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905B1 -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 Google Patents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905B1
KR101178905B1 KR1020110115036A KR20110115036A KR101178905B1 KR 101178905 B1 KR101178905 B1 KR 101178905B1 KR 1020110115036 A KR1020110115036 A KR 1020110115036A KR 20110115036 A KR20110115036 A KR 20110115036A KR 101178905 B1 KR101178905 B1 KR 10117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support
slab
wall
wal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이.이엔.씨(주) filed Critical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1011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9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PURPOSE: An inner wall post member for a water tank having upper and lower tubs and a water tank having upper and lower tub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construction performance of a middle partition. CONSTITUTION: A water tank(1) having upper and lower tubs using an inner wall post member comprises inner wall post members(7), outer wall post members(9), middle slabs(10), and upper slabs(12). The inner and outer wall post members are made of precast concrete. The middle and upper slabs are made of precast concrete. The middle slabs are arrang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 post members to form a middle partition of the water tank. The upper slabs are arranged on the tops of the inner and outer wall post members to form a top plate(11) of the water tank.

Description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 내벽 지주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An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and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using it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본 발명은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 지주부재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내벽지주부재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상,하 2조형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wall support member for constituting an upper and a lower two tank type reservoir, and also relates to an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reservoir configured using the inner wall support member.

예를 들면, 지하에 매설되어 대량의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상면을 공원이나 주차장 등의 인공시설로서 이용가능하게 이루어진, 중간칸막이부에 의해 상하로 양분된 상,하 2조형 저수조의 일 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tore a large amount of rainwater buried in the basement, and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divided up and down by the middle partition part which can be used as an artificial facility such as a park or a parking lot. As an example of what is disclosed, for example, wha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proposed.

이 상,하 2조형 저수조(a)는 도 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하는 재치부(載置部)(b)를 일체로 가짐과 아울러 상기 재치부(b)의 하방의 소정위치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중간재치부(c)를 일체로 갖는 기둥형상체(d)를 상기 재치부(b) 및 상기 중간재치부(c)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지반 위에 복수개 배설한 복수의 기둥형상체열(e)과, 측방으로 돌출하는 외측프레임 재치부(f)를 일체로 가짐과 아울러 상기 외측프레임 재치부(f)의 하방의 소정위치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외측프레임 중간재치부(g)를 일체로 가지며, 상기 기둥형상체열(e)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측프레임부(h)를 구비하고 있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기둥형상체열(e,e)의 상기 기둥형상체(d)의 재치부(b,b) 사이 및 상기 기둥형상체열(e)의 상기 기둥형상체의 재치부(b)와 상기 외측프레임부(h)의 상기 외측프레임 재치부(f)와의 사이에 각각 가설되는 상판부(j)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기둥형상체열(e,e)의 상기 기둥형상체(d)의 상기 중간재치부(c,c) 사이 및 상기 기둥형상체열(e)의 상기 기둥형상체의 중간재치부(c)와 상기 외측프레임부(h)의 상기 외측프레임 중간재치부(g)와의 사이에 각각 가설된 분할상판부(k)를 구비하는 것이었다.As shown in Fig. 80, the upper and lower two-type water tanks (a) have a mounting part (b) protruding laterally, 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mounting part (b).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d) having an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 (c) protruding laterally on the ground in paralle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b) and th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 (c) Outer frame intermediate mounting part (g) which has the columnar body (e) and the outer frame mounting part (f) which protrudes to the side integrally, and protrudes laterally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said outer frame mounting part (f). It had integrally, and the outer frame part h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umnar column e was provided. Moreover, between the mounting parts (b, b) of the said columnar body (d) of the said columnar body rows (e, 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mounting part (b) of the said columnar body of the said columnar body rows (e) And the upper plate portion j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outer frame placing portion f of the outer frame portion h and the columnar bodies d of the columnar columns e and 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hypothesized between the intermediate placing portions (c, c)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placing portion (c) of the columnar bodies of the columnar columns (e) and the outer frame intermediate placing portion (g) of the outer frame portion (h), respectively. It was provided with the divided upper plate part k.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상,하 2조형 저수조(a)는 상기 기둥형상체열(e)을 구성하는 기둥형상체(d)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둥형상체열(e)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측프레임부(h)도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기둥형상체열(e,e)의 상기 기둥형상체(d,d)의 중간재치부(c,c)부 사이, 및 상기 기둥형상체열(e)의 상기 기둥형상체(d)의 중간재치부(c)와 상기 외측프레임부(h)의 외측프레임 중간재치부(g)와의 사이에 상기 분할상판부(k)가 가설됨으로써 중간칸막이부(m)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two-tank water tanks (a)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lumnar bodies (d) constituting the columnar columns (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umnar columns (e). The outer frame part h surrounding the was also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s (c, c) of the columnar body (d, d) of the columnar body (e, 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columnar body (d) of the columnar body (e) The split top plate portion (k) was constructed between th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 (c) of the c) and the outer fram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 (g) of the outer frame portion (h) to form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m).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여 복수의 기둥형상체열(e,e)을 구축한 후에, 상기 분할상판부(k)를,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기둥형상체열(e,e)의 상기 기둥형상체(d,d)의 중간재치부(c,c) 사이, 및 상기 기둥형상체열(e)의 상기 기둥형상체(d)의 중간재치부(c)와 상기 외측프레임부(h)의 외측프레임 중간재치부(g)와의 사이에 가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분할상판부(k)를 이웃하는 재치부(b,b) 사이 및 인접하는 재치부(b)와 외측프레임 재치부(f)와의 사이를 통해 매달아 내릴 필요가 있었다.Therefore, after constructing a plurality of columnar columns e and e as described above, the columnar bodies d and d of the columnar columns e and e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divided plate section k. ) Between th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s (c, c) and th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 (c) of the columnar bodies (d) of the columnar columns (e) and the outer frame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 (g) of the outer frame portion (h). In the case of a temporary construction between them, it was necessary to suspend the said split top board part k between neighboring mounting parts b and b, and between adjacent mounting parts b and outer frame mounting part f. .

그 때, 상기 분할상판부(k)를 이웃하는 상기 재치부(b,b) 사이가 좁은 도입개방부(n)나, 이웃하는 상기 재치부(b)와 상기 외측프레임 재치부(f) 사이가 좁은 도입개방부(p)를 통해, 기둥형상체열(e,e) 사이가 폭좁은 공간부(q)나 기둥형상체열(e)과 외측프레임부(h) 사이가 폭좁은 공간부(s)에 매달아 내려야만 되는 것인데, 상기 분할상판부(k)의 길이가 상기 도입개방부(n,p)의 개방폭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분할상판부(k)를 수평면 내 등에서 적절히 회전시켜 매달아 내려야만 하였었다.At this time, the introduction opening part n which is narrow between the said mounting part b and b which adjoins the said split top board part k, or between the adjacent mounting part b and the outer frame mounting part f Through the narrow opening and opening portion p, the space portion q between the columnar columns e and e is narrow, or the space portion s between the columnar columns e and the outer frame portion h. Although the length of the divided upper plate portion k is larger than the opening width of the introduction opening portions n and p, the divided upper plate portion k has to be suspended by appropriately rotating in the horizontal plane or the like.

