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141B1 -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 Google Patents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141B1
KR101180141B1 KR1020110045034A KR20110045034A KR101180141B1 KR 101180141 B1 KR101180141 B1 KR 101180141B1 KR 1020110045034 A KR1020110045034 A KR 1020110045034A KR 20110045034 A KR20110045034 A KR 20110045034A KR 101180141 B1 KR101180141 B1 KR 10118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
locking
furnitu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정철
Original Assignee
신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철 filed Critical 신정철
Priority to KR102011004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1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PURPOSE: Furniture having an automatic door closer is provided to improve convenience for a user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pull and hold a switch with a hand. CONSTITUTION: Furniture having an automatic door closer comprises a housing(10), a switch(12), a spring(13), and a damper(14). The housing is installed in a rail side of furniture. The switch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ransfers a door to a closing position by using latching projections(11a,11b). The latching projections are connected to the door, thereby moving back and forth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latching projections are overturn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back when the door is closed, thereby being locked and released from the door. The spring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One side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a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switch so that the spring pulls the switch by using the force of restitution generated after an expans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witch. The damper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united to one side of the switch through a rod of a front end.

Description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Furniture with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닫을 때 서서히 닫혀지도록 하고, 또 자동으로 완전히 닫혀지도록 하는 자동닫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having a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having an automatic closing device which is to be closed slowly when the door is closed and completely closed automatically.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롱 등과 같은 가구류의 도어는 가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첩으로 도어를 지지하고, 도어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여닫이식 개폐방식과, 가구 본체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도어측에 설치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식으로 열고 닫는 미닫이식 개폐방식이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the doors of furniture such as cabinets used in homes are supported by hinge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opening the door forward and the rails and door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of the furnitur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sliding open and close using a roller installed on the side is mainly used.

최근에는 개폐시의 공간 제약을 많이 받는 여닫이식 개폐방식의 도어 보다는 개폐의 용이함 등 사용이 편리한 미닫이식 개폐방식의 슬라이드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sliding doors of sliding doors that are easy to use, such as ease of opening and closing,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doors of door opening and closing doors that receive a lot of space constraints.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가 사용되는 가구는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브라켓을 이용한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가 설치되고, 가구 본체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하부 롤러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Furniture using such a slide door is provided with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using bracket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door, respectively, and an upper rail and a lower rail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roller movement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urniture body,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이때,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가구 본체의 상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하부 롤러를 이용하여 옆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lide door can be opened or closed laterally by using the upper and lower rollers moving along the upper and lower rails of the furniture body.

보통 가구에 옷 등을 꺼내거나 넣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슬라이드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서 열고 닫아야 하는데, 기존 슬라이드 도어의 경우에는 닫을 때 도어를 끝까지 밀지 않으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로 인해 가구 속의 내용물 노출 등 외관적인 측면에서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In order to remove or put clothes on furniture, the user can grab the handle of the slide door by hand and pull it or push it to open and close the door.In the case of the existing slide door, the door may not be completely closed unless the door is pushed to the end when it is closed. Often, this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in terms of appearance, such as exposure of the contents in the furniture.

또한, 기존 슬라이드 도어의 경우에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부주의 등으로 도어를 쎄게 닫게 되면, 닫힘과 동시에 소음이 클 뿐 아니라, 충격 등에 의해 도어 및 가구의 훼손이나 변형 등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되어 왔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lide door, if the user closes the door unknowingly or carelessly, the noise is not only closed and loud, but also causes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door and furniture due to impact, etc. Has been called for.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도어를 일정 위치까지만 닫으면, 도어가 자동으로 당겨지면서 완전히 닫혀지도록 해주는 자동닫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가구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recently, when a door is closed only to a certain position, a furniture having an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and being completely closed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기존의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는 아래와 같이 사용성 측면에서 불편한 점이 있다. However, the furniture equipped with the existing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is inconvenient in terms of usability as follows.

예를 들면, 도어 개폐시 인 도어 또는 아웃 도어의 롤러어셈블리에 있는 바의 걸림링크가 자동닫힘장치에 있는 스위치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t often happens that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n the roller assembly of the in door or the out door is inadvertently released from the switch in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이러한 경우에 스위치를 자동닫힘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의 걸림홈까지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당겨서 고정한 후, 바의 걸림링크가 스위치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한 점이 있다. In this case, after the operator pulls and fixes the switch by han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there is a hassle and inconvenience in that the locking link of the bar can be caught by the switch.

즉, 스위치를 가이드홀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홈까지 후퇴시켜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하고, 걸림홈에서 경사진 자세의 스위치에 바의 걸림링크를 정상적으로 접촉시켜 스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당히 불편한 점이 있는 등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That is, the switch should be retracted to the locking groove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hole to take a tilted position, and the switch should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normally contacting the locking link of the bar with the switch of the tilted position at the locking groove.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ase of use, such as not only troublesome work but also considerably in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시 도어를 일정 위치까지만 닫으면 도어가 자동으로 서서히 당겨지면서 완전히 닫혀지도록 하는 한편, 특히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력형의 걸림턱부를 가지는 스위치를 적용하여, 바의 걸림링크가 스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도어를 재차 밀기만 하면 자동으로 걸림링크가 스위치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스위치를 잡아 당겨서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when closing the door only to a certain position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is pulled out completely, while the elastic jaw is particularly elastically deformable and recoverable By adopting a switch having a part, even when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by simply pushing the door again,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new structure is automatically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link can be caught by the switc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rniture having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eliminating the hassle that the operator has to pull the switch by hand.

