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903B1 -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903B1
KR101179903B1 KR1020110039490A KR20110039490A KR101179903B1 KR 101179903 B1 KR101179903 B1 KR 101179903B1 KR 1020110039490 A KR1020110039490 A KR 1020110039490A KR 20110039490 A KR20110039490 A KR 20110039490A KR 101179903 B1 KR101179903 B1 KR 10117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d
sensor
cap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봉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나노엘이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엘이디(주) filed Critical 나노엘이디(주)
Priority to KR102011003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5Device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adjacent lighting devices; End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장치로써, 외부 동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다수개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하부에 LED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기판을 덮는 투광커버와;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어 외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LED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을 하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접하여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상기 캡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장치 { LED LIGHTING DEVICE }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장치로써, 외부 동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 조명장치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로서, 기존 조명장치인 형광등, 백열등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소요전력이 낮은 이점이 있어 실내조명등은 물론 가로등 등으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내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며, GaAs, GaN 광반도체로 이루어진 PN 접합 다이오드(junction diode)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LED는 백열전구의 10%, 형광등의 50% 정도 전기면 똑같은 밝기의 빛을 낸다.
또한, 백열등의 경우 사용 시간이 1000~4000시간밖에 되지 않는 데 비해 LED는 5만~10만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조명장치는 백열등 또는 형광등이 사용되는 기존 조명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열이 많이 발생되어 장시간 사용시 과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과열을 방지하면서 LED에서 발광하는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의 발광시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외부로 방출하여 과열을 방지하면서 LED 빛을 일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다수개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하부에 LED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기판을 덮는 투광커버와;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어 외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LED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을 하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접하여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상기 캡부재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은 마그네슘(Mg)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사판의 표면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코팅막이 도포되어 있다.
삭제
상기 캡부재는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캡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이 삽입되는 수평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투광커버의 외측을 감싼다.
다수개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하부에 LED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기판을 덮는 투광커버와;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전원부를 덮는 전원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LED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을 하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상방향으로 절곡된 하부경사부와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단에서 내측 상방향으로 절곡된 상부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과 하부경사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커버의 하부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전원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아,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상부경사부의 외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단을 지나면 상기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센서에 외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의 펄스(pulse)신호에 따라 상기 LED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센서에 외부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센서 및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단계적으로 떨어뜨리는 2개 이상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반사판을 통해 LED의 발광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내부과열을 방지하면서 LED에서 발광되는 빛을 하부로 집중시켜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캡부재의 내측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센서의 외측에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센서를 캡부재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캡부재는 수평홈에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부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투광커버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캡부재를 프레임과 투광커버에 쉽게 결합시켜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측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전원커버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시 고정돌기가 상부경사부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반사판과 하부경사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전원커버를 프레임의 상부에 쉽게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센서의 신호에 따라 LED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에서 센서 및 제어부로 인가되는 전원은 2개 이상의 레귤레이터를 통해 단계적으로 전압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전압강하에 따른 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LED기판(200), 투광커버(300), 캡부재(400), 센서(500), 제어부(600), 전원부(700), 레귤레이터 및 전원커버(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방열핀(110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방열핀(110a)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다수개의 상기 방열핀(110a)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LED(201)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상기 프레임(100)의 표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00)은 마그네슘(Mg)으로 이루어진다.
마그네슘은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방열효과가 높을 분만 아니라 가볍고 가공이 쉽다.
경우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등 다른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LED(201)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201)에서 발광된 빛을 하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110b)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반사판(110b)은 상기 방열핀(110a)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LED(201)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201)에서 발광하는 빛을 반사하여 하부로 조사한다.
이러한 상기 반사판(110b)은 빛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코팅막을 도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코팅막은 백색 도료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판(110b)의 빛 반사효율을 높인다.
상기와 같은 코팅막은 상기 프레임(100) 전체에 도포할 수도 있고 상기 반사판(110b)에만 도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판(110b)을 통해 상기 LED(201)의 발광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내부과열을 방지하면서 상기 LED(201)에서 발광되는 빛을 하부로 집중되게 반사시켜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상기 LED기판(200)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돌기(1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20)의 하단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LED기판(200)은 상기 결합돌기(12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장착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30)은 상기 반사판(110b)과 결합돌기(120)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30)에는 상기 투광커버(300)의 상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투광커버(300)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10b)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하부경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경사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경사부(140)와 반사판(110b) 사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고정홈(141)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경사부(140)의 상단에는 상부경사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경사부(150)는 상기 하부경사부(140)의 상단에서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경사부(140) 및 상부경사부(150)는 방열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상기 LED기판(200)은 하부에 LED(201)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기판(200)은 사각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LED(201)는 상기 LED기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LED기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20)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투광커버(300)는 상기 LED기판(200)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상기 LED기판(200)을 덮는다.
이러한 상기 투광커버(30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LED(201)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한다.