또한, 상기 분할상판부(k)를 상기 공간부(q,s)에 매달아 내린 후에도, 상기 폭좁은 공간부(q,s)에서 상기 분할상판부(k)를 적절히 수평면 내 등에서 회전시켜 필요에 따라 위치결정을 하며, 상기 분할상판부(k)의 양단부분(t,t)을 이웃하는 상기 중간재치부(c,c)에 재치하고, 또한 상기 재치부(c)와 상기 외측프레임 중간재치부(g)에 올려놓아야만 하며, 상기 분할상판부(k)의 가설작업에 신중함과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하여 시공능률이 나쁘며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even after the divided upper plate portion k is suspended in the space portion q, s, the divided upper plate portion k is appropriately rotated in a horizontal plane or the like in the narrow space portion q, s to position as necessary. And the two end portions t and t of the divided upper plate portion k are placed on the adjacent intermediate placing portions c and c, and further placed on the placing portion c and the outer frame intermediate placing portion g. It must be put up, and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split top plate (k) requires a great deal of effort and a lot of effort, resulting in poor construction 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또한, 이러한 상,하 2조형 저수조는 일반적으로 대량의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대용적의 것이어서, 상방에서 볼 때 점유 면적이 컸었다. 이러한 대형 저수조를 구축할 때에 배려해야만 하는 것 중 하나는 좁은 시공현장에서, 철근이나 레미콘 등의 각종 자재를 임시로 두는 적치장을 어디로 설정하는 가이다. 이러한 자재임시적치장은 중장비에 의한 자재의 취급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만 하며, 또한 시공현장 주변에서의 교통장애를 가급적 일으키지 않도록 설정해야만 한다. 이러한 시공조건을 완화하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서, 자재임시적치장을 시공공간부도 포함하여 분산상태로 마련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top and bottom two tanks are generally a large volume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a large amount of rain water, the area occupied when viewed from above. One of the things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such a large water storage tank is where to set up a temporary storage site for temporarily plac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nd ready-mixed concrete at a narrow construction site. Such temporary storage sites should be set up to efficiently handle materials by heavy equipment, and should be set up so as not to cause traffic obstacles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As a measure for mitigating such construction conditions, it is conceivable to arrange the temporary temporary storage material in a dispersed state including the construction space part.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저수조를 구축할 때에, 자재를 시공공간부에 설치하고자 경우에는 도 80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공간부(p,s)를 자재임시적치장으로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간부(q,s)는 상하로 길고 폭이 좁은 공간이기 때문에, 상기 자재임시적치장으로 자재를 매달아 내리거나, 혹은 임시로 적치되어 있는 자재를 매달아 올릴 때에, 자재가 기둥형상체열(e)이나 외측프레임부(h)에 닿지 않도록 작업에 신중함을 요하여 시공능률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재의 크기에 따라서는 이를 상기 공간부에 수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한, 이들 공간부(p,s)를 시공관리실로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스페이스가 너무 좁은 문제가 있었다.
For example, when constructing the water tank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when the material is to b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space portion, it is conceivable to use the space portions p and s shown in FIG. 80 as temporary storage material. . However, since the space portion q, s is a long and narrow space up and down, when the material is suspended by the material temporary storage, or when the material stored temporarily is suspended, the material has a columnar body column ( e) or the outer frame part (h) requires a careful work so that there is a problem of poor construction efficiency.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terial, this may not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was too narrow even when trying to use these space portions (p, s) as a construction management room.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2368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23687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상,하 2조형 저수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중간칸막이부에 의해 상하로 분할된 상,하 2조형 저수조를 구축할 때에, 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저수조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중간칸막이부의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넓은 자재임시적치장이나 넓은 시공관리실을 시공공간부에 바람직한 분산상태로 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저수조의 시공능률 향상에 기여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upper and lower tanks, and when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tank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by the middle partition part, a reservoir capable of resisting earth pressure is constructed. As a matter of cour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a water tank configuration and an upper and a bottom two tank water tank using the same, which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 temporary temporary storage room or a large construction management room in the construction space in the desired dispersion state,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efficiency of the water tank,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lower tank tanks and the phase using the same It is a problem to provide 2 tank type reservoir tank.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is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는 상하방향의 중간부에 중간슬라브가 배설됨으로써 중간칸막이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상부슬라브가 배설됨으로써 저수조 상판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저수조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수조 구성용 내벽지주부재로서,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 상측지주부재가 입설(立設)상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지주부재 좌우의 입면(立面) 상부에는 상기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측지주부재 좌우의 입면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부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upper and lower two-type ta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rmediate slab is provided by the intermediate slab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upper slab is provided in the upper to build the reservoir consisting of the reservoir top plate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a water tank configuration used for forming the upper hold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in a standing state, and the middle slab is formed on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slab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upper holding member is formed.

상기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에서, 상기 상측지주부재의 하단부분에, 상기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된 수직접합근 각각을 삽입시키기 위한 하단개방의 슬리브 다수를 매설하며, 상기 슬리브(97)의 측부에는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 측에 각각 개구(101,102)가 형성되고, 지지부재(16)의 하단부분에는 상기 개구(101,102)와 대응되어 연통되도록 하되, 지지부재(16)의 하단부분 외면에서 개방되어 상하단 개구(101,102)와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상하의 연통공(103,105)이 형성된다.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upper and lower two tank-type water tank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lower open sleeves for inserting each of the vertical join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8 and 19, openings 101 and 102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eeve 97, and the openings 101 and 102 at lower ends of the supporting member 16.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and 105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ope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6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101 and 102, respectively.

상기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에서, 상기 하측지주부재의 상면부에 지지대부가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부의 상단면인 상기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 상기 상측지주부재가 입설상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측지주부재의 상면부 중, 상기 지지대부의 좌우양측 부분에는 상기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를 형성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부(50)의 상단면 높이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20)이 중간받침부(21)의 상면에 걸쳐 올려진 상태에서의 높이와 대비시 동일한 높이이거나 또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20) 상면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reservoir, the upper support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the upper support member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member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o be connected in the standing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o form an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lab from below, as shown in Figure 18,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50 i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20 is rais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It is desirable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조형 저수조는 좌우 입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좌우 입면의 상부에,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부받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와, 내측 입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상기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측 입면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부받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벽지주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벽지주부재는 그 전후의 입면인 이음면부를 상호접촉상태로 하여 일렬로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내벽지주부재열을 구성하고, 상기 내벽지주부재열이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내벽지주부재 병렬체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외벽지주부재는 상기 내벽지주부재 병렬체를 구성하는 양 외측단의 내벽지주부재열의 외방측에서, 양단의 입면인 이음면부를 상호 접촉상태로 하여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상기 내벽지주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외벽지주부재열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내벽지주부재 병렬체의 선택된 내벽지주부재열과 관련하여, 이를 구성하는 내벽지주부재의 전부 또는 그 일부는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 상측지주부재가 입설(立設)상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지주부재 좌우의 입면 상부에,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중간받침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측지주부재 좌우의 입면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상부받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5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슬라브(10)가 동일 높이에서 마주보는 상기 중간받침부(21)에 가설되며 동시에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이 상기 중간받침부(21)에 고정됨으로써 중간칸막이부(3)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슬라브(12)가 동일 높이에서 마주보는 상기 상부받침부(25)에 가설되며 동시에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이 상기 상부받침부(25)에 고정됨으로써 수조 상판부(1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from below, and at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An inner wall support member formed with an upp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from below, and an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lab from below from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above the inner side surface. An upper wall support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slab from below. The inner wall supporting memb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ate where the joint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are provided, and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By being installed side by side with the inner wall is made to constitute the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In addition,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i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of both outer ends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are predetermined. It is configured to constitute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at intervals.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selected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all or par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constitut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holding member in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lab from the lower s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pport member is supported from below. The upper support part is formed. And, as shown in Figure 15 or 18, the intermediate slab 10 is hypothesized on the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21 facing the same h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10 is the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21 The middle partition part 3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upper part, and as shown in FIGS. 13 to 15, the upper slab 12 is hypothesized on the upper support part 25 facing the same height.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upper slab 12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portion 2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nk top plate portion 11 is formed to be formed.