또한, 본 발명은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와 바의 걸림링크 간의 걸림구조를 개선하여, 스위치와 걸림링크가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서로 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안정적인 개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switch and the locking link of the bar of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so that the switch and the locking link can be easily hook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eparation from each other, stabl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furniture with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that can be ma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Furniture having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has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가구는 가구의 레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시 도어와 연동되면서 앞뒤로 움직이고 도어 열림시 젖혀져 있다가 도어 닫힘시 복원되면서 도어측과 걸림 및 해제 가능한 걸림턱부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힘위치까지 이동시켜주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쪽은 하우징 벽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스위치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위치 이동에 따른 팽창 후 복원력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의 로드를 통해 스위치의 일측과 결속되어 도어 닫힘시 뒷쪽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전체의 속도를 늦춰주는 댐퍼로 구성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using is installed on the rail side of the furnitur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s interlocked with the doo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move back and forth when the door is opened and restore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can be locked and released with the door side A switch that moves the door to the closed position by using the locking jaw,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wall whil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witch using the restoring force after expansion according to the switch movement Door closing function consisting of a damper for slowing down the overall speed of the switch, including a spring for pulling the switch and a do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switch through the rod of the tip to move backward when the door is closed. It consists of a form that includes the device.

특히, 상기 스위치에 있는 걸림턱부는 후단의 고정단을 통해 스위치 몸체에 일체 형성되면서 선단은 절곡형의 걸림단을 가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아래로 내려가고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올라오는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로부터 바의 걸림링크가 이탈되는 경우, 스위치의 스프링 작용을 이용하여 바의 걸림링크를 용이하게 재차 걸려지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the locking step in the switch is formed integrally to the switch body through the fixed end of the rear end is composed of a free end having a locking end of the bent typ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downwards and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By allowing the spring action to rise again, when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there is a feature that the locking link of the bar can be easily caught again by using the spring action of the switch.

여기서, 상기 스위치에 있는 걸림턱부는 바의 걸림링크와 접촉되는 안쪽면을 라운드면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의 걸림턱부에 걸려지는 걸림링크도 상단 폭이 하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폭 방향의 좌우 측면울 라운드면으로 형성하여, 스위치와 걸림링크 간의 견고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ocking jaw portion of the switch forms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n a rounded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link caught on the locking jaw portion of the switch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width. While it is preferable to form a round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locking state between the switch and the locking link, and to prevent the departure.

그리고, 상기 걸림링크에는 선단부에서 폭 방향 한쪽 측면에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를 마련하고, 이 스톱퍼에 의해 스위치에 걸림링크가 걸린 상태에서 상부로(내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op link is provided with a stopper which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p portion, and prevents the stop link from being separated upwards (inward and outward)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is engaged by the switch. desirabl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Furniture having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가 도어를 완전히 닫지 못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도어가 천천히 닫혀질 수 있으므로, 도어 개폐조작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고, 항상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은 장점이 있다.First,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closed even if the user does not completely close the door. Therefore,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nd the door can be kept closed at all times. There is a good advantage.

둘째, 도어 개폐 동작 중에 바의 걸림링크가 스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쉽게 걸림링크를 스위치에 걸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Second, even when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dur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locking link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switch, thereby eliminating the trouble of the operator operating the switch.

셋째, 스위치의 걸림턱부와 바의 걸림링크가 라운드 형태의 접촉면을 통해 걸려지게 되므로서, 걸림링크의 진입이 용이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도어의 안정적인 개폐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ird, since the locking jaw of the switch and the locking link of the bar are hooked through the round contact surface, it is easy to enter the locking link and prevent the detachment, thereby ensuring stabl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넷째, 인 도어와 아웃 도어에 구비되는 바의 걸림링크에 스톱퍼를 형성함으로써, 스위치에 걸림링크가 걸린 상태에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urth, by forming a stopper on the engaging link of the bar provided in the in-door and the out-doo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top in the state in which the engaging link is caught in the switch.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와 걸려지는 바의 걸림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와 바의 걸림링크 간의 걸림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에서 바의 걸림링크가 스위치로부터 이탈된 후 재차 걸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작동상태로서 도어 열림시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작동상태로서 도어 닫힘시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1a and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of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ocking link of a bar engaged with a switch of a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ocking structure between a switch and a locking link of a bar of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s re-engag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witch in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when the door is opened as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when the door is closed as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자동닫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utomatic closing device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 of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1b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에는 미닫이 방식의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고, 이러한 도어는 가구 본체에 설치되는 레일의 안내를 받으면서 개폐된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FIG. 2, a sliding door of a sliding type is installed in the furniture,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guided by a rail installed in the furniture main body.

그리고, 가구 본체 있는 레일의 한쪽 끝 구간에는 도어를 닫을 때 자동으로 도어를 완전히 닫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가 마련된다.And, at one end of the rail of the furniture body is provided with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completely when closing the door.