그리고 상기 투광커버(3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개방된 곡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투광커버(300)의 상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투광커버(300)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캡부재(400)는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100)과 투광커버(300)의 양단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부재(400)는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100)과 투광커버(300)의 양단을 폐쇄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400)의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단이 삽입되는 수평홈(401)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홈(401)에 상기 프레임(100)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캡부재(400)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투광커버(300)의 외측을 감싸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400)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기 하부경사부(140) 및 상부경사부(15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홈(401)에 상기 프레임(100)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캡부재(400)의 상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투광커버(300)의 외측을 감싸게 됨으로써, 상기 캡부재(400)를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100)과 투광커버(300)의 양단에 쉽게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100)과 투광커버(300)의 양단을 폐쇄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400)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500)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40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401)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40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센서(500)의 하부가 상기 결합공(401)에 삽입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400)의 내측에는 걸림턱(41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4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500)를 상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410)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지지부(4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걸림턱(410)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10)과 함께 상기 센서(500)를 상기 캡부재(4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센서(5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500)가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캡부재(400)에 결합되어 외부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캡부재(400)가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100)과 투광커버(300)의 양단에 결하되기 전에 상기 캡부재(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10) 및 지지부(420)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50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걸림턱(410)과 접하는 걸림돌기(5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410)과 지지부(4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420)에 의해 측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재(400)의 내측에 상기 걸림턱(4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500)의 외측에 상기 걸림턱(410)에 걸리는 걸림돌기(51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센서(500)를 상기 캡부재(40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500)는 하부가 상기 결합공(401)에 삽입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센서(500)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dial)센서(500)로 이루어지고 적외선을 주사하여 반사된 적외선의 양을 검출한다.
이러한 PIR센서(500)는 인체감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물체의 동작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캡부재(400)에 결합된 후, 상기 캡부재(400)를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100)과 투광커버(300)의 양측에 결합시키면 상기 LED기판(20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700)가 상기 LED기판(20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LED기판(200)에 연결된 상기 센서(5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센서(500)가 작동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센서(500)의 신호를 받아 상기 LED(201)의 밝기를 조절한다.
상기 LED(201)의 밝기를 조절하는 구체적이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부(7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LED기판(20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전원부(70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LED기판(200), 센서(500) 및 제어부(600)로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7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38V 직류전류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7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기판(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LED(201)를 발광시킨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원부(700)에서 상기 센서(500) 및 제어부(600)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단계적으로 떨어뜨린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귤레이터(810)와 제2레귤레이터(8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810)는 상기 전원부(700)의 전류의 전압을 12V로 떨어뜨린다.
그리고 상기 제2레귤레이터(820)는 상기 제1레귤레이터(810)에 의해 12V로 떨어진 전원의 전압을 5V로 한번 더 떨어뜨려 상기 제어부(600) 및 센서(50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레귤레이터로 상기 제어부(600) 및 센서(500)로 공급되는 상기 전원부(700)의 전압을 5V로 한번에 떨어뜨릴 수도 있지만 떨어지는 전압차가 커지면 열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500) 및 제어부(600)로 공급되는 전압을 단계적으로 떨어뜨려 전압강하에 따른 열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경우에 따라 전압강하를 위해 사용되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수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원커버(9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전원부(700)를 덮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커버(900)의 하부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돌기(910)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전원커버(90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910) 사이의 거리(d)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하부경사부(140)의 상단 사이의 거리(D)보다 짧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910)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경사부(150)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커버(900)를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시킬 때, 상기 고정돌기(910)는 상기 상부경사부(150)의 외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경사부(140)의 상단을 지나면 상기 고정홈(1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엘이디 조명장치는 상기 센서(500)와 제어부(600)로 상기 LED(201)의 밝기를 조절하지 않고 일정한 밝기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는 주로 지하 주차장 등 빛이 차단된 어두운 장소에 장착되어 항상 상기 LED(201)가 발광하도록 한다.
그러나 지하 주차장 등의 공간은 사람들이 항상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LED(201)의 밝기를 필요시에만 밝게 발광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500)에 외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전원부(700)에 펄스(pulse)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전원부(7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기판(200)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LED(201)의 밝기를 감소시킨다.
즉, 상기 LED기판(200)에 전원이 간헐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LED(201)는 사람이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점멸하여 빛의 밝기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500)에 외부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500)는 상기 제어부(600)에 감지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전원부(7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기판(200)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LED(201)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상기 LED(201)는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빛의 밝기가 최대가 된다.