상기 상,하 2조형의 저수조에 있어, 상기 내벽지주부재는 모두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 상측지주부재가 입설상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지주부재 좌우의 입면 상부에는 상기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중간받침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측지주부재 좌우의 입면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상부받침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In the upper and lower tanks of the two tanks,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is made of the upper hold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in a standing state,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from below,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upper slab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holding member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칸막이부에 의해 상하로 양분된 상,하 2조형 저수조를 구축할 때에, 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저수조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중간칸막이부의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자재임시적치장이나 넓은 시공관리실을 시공공간부에 바람직한 분산상태로 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저수조의 시공능률 향상에 기여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의 내벽지주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water storage tank divided up and down by the middle parti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water storage tank that can resist earth pressure and, of cours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a water tank configuration, and a top and bottom two tank type water tank using the sa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 temporary temporary storage room or a large construction management room in the construction space in the desired dispersion state,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efficiency of the water tank,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lower tank tanks and the phase using the same Can provide two tank type reservo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조형 저수조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그 저수조 상판부가 구성되는 전(前)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하 2조형 저수조의 일부 단면 평면도.
도 5는 상,하 2조형 저수조를 단위저수조의 연장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상,하 2조형 저수조를 단위저수조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내벽지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내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내벽지주부재의 중간받침부로 중간슬라브를 지지하고, 상부받침부로 상부슬라브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제 1 외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 2 외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 3 외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외벽지주부재의 중간받침부로 중간슬라브를 지지하고, 상부받침부로 상부슬라브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외벽지주부재와 내벽지주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중간칸막이부와 저수조 상판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상하의 연통개구부에 의한 상하의 단위저수조부 상호간의 물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상하의 연통개구부를 구성하는 내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형성된 상하의 연통개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내벽지주부재에서의 하측지주부재와 상측지주부재와의 연결구조 및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9는 상측지주부재의 하단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슬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20은 제 1 중간슬라브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는 제 2 중간슬라브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상부슬라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내벽지주부재 병렬체에 의한 중간슬라브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4는 상,하 2조형 저수조의 하부 골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지수재(止水材)가 형성된 하측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그 하측지주부재의 이음면부를 상호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면의 양측부분에 지수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와, 하측지주부재의 대좌부의 상하 면부에 지수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제 1 중간슬라브와 제 2 중간슬라브의 가설에 의해 구성된 중간칸막이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28은 외벽지주부재의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제 2 중간슬라브의 접촉에 의해 구성된 절결개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 상측지주부재를 입설상태로 연결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에 상측지주부재를 입설상태로 연결한 후, 상기 상측지주부재와 중간슬라브를 서포트장치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2는 그 사시도.
도 33은 서포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4는 상측지주부재와 중간슬라브를 서포트장치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5는 서포트장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6은 내벽지주부재의 상부받침부와 상부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7은 외벽지주부재의 상부받침부와 상부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8은 상,하 2조형 저수조의 부분단면도.
도 39는 상,하 2조형 저수조 내에 빗물을 도입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0은 상하의 승강용 사다리를 저수조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1은 내벽지주부재의 복수개를 연결일체화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와 부분단면도.
도 42는 외벽지주부재의 복수개를 연결일체화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와 부분단면도.
도 43은 내벽지주부재의 복수개나 외벽지주부재의 복수개를 연결일체화하는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4는 중간칸막이부의 빔형상체로서의 기능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45는 하측 저수조부로부터 상측 저수조부로의 물이나 공기의 이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6은 상측지주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7은 그 상측지주부재와 하측지주부재와의 접합구조, 및 하측지주부재의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8은 상측지주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9는 그 상측지주부재와 하측지주부재와의 접합구조, 및 하측지주부재의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0은 상측지주부재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1은 그 상측지주부재와 하측지주부재와의 접합구조, 및 하측지주부재의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2는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3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구성을 그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부분과 함께 나타낸 단면도.
도 54는 하측지주부재에 중간슬라브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5는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구성을 그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와 함께 나타낸 단면도.
도 56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7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구성을 그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와 함께 나타낸 단면도.
도 58은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9는 하측지주부재의 상단부분에 슬리브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내벽지주부재의 구성을 그 중간받침부와 중간슬라브의 끝부분과의 접합구조와 함께 나타낸 단면도.
도 60은 하측지주부재와 상측지주부재와의 연결상태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부분단면도.
도 61은 자재임시적치장이나 시공관리실을 마련하는 경우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2는 내벽지주부재열을 구성할 때, 이분할형의 내벽지주부재와 일체형의 내벽지주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3은 상,하 2조형 저수조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4는 상,하 2조형 저수조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5는 상,하 2조형 저수조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6은 제 1 중간슬라브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7은 제 1 중간슬라브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8은 제 2 중간슬라브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9는 제 2 중간슬라브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0은 제 2 중간슬라브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1은 독립개구부가 이웃하도록 설치하여 된 제 2 중간슬라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72는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3은 이분할형 내벽지주부재의 제 1 중간받침부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74는 기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75는 외벽지주부재의 제 2 중간받침부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도 76은 지수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측지주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7은 지수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 1 외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8은 지수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 2 외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9는 지수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 3 외벽지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0은 종래의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thereof.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vious step in which the reservoir top plate is configured.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and lower tanks of the two tanks see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nit reservoir.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nit tank; FIG.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slab is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upper slab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slab is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upper slab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and a reservoir upper plate portion formed using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movement of wat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unit reservoir tanks by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openings;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openings;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openings formed.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lower holding member and an upper holding member 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and a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1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eev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lding member.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intermediate slab;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ond intermediate slab;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lab.
Fig. 2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state of an intermediate slab by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frame of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holding member on which a still water material is formed.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joint surface portions of the lower holding memb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dropping materials are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ing member,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formed ash.
FIG. 2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partition formed by the hypothesis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joining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out opening formed by the contact of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ing process for connecting the upper holding member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in a standing position.
3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ld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in a standing state, and the upper hold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slab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device.
32 is a perspective view thereof.
3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 device.
Figure 3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ld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slab connected to the support device.
Fig. 3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3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upper slab.
3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upper slab.
3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3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rai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and lower two-tank type reservoirs.
4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upper and lower lifting ladders are installed in a water tank.
41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ner wall holding members are connected together.
42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outer wall holding members are connected together.
Fig. 4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ner wall holding members or a plurality of outer wall holding members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4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as a beam-shaped body of an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4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ovement of water or air from a lower reservoir to an upper reservoir.
4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holding member;
Fig. 4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holding member and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4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holding member;
Fig. 4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holding member and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holding member;
Fig. 5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holding member and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5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made by embedding a sleeve in an upper portion of a lower holding member;
Fig. 5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med by embedding a sleeve at an upper end portion of a lower holding member together with a joint portion of an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and an end of an intermediate slab;
5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slab on the lower holding member;
Fig. 5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med by embedding a sleev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ogether with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5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med by embedding a sleeve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Fig. 5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med by embedding a sleeve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ogether with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5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med by embedding a sleeve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Fig. 5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med by embedding a sleev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lding member together with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60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lower holding member and the upper holding member;
Fig. 6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case of providing a temporary material storage and construction management room.
Fig. 6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bipartitioned inner wall holding member and an integral inner wall holding member are combined when form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6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and lower two-type tanks.
6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and lower two-type tanks.
Fig. 65 is a plan view showing other aspects of the upper and lower two-type tanks.
6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6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6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6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7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FIG. 7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intermediate slab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opening portion neighboring; FIG.
7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thereof.
7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art of the two-divided inner wall holding member;
7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7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ing part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7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holding member on which an index member is formed;
7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 on which an index member is formed;
7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on which an index member is formed;
7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on which an index member is formed;
8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tank.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조형 저수조(이하, 저수조라고도 한다)(1)는 예를 들면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볼 때, 후술하는 단위저수조(2)의 연장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5~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칸막이부(3)에 의해 상측 저수조부(5)와 하측 저수조부(6)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내벽지주부재(7)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외벽지주부재(9)와, 상기 내벽지주부재(7)와 상기 외벽지주부재(9)의 상하방향의 중간부 위치에 배설되어 상기 중간칸막이부(3)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중간슬라브(10)와, 상기 내벽지주부재(7)와 상기 외벽지주부재(9)의 상부위치에 배설되어 저수조 상판부(11)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상부슬라브(12)를 구비하고 있다.The upper and lower two-type tank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reservoir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for examp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nit tank 2 to be described later when viewed from above. 5-6, it is divided up and down by the intermediate partition part 3 into the upper reservoir part 5 and the lower reservoir part 6,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reservoir 1 includes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7 made of precast concrete, an outer wall holding member 9 made of precast concrete, and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7 and the Intermediate slab 10 made of precast concrete dispos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n the up-down direction and forming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and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The upper slab 12 made of the precast concrete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osition of (9) and comprises the water tank top board part 11 is provided.

상기 내벽지주부재(7)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부가 상하이분할형의 것이며,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지주부재(13)는 그 좌우의 입면(17, 19) 상부에,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21,21)(이하, 제 1 중간받침부(21a,21a)라고도 한다)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측지주부재(17)의 좌우 입면(22,23)의 상부에는 상가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부받침부(25,25)(이하, 제 1 상부받침부(25a,25a)라고도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is of the Shanghai split type, as shown in FIG. 6, and as shown in FIGS. 7 to 9, the upper side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s upper side. The strut member 16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in a standing position. 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member 13 has intermediate supports 21 and 21 supporting the ends 20 and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from above and below the left and right elevations 17 and 19,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s 21a and 21a are formed, and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nd upper slabs 12 of the upper upper slab 1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eft elevational surfaces 22 and 23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 17. Upper support portions 25 and 25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first upper support portions 25a and 25a) are formed to support 27 from below.

또한, 상기 외벽지주부재(9)는 도 10~도 12,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측 입면(26)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21)(이하, 제 2 중간받침부(21)라고도 한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입면(26)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부받침부(25)(이하, 제 2 상부받침부(25b)라고도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10 to 12 and 13,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and the middle slab 10 of the inner side surface 26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s formed. An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20 from below is formed, and the upper slab 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26. The upper support part 25 (henceforth a 2nd upper support part 25b) which supports the edge part 27 of the below is formed.

그리고, 이분할형의 상기 내벽지주부재(7)는 도 2, 도 4, 도 5,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후 입면(29,30)으로서의 이음면부(31,31)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1열로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내벽지주부재열(32)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이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병렬됨으로써 내벽지주부재 병렬체(33)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지주부재(9)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벽지주부재 병렬체(33)를 구성하는 양 외측단의 내벽지주부재열(32a,32a)의 외방측에서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a,32a)과 소정 간격을 두고, 양단의 입면(35,36)으로서의 이음면부(37,37)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외벽지주부재열(39,39)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벽지주부재 병렬체(33)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도록 외벽지주부재(9)가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 포위 프레임체(40)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2, 4, 5, and 23, the two-part inner wall holding member 7 is in contact with the joint surface portions 31 and 31 as front and rear elevation surfaces 29 and 30, respectively.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can be constituted by being arranged side by side in a single row, and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can be formed in parallel by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2 to 4,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s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a and 32a at both outer ends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33. As shown in FIGS.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39 and 39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a and 32 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joint surface portions 37 and 37 serving as the elevation surfaces 35 and 36 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2,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33, so that the outer walls as shown in Figs.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urrounding frame body 40 may be comprised.

