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947B1 -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947B1
KR101179947B1 KR1020060025766A KR20060025766A KR101179947B1 KR 101179947 B1 KR101179947 B1 KR 101179947B1 KR 1020060025766 A KR1020060025766 A KR 1020060025766A KR 20060025766 A KR20060025766 A KR 20060025766A KR 101179947 B1 KR101179947 B1 KR 10117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con
displaying
submenu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6245A (en
Inventor
채재영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47B1/en
Publication of KR2007009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전체메뉴 보기 선택에 따라 복수개의 메뉴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전화 메뉴의 아이콘 선택 과정 및 아이콘의 선택 상태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메뉴사용 시 흥미를 유발하고 선택된 아이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하위메뉴 진입 시 메뉴의 단계가 깊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a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the method comprising: arrang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menu ico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a full menu view; If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displaying an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to protrude relative to an arrangement area of other menu icons; And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increases, displaying the depth of the submenu so as to be recognized. Accordingly, by dynamically displaying the icon selection process and the icon selec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menu, it is possible to induce interest when using the menu,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selected icon, and easily recognize the depth of the menu when entering the submenu. Make sure

Description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Cell phone and its menu display method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의 제어블록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전체메뉴 표시상태도,2 is an overall menu display stat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메뉴 선택 표시상태도,3 is a menu selection display stat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하위메뉴 표시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of submenu display of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하위메뉴 표시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of submenu display of th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SYMBOLS

1 : RF모듈 3 : 오디오처리부 1: RF module 3: Audio processing unit

5 : 제어부 6 : 상태표시화면 5: control unit 6: status display screen

7 : 디스플레이부 8 : 주화면 7: display unit 8: main screen

9 : 사용자입력부 12 : 메모리 9: user input unit 12: memory

14 : 플래시프로그램 16 : 메뉴설정정보14: Flash program 16: Menu setting information

20 : 아이콘 이미지 25 : 메뉴창 이미지20: Icon image 25: Menu window image

41, 51 : 1단계 하위메뉴창 42, 52 : 2단계 하위메뉴창41, 51: 1st level submenu window 42, 52: 2nd level submenu window

43, 53 : 3단계 하위메뉴창 44, 54 : 4단계 하위메뉴창43, 53: 3 level sub menu window 44, 54: 4 level sub menu window

본 발명은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ular phone and a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현재 휴대전화는 고유한 기능인 전화통화기능 이외에도, 폰북기능, 일정관리기능, 인터넷접속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휴대전화는 기능 선택을 위한 다수개의 메뉴를 트리형태로 관리하여, 사용자가 소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몇 단계의 메뉴를 거쳐야 한다.Currently, the mobile phone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hone book function,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nd an internet access function, in addition to a phone call function which is a unique function. Accordingly, the cellular phone manages a plurality of menus for selecting a function in a tree form, and a user must go through several levels of menus in order to select a predetermined function.

휴대전화에서 전체메뉴 보기를 선택하면 바탕화면이나 메뉴창에 최상위 메뉴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가 소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되고 메뉴의 설명이 상단에 텍스트로 표시된다. If you choose to view the full menu on your phone, the icon of the top menu is displayed on the desktop or menu window. 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icon, the selected icon is highligh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menu is displayed as text at the top.

한편, 아이콘을 선택하여 하위메뉴로 진입하면 해당 아이콘의 하위메뉴가 리스트형태로 표시되며, 하위메뉴 리스트 중 다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하위메뉴가 다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어 최종 기능메뉴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별 하위메뉴창에는 현재 단계에서 선택 가능한 메뉴리스트만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select an icon and enter the submenu, the submenu of the ic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list.If you select any one of the submenu list again, the corresponding submenu is displayed again in the form of a list and the final function menu. Can be reached. Here, only the menu list selectable in the current step is displayed in the sub-menu window of each step.

