의 온도 편차 최소화 및 냉각 효율 등을 고려할 때, 하부 금형(221) 및 상부 금형(222) 모두에 냉각 채널(22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금형(221,222)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냉각채널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consideration of minimizing temperature variation of both sides of the steel sheet and cooling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hat cooling channels 224 are provided in both the lower mold 221 and the upper mold 222, an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urfaces of the respective molds 221 and 222. More preferably, cooling channels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경화된 강판을 권취하는 권취부(2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ncludes a winding unit 230 for winding the work-hardened steel sheet.

본 발명에서 권취부(230)는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강판이 이송될 수 있는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력은 강판 공급부(230)에서도 제공될 수 있으나, 이송력이 가공경화 처리부의 전단에서 제공될 경우 강판이 압축력을 받으면서 금형이 받는 응력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송력이 가공경화 처리부의 후단에서 제공되도록 하여 강판이 인장력을 받으면서 금형이 받는 응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unit 230 may include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to provide a conveying force to which the steel sheet may be conveyed. The feed force may be provided in the steel sheet supply unit 230, but when the feed force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the stress that the mold receives while the steel sheet receives the compressive force may increase. Therefore, the feed forc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so that the stress received by the mold can be relatively reduced while the steel sheet receives the tensile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가공경화 처리부(220)와 권취부(230) 사이에 배치되며, 가공경화된 강판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한 쌍의 롤의 형태 등으로 구성되는 평탄화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220 and the winding unit 230, the flattening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rolls and the like to flatten the surface of the work hardened steel sheet 240 may further include.

상기에서는 V자 홈을 갖는 하부 금형과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상부 금형에 의하여 3개의 절곡 경로를 갖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에서 가공경화 처리부에 포함되는 절곡 경로의 개수 및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ree bending paths are defined by a lower mold having a V-shaped groove and an upper mol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but the number of bending paths included in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in the steel plate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ms are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가공경화 처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도 3에 도시된 예의 경우, 하부 금형(221)과 상부 금형(222)의 형상에 따라서 4개의 절곡 경로(510a, 510b, 510c, 510d)를 구비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도 가공경화 처리부 입구 및 출구에서 강판의 이송 방향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압연 공정 등 다른 공정과의 연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four bent paths 510a, 510b, 510c, and 510d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lower mold 221 and the upper mold 222. Also in the case of the example shown in Figure 3 it is possible to make the feed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can be easily linked to other processes such as a rolling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전단변형에의한 가공경화로 강판의 결정립을 미세화함으로써 고강도화를 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가공경화 장치는 연신율은 우수하나 강도가 다른 강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IF(Interstitial Free) 강판 등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high strength by miniaturizing the grains of the steel sheet by work hardening due to shear deformation. Therefore, the steel sheet work har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IF (Interstitial Free) steel sheet, which is excellent in elongation but relatively weak compared to other steel grad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210 : 강판 공급부
220 : 가공경화 처리부
221 : 하부 금형
222 : 상부 금형
223 : 상부 금형 승하강 제어부
224 : 냉각 채널
210: steel sheet supply unit
220: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221: lower mold
222: upper mold
223: upper and lower die lowering control
224: cooling channel

Claims (11)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강판 공급부;
입구 절곡 경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절곡 경로 및 출구 절곡 경로를 포함하는 절곡 경로(bending path)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되는 강판을 가공경화하는 가공경화 처리부; 및
상기 가공경화된 강판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경로는 상기 강판이 둔각(obtuse angle)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공경화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상기 V자형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승하강되어, 상기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에서 절곡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A steel sheet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steel sheets;
A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have a bending path including an inlet bending path, at least one internal bending path and an exit bending path, to harden the supplied steel sheet; And
Includes; winding unit for winding the work-hardened steel sheet,
The bending pa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sheet is formed to be bent at an obtuse angle (obtuse angle),
The work hardening processing unit includes a lower mold having at least one V-shaped groov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mol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shaped groove of the lower mold,
The upper mold is raised and lowered to provide a bending path at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IF(Interstitial Free)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el sheet is a steel sheet processing hard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F (Interstitial Free) steel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경로는 상기 강판이 절곡되는 각도가 100° ~ 15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path is a steel plate processing hard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angle of the steel sheet is bent to 100 ° ~ 155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경화 처리부는 상기 강판의 가공경화 중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기 위한 냉각 채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unit further comprises a cooling channel for controlling heat generated during work hardening of the steel she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said cooling channel is provided on both said upper mold and said lower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에서 상기 강판이 절곡되는 각도는 100° ~ 1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teel sheet bending at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exit of the V-shaped groove is a steel sheet processing hard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100 ° ~ 155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는 각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is a steel plate processing hard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angular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 홈의 입구, 내부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inlet,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V-shaped groove is a steel plate processing hard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urv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강판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ing unit provides a steel sheet processing hard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conveying force for transferring the steel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경화 처리부와 상기 권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공경화된 강판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가공경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latten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work hardening treatment part and the winding part to flatten the surface of the work hardened steel sheet.
KR1020100033196A 2010-04-12 2010-04-12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KR101180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96A KR101180616B1 (en) 2010-04-12 2010-04-12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96A KR101180616B1 (en) 2010-04-12 2010-04-12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78A KR20110113878A (en) 2011-10-19
KR101180616B1 true KR101180616B1 (en) 2012-09-06

Family

ID=4502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96A KR101180616B1 (en) 2010-04-12 2010-04-12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61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78A (en)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71959B (en) A kind of high intensity opening-closed sectional material hot roll bending forming technology
KR10194096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PRODUCTS
MX2018000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ss component.
KR102579287B1 (en) Bending processing method
JP2007504007A5 (en)
KR20110127241A (en) Micro-alloyed carbon steel as texture-rolled strip steel, in particular for spring elements
WO2009142007A1 (en) Method for producing deformed cross-section strip
KR102192629B1 (en) Method for producing metal plate with protruding ridge, metal plate with protruding ridge, and structural component
KR101180616B1 (en) Apparatus for work hardening of steel sheet
CN100441331C (en) Electrical steel producing process
CN110355213B (en) Coiling staggered-layer control method for medium carbon steel 50Mn2V in short-process production
US20100000073A1 (en) Method of producing at least two plane functional surfac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on a pipe
CN105458031A (en) Flexible forming method of secondary forming square tube
JP5482539B2 (en) Determination of furnace temperature of continuous heat treatment furnace
JP5332922B2 (en) Straightening method and equipment for T-shaped steel
KR20100048256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 rod dispensing with heat treatment, dies and dies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the wire rod
JP6835118B2 (en) Steel pi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825402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tensile strength metal strip having excellent press formability
JP2009006361A (en) Hot-rolling method
JP201000565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sium sheet
KR101502902B1 (en) Extrusion dies
KR101460284B1 (en) Device and method for levelling strip
JP6954196B2 (en) Roller straightening method and roller straightening equipment for the plate to be straightened
Kim et al. Study on springback of high tension steel following various temperature and local pre-heating in the roll forming process
RU2581697C1 (en) Method of straightening rolled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