또한, 상기 중간슬라브(10)가 도 14, 도 3~도 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높이에서 마주보는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21a) 사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그 측부(41,41)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도 4)됨과 아울러, 동일 높이에 있는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와 상기 제 2 중간받침부(21b) 사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그 측부(41,41)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됨으로써, 상기 중간칸막이부(3)가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라브(12)가 동일높이에서 마주보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25a) 사이에 측부(42,42)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도 2)됨과 아울러, 동일 높이에 있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와 상기 제 2 상부받침부(25b) 사이에 측부(42,42)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저수조 상판부(40)가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s. 14, 3 to 4 and 6, the intermediate slab 10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bearing portions 21a and 21a facing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in this embodiment, the side portion thereof. While the hypotheses (FIG. 4)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41, 41), and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a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b at the same height, in this embodiment, the side portion ( By constructing 41 and 41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is configured. The upper slabs 12 are hypothesized by contacting the side portions 42 and 42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s 25a and 25a facing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FIG. 2), and at the same height. By installing the side parts 42 and 42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art 25a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art 25b, the water tank upper plate part 40 shown in FIG. 2 is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하 2조형 저수조(1)는 도 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내벽지주부재열(32,32) 사이 및 양 외측단의 내벽지주부재열(32a)과 이에 대향하는 외벽지주부재열(39)과의 사이에 단위저수조(2)가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저수조(2)는 상기 중간칸막이부(3)에 의해 하측의 단위저수조부(43)와 상측의 단위저수조부(45)로 양분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저수조부(6)와 상기 상측 저수조부(5)에 있어, 이웃하는 하측 단위저수조부(43,43) 상호간, 이웃하는 상측 단위저수조부(45,45) 상호간이 각각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상하에 적절히 형성한 상하의 연통개구부(46,47)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연통개구부(46)는 도 5에서는 내벽지주부재열(32)의 길이방향의 양측부분과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의 연통개구부(46,47)는 도 1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하측 단위저수조부(43,43) 상호간, 이웃하는 상측 단위저수조부(45,45) 상호간에서 물을 왕래시킴과 아울러, 저수조(1)의 내부를 청소할 때에 사람이나 작업기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용 개구부로서도 기능한다.As shown in Figs. 2 and 5, the upper and lower two-screw tank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a between adjacent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and 32 and both outer ends thereof. The unit reservoir tank 2 is comprised between the opposing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39, and each unit reservoir tank 2 is formed by the intermediate partition part 3 of the lower unit reservoir tank 43 at the upper side. It is divided into the unit reservoir 45. 5 and 15, in the lower reservoir 6 and the upper reservoir 5, adjacent lower unit reservoirs 43, 43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upper unit reservoir ( 45 and 45 are mutually communicated with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openings 46 and 47 formed appropriately above and below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respectively. The communication opening 46 is formed in both side portions a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in FIG.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openings 46 and 47 pass water between the neighboring lower unit reservoirs 43 and 43 and the neighboring upper unit reservoirs 45 and 45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15. In addition,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 it also functions as an entrance opening and exit which enables access of a person or a work machine.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하 2조형 저수조(1)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도 9는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내벽지주부재(7)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하측지주부재(13)는 도 7,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이 I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부(48)와 그 하면부(49)는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의 수직인 입면이 하측의 이음면부(31a,31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면부(48)에는 지지대부(50)가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41)인 상기 상단(15)에 상기 상측지주부재(16)가 입설상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면부(48) 중,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2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받침부(21)로 지지된 상태에 있는 상기 끝부분(20)의 상면(52)과 동일 높이 또는 상기 상면(5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9에는 상면(5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the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water storage tank 1 which has such a structure is demonstrated concretely. 7 to 9 show an exampl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lower support member 13 has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n I-shape,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48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49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and vertically before and after Phosphorus entering surface is the lower joint surface part 31a, 31a.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48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50 protruding upwards, the upper end portion 15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41 of the support portion 50 is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made to be connected in a standing state. In addition, among the upper surface portion 48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stand 50,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from below; 21 is formed,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 portion 50 is the upper surface 52 of the end portion 20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 as shown in FIG. It is made to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or above the upper surface 52. In FIG. 9,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52 is shown.

상기 하측지주부재(13)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상을 띠는 하측 입벽부(立壁部)(53)의 좌우 입면(17,19)의 윗부분에, 양측으로 뻗도록 상측 돌출부(55,55)가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입면(17,19)의 아랫부분에, 양측으로 뻗도록 하측 돌출부(56,5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돌출부(56,56)의 상면은 외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7,57)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가장자리(59,59)에 수직면(60,60)이 연결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하측지주부재(13)의 하단부분에는 전후방향에서 볼 때 산 형상을 띠는 대좌부(6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면(60)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홈부(62,62)가 좌우대향상태로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upper and lower surfaces 17 and 19 of the lower side wall 53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7 to 9. The upper protrusions 55 and 55 protrude so as to extend, and the lower protrusions 56 and 56 protrude so as to extend to both sides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elevations 17 and 19.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protrusions 56 and 56 are formed in the form of inclined surfaces 57 and 57 that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and vertical surfaces 60 and 60 are connected to the lower edges 59 and 59. Thu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pedestal 61 having a mountain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rapezoidal grooves 62, 6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in the left-right facing state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60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상측 돌출부(55,55)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63,63)의 형태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그 상단가장자리(65,65)에는 수직면(66,66)이 연결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 돌출부(55,55)의 동일 평면인 상면이 구성하는 상기 상면부(48)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지지대부(5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부(50)의 전후의 측면(68,69)은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입벽부(53) 전후의 수직인 입면(70,71)의 윗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 측면(72,73)은 수직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단면(51)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중간받침부(21,21)(제 1 중간받침부(21a,21a))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상면은 하측 수평재치면(75,75)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의 하측 수평재치면(75,75)에는 도 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용 볼트(76)(도 18)의 하단부분(77)이 삽입되는 인서트(79)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75)의 양단측부분과 중앙부분의 3군데에 매설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B, the upper protrusions 55 and 55 have lower surfaces formed in the form of inclined surfaces 63 and 63 which ar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and the upper edges 65 and 65 thereof. ), Vertical surfaces 66 and 66 are connec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50 protruding upward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48 constituted by the upper surface which is the same plane of the upper protrusions 55 and 55. Consists of. The side surfaces 68 and 69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pport base 50 are constituted by vertical surfaces, and constitute upper portions of vertical elevation surfaces 70 and 71 before and after the lower side wall 53.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2, 73) of the support 50 is formed in the vertical plane and the top surface 51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lan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 21 (first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s 20,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from below. (21a, 21a) are provided, and the upper surface is the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75.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 75) of the joining bolt 76 (Fig. 18) for joining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as shown in Figs. The insert 79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77 is inserted is embed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to 8, they are buried in three positions at both end portions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

도 16~도 17의 하측부분에는 상기 하측의 연통개구부(47)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측지주부재(13)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하측 입벽부(53)의 전후방향의 한쪽에서 대략 1/2 폭부분이 결절되어, 상하로 긴 측부절결부(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측부절결부(80,80)의 합치에 의해, 도 17에 나타낸 상기 하측 연통개구부(47)가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16 to 17 shows an example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used to constitute the lower communication opening 47. As shown in FIG. Approximately one half width portion is cut in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ower side wall portion 53,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cutout portions 80 are formed, and the matching of the adjacent side cutout portions 80 and 80 is formed. As a result, the lower communication opening 47 shown in FIG. 17 is configured.

한편, 상기 상측지주부재(16)는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상을 띠는 상측 입벽부(81)의 좌우 입면(22,23)의 상부에 상측 돌출부(88,8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횡단면이 T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부(86)와 하면부(87)는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전후 길이는 상기 하측 입벽부(53)의 전후 길이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전후의 수직인 입면(78,84)이 상측 이음면부(31b,31b)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상기 상측 돌출부(88,88)의 하면은 외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89,89)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단가장자리(90,90)에는 수직면(91,91)이 연결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holding member 16, as shown in Figures 7 to 9, the upper projections 88, 88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urfaces 22, 23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formed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T shape,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86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are set to be equal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lower wall portion 53, and vertical elevations 78 and 84 before and after the upper wall portion 81 are upper side. It is a joint surface part 31b, 31b.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protrusions 88 and 88 are formed in the form of inclined surfaces 89 and 89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and vertical surfaces 91 and 91 are formed at the upper edges 90 and 90 thereof. It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의 좌우폭은 상기 지지대부(50)의 수평인 상단면(51)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상기 상측 돌출부(88,88)는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상부받침부(25,25)(제 1 상부받침부(25a,25a))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상면(상기 상면부(86)의 좌우 양측부분)은 상측 수평재치면(92,92)으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to 9,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are set equal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 base 50. It is.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upper projections 88 and 88 are the upper support portions 25 and 25 (first upper support portions 25a and 25a)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27 of the upper slab 12 from below. The upper surfac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part 86) is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2,92).

도 16~도 17의 상측부분에는 상기 상측 연통개구부(46)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측지주부재(16)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전후방향 중 한쪽에서 대략 1/2 폭부분이 절결되어, 하단개방의 상하로 긴 측부절결부(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측부절결부(93,93)의 합치에 의해 상기 상측 연통개구부(46)가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16-17 shows an example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used to constitute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46 in the upper portion. Approximately one half of the width portion is cut in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1, and the side cutouts 93, which are vertically long at the bottom, are formed, and the adjacent side cutouts 93 and 93 are formed.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46 is configured by the matching of the.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하면부(87)를 상기 지지대부(50)의 수평인 상단면(51)에 위치정합하여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 측면(72,73)은 상기 상측지주부재(16) 위의 입벽부(81)의 좌우 입면(22,23)에 각각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늘어서서 전체적으로 수직면을 띤다.And, as shown in Figure 8, by placing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on the horizontal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upport portion 50, the support portion 50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2 and 73 of the c) are continuously lined vertically to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22 and 23 of the mouth wall portion 81 o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o form a vertical plane as a whole.

또한, 상기 좌우의 상측 수평재치면(92,92)에는 도 8,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용 볼트(76)의 하단부분(77)이 삽입되는 인서트(79)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수평재치면(92)의 양단측부분과 중앙부분의 3군데에 매설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36, the lower horizontal portions of the joining bolts 76 for joining the end portions 27 of the upper slab 12 to the left and right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s 92 and 92. The insert 79 into which 77 is inserted is embed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to 8, they are embedded in three positions at both ends and the center of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2.