그런데, 종래의 휴대전화의 메뉴 표시방법은 아이콘 선택 시 선택된 아이콘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거나 색상을 변화시키는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표시하고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하위메뉴는 단순히 메뉴리스트만을 제공하고 있어 현재 표시된 메뉴의 깊이를 인식하기 어려우며, 몇 단계 이전의 메뉴로 돌아가고자 하는 경우 그 중간 단계의 메뉴를 모두 거쳐야만 하 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displaying a menu of a mobile phone, the selected icon is displayed by a simple method such as highlighting or changing a color when the icon is selected,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inducing user interest. In addition, since the submenu merely provides a menu lis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epth of the currently displayed menu, and it is inconvenient to go through all the intermediate menus in order to return to the menu a few steps ago.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휴대전화 메뉴의 아이콘 선택 과정 및 아이콘의 선택 상태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메뉴사용 시 흥미를 유발하고 선택된 아이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하위메뉴 진입 시 메뉴의 단계가 깊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dynamically displaying the icon selection process and the icon selec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menu to induce interest in using the menu and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selected icon, when entering the sub-menu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and a method of displaying the menu that can easily recognize the depth of the menu.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은, 사용자의 전체메뉴 보기 선택에 따라 복수개의 메뉴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and a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include arrang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menu icons on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a full menu view; If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displaying an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to protrude relative to an arrangement area of other menu icons; And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increases, displaying the depth of the submenu so as to be recognized.

여기서,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과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Here, when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displaying the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to protrude relative to the arrangement area of the other menu icon may include: arranging the menu icons having different arrangement areas of the selected menu icon. It may be a step of displaying so as to be raised forward while maintaining the area and continuity.

그리고,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먼저 선택되었던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의 융기상태가 점진적으로 편평화되도록 표시하는 동시에 다음에 선택된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이 점진적으로 융기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f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and another menu icon is selected, the raised state of the first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flattened and the next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rais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dicating.

그리고,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다른 메뉴 아이콘보다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menu icon than other menu icons.

한편,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시각적 심도가 변화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menu icon increases, displaying the visual depth of the submenu to be changed, and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increases, each submenu window is raised step by step.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o be visible.

또한, 상기 메뉴 아이콘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시각적 심도가 변화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함몰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selection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menu icon increases, displaying the visual depth of the submenu to be changed may include stepping down each submenu window as the selection of the submenu increases. It is possible to include marking to be visible.

또한, 상기 메뉴 아이콘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시각적 심도가 변화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각 선택단계별 하위메뉴창을 적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selection level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menu icon increases, displaying the visual depth of the submenu to change may include displaying a submenu window for each selection step as the selection level of the submenu increases.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step of stacking and displaying.

여기서,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각 선택단계별 하위메뉴의 표시창을 적층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선택단계별 하위메뉴창을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적층된 각 하위메뉴창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Here,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increases, the step of stack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 windows of the submenus for each selection step includes displaying the submenu windows of the respective selection steps in different colors to form one of each submenu window.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at the area is exposed.

그리고, 적층된 상기 하위메뉴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위메뉴창을 최상위에 표시하여 해당 하위메뉴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any one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s is selec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selected submenu window at the top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submenu window.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메뉴 아이콘 이미지와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 표시를 위한 메뉴창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뉴 아이콘 이미지 및 상기 메뉴창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전체메뉴 보기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뉴 아이콘을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a menu icon image and a menu window image for displaying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menu icon;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menu icon image and the menu window; A user input unit; The menu icons are arran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ntire menu view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when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an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i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menu icons. When the submenu window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epth of the submenu is recognizably displayed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increases.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mobile phone comprising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과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elected region of the menu icon to be raised forward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with the arrangement of other menu icon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먼저 선택되었던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의 융기상 태가 점진적으로 편평화되도록 표시하는 동시에 다음에 선택된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이 점진적으로 융기되는 것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other menu icon is selected while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raised state of the previously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to be gradually flattened and the next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control such that it is marked as being progressively rais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보다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elected menu ico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than other menu icon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ubmenu windows to be displayed step by step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increase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함몰되어 보이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ubmenu window to be depressed step by step as the selection of the submenu increases.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각 선택단계별 하위메뉴창이 적층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increase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the submenu windows for each selection step in a stacked manner.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선택단계별 하위메뉴창을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적층된 각 하위메뉴창의 일 영역이 노출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by displaying the sub-menu window for each selection step in a different colo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one region of each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 is expos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적층된 상기 하위메뉴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위메뉴창을 최상위에 표시하여 해당 하위메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f any one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s is selected,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selected submenu window at the top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submenu window on the display uni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phone and a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휴대전화는, 무선 송수신을 위한 RF모듈(1)과,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3)와, 사용자입력부(9) 및 디스플레이부(7)와, 메뉴설정정보(16)와 메뉴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뉴창 이미지(25) 및 아이콘 이미지(20)와 메뉴화면의 입출력 제어를 위한 플래시프로그램(14)이 저장되는 메모리(12)와, 이들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휴대전화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표시방법을 제어하여 전체메뉴 보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ellular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phone includes an RF module 1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audio processor 3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input and output through a microphone MIC and a speaker SPK, and a user input unit. (9) and display unit 7, menu setting information 16, menu window image 25 and icon image 20 used for providing the menu, and flash program 14 for input / output control of the menu screen. When the memory 12 is stored and controls each of these components to perform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and the menu icon displayed on the full menu view screen by controlling the menu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enu icon's arrangement area is displayed to protrude relative to other menu icon's arrangement area, and the selection level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increases, And a control unit 5 for displaying to be aware of the FIG.