상기 도어 자동닫힘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되면서 도어가 어느 정도 닫힘 위치에 오게 되면, 도어를 강제로 잡아 당겨서 완전히 닫혀지도록 하고, 또 닫힘 속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is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 comes to a closed position to some extent, the door is forcibly pulled out to be completely closed and serves to reduce the closing speed.

예를 들면, 도어 자동닫힘장치는 도어 열림시의 경우에 도어에 의해 끌려나와 젖혀진 상태로 록킹되면서 도어측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반대로 도어의 닫힘시의 경우에 도어측과의 접촉을 통해 자세가 복귀됨과 동시에 언록킹되면서 도어측과의 걸림을 통해 도어를 당겨주게 된다. For example, the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is pulled out by the door in the case of the door opening and locked in the locked state, and the latch is released from the door side. Is returned and unlocked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is pulled through the door.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완전히 닫지 않는 경우에도 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does not completely close the door,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closed.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 자동닫힘장치는 기본적으로 도어 개폐시 함께 연동되면서 움직이는 스위치(12), 상기 스위치(12)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 도어의 닫힘속도를 서서히 제어하는 댐퍼(14), 그리고 상기 스위치(12), 스프링(13) 및 댐퍼(14)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is basically a switch 12 moving while interlocking wi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 spring 13 for providing a return force to the switch 12, a damper 14 for gradually controlling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And a housing 10 for receiving the switch 12, the spring 13, and the damper 14.

상기 하우징(10)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길다란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구 본체에 있는 레일의 한쪽 끝 부분에서 보조 레일(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고, 내부의 양쪽 측벽에는 스위치(12)의 이동궤적을 유도하는 가이드 홀(19)이 구비된다. The housing 10 has a long rectangular box shape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The housing 10 is installed using an auxiliary rail (not shown) at one end of the rail in the furniture main body, and switches 12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interior. Guide hole 19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trajectory.

이때, 상기 가이드 홀(19)은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진행되다가 하우징 선단 부분에서 아래로 하향 연장되는 곡선구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19)의 곡선구간 끝 부분은 가이드 홀(19)에 대해 대략 90°정도의 각도를 갖는 걸림홈(20)으로 조성되어 이곳에 스위치(12)의 앞쪽 가이드 돌기(21a)가 안착되면서 걸려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hole 19 is form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has a curved sec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using front end portion, the end of the curved section of the guide hole 19 is a guide hole It is composed of a locking groove 20 having an angle of about 90 ° with respect to (19) is to be caught while the front guide projection (21a) of the switch 12 is seated there.

이에 따라, 스위치(12)는 가이드 홀(19)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되다가 곡선구간에 이르러서는 자세가 아래로 꺽이게 되고, 이렇게 스위치(12)가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면 도어측과 스위치(12) 간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witch 12 is moved forward along the guide hole 19 to reach the curved section is bent downward, and when the switch 12 is inclined position, the door and the switch ( 12) can be released.

이때, 상기 가이드 홀(19)의 곡선구간 끝에는 걸림홈(20)이 마련되어 있고, 이때의 걸림홈(20)에 스위치(12)의 앞쪽 가이드 돌기(21a)가 걸림에 따라 스위치(12는 경사진 자세의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urved section of the guide hole 19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0, the switch 12 is inclined as the front guide protrusion 21a of the switch 12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0 at this time The locking state of the posture can be maintained.

상기 스위치(12)는 도어측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즉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미도시)에 있는 바(도 3a 및 3b의 도면부호 15)의 걸림링크(도 3a 및 3b의 도면부호 16)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도어와 함께 앞뒤로 움직이는 부재이다. The switch 12 is in selective contact with the door side, i.e. with a locking link (reference 16 in FIGS. 3A and 3B) of a bar (reference 15 in FIGS. 3A and 3B) in a roller assembly (not shown) of the door. A member that moves back and forth with the door while being in selective contact.

이러한 스위치(12)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쪽 측면에는 2개씩 총 4개의 가이드 돌기(21a),(21b)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가이드 돌기(21a),(21b)를 통해 하우징(10)에 있는 가이드 홀(19)에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The switch 12 has a bloc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total of four guide protrusions 21a and 21b are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on each side, so that the guide protrusions 21a and (at this time) 21b)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9 in the housing 10 to receive the slide guide.

그리고, 상기 스위치(12)의 상단부에는 도어측 롤러 어셈블리의 바(15)에 있는 걸림링크(16)와 접촉되는 앞뒤 2개의 걸림턱부(11a),(11b)가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15)의 걸림링크(16)는 2개의 걸림턱부(11a),(11b)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되면서 앞쪽에 위치되는 걸림턱부(11a)를 젖혀주거나, 또는 뒷쪽에 위치되는 걸림턱부(11b)와의 접촉을 통해 뒷쪽으로 당겨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two engaging jaw portions 11a and 11b contacting the engaging links 16 in the bar 15 of the door-side roller assembly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witch 12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locking link 16 of the bar 15 is loca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locking jaw portions 11a and 11b, and tilts the locking jaw portion 11a located at the front side, or is located at the rear side. It can be pulled back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11b).