도 8은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측지주부재(16)의 하면부(87)를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위치정합하여 올려놓음으로써 구성된 내벽지주부재(7)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벽지주부재(7)의, 상하 연속하는 전후의 수직 입면은 이음면부(31,31)로 되어 있다. 이 이음면부(31)는 상기 하측 이음면부(31a)의 상단에 상측 이음면부(31b)가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늘어서서 형성되어 있다.FIG. 8 shows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constructed by placing the lower surface 87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n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ing stand 50. The vertical elevations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efore and after continuing up and down are the joint surface portions 31 and 31. The joint surface portion 31 is formed by vertically arranging the upper joint surface portion 31b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joint surface portion 31a.

여기에서,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도 18, 도 19(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의 좌우 양측에 위치시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접합근(95,95)를 돌출형성상태로 해 둔다. 한편,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단부분(96)에는 상기 수직접합근(95)의 각각을 삽입시키기 위한 슬리브(97)의 다수개가 그 하단(98)을 상기 하면부(87)에서 개방시켜 매설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97)의 삽입공(99)의 내경은 상기 수직접합근(95)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97)의 측부(100)에는 도 18~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하단측에 상하 개구(101,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접합근(95)의 직경은 예를 들면 22mm으로 설정되고, 상기 슬리브(97)의 내경은 예를 들면 35mm로 설정되어 있다.Here, an example of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18 and 19 (A) and (B), they are loca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upport part 50, and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provided. The vertical joints 95 and 95 are left in the protruding state.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leeves 97 for inserting each of the vertical abutment 95 into the lower portion 96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opens the lower portion 98 at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It is burie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99 of the sleeve 97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joint 95. 18 and 19, upper and lower openings 101 and 10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sides of the sleeve portion 100 as shown in Figs. The diameter of the perpendicular joint 95 is set to 22 mm, for exampl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97 is set to 35 mm,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단부분(96)에는 도 18~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의 개구(101,102)와 연통하며 또한 상기 좌우의 입면(22,23)(상기 하단부분(96)의 외면)에서 개방하는 상하의 연통공(103,105)이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00)에 상기 수직접합근(95)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연통공(105)에 충전장치(미도시)의 주입파이프를 꽂아, 상기 주입파이프와 상기 하측 연통공(105)을 통해, 도 19 (B)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99)에 소정 압력으로 무수축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107)를 주입한다. 이 주입으로 인해 상기 충전재(107)는 상기 상측 연통공(103) 위의 개방단(109)으로부터 배기되면서 이루어져서, 상기 충전재(107)가 상기 개방단(109)으로부터 누출된 것을 통해, 상기 슬리브(97) 내에 충전재(107)가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의 개방단(109)(106)을 마개(110,110)로 막는다. 이와 같이 하여 충전된 충전재(107)가 경화됨으로써,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가 안정된 입설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내벽지주부재(7)가 구성되게 된다.18 to 19, the lower end portion 96 of the upper side wall 8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101 and 102, and the left and right elevations 22 and 23 (the lower end portion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and 105, which are opened at the outer surface of 96), are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In addition, the injection pipe of the filling devic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105 in the state in which the vertical junction 9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00, and the injection pipe and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are inserted. Through 105, as shown by an arrow in FIG. 19 (B), filler 107 such as non-contraction mortar or grout is injected into the insertion hole 99 at a predetermined pressure. Due to this injection, the filler 107 is exhausted from the open end 109 on the upper communication hole 103, so that the filler 107 leaks from the open end 109, thereby allowing the sleeve ( It can be seen that the filler 107 is filled in the 97. Thereafter, as shown in FIG. 18, the top and bottom open ends 109 and 106 are closed with stoppers 110 and 110. As the filler 107 thus filled is cured,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ble standing state so that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is configured.

이러한 연결에 의해 구성된 내벽지주부재(7)는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기 이음면부(31a)와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상기 이음면부(31b)가 수직으로 이어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이음면부(31)(도 8)가 형성된다.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constructed by such a connection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joint surface portion 31a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13 and the joint surface portion 31b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joint surface portion 31 (FIG. 8) extending is form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벽지주부재(7)의 상하 높이는 예를 들면 7550mm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75)의 높이는 예를 들면 3550mm로 설정되며, 상기 상측 수평재치면(92)의 높이는 예를 들면 7550mm로 설정된다. 그리고, 내벽지주부재(7)의 하면(112)(도 8)의 좌우폭은 예를 들면 1000mm으로, 그 상면(111)(도 8)의 좌우폭은 예를 들면 900mm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벽지주부재(7)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구축할 저수조의 용량을 고려하여 2종류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15000mm의 것과 1000mm의 것이다.The vertical heigh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set to, for example, 7550 mm.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 is set to 3550 mm, for example, and the height of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2 is set to 7550 mm,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ower surface 112 (FIG. 8)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are set to, for example, 1000 mm,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upper surface 111 (FIG. 8) are set to, for example, 900 mm.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which has such a structure has the length of the front-back direction 7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 capacitance of the water tank to be built, for example, 15000 mm and 1000 mm.

상기 외벽지주부재(9)에는 저수조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제 1 외벽지주부재(9a)와, 저수조 코너부(114)에 위치하는 제 2 외벽지주부재(9b)와, 상기 내벽지주부재(32)의 단부에 이어지는 제 3 외벽지주부재(9c)의 3종류가 있다.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ncludes a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 9a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reservoir, a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9b positioned at the corner of the reservoir 114, and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32. There are three types of the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s 9c that a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상기 제 1 외벽지주부재(9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상의 일체물인 입벽부(113)의 내측 입면(立面)(26)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의 돌출부(115,116)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내측 입면(26)의 중간부에는 중간 돌출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외벽지주부재(9a)는 전체적으로 종단면이 E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면(120)과 하면(121)이 수평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입벽부(113)의 양단의 수직인 입면(112,123)이 이음면부(125,125)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 9a has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5 and 116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 26 of the mouth wall portion 113, which is an integrally long rectangular plate-like body. ) Is formed, and an intermediate protrusion 119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ide face 26. The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 9a has an E-shaped longitudinal section as a whole. The upper surface 120 and the lower surface 121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and vertical elevation surfaces 112 and 123 at both ends of the mouth wall portion 113 are joint surface portions 125 and 125.

상기 하측 돌출부(116)는 안쪽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26) 형태로 그 상면이 형성되고 그 하단가장자리(127)에 수직면(129)이 연결형성되어 있어, 대좌부(128)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면(129)의 상하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사다리꼴 홈부(130)가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rotrusion 116 has an upper surface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126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and a vertical surface 129 is connected to the lower edge 127 to form a pedestal 128.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apezoidal groove 13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129.

또한, 상기 상측 돌출부(115)는 안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31) 형태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그 상단가장자리(132)에는 수직면(133)이 연결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돌출부(115)는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상부받침부(제 2 상부받침부(25b))를 구성하고, 그 상면은 상측 수평재치면(135)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수평재치면(135)은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 위의 수평재치면(92)과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rotrusion 115 has a lower surface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131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side, and a vertical surface 133 is connected to the upper edge 132. The upper protrusion 115 constitutes the upper support portion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25b)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27 of the upper slab 12 from below, and its upper surface is an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35 ),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35 is set at the same height as the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2 on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25a).

또한, 상기 중간 돌출부(119)는 안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36) 형태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그 상단가장자리(137)에 수직면(139)이 연결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가장자리(137)에는 상기 내측의 입면(26)을 향하는 수평면(140)이 연결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돌출부(119)는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중간받침부(제 2 중간받침부(21b))(21)를 구성하고, 그 상면은 하측 수평재치면(141)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의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75)과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iddle protrusion 119 has a lower surface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136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ner side and a vertical surface 139 is connected to the upper edge 137, and the upper edge 137 is formed. The horizontal surface 140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26 is formed in the connection.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19 constitutes the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second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21b) 21 which supports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from below, and its upper surface is a lower horizontal member. The tooth surface 141 is comprised, and is set to the same height as the said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 of the said 1st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part 21a.

상기 제 2 외벽지주부재(9b)는 저수조의 코너부(114)에 배설되는 것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L자형을 띠는 입벽부(142)의 내측 입면(26)의 상부와 상하방향의 중간부와 하부 각각에, 상측 돌출부(143)와 중간 돌출부(145)와 하측 돌출부(146)가 형성되며, 상면(147)과 하면(149)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양단의 수직인 입면이 이음면부(125,125)로 되어 있다.The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9b is disposed in the corner portion 114 of the reservoir, and as shown in FIG. 11, the upper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 26 of the mouth wall portion 142 having a cross-sectional L-shap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143, intermediate projections 145, and lower projections 146 ar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respectively. These joint surface portions 125 and 125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하측 돌출부(146)에 의해 대좌부(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돌출부(145)는 상방에서 볼 때 L자형을 띠고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돌출부(143)는 상방에서 볼 때 L자형을 띠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돌출부(145)는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코너부분)(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중간받침부(제 2 중간받침부(21b))(21)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수평면은 하측 수평재치면(141)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141)은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 아래의 수평재치면(75)과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측 돌출부(143)는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제 2 상부받침부(25b)로 되어 있으며, 그 수평한 상면이 상측 수평재치면(135)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측 수평재치면(135)은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 위의 수평재치면(92)과 동일 높이에 있다.The pedestal portion 128 is formed by the lower protrusion 146, and the middle protrusion 145 has an 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addition, the upper protrusion 143 has an 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45 constitutes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b) 21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corner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from below. The horizontal plane is the lower horizontal placing surface 141. The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41 is set at the same height as the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 under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art 21a. In addition, the upper protrusion 143 is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25b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27 of the upper slab 12 from the lower side,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35 It is.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35 is flush with the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2 on the first upper support part 25a.