디스플레이부(7)는 제어부(5)의 제어에 따라 휴대전화의 상태메시지와 프로그램 실행결과 및 사용자입력 등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메뉴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메뉴 아이콘 이미지(20)와 메뉴창 이미지(25) 등의 그래픽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7 displays a status message of the mobile phone, a program execution result, a user input,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 and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function, the menu icon image 20 and the menu window image ( 25) display graphics.

사용자입력부(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문자키, 숫자키 및 특수키 등이 할당된 키패드와, 메뉴키, 방향키, 및 사이드(상, 하) 키 등의 키입력 수단이나, 음성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인식부, 접촉센서, 거리센서, 지자기센서 등 사용자 입력을 위한 센서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입력부(9)를 상술한 디스플레이부(7) 상에 구비되는 터치 패널의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사용자 입력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9 includes various input device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or operating a function. For example, a keypad to which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nd a special key are assigned, key input means such as a menu key, a direction key, and a side (up, down) key,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inputting a voice command, a touch sensor, It is possible to apply sensor devices for user input, such as distance sensors and geomagnetic sensors.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user input unit 9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7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ave installation space and promote convenience of user input.

메모리(12)에는 휴대전화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메뉴 구성과 메뉴창 설정 등을 포함하는 메뉴설정정보(16)와, 아이콘 이미지(20) 및 메뉴창 이미지(25) 등의 이미지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메뉴화면을 동적 그래픽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플래시프로그램(14)을 메모리(12)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플래시는 매크로미디어가 개발한 저작 소프트웨어로써 단순한 상호작용이 수반되는 벡터 기반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플래시프로그램(14)은 영상 처리속도가 빠르고 그래픽 표현이 부드러우면서도 용량이 크지 않아 휴대전화 메뉴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설명에서는 플래시프로그램(14)을 이용하여 동적 그래픽 형식의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The memory 12 stores various data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and in particular, menu setting information 16 including menu configurations and menu window settings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d image information such as an icon image 20 and a menu window image 25 are stored. The flash program 14 can be mounted in the memory 12 as a program for providing a menu screen in a dynamic graphic format. Flash is authoring software developed by Macromedia that is used to create vector-based animated images with simple interactions. Such a flash program 14 can be usefully us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of a menu screen of a mobile phone because the image processing speed is fast, the graphic representation is soft and the capacity is not large. Thus, in the present description, a case of displaying a dynamic graphic format menu screen using the flash program 14 and processing a user input will be described.