특히, 상기 스위치(12)에 있는 앞뒤 두 개의 걸림턱부(11a,11b) 중에서 앞쪽에 있는 걸림턱부(11a)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In particular, the front and rear locking jaw portion (11a) of the front and rear two locking jaw portion (11a, 11b) in the switch 12 is made of a form that can act as a spring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예를 들면, 상기 걸림턱부(11a)는 스위치 몸체에 일체 형성되는 고정단(11a-1)과 상기 고정단(11a-1)으로부터 일정길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자유단(11a-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유단(11a-3)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단(11a-2)을 이용하여 도어측 걸림링크(16)와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locking step (11a) is composed of a fixed end (11a-1) integrally formed on the switch body and a free end (11a-3) extending incline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xed end (11a-1) By using the locking end (11a-2) is formed to be bent i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11a-3) is to be able to contact the door-side locking link (16).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부(11a)는 자유단(11a-3)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아래로 내려가고(내측으로 들어가고),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올라오는(바깥쪽으로 나오는)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engaging jaw portion 11a may move downwar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ee end 11a-3 (to enter the insid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o rise again (outward) the spring action. It becomes possible.

예를 들면, 도어측 걸림링크(16)가 자유단(11a-3)의 경사진 바깥면을 타고 접촉하면서 누르게 되면, 자유단(11a-3)은 안쪽으로 눌려지게 되고, 계속해서 도어측 걸림링크(16)가 더 이동하여 자유단(11a-3)을 벗어나게 되면, 자유단(11a-3)은 자체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여 바깥쪽으로 복귀되면서 걸림링크(16)에 대한 걸림자세를 재차 취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door side engaging link 16 is pressed while touching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11a-3, the free end 11a-3 is pressed inward, and the door side latch continues. When the link 16 moves further to move out of the free end 11a-3, the free end 11a-3 exerts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returns to the outside to retake the engaging position on the locking link 16 again. Will be.

또한, 상기 스위치(12)에 있는 뒷쪽의 걸림턱부(11b)의 경우에도 걸림링크(16)와의 우수한 접촉 및 걸림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rear locking jaw portion 11b of the switch 12 also has a form capable of exhibiting excellent contact and locking performance with the locking link 16.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링크(16)와 접촉되는 걸림턱부(11b)의 안쪽면은 오목한 라운드면(17a)으로 이루어지고, 결국 이러한 라운드면(17a)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걸림턱부(11b)의 선단 돌출부분과 후술하는 걸림링크(16)의 라운드면(17b)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림링크(16)의 선단 돌출부분이 서로 간섭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b)는 걸림링크(16)측과의 견고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o this e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11b)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link 16 is made of a concave round surface (17a),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b) naturally made due to this round surface (17a)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ip of the catching link 16 made by the round surface 17b of the catching link 16 to be described later may have an interference structure with each other, the catching protrusion 11b of the switch 12 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locking state with the engaging link 16 side, so that the departure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스위치(12)의 후단부 중간쯤에는 스위치 몸체 좌우 두께방향을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한쪽이 터진 형태의 핀 홈(22)이 마련되고, 또 그 바로 아래쪽에는 스프링 홀(23)이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middl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witch 12 is provided with a pin groove 22 having a one-sided shape while penetrating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witch body, and a spring hole 23 is provided immediately below the switch body. .

이에 따라, 상기 핀 홈(22)에는 댐퍼(14)의 로드에 형성되어 있는 핀(24)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홀(23)에는 스프링(13)의 한쪽 끝이 끼워져 결합된다.Accordingly, the pin 24 formed in the rod of the damper 14 is fitted into the pin groove 22, and one end of the spring 13 is fitted into the spring hole 23.

이렇게 상기 스위치(12)는 댐퍼(14) 및 스프링(13)과 연동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앞쪽으로 위치된 후에는 뒷쪽으로 복귀되려는 동력을 항상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또 복귀시의 속도 또한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제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switch 12 may have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with the damper 14 and the spring 13, so that after the forward position, the switch 12 is always provided with the power to return to the rear side, and also the speed at the time of return Can be controlled slowly.

이때, 상기 댐퍼(14)측과 스위치(12)측은 핀(24)과 핀 홈(22) 간의 회동가능한 결합구조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스위치(12)는 핀(24)과 핀 홈(22) 간의 결합부위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무난하게 젖혀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damper 14 side and the switch 12 side are connected by the rotatabl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in 24 and the pin groove 22, so that the switch 12 is the pin 24 and the pin groove 22. Rotation of the joint portion of the liver to the central axis can be smoothly flipped.

이러한 스위치(12)는 상단의 걸림턱부(11a),(11b)를 제외하고 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가이드 홀(19)을 따라 도어와 함께 앞뒤로 움직이면서 도어에 의해 끌려 나가거나, 또는 닫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의해 자세가 복원되면서 도어를 끌고 들어올 수 있게 된다.Such a switch 12 is pulled out by the door while moving back and forth with the door along the guide hole 19 in a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 except for the locking jaws 11a and 11b at the upper end, or The door is pulled back in while the posture is restored by the door moving in the closing direction.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12)는 도어의 열림시의 경우 그 걸림턱부(11a),(11b)와 걸림링크(16) 간의 걸림작용에 의해 도어와 함께 앞쪽으로 이동한 후, 가이드 홀(19)의 곡선구간에 있는 걸림홈(20) 내에 그 가이드핀(21a)을 통해 걸려짐과 동시에 자세가 젖혀져 록킹되면서 도어측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oor 12 is opened, the switch 12 moves forward together with the door by the locking action between the locking jaws 11a and 11b and the locking link 16, and then the guide hole 19 In the engaging groove 20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through the guide pin (21a) and at the same time the posture is bent and locked can be released from the door side.