상기 제 3 외벽지주부재(9c)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 직사각판부(155)의 내측 입면(26)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이음매 돌출부(156)를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이루어진 T자형의 입벽부(15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매 돌출부(156)와 상기 직사각판부(155)가 구성하는 좌우의 코너도입부분(159,159)을 칸막이하도록, 상기 T자형 입벽부(157)의 하부 좌우에 하측 돌출부(160,16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T자형 입벽부(157)의 상하방향의 중간부에 좌우의 중간 돌출부(161,16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T자형 입벽부(157)의 상부에 좌우의 상측 돌출부(162,16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has a seam protrusion continuou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26 of the rectangular plate portion 155 which is formed integr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156 is provided with a T-shaped mouth wall portion 157 formed by integrally projecting. The lower protrusions 160 and 160 are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shaped wall 157 so as to partition the left and right corner introducing portions 159 and 159 formed by the joint protrusion 156 and the rectangular plate portion 155. In addition, left and right middle protrusions 161 and 161 are form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T-shaped mouth wall portion 15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upper protrusions 162 and 162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shaped mouth wall portion 157. It is.

이로써, 상기 제 3 외벽지주부재(9c)는 그 양단의 수직인 입면이 이음면부(125,125)로 되어 있고, 상기 이음돌출부(156)의 수직인 선단면이,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수직인 끝면(166)에 접촉할 수 있는 수직인 이음면부(125)로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has vertical elevations at both ends of the joints 125 and 125, and a vertical end surface of the joint protrusions 156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It is a vertical joint surface portion 125 that can contact the vertical end surface 166.

상기 좌우의 하측 돌출부(160,160)는 제 3 외벽지주부재(9c)의 대좌부(128)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의 중간 돌출부(161,161)는 상기 제 2 중간받침부(21b,21b)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수평인 상면은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코너부분)을 올려놓는 하측 수평재치면(141)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141)은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 하측의 수평재치면(75)과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lower protrusions 160 and 160 constitute the pedestal portion 128 of the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middle protrusions 161 and 161 constitute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s 21b and 21b, and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raises the end portion 20 (corn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lab 10. The lower horizontal placing surface 141 is placed. The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41 is set at the same height as the horizontal mounting surface 75 below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art 21a.

또한, 상기 좌우의 상측 돌출부(162,162)는 상기 제 2 상부받침부(25b,25b)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수평인 상면은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코너부분)을 올려놓는 상측 수평재치면(135)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측 수평재치면(135)은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의 상측 수평재치면(92)과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upper protrusions 162 and 162 constitute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s 25b and 25b, and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raises the end portion 27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lab 12. The upper horizontal placing surface 135 is placed.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35 is set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2 of the first upper support part 25a.

상기 중간슬라브(10)에는 2종류가 있다. 제 1 중간슬라브(10a)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장변(169)의 길이는 예를 들면 4560mm로 설정됨과 아울러 그 단변(170)의 길이는 2500mm로 설정되고, 그 두께(상하방향에서 본 두께)는 300mm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단변측 부분(171,171)에는 상기 접합용 볼트(76)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접합용 관통공(172)이 상기 단변(170)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용 관통공(172)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173)으로부터 상단(175)을 향해 확대되며 또한 단변(170)의 연장방향으로 약간 긴, 상방에서 볼 때 타원형상을 띠는 테이퍼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173)의 구멍 직경은 상기 접합용 볼트(76)의 직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합용 볼트(76)의 지경이 22mm로 설정되고 상기 하단(173)의 단축 길이가 34mm로 설정되어 있다.There are two kinds of the intermediate slab 10.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FIG. 20, the length of the long side 169 is set to 4560 mm, for example, 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170 is set to 2500 mm, The thickness (thickness seen from the up-down direction) is set to 300 mm. In addition, joining through holes 172 for inserting the joining bolt 76 through the short side portions 171 and 171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ort side 170. have. 5 is formed side by side in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8 and 29, the joining through hole 172 extends from the lower end 173 to the upper end 175 and is slightly long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ort side 170.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apered hole having an elliptical shape, and the hole diameter of the lower end 173 is se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joining bolt 76.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joining bolt 76 is set to 22 mm, and the short axis length of the lower end 173 is set to 34 mm.

또한, 제 2 중간슬라브(10b)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상을 띠는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장변측(양측부분)(176,176)의 중앙부분이 내측으로 절결됨으로써, 절결개구부(177,177)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으로 대칭형태로 움푹 들어가도록 오각형의 산 형태로 크게 절결됨으로써 상기 절결개구부(177,1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개구부(177,177)의 직선형상의 선단가장자리부(179, 179) 사이는 상기 장변(169)의 연장방향(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예를 들면 폭 500mm 의 가는 폭의 연결판부(180)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부(180)는 양측의 광폭부(181,181)를 연결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1,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is notched by cutting the center of the long sides (both sides) 176 and 176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openings 177 and 177 are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tout openings 177 and 177 are formed by greatly cutting into a pentagonal mountain so as to dent inwardly in a symmetrical form. The straight edges 179 and 179 of the notched openings 177 and 177 are lo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ng side 169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for example.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180 has a width of 500 mm, and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180 connects the wide portions 181 and 181 on both sides.

또한, 상기 상부슬라브(12)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장변(182)의 길이는 예를 들면 4730mm로 설정되고, 그 단변(183)의 길이는 예를 들면 2500mm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변측 부분(185,185)에는 상기 중간슬라브(10)에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상기 접합용 볼트(76)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접합용 관통공(172)이 상기 단변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lab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FIG. 22, the length of the long side 182 is set to 4730 mm, for example, 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183 is 2500 mm, for example. Is set to. In addition, the short side portions 185 and 185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intermediate slab 10, and a joining through hole 172 for inserting the joining bolt 76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ort side. Formed.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내벽지주부재(7)와 외벽지주부재(9)와 중간슬라브(10)와 상부슬라브(12)를 사용하여 상기 상,하 2조형 저수조(1)를 구축하는 시공공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two-piece tank 1 us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the intermediate slab 10 and the upper slab 1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plain.

먼저, 도 5,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를 구축할 장소를 굴삭하여 형성한 시공공간부의 바닥부에 기초콘크리트(186)를 형성한 후, 예를 들면 도 24~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지주부재(13)를 그 전후의 이음면부(31a,31a)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일렬로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하측지주부재(187)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이음면부(31a1)에, 예를 들면 도 25~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I자형 등으로 지수재(15mm 폭)(189)를 부설해 두는 것이 좋다. 상기 지수재(189)의 부설은 예를 들면 부틸고무제 등의 스트립을 접착하여 수행하는 것 외에, 에폭시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의 지수성(止水性) 수지를 도포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수재(189)를 개재시키는 경우에도, 전후의 이음면부(31a,31a)를 서로 접촉상태로 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지수재(189)를 개재시키면, 도 24,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지주부재열(187)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후의 이음면부(31a,31a) 사이에 진입한 저장수가 기초부분으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도 25, 도 26(B)에서는 상기 상단면(51)에, 상기 인서트(79)를 끼고 좌우 양쪽에서 지지하도록 지수재(189,189)가 배설되어 있는데, 이 지수재(189,189)는 상기 접합용 관통공(172)에 충전재(107)를 충전했을 때에(도 18) 이 충전재(107)가 누설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 홈부(62,62)를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상하의 면부(232,232)에도 도 25, 도 2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지수재(189)가 부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하측지주부재열(187)을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지주부재 병렬체(190)를 구성한다. 상기 하측지주부재열(187,187)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4600mm 정도로 설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5 and Fig. 14, after forming the base concrete 186 at the bottom of the construction space portion formed by excavating the place to build the water tank, as shown in Figs. The lower holding member 187 is formed by arranging the lower holding members 13 side by side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joint surfaces 31a and 31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5 to 26, for example, an index member (15 mm width) 189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joint surface portion 31a1 in an I-shape or the lik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repellent material 189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for example, a strip of butyl rubber or the like, and by applying a water resistant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In this way, even when interposing the water repellent material 189, the front and back joint portions 31a and 31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way, when the water repellent material 189 is interposed, as shown in Figs. 24 and 26 (A), the number of stored water enter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joint surfaces 31a and 31a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holding member rows 187 are configured.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more reliably prevent leakage to the foundation part. In FIGS. 25 and 26 (B), the index members 189 and 189 are disposed on the upper end surface 51 so as to support the insert 79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index members 189 and 189 are penetrated through the joining. When the filler 107 is filled in the ball 172 (FIG. 18), the filler 107 is actively prevented from leaking. Further, the water repellent material 189 is also provided in the horizontal stat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portions 232 and 232 supporting the trapezoidal groove portions 62 and 62 therebetween, as shown in Figs. 25 and 26 (C). By installing the lower column holding member rows 187 arranged in this way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column holding member parallel bodies 190 are constituted as shown in FIG.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pport member rows 187 and 187 is set to, for example, about 4600 mm.