제어부(5)는 사용자의 전체메뉴 보기 선택에 따라 메모리(12)에 저장된 메뉴설정정보(16)를 확인하여 표시해야 할 상위메뉴의 아이콘 이미지(20)를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소정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5)는 해당 아이콘의 위치를 검출하여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한다. 또한,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의 선택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이러한 메뉴표시과정은 메모리(12)에 저장된 플래시프로그램(14)을 실행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뉴화면의 표시상태가 변화는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5 displays the icon image 20 of the upper menu to be displayed by checking the menu setting information 16 stored in the memory 12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entire menu view on the display 7.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icon, the control unit 5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con and displays the arranged region of the selected menu icon to protrude relative to that of other menu icons. In addition, as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icon increases, the depth of the submenu is displayed to be recognized. This menu display process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a flash program 14 stored in the memory 12 so as to reproduce an image in which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creen changes according to a user input.

제어부(5)는 전체메뉴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상위메뉴와 상위메뉴의 아이콘 이미지(20), 하위메뉴창의 표시방법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메뉴화면 설정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5)는 사용자의 설정을 메모리(12)에 메뉴설정정보(16)로 저장하여 메뉴선택 시 사용자 설정을 반영한다.The control unit 5 may provide a menu screen setting menu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upper menu, the icon image 20 of the upper menu, the display method of the lower menu window, etc. to be displayed on the entire menu screen. ) Stores the user's settings as the menu setting information 16 in the memory 12 to reflect the user's settings when the menu is sel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전체메뉴 표시상태도로서,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되는 전체메뉴 표시화면은 상태표시화면(6)과 주화면(8)으로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whole menu display stat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menu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 may include a status display screen 6 and a main screen 8.

상태표시화면(6)에는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안테나 아이콘 및 전원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여기에, 현재 벨소리모드가 진동모드 여부인지를 표시하는 벨소리모드 아이콘, 수신메시지의 유무를 표시하는 메시지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status display screen 6, an antenna icon indicating a reception state and a battery icon indicating a power state are displayed. Here, a ringing mode icon indicating whether the current ringing mode is a vibration mode or a message icon indicating whether a received message is present may be displayed.

제어부(5)는 사용자입력부(9)를 통한 전체메뉴 보기 선택에 따라, 메모리(12)에 저장된 메뉴설정정보(16)를 확인하여 표시대상 상위메뉴 및 그에 대응되는 아이콘 이미지(20)를 설정한다. 제어부(5)는 플래시프로그램(14)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7)에 상위메뉴의 아이콘 이미지(20)를 표시한다.  The controller 5 checks the menu setting information 16 stored in the memory 12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ntire menu view through the user input unit 9 and sets the upper menu to be displayed and the icon image 20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ntroller 5 executes the flash program 14 to display the icon image 20 of the upper menu on the display 7.

이에, 디스플레이부(7)의 주화면(8)에는 메시지, 검색, 폰북, 메모, 즐겨찾기, 카메라, 일정, 동영상앨범, 음악감상, tv보기 등의 아이콘 이미지(20)가 3*4열로 정렬된다. 여기서, 최상위메뉴의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메뉴 순으로 메뉴 배열이 재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main screen 8 of the display unit 7 arranges 3 * 4 columns of icon images 20 such as messages, search, phonebook, memo, favorites, camera, calendar, video album, music appreciation, and TV view. do.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menu may be added or delet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menu arrangement may be reconfigured in order of frequently used menus.

이러한 전체메뉴 표시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9)의 방향키, 사이드키, 키패드 등을 조작하여 메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입력부(9)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팬,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In the entire menu display state, the user can select a menu icon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a side key, a keypad, etc. of the user input unit 9. When the user input unit 9 i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select using a touch fan or a finger. Can b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메뉴 선택 표시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는 커서가 표시되고, 그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된다. 즉,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은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과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표시되어 아이콘 선택 상태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3 is a menu selection display state diagram of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icon, a cursor is displayed on the selected menu icon, and the arrangement area is displayed to protrude relative to the arrangement area of other menu icons. That is, the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is displayed to be raised forward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with the arrangement area of the menu icon,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of the icon selection state.

그리고, 현재 선택된 메뉴 아이콘 이외에 다른 메뉴 아이콘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현재 융기되어 있는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의 융기 상태가 서서히 평편화 됨과 동시에 다음 선택된 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서서히 융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표시된다. 이에, 각 메뉴 아이콘 간 커서의 이동이 연속성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킴과 함께 커서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If the cursor is moved to a menu icon other tha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con, the raised state of the currently rais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flattened and the arranged area of the next selected menu icon is gradually raised to protrude forward. do.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cursor between each menu icon ensures continuity, induces user interest, and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cursor.