또, 도어의 닫힘시의 경우 도어측 걸림링크(16)의 접촉에 의해 걸림홈(20)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자세가 수평으로 복원되어 언록킹되면서 도어측 걸림링크(16)와 걸려질 수 있으며, 결국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a)와 도어측 걸림링크(16) 간의 걸림작용에 의해 도어는 뒷쪽으로 당겨지면서 자동으로 닫힐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may be caught by the door-side locking link 16 while being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20 by the contact of the door-side locking link 16 and the posture is restored horizontally and unlocked. As a result, the door may be automatically closed while being pulled backward by the locking action between the locking jaw portion 11a of the switch 12 and the door-side locking link 16.

상기 스프링(13)은 스위치(12)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며, 댐퍼(14)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바로 아래쪽에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한쪽 끝은 스위치(12)의 스프링 홀(23) 걸려져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하우징(10)의 후벽면에 고정되어 스위치(12)를 항상 뒷쪽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spring 13 is a means for providing a return force to the switch 12, one end of which is caught in the spring hole 23 of the switch 12 while being positioned side by side just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damper 14 is installe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10 to serve to always pull the switch 12 to the rear.

즉, 상기 스프링(13)은 스위치(12)가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팽창되었다가 스위치(12)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자체 복원력을 발휘하여 스위치(12)를 뒷쪽으로 당겨줄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pring 13 is expanded as the switch 12 moves forward, and then exerts its own restoring force in the unlocked state of the switch 12 to pull the switch 12 backward.

상기 댐퍼(14)는 스위치(12) 및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어 전체의 닫힘속도를 늦춰주는 수단이다.The damper 14 is a means for slowing the closing speed of the entire door including the switch 12 and the roller assembly.

이를 위하여, 상기 댐퍼(14)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로드에는 핀(24)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때의 핀(24)을 이용하여 스위치(12)의 핀 홈(22)에 결합되는 형태로 연결된다.To this end, the damper 14 is installed side by side inside the housing 10, the rod is provided with a pin 24 so that the pin groove 22 of the switch 12 using the pin 24 at this time Connected in the form of

이에 따라, 스위치(12) 및 스프링(13)에 의해 뒷쪽으로 급격하게 당겨질 우려가 있는 도어는 댐퍼(14)에 의해 그 속도가 줄어들면서 거의 닫힘 위치에 가서는 부드럽게 닫힐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oor, which is likely to be pulled back sharply by the switch 12 and the spring 13, can be smoothly closed in the almost closed position while the speed thereof is reduced by the damper 14.

여기서, 상기 댐퍼(14)는 가스식이나 에어식 등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고, 또 듀얼 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amper 14 can apply a well-known thing, such as gas type or air typ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dual type thing.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와 걸려지는 바의 걸림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ocking link of a bar engaged with a switch of a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15)는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롤러 어셈블리에 일체식으로 장착되는 부재로서, 자동닫힘장치에 있는 스위치(도 1과 도 2의 도면부호 12)와 접촉하면서 스위치(12)를 끌고 나오고, 또 스위치(12)를 젖혀주고, 또 스위치(12)와의 걸림을 통해 도어 전체가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the bar 15 is a member integrally mounted to the roller assembly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switch in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reference numeral 12 in Figs. 1 and 2). In contact with and pulls out the switch 12, and flips the switch 12, and serves to allow the entire door to be pulled through the engagement with the switch 12.

이러한 바(15)에는 선단에 실질적으로 스위치(12)와 접촉하는 걸림링크(16)가 일체 형성되는데, 이때의 걸림링크(16)는 인 도어(도 3a)의 경우 바 몸체와 나란하게 일정길이 수직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아웃 도어(도 3b)의 경우 바 몸체에 대해 90°꺽여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Such a bar 15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atching link 16 in contact with the switch 12 at the tip, wherein the catching link 16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parallel with the bar body in the case of the in door (FIG. 3A). It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in the case of the outdoor (Fig. 3b)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y 90 ° with respect to the bar body.

특히, 상기 바(15)의 걸림링크(16)는 링크 폭 방향의 좌우 측면이 오목한 라운드면(17b)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상단 폭(W1)이 하단 폭(W2)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링크(16)는 스위치(12)측에 걸려진 상태에서 그 하단 폭(W2)을 통해 걸림턱부(11b)와의 걸림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걸림관계에 의해 스위치(12)측과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engaging link 16 of the bar 15 is composed of a round surface 17b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nk width direction are concave, and the upper width W1 is relatively narrow compared to the lower width W2. Accordingly, the locking link 16 can have a locking structure with the locking jaw portion 11b through its lower width W2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link 16 is locked to the switch 12 side. Departure from the (12) side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걸림링크(16)는 선단부에서 폭 방향 한쪽 측면에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스톱퍼(18)는 스위치(12)에 걸려있는 걸림링크(16)가 상부로(또는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link 16 is provided with a stopper 18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tip portion, the stopper 18 at this time is the locking link 16 is caught on the switch 12 It serves to prevent them from escaping upwards (or downwards).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와 바의 걸림링크 간의 걸림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ocking structure between a switch and a locking link of a bar of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 도어(도 4a) 및 아웃 도어(도 4b)에 장착되는 바(15)는 그 선단의 걸림링크(16)를 통해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12)에 있는 앞뒤의 걸림턱부(11a,11b) 내에 위치되는 상태로 걸려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ar 15 mounted on the in door (Fig. 4A) and the out door (Fig. 4B) is connected to the switch 12 of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through the engaging link 16 at its tip. It is caught in a state that i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locking step (11a, 11b).