그 후, 예를 들면 도 3, 도 6, 도 13,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벽지주부재(9)를 상기 하측지주부재 병렬체(190)을 구성하는 양 외측단의 하측지주부재열(187a, 187a)의 외방측에서, 상기 이음면부(37,37)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양측의 외벽지주부재열(184,184)을 형성한다.Th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6, 13, and 24, the lower holding member rows at both outer ends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constitute the lower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190. On the outer side of 187a and 187a, the joint surface portions 37 and 37 are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184 and 184 on both side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벽지주부재(9)를 상기 하측지주부재 병렬체(19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이음면부(37,37)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상기 외벽 포위 프레임체(40)을 구성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joint surface portions 37 and 37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190. 40).

이 때, 도 3~도 4, 도 11,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1)의 코너부(114,114,114,114)에, 상기 제 2 외벽지주부재(9b)를 상기 내측의 입면(코너도입부)(26)을 안쪽을 향해 입설상태로 한다. 또한,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상기 제 3 외벽지주부재(9c)를 상기 이음돌출부(156)의 이음면부(125)를 상기 하측지주부재 병렬체(187)의 단부에 위치하는 하측지주부재(13a)의 이음면부(31a)(상기 수직인 끝면(166))와 접촉시켜 입설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의 장변측에서는 코너부(114,114)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지주부재(9b,9b) 사이에, 상기 제 1 외벽지주부재(9a)를 상기 내측의 입면(26)을 안쪽을 향해, 또한 이웃하는 제 1 외벽지주부재(9a,9a)의 상기 이음면부(37,37)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세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1)의 단변측에서는 코너부(114,114)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외벽지주부재(9b)와 상기 제 3 외벽지주부재(9c)와의 사이 및 이웃하는 제 3 외벽지주부재(9c,9c) 사이에,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상기 제 1 외벽지주부재(9a)를, 그 내측의 입면(26)을 안쪽을 향해 또한 이음면부(37,37)를 서로 접촉상태로 하여 세워 설치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 to 4, 11 and 24, the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9b is placed on the inner side (corner introduction portion) of the corners 114, 114, 114 and 114 of the water reservoir 1 ( 26) is settled inward. In addition, the lower holding member 13a having the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dimension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187 with the joint surface portion 125 of the joint protrusion 156. )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joint surface portion 31a (the vertical end surface 166). On the long side of the reservoir 1, the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 9a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b and 9b positioned at the corners 114 and 114, and the inner side surface 26 of the water tank 1 is disposed inward. Towards this side, the joint surface portions 37 and 37 of the neighboring first outer wall holding members 9a and 9a ar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ddition, on the short side of the water tank 1,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holding member 9b and the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positioned at the corners 114 and 114 and the neighboring thi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Between 9c), the said 1st outer wall holding member 9a which has a predetermined | prescribed width dimension is installed upright, the inner side surface 26 inside it, and the joint surface parts 37 and 37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이로써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외벽 포위 프레임체(40)의 내측에, 그보다도 높이가 낮은 하측지주부재 병렬체(190)의 복수열이 배설되어 이루어진, 저수조의 하부 골조(191)가 구성되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4, the lower frame 191 of the water tank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ows of the lower support member parallel body 190 having a lower height inside the configured outer wall surrounding frame 40. Will be.

그 후, 도 14, 도 3~도 4, 도 27,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슬라브(10)를 동일 높이에서 마주보는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21a) 사이에 그 측부(41,41)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함(도 4)과 아울러, 동일 높이에 있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와 상기 제 2 상부받침부(25b)와의 사이에 측부(41,41)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함으로써, 상기 중간칸막이부(3)를 구성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14, 3 to 4, 27, and 23, the side portions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bearing portions 21a, 21a facing the intermediate slab 10 at the same height. 41 and 4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 4), and the side portions 41 and 41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25a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25b at the same height. The intermediate partition part 3 can be comprised by making i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ypothesizing.

상기 중간슬라브(10)의 가설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단부분(20,20)을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75,75,75,141)에 올려놓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이 상기 끝부분(20)의 상면(52)과 동일 높이 내지 상기 상면(52)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면(52)보다도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올려놓을 때, 도 18,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 재치면(75, 141)으로 입설되어 있는 접합용 볼트(76)를 상기 접합용 관통공(172)에 삽입시키고, 그 후, 상기 접합용 관통공(172)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한다. 이 충전재(107)의 경화에 의해 상기 끝부분(20)을 중간받침부(2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면부(195)와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 측면(72,73)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70mm 정도의 홈폭을 갖는 간극부분(19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큰 홈폭을 갖는 간극부분(19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슬라브(10)나 하측지주부재(13) 등의 제조오차, 시공오차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이들 오차가 발생했을 때에도, 상기 간극부분(196)에 상기 충전재(107)를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고, 상기 중간슬라브(10)와 상기 지지대부(50)를 일체화할 수 있게 된다.The hypothesis of the intermediate slab 10 is made by placing both end portions 20, 20 on the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s 75, 75, 75, 141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8, the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upport portion 50 is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52 of the end portion 20 or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52. Located in In this embodiment, it is located slightly above the upper surface 52. As shown in FIG. 18 and FIG. 28, the joining bolt 76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surfaces 75 and 141 is inserted into the joining through hole 172. After that, the filler 107 such as non-contraction mortar or grout is filled in the through hole 172 for bonding. The end portion 20 can be fixed to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21 by curing the filler 107. In addition, a gap portion 196 having a groove width of about 70 mm is formed between the end surface portion 195 of the intermediate slab 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2 and 73 of the support portion 50. . By forming the gap portion 196 having such a large groove width, it is, of course, able to absorb the manufacturing errors and construction errors of the intermediate slab 10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13, and of course, these errors. Even when is generated, the filler 107 can be reliably filled in the gap portion 196, and the intermediate slab 10 and the support 50 can be integrat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1)의,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연장방향(F1)에서 본 양단측 부분에서 가설되는 중간슬라브(10)의, 상기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F2)으로 연장하는 4열분에 대해서는 도 20에 나타낸 직사각형 판상의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로써 중간칸막이부(3)의 양측부분(199,199)에 수평인 평탄면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양측부분(199,199) 사이(200)에는 도 21에 나타낸 제 2 중간슬라브(10b)가 가설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연장방향(F1)에서 본 이웃하는 절결개구부(177,177)의 합치에 의해, 도 4,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거북이 등딱지 형상을 하는 비교적 커다란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로써, 도 3,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 포위 프레임체(40)의 내측에, 상면(202)이 수평인 상기 중간칸막이부(3)가 형성된 상태가 얻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middle slab 10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water tank 1 viewed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F1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is the same as the extending direction. For the four rows exten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F2,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own in FIG. 20 is used, which is horizontal to both sides 199 and 199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It is made to form a flat surface part.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shown in FIG. 21 is hypothesized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199 and 199, and the neighboring notch opening portion (n) is seen in the extending direction F1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177 and 177, as shown in Figs. 4 and 29, a relatively large inspection opening 201 having, for example, a turtle shell shape is formed. Thereby, as shown in FIG. 3, FIG. 27, the state in which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partition part 3 whose upper surface 202 is horizontal is formed inside the outer wall surrounding frame 40 is obtained.

그 후, 도 23, 도 8~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내벽지주부재(7)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을 형성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23 and 8 to 9,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position. It can be configured, thereby form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이들에 의해,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외벽지주부재열(184, 184)에 의해 저수조(1)의 장변측의 측면판부(188)가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마주보는 제2 외벽지주부재(9b,9b) 사이에 입설된 제 1 외벽지주부재(9a)와 제 3 외벽지주부재(9c)에 의해 저수조(1)의 단변측의 끝면판부(20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외벽 포위 프레임체(40)을 구성할 때, 상기 하측지주부재열(187)을 도 24에 나타낸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구성할 때는 먼저 도 24에 나타낸 좌측의 끝면판부(20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2 to 4, the side wall portion 188 on the long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 is constituted by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184 and 184 on both sides, and the facing material is formed. The end face plate part 203 of the short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 is comprised by the 1st outer wall holding member 9a and the 3rd outer wall holding member 9c which entered between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b and 9b. In addition, when configuring the outer wall surrounding frame 40 in the above manner, when the lower holding member row 187 extend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shown in FIG. 24, the left end plate portion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form 203.