여기서,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다른 메뉴 아이콘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대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메뉴 아이콘 간 이동 시에는 효과음이 송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elected menu icon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relative to other menu icons to further improve visibility of the selected menu icon, and may be implemented so that an effect sound is transmitted when the menu icons are moved between the menu icon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메뉴 표시방법은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융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한편 다른 메뉴 아이콘 선택시에는 현재 융기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의 융기 상태가 서서히 평편 화 됨과 동시에 다음 선택된 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서서히 융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표시한다. 이와 같이 각 메뉴 아이콘 간 선택 과정 및 아이콘의 선택 상태를 동적으로 표시하는 데에는 플래시프로그램(14)과 같이 벡터 기반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displaying a menu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is displayed to be raised and protrudes forward while the elevation of the arrangement area of the currently raised menu icon is displayed when another menu icon is selected. As it is gradually flattened, the arrangement area of the next selected menu icon is gradually raised to protrude forward. As such, it is most preferable to apply a program for generating a vector-based animation image, such as the flash program 14, to dynamically display the selection process and the icon selection state between menu icon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하위메뉴 표시상태도로서,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 표시되고 있는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와 연동하여 하위메뉴창을 융기 혹은 함몰시키거나 하위메뉴창을 적층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4 and 5 are sub-menu display state diagrams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pth of the currently displayed sub-menu is recognizable as the selection level of the sub-menu increases. In order to display the depth of the submenu so as to be recogniza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aising or recessing the submenu window or stacking the submenu window in conjunction with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도 4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에 따라 하위메뉴창을 함몰시켜 표시하는 경우 하위메뉴 표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submenu display state when a submenu window is recess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selection step of a submenu.

메시지 발신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전체메뉴 화면에서 메시지 아이콘을 선택하면 1단계 하위메뉴창(41)으로서 메시지관리창이 표시되고, 여기서 발신메시지를 선택하면 2단계 하위메뉴창(42)으로서 발신메시지창이 표시되며, 여기서 단문메시지작성을 선택하면 3단계 하위메뉴창(43)으로서 단문메시지작성창이 표시되고, 여기서 새 문장 쓰기를 선택하면 4단계 하위메뉴창(44)으로서 메시지작성창이 표시된다.If the message sending function is selected, the message management window is displayed as the first level sub-menu window 41 when the message icon is selected in the entire menu screen, and the message message window is displayed as the second level sub-menu window 42 when the outgoing message is selected. If a short message is selected, a short message creation window is displayed as a three-level submenu window 43, and if a new sentence is selected, a message creation window is displayed as a four-level submenu window 44.

여기서, 각 하위메뉴창(41, 42, 43, 44)은 선택단계에 따라 한 단계씩 화면의 후방으로 함몰되어, 최종적으로 표시된 4단계 하위메뉴창(44)인 메시지작성창은 주화면(8)의 후방으로 4단계만큼 함몰된 것으로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현재 메 시지작성창의 함몰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메뉴의 심도를 인식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sub-menu windows 41, 42, 43, 44 is recessed to the rear of the screen by one step according to the selection step, and the message creation window, which is the finally displayed four-step sub-menu window 44, is the main screen (8). It is indicated as being recessed by 4 steps to the rear. Thus,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current message creation window to recognize the depth of the menu.

한편, 이와 같이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에 따라 하위메뉴창을 함몰시켜 표시하는 경우 각 단계별 함몰 정도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4단계 하위메뉴창(44)이 표시된 상태에서 2단계 하위메뉴창(42)을 바로 선택하여 발신메시지창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전 메뉴로 돌아오는 경우 중간 단계의 메뉴를 우회하여 원하는 단계의 메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menu window is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egree of depression for each step, so the second-level sub-menu window 42 is displayed while the fourth-level sub-menu window 44 is displayed. You can select it so that the outgoing message window is displayed. That is, when returning to the previous menu, it is possible to bypass the menu of the intermediate step and go directly to the menu of the desired step.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에 따라 하위메뉴창을 함몰시켜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에 따라 하위메뉴창이 융기되어 돌출되도록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submenu window is recess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On the contrary, the submenu window is raised and protru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도 5는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에 따라 하위메뉴창이 적층되어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sub-menu windows are stack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selection step of a sub-menu.