이때, 상기 걸림링크(16)는 폭이 넓은 하단 폭을 걸림턱부(11a,11b) 내의 안쪽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걸려지게 되고, 도어의 이동시 함께 움직이면서 걸림턱부(11a,11b)와의 걸림작용을 통해 스위치(12)를 끌고 나온 후에 젖혀주게 되고, 또 걸림턱부(11a,11b)와의 접촉을 통해 젖혀져 있는 스위치(12)를 복원시켜줌과 더불어 스위치(12)와 함께 걸려져 이동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locking link 16 is caught in a state where the wide bottom width is positioned inward in the locking jaw portions 11a and 11b, and moves together with the locking jaw portions 11a and 11b while moving the door. After the switch 12 is pulled out, it is turned over, and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portions 11a and 11b restores the folded switch 12 and the hook 12 can be caught and moved together.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에서 바의 걸림링크가 스위치로부터 이탈된 후 재차 걸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5A to 5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link of the bar is caught agai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witch in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시 의도치 않게 도어측 걸림링크(16)가 자동닫힘장치의 스위치(12)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즉 걸림링크(16)가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a,11b)로부터 빠져나와 스위치(12)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도어를 스위치(12)가 있는 쪽으로 가볍게 밀면 걸림링크(16)를 손쉽게 스위치(12)에 재차 걸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5A and 5C, there may occur a situation in which the door side engaging link 16 is unintentionally released from the switch 12 of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at is, the engaging link 16 is switched.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engagement with the switch 12 is released by escaping from the locking jaw portions 11a and 11b of the 12, and when the door is lightly pushed toward the switch 12, the locking link 16 is easily switched ( 12) can be dialed again.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a,11b)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걸림링크(16)를 탄력형의 걸림턱부(11a)가 있는 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걸림링크(16)는 걸림턱부(11a)를 내측으로 누르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의 걸림턱부(11a)는 자체 탄성 변형 특성을 통해 쉽게 내측으로 눌려지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locking link 16 exiting from the locking jaw portion 11a, 11b of the switch 12 is pushed toward the elastic locking jaw portion 11a, the locking link 16 is the locking jaw portion. While moving (11a) while pressing inward, the locking jaw portion (11a) at this time is easily pressed inward through its own elast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계속해서, 상기 걸림링크(16)가 걸림턱부(11a)를 지나서 뒷쪽의 걸림턱부(11b)에 걸려지게 되면, 이와 동시에 눌려져 있던 앞쪽의 걸림턱부(11a)는 탄성을 회복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따라서 걸림링크(16)는 원래대로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a,11b) 내에 수용된 상태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locking link 16 is caught by the rear locking jaw portion 11b past the locking jaw portion 11a, the front locking jaw portion 11a that has been pressed at the same time recovers elasticity and restores its original state. Therefore, the locking link 16 can be caught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locking step (11a, 11b) of the switch 12 as originally.

이와 같이, 도어를 열고 닫는 도중에 걸림링크(16)가 의도치 않게 스위치(12)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종전과 같이 작업자가 스위치를 손으로 끌어서 가이드 홀에 거는 등의 번거로운 수고 없이도 간편하게 걸림링크(16)를 스위치(12)에 다시 걸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locking link 16 is unintentionally released from the switch 12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locking link 16 can be easily carried out without the troublesome labor such as when the operator pulls the switch to the guide hole by hand. ) Can be put on the switch 12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에서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in the furniture having the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 작동상태로서 도어 열림시의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A to 6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 door as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 도어(미도시) 또는 아웃 도어(미도시)를 여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한쪽으로 당기면 도어는 롤러 어셈블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리게 되는데, 이때 롤러 어셈블리에 있는 바(15)의 걸림링크(16)가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a),(11b)를 걸고 나오게 되므로, 스위치(12) 또한 도어와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6A to 6C,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not shown) or the door (not shown),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to one side, the door is opened while moving along the rail using a roller assembly (not shown). In this case, since the engaging link 16 of the bar 15 in the roller assembly hangs out the engaging jaws 11a and 11b of the switch 12, the switch 12 also moves forward with the door. .

계속해서, 도어와 함께 끌려 나오는 스위치(12)는 가이드 홀(19)의 곡선구간에 있는 걸림홈(20)에 그 가이드 돌기(21a)가 걸려지면서 젖혀져 자세가 경사지게 꺽이게 되고, 결국 스위치(12)는 록킹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자리에 있게 된다. Subsequently, the switch 12 drawn together with the door is rolled up while the guide protrusion 21a is caught by the catching groove 20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guide hole 19, and the posture is inclined to be inclined. 12) stays in place while locked.