상기 센서(500)가 외부 움직임을 감지한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600)는 다시 상기 전원부(700)에 펄스 신호를 보내, 상기 전원부(700)는 상기 LED기판(200)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LED(201)의 밝기를 초기와 같이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센서(5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201)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전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엘이디 조명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프레임, 110a : 방열핀, 110b : 반사판, 120 : 결합돌기, 130 : 장착홈, 140 : 하부경사부, 141 : 고정홈, 150 : 상부경사부, 200 : LED기판, 201 : LED, 300 : 투광커버, 400 : 캡부재, 401 : 수평홈, 402 : 결합공, 410 : 걸림턱, 420 : 지지부, 500 : 센서, 510 : 걸림돌기, 600 : 제어부, 700 : 전원부, 810 : 제1레귤레이터, 820 : 제2레귤레이터, 900 : 전원커버, 910 : 고정돌기,

Claims (7)

  1. 다수개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하부에 LED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기판을 덮는 투광커버와;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어 외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LED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을 하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접하여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상기 캡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마그네슘(Mg)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사판의 표면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코팅막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캡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이 삽입되는 수평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투광커버의 외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5. 다수개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하부에 LED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기판을 덮는 투광커버와;
    상호 결합된 상기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LED기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전원부를 덮는 전원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LED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을 하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외측 상방향으로 절곡된 하부경사부와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단에서 내측 상방향으로 절곡된 상부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과 하부경사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커버의 하부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전원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아,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상부경사부의 외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단을 지나면 상기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외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의 펄스(pulse)신호에 따라 상기 LED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센서에 외부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센서 및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단계적으로 떨어뜨리는 2개 이상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110039490A 2011-04-27 2011-04-27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7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90A KR101179903B1 (ko) 2011-04-27 2011-04-27 엘이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90A KR101179903B1 (ko) 2011-04-27 2011-04-27 엘이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903B1 true KR101179903B1 (ko) 2012-09-06

Family

ID=4707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90A KR101179903B1 (ko) 2011-04-27 2011-04-27 엘이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99B1 (ko) 2012-12-17 2013-05-22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266660B1 (ko) 2012-12-17 2013-05-28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329508B1 (ko) * 2012-12-17 2013-11-13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776026B1 (ko) *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US10215372B2 (en) 2016-03-07 2019-02-26 Sehong Co., Ltd. Catenary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58949B1 (ko) * 2018-08-24 2019-12-24 신경자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대용 엘이디 조명등
CN110986010A (zh) * 2019-10-12 2020-04-10 上海智汇电器有限公司 一种安全灯具及用于灯具安全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51B1 (ko) 2009-02-10 2009-11-23 주식회사 포지티브 막대형 led 조명기구
KR101013208B1 (ko) * 2010-10-13 2011-02-22 (주)룩스인 Led 갓등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51B1 (ko) 2009-02-10 2009-11-23 주식회사 포지티브 막대형 led 조명기구
KR101013208B1 (ko) * 2010-10-13 2011-02-22 (주)룩스인 Led 갓등 조명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99B1 (ko) 2012-12-17 2013-05-22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266660B1 (ko) 2012-12-17 2013-05-28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329508B1 (ko) * 2012-12-17 2013-11-13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US10215372B2 (en) 2016-03-07 2019-02-26 Sehong Co., Ltd. Catenary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76026B1 (ko) *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102058949B1 (ko) * 2018-08-24 2019-12-24 신경자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대용 엘이디 조명등
CN110986010A (zh) * 2019-10-12 2020-04-10 上海智汇电器有限公司 一种安全灯具及用于灯具安全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903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8545047B2 (en) LED obstruction light
KR100932192B1 (ko) 개선된 방열기능을 갖는 led 조명기구
US20130250580A1 (en) Induction lamp light fixture
KR20120032472A (ko) 수동 냉각을 구비한 가스-방전 램프 교체
KR200479421Y1 (ko) 열 방출이 용이한 구형 조명등
KR100541611B1 (ko) 태양광 led가로등
KR20120130472A (ko) 조명 장치
WO2016029703A1 (en) High-power retrofit led lamp with active and intelligent cooling system for replacement of metal halid lamp and high-pressure sodiam lamp
KR20044753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투광기
US9249966B1 (en) High efficiency SSL thermal designs for traditional lighting housings
RU2638821C2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лампа для уличного освещения
JP5946008B2 (ja) 照明器具
KR101135720B1 (ko) 탈부착이 용이한 led 조명기구
JP5294044B2 (ja) 照明器具
KR200447540Y1 (ko) 공원용 보안등
KR101216957B1 (ko) 등기구
KR20080086182A (ko) 엘이디 등기구
KR101372252B1 (ko) 방열성·절전율이 우수한 다기능 led 등기구
KR101219317B1 (ko) 방열 기능이 보강된 led 등기구
KR101861231B1 (ko) 엘이디 조명기구 및 엘이디 구동회로
JP5888624B2 (ja) 照明器具
KR20110102746A (ko) 고출력 엘이디용 방열판
JP6191894B2 (ja) 照明器具
KR200446554Y1 (ko) 소켓용 엘이디 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