메시지 발신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전체메뉴 화면에서 메시지 아이콘을 선택하면 1단계 하위메뉴창(51)인 메시지관리창이 표시되고, 여기서 발신메시지를 선택하면 1단계 하위메뉴창(51) 위에 2단계 하위메뉴창(52)인 발신메시지창이 적층되어 표시되며, 여기서 단문메시지작성을 선택하면 2단계 하위메뉴창(52) 위에 3단계 하위메뉴창(53)으로서 단문메시지작성창이 적층되어 표시되고, 여기서 새 문장 쓰기를 선택하면 3단계 하위메뉴창(53) 위에 4단계 하위메뉴창(54)인 메시지작성창이 표시된다.If the message sending function is selected, selecting the message icon on the full menu screen, the message management window, which is the first level submenu window 51, is displayed, and when the outgoing message is selected, the second level submenu is placed on the first level submenu window 51. The outgoing message window, which is the menu window 52, is stacked and displayed, and when the short message creation is selected, the short message composition window is stacked as the third level sub-menu window 53 on the second-level sub-menu window 52, where a new message is displayed. When the sentence is selected, the message creation window, which is the fourth level submenu window 54, is displayed on the third level submenu window 53.

이에 따라, 각 하위메뉴창(51, 52, 53, 54)이 선택단계에 따라 이 전 하위메뉴창 위에 적층되어, 최종적으로 표시된 4단계 하위메뉴창(54)인 메시지작성창은 주화면(8)의 전방으로 4단계만큼 돌출된 것으로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현재 메시지작성창의 적층상태와 돌출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메뉴의 심도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each of the submenu windows 51, 52, 53, and 54 are stacked on the previous submenu window according to the selection step, and the message composition window, which is the finally displayed four-step submenu window 54,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8). ) Is projected by four steps forward. Thus,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acking state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current message composition window to recognize the depth of the menu.

이와 같이 하위메뉴의 선택단계에 따라 하위메뉴창을 적층 표시하는 경우 각 단계별 하위메뉴창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4단계 하위메뉴창(54)이 표시된 상태에서 2단계 하위메뉴창(52)을 바로 선택하여 발신메시지창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ub-menu windows are stack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tep of the sub-menu, the position of each sub-menu window can be recognized. Therefore, the second-level sub-menu window 52 is directly displayed while the 4-step sub-menu window 54 is displayed. You can select to display the outgoing message window.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따르면, 메뉴 아이콘 간 선택 과정 및 아이콘의 선택 상태를 동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이콘 선택 과정 및 아이콘의 선택 상태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메뉴사용 시 흥미를 유발하고 선택된 아이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nu display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selection process between menu icons and the icon selection state are dynamically displayed. Accordingly, by dynamically displaying the icon selection process and the icon selection state, it is possible to induce interest in using the menu an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selected icon.

또한, 본 발명은 하위메뉴의 선택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하위메뉴의 심도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위메뉴 진입 시 메뉴의 단계가 깊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submenu is visually recognized as the selection level of the submenu increases. Accordingly, when entering the lower menu,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depth of the menu.