이때부터는 걸림링크(16)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만 열려질 수 있게 된다. From this tim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link 16 is released so that only the door can be opened.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닫힘장치 작동상태로서 도어 닫힘시의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7A to 7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losing a door as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 도어 또는 아웃 도어를 닫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뒷쪽으로 밀면 롤러 어셈블리에 있는 바(15)의 걸림링크(16)가 젖혀져 있는 스위치(12)의 뒷쪽 걸림턱부(11b)를 쳐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위치(12)는 수평상태로 자세가 복원되면서 스프링(13)의 힘을 받아 뒷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계속해서 앞쪽 걸림턱부(11a)가 걸림링크(16)에 접촉되면서 도어측과 걸려진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7A to 7C, when closing the in door or the out door, when the user pushes the door backward, the back latch of the switch 12 in which the catch link 16 of the bar 15 in the roller assembly is flipped over is closed. The jaw portion 11b is struck,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 12 is pulled backward by the force of the spring 13 while the posture is restored to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front locking jaw portion 11a is continuously engaged with the locking link 16 ) Is in contact with the door side.

따라서, 도어는 스위치(12)의 도움을 받아 뒷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결국 사용자가 도어를 끝까지 닫지 않아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완전히 닫혀지게 되므로서, 도어를 닫을 때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door is pulled to the rear side with the help of the switch 12, so that the user can be completely closed by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even when the user does not close the door to the end, thereby obtaining convenience when closing the door.

이와 같이, 가구의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나 무의식적으로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게 되는 경우에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도어가 완전히 닫혀질 수 있게 되고, 특히 도어를 열고 닫는 도중에 도어측 걸림링크가 스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손쉽게 걸림링크를 재차 스위치측에 걸 수 있게 되므로, 도어 개폐조작과 관련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such, even when the door of the furniture is not inadvertently or inadvertently closed by the user, the door can be completely closed by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In particular, the door-side locking link is switch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Since the locking link can be easily hooked again to the switch side even if it is disengaged from the vehicle, convenience in connection wi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achieved, and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10 : 하우징 11a,11b : 걸림턱부
12 : 스위치 13 : 스프링
14 : 댐퍼 15 : 바
16 : 걸림링크 17a,17b : 라운드면
18 : 스톱퍼 19 : 가이드 홀
20 : 걸림홈 21a,21b : 가이드 돌기
22 : 핀 홈 23 : 스프링 홀
24 : 핀
10: housing 11a, 11b: locking jaw portion
12: switch 13: spring
14 damper 15 bar
16: engaging link 17a, 17b: round surface
18: stopper 19: guide hole
20: locking groove 21a, 21b: guide projection
22: pin groove 23: spring hole
24: pin

Claims (4)

가구의 레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시 도어와 연동되면서 앞뒤로 움직이고, 도어 열림시 젖혀져 있다가 도어 닫힘시 복원되면서 도어측과 걸림 및 해제 가능한 걸림턱부(11a),(11b)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힘위치까지 이동시켜주는 스위치(1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쪽은 하우징 벽면에, 다른 한쪽은 스위치(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위치 이동에 따른 팽창 후 복원력을 이용하여 스위치(12)를 당겨주는 스프링(13);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의 로드를 통해 스위치(12)의 일측과 결속되어, 도어 닫힘시 뒷쪽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전체의 속도를 늦춰주는 댐퍼(14);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12)에 있는 걸림턱부(11a)는 후단의 고정단(11a-1)을 통해 스위치 몸체에 일체 형성되면서 선단은 절곡형의 걸림단(11a-2)을 가지는 자유단(11a-3)으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아래로 내려가고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올라오는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A housing 10 installed on the rail side of the furniture;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and moves back and forth while interlocking with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etrac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restored when the door is closed, it uses the locking jaws 11a and 11b that can be locked and released from the door. Switch 12 to move the door to the closed position;
The spring 13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wall surfac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witch 12, the spring 13 for pulling the switch 12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after expansion according to the switch movement );
A damper (14)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switch (12) through a rod of the tip to slow down the speed of the entire switch including a door moving backward when the door is closed;
Including;
The locking jaw portion 11a of the switch 1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witch body through the fixed end 11a-1 of the rear end, and the free end 11a-3 having the locking end 11a-2 of the bent shape. ), The furniture is equipped with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acts to move dow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o come back up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2)에 있는 걸림턱부(11b)는 바(15)의 걸림링크(16)와 접촉되는 안쪽면이 라운드면(17a)으로 이루어져서, 걸림링크측과의 견고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The locking jaw portion 11b of the switch 12 has a rounded surface 17a having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link 16 of the bar 15, and thus a rigid locking state with the locking link side. Furniture can be maintained with a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arture is to be preven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2)의 걸림턱부(11a,11b)에 걸려지는 걸림링크(16)는 상단 폭이 하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폭 방향의 좌우 측면이 라운드면(17b)으로 이루어져서, 스위치측과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link (16) caught by the engaging jaw portions (11a, 11b) of the switch 12 has a relatively wider width at the top than the bottom width at the same tim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round ( 17b), the furniture having a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arture from the switch side can be preven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링크(16)는 선단부에서 폭 방향 한쪽 측면에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18)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18)에 의해 스위치(12)에 걸림링크(16)가 걸린 상태에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The stopper (16)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opper link (16) includes a stopper (18)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p, and the stopper (16) is connected to the switch (12) by the stopper (18). Furniture with a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upper part in the jammed state.
KR1020110045034A 2011-05-13 2011-05-13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180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34A KR101180141B1 (en) 2011-05-13 2011-05-13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34A KR101180141B1 (en) 2011-05-13 2011-05-13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141B1 true KR101180141B1 (en) 2012-09-05

Family

ID=4707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034A KR101180141B1 (en) 2011-05-13 2011-05-13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141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34B1 (en) * 2013-04-24 2013-10-21 김종천 Shock absorber for opening/shutting device
US20150204129A1 (en) * 2012-07-12 2015-07-23 Yoon Sig PARK Automatic closing apparatus
KR101559676B1 (en) 2014-07-30 2015-10-13 여길봉 Damping apparatus for slider
KR101642410B1 (en)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Multi-slide door with speed control with less slide force
KR200480966Y1 (en) * 2015-06-09 2016-07-28 임완길 Door Rolling Assembly
US20160333622A1 (en) * 2014-01-30 2016-11-17 Komandor S.A. Sliding door closing device
KR101775524B1 (en) 2016-10-14 2017-09-06 신정철 A Self-Closing Device for Door
KR101825080B1 (en) * 2016-02-23 2018-02-02 김용갑 Folding door by hook structure with fuction of speed control and auto-moving
KR101834972B1 (en) * 2016-04-18 2018-04-19 김용갑 Folding door by hook structure with fuction of speed control and auto-moving
KR20190000490U (en) * 2017-08-14 2019-02-22 안중식 A shock absorber of interlocking type door
US10294706B2 (en) * 2016-06-30 2019-05-21 Rollmech Automotive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door stopper
KR20210133593A (en) * 2020-04-29 2021-11-08 코르텍 주식회사 Bidirectional Door Closer
EP3988754A1 (en) * 2020-10-21 2022-04-27 Häfele SE & Co KG Pull-in device with anti-jump function and associated sliding assembly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4129A1 (en) * 2012-07-12 2015-07-23 Yoon Sig PARK Automatic closing apparatus
US9388619B2 (en) * 2012-07-12 2016-07-12 Segos Co., Ltd. Automatic closing apparatus
KR101319534B1 (en) * 2013-04-24 2013-10-21 김종천 Shock absorber for opening/shutting device
US20160333622A1 (en) * 2014-01-30 2016-11-17 Komandor S.A. Sliding door closing device
US9708844B2 (en) * 2014-01-30 2017-07-18 Komandor S.A. Sliding door closing device
KR101559676B1 (en) 2014-07-30 2015-10-13 여길봉 Damping apparatus for slider
KR200480966Y1 (en) * 2015-06-09 2016-07-28 임완길 Door Rolling Assembly
KR101642410B1 (en)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Multi-slide door with speed control with less slide force
KR101825080B1 (en) * 2016-02-23 2018-02-02 김용갑 Folding door by hook structure with fuction of speed control and auto-moving
KR101834972B1 (en) * 2016-04-18 2018-04-19 김용갑 Folding door by hook structure with fuction of speed control and auto-moving
US10294706B2 (en) * 2016-06-30 2019-05-21 Rollmech Automotive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door stopper
KR101775524B1 (en) 2016-10-14 2017-09-06 신정철 A Self-Closing Device for Door
KR200489027Y1 (en) * 2017-08-14 2019-04-18 안중식 A shock absorber of interlocking type door
KR20190000490U (en) * 2017-08-14 2019-02-22 안중식 A shock absorber of interlocking type door
KR20210133593A (en) * 2020-04-29 2021-11-08 코르텍 주식회사 Bidirectional Door Closer
KR102337180B1 (en) * 2020-04-29 2021-12-09 문시스(주) Bidirectional Door Closer
EP3988754A1 (en) * 2020-10-21 2022-04-27 Häfele SE & Co KG Pull-in device with anti-jump function and associated slid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141B1 (en)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US8256853B2 (en)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KR101030879B1 (en)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100937158B1 (en) Furniture with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143569B1 (en) Adjusting device for auto-closed
KR101055107B1 (en) Pocket sliding door
KR101810445B1 (en) Push open slide apparatus
JP5726556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KR200450976Y1 (en) Window for self-closing device
JP2012001916A (en) Folding door
KR100988495B1 (en) Sliding door with self-closing device for furniture
EP2371241B1 (en) Slide assembly with an opening device
JP2000034856A (en) Folding type opening-closing device
CN217743622U (en) Sliding device
KR101056874B1 (en) Automatic closing device with damper
TW201811231A (en) Self-opening elastic pressing device that comprises a pusher mechanism, an elastic pressing mechanism that is driven by the pusher mechanism, and an elastic mechanism
JP2006299691A (en) Handle device and fittings
JP5139110B2 (en) Folding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JP2512647Y2 (en) Storage box
KR20100089035A (en) Door pull with safety mechanism
JP5011260B2 (en) Orito
JP6607658B2 (en) Sliding door closer with push latch
KR200398982Y1 (en) Refrigerator slide with a self closing member
JP7320178B2 (en) Fittings
JP2002038806A (en) Door-closing appliance and pet cage provid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