Claims (18)

사용자의 전체메뉴보기 선택에 따라 복수개의 메뉴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와;Arrang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menu icons on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a full menu view;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와;If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displaying an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to protrude relative to an arrangement area of other menu icons;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로 진입시 메뉴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융기, 함몰 또는 적층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메뉴표시방법.At least one of the step of displaying each sub-menu window to be raised, recessed or stacked step by step so as to recognize the depth of the sub-menu as the menu step increases when entering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of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If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displaying the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to protrude relative to the arrangement area of other menu icons.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과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메뉴표시방법.And displaying the arranged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so as to be protruded forward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with the arranged area of other menu ico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먼저 선택되었던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의 융기상태가 점진적으로 편평화되도록 표시하는 동시에 다음에 선택된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이 점진적으로 융기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메뉴표시방법.If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and another menu icon is selected, the raised state of the first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flattened and the next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raised. The menu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다른 메뉴 아이콘보다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메뉴표시방법.And displaying the selected menu icon in an enlarged manner than other menu ic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적층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단계는,The displaying of the respective sub-menu windows stacked in stages may include: 상기 각 하위메뉴창을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며 적층된 상기 각 하위메뉴창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메뉴표시방법.And displaying each submenu window in a different color and displaying one area of each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s to be expos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적층된 상기 하위메뉴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위메뉴창을 최상위에 표시하여 해당 하위메뉴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메뉴표시방법.If any one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s is selected, displaying the selected submenu window at the top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submenu window. 메뉴 아이콘 이미지와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 표시를 위한 메뉴창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menu icon image and a menu window image for displaying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menu icon; 상기 메뉴 아이콘 이미지 및 상기 메뉴창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menu icon image and the menu window; 사용자입력부와;A user input unit;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전체메뉴보기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뉴 아이콘을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하위메뉴로 진입시 메뉴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위메뉴의 심도를 인식 가능하도록 각 하위메뉴창이 단계적으로 융기, 함몰 또는 적층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The menu icons are arran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ntire menu view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when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an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i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menu icons. The sub menu windows are displayed in at least one of stepped up, recessed, or stacked in order to recognize the depth of the sub menu as the menu level increases when entering a sub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A mobile phon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배열영역과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융기되어 보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And the arrangement area of the selected menu icon is displayed to be raised forward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with the arrangement area of another menu ic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먼저 선택되었던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의 융기상태가 점진적으로 편평화되도록 표시하는 동시에 다음에 선택된 메뉴 아이콘 배열영역이 점진적으로 융기되는 것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When one of the menu icons is selected and another menu icon is selected, the raised state of the previously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flattened and the next selected menu icon arrangement area is gradually raised.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as possibl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보다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And controlling the selected menu ico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than other menu ic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각 하위메뉴창을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며 적층된 상기 각 하위메뉴창의 일 영역이 노출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And displaying each submenu window in a different color and controlling one region of each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s to be displayed.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적층된 상기 하위메뉴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위메뉴창을 최상위에 표시하여 해당 하위메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And when one of the stacked sub-menu windows is selected, displaying the selected sub-menu window at the top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sub-menu window on the display unit.
KR1020060025766A 2006-03-21 2006-03-21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KR101179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766A KR101179947B1 (en) 2006-03-21 2006-03-21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766A KR101179947B1 (en) 2006-03-21 2006-03-21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45A KR20070096245A (en) 2007-10-02
KR101179947B1 true KR101179947B1 (en) 2012-09-07

Family

ID=3880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766A KR101179947B1 (en) 2006-03-21 2006-03-21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252A (en) * 2001-09-27 2003-04-08 이영희 Silkworm liqu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11B1 (en) * 2008-04-28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522A (en) 2002-06-14 2004-01-22 Sony Corp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522A (en) 2002-06-14 2004-01-22 Sony Corp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252A (en) * 2001-09-27 2003-04-08 이영희 Silkworm liqu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45A (en)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2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nu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JP4360496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US7587683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KR1007900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955505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0703331B1 (en) Method of character inputting given a visual effect to character inputting and the mobile terminal terefor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KR20110117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2007012056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y of the menu and submenu structure
US20090303185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n improved operating mode
US20180232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KR101161763B1 (en) Method for displaying enhanced menu and the digital process device thereof
KR20130058947A (en) Supplementary window display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070107892A (en) Method for contents of folder manag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5083049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eview display method, and program having display function
KR101179947B1 (en) Cellular phone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 same
JP4606158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KR1007050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ind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33801B1 (en)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075463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98168B1 (en) Cellular phone with menu displaying function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34688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input devic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JP4632780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KR20060108781A (en) Method for providing jump key service in moblie terminal
JP2005266589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it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