이어,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하는 요령을 도 18, 도 30~도 3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크레인으로 매달아 내려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15)에 올려놓는다. 그 때, 상기 수직접합근(95) 각각을, 대응하는 상기 슬리브(97)의 삽입공(99)(도 18)에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수직상태를 조정하며 또한 이 조정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31~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좌우양측에서, 양측 중간슬라브(10,10)의 상면(205,205)과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좌우 입면(22,23)을 길이조정가능한 서포트장치(204,204)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서포트장치(204)는 도 33~도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면(22,23)과 상기 중간슬라브(10)의 상면(205)에 고정되는 걸림고정부재(206,206)와, 길이조정가능한 서포트축(20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재(206)는 상기 상면(205), 상기 입면(22,23)에 매설된 인서트(209)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210)로 고정된 설치판(211)에, U자형 결합편(212)의 양단부분(213,213)을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Next,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posi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30 to 34. First, as shown in FIG. 30,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suspended by a cran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ing member 50) (15) ). At this time, each of the vertical joints 9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9 (FIG. 18) of the corresponding sleeve 97, and the vertical state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adjusted. Keep this adjustment.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1 to 34, the upper surfaces 205 and 205 of the intermediate slabs 10 and 10 and the upper supporting members 16 are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s 16.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22 and 23 using the adjustable support devices 204 and 204. 33 to 34, the support device 204, the locking fastening member (206, 206) fixed to the upper surface 205 of the elevation (22, 23) and the intermediate slab 10, the length adjustable It is composed of a support shaft 207, the locking member 206 is fixed by a fixing bolt 210 screwed to the insert 209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205, the elevation (22, 23) Both end portions 213 and 213 of the U-shaped coupling piece 212 ar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211.

또한, 상기 서포트축(207)은 양단부분이 역나사인 나사통부(215,215) 형태로 형성된 파이프부재(216)와, 역나사인 상기 양나사통부(215,21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부재(217)와, 상기 나사축부재(217)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U자형 결합편(212)에 걸리는 후크부재(219)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통부(215,215)에 대한 상기 나사축부재(217)의 나사결합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서포트축(207)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고정부재(206,206)는 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이볼트(206a)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등,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각종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207 is a pipe member 216 formed in the form of threaded cylinders 215 and 215 having opposite ends, and a screw shaft member 217 which is screwed into the both threaded cylinder portions 215 and 215 which are reverse threads. And a hook member 219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shaft member 217 and hooked to the U-shaped engaging piece 212, and of the screw shaft member 217 with respect to the screw barrel portions 215 and 215.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207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crewing state. The locking members 206 and 206 may be configured using various members that can be fixed by walking, for example, by using the eye bolt 206a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하의 후크부재(219,219)를 상하의 U자형 결합편(212,212)에 걸은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216)를 소정량 회전시킴으로써, 좌우의 서포트장치(204,204)에 의해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수직상태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 조정상태를 도 31~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측지주부재(16)를 수직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97) 내에 상기 요령에 의해 무수축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한다. 또한, 상기 간극부분(196)에도 상기 충전재(107)를 충전한다. 상기 좌우의 서포트축(207,207)은 상기 충전재(107)가 경화된 후에 분리된다.Then, the pipe members 216 ar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while the upper and lower hook members 219 and 219 are hooked on the upper and lower U-shaped coupling pieces 212 and 212, thereb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6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devices 204 and 204. The vertical state can be adjusted, and this adjustment state can be maintained as shown in Figs. 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vertically inserted, as shown in FIG. 18, the filler 97 such as non-contraction mortar, grout, or the like is filled in the sleeve 97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addition, the filler 107 is also filled in the gap portion 196. The left and right support shafts 207 and 207 are separated after the filler 107 is cured.

그 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슬라브(12)를 동일 높이에서 마주보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25a) 사이에 측부(220,220)를 서로 접촉시켜(도 2) 가설함과 아울러, 동일 높이에 있는 상기 제 1 상부받침부(25a)와 상기 제 2 상부받침부(25b)와의 사이에 측부(220,220)를 서로 접촉시켜 가설한다. 이 가설은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상기 상측 수평재치면(92,92,135)에 올려놓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올려놓을 때, 도 36,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합용 볼트(76)를 상기 접합용 관통공(172)에 삽입하고, 상기 접합용 관통공(172)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한다. 상기 충전재(107)의 경화로 인해, 상기 끝부분(27)을 상기 제 1, 제 2 상부받침부(25a,25a)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상부슬라브(12)의 가설에 의해 저수조 상판부(11)가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단위저수조(2)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단위저수조(2)가 상하의 단위저수조부(5,6)로 분할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상하의 저수조(5,6)를 구비하는 저수조(도 2, 도 5, 도 6)(1)가 구축된다.Then, as shown in FIG. 14, the side portions 220 and 2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s 25a and 25a facing the upper slab 12 at the same height (FIG. 2) and In addition, the side parts 220 and 220 are hypothesized to contact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art 25a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art 25b which are at the same height. This hypothesis is made by placing the end 27 of the upper slab 12 on the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s 92, 92, 135. When moun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S. 36 and 37, the joining bolt 76 is inserted into the joining through hole 172, and the non-shrink mortar or grout is inserted into the joining through hole 172. The filler 107 such as this is filled. Due to the hardening of the filler 107, the end portion 27 may b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support portions 25a and 25a. The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12 constitutes the reservoir upper plate portion 11. Thus, the unit reservoir (2) is installed side by side, the unit reservoir (2)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unit reservoir (5, 6), the reservoir having an upper and lower reservoir (5, 6) as a whole (Fig. 2, Fig. 5, FIG. 6) (1) is construct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내 바와 같이, 상부슬라브(12)의 가설에 의해,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상면부(86)에는 이웃하는 상부슬라브(12,12)의 마주보는 끝면부(221,221) 사이에, 예를 들면 270mm 정도의 홈부분(22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외벽 포위 프레임체(40)의 상면부분에는 상부슬라브(12)의 끝면부(221) 외측에, 예를 들면 450mm 정도의 폭을 갖는 요홈부(223)가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5~도 6,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설된 상부슬라부(12)의 상면(225) 및 상기 홈부분(222), 상기 요홈부(223)에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현장타설부(226)를 형성하고, 그 위에 성토한 후, 그 위에 아스팔트 포장 등을 하면, 저수조의 상부공간을 공원이나 주차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by the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12, the upper surface portion 86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faces the end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slabs 12 and 12 facing each other ( Between 221 and 221, for example, a groove portion 222 of about 270 mm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wall surrounding frame 40, the groove portion 223 having a width of about 450mm, for example, on the outside of the end surface portion 221 of the upper slab 12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sist of. 5 to 6, 14, concrete is poured into the upper surface 225, the groove 222, and the recess 223 of the upper slab 12, which is installed on-site. If the pouring part 226 is formed, laid on it, and then paved with asphalt, the upper space of the reservoir can be used as a park or a parking lot.

여기에서 상기 저수조(1)를 구축할 때의 시공공정에 대해 보충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8은 저수조(1)의 바닥부(227)(도 5~도 6, 도 9, 도 13~도 14, 도 15, 도 23~도 24)를 형성할 때, 이웃하는 내벽지주부재열(32,32)의 대좌부(61,61) 사이, 내벽지주부재열(32)의 대좌부(61)와 외벽지주부재열(39)의 대좌부(128)와의 사이에 바닥 콘크리트(230)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타설에 앞서, 상기 대좌부(61,61) 사이에 적절한 배근(231)이 실시되는 것인데,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대좌부(61)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면(60)(도 8)의 상기 사다리꼴 홈부(62)를 끼고 양쪽에서 지지하는 상하의 면부(232,232)(도 8)에 수평돌출근(233, 233)을 형성하여 두거나, 혹은 시공현장에서, 상기 상하의 면부(232,232)에 매설한 인서트에 수평돌출근(233)의 끝부분을 비틀어넣어 둔다. 그리고, 마주보는 수평돌출근(233, 233)이 서로 연결근(239)으로 적절히 연결된다.If the supplementary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t the time of building the reservoir (1) as follows. FIG. 38 shows neighboring inner wall column members rows when forming the bottom portion 227 (FIGS. 5 to 6, 9, 13 to 14, 15, and 23 to 24) of the reservoir 1. The floor concrete 230 is placed between the pedestals 61 and 61 of the 32 and 32 and between the pedestal 61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and the pedestal portion 128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 39. It is a state of pouring. Prior to this placing, an appropriate back muscle 231 is implemented between the pedestals 61 and 61, and as a resul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8, the pedestal 61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s disposed. Horizontal protrusions 233 and 23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portions 232 and 232 (FIG. 8) supported by both sides while sandwiching the trapezoidal grooves 62 of the vertical surface 60 (FIG. 8) constituting the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In the field, the end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233 is twisted into the inserts embedded in the upper and lower face portions 232 and 232. Then, the horizontal protrusions 233 and 233 facing each other are proper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uscle 239.

또한, 상기 상부슬라브(12) 위에 상기 현장타설부(226)를 형성함에 앞서 배근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슬라브(12,12) 사이에 형성된 홈부분(222)에서, 수평돌출부(240)를 갖는 굴곡돌출근(241)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외벽지주부재(9)의 상기 요홈부(223)에서, 수평돌출부(243)을 갖는 굴곡돌출근(24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라브(12)의 끝부분(27)을 상기 수평돌출부(243)와 상기 상면(120)과의 사이에 삽입한 상태로 한다. 그 후, 마주보는 수평돌출부(240,243) 가 서로 연결근(246)으로 적절히 연결된다.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reinforcement prior to forming the site casting portion 226 on the upper slab 12, in the groove portion 222 formed between the upper slabs 12, 12, the horizontal protrusion 240 is A curved protrusion 241 having a curved protrusion 245 having a horizontal protrusion 243 is formed in the recess 223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The end portion 27 of the upper slab 12 is inserted between the horizontal protrusion 243 and the upper surface 120. Thereafter, the facing horizontal protrusions 240 and 243 are appropri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root 246.

또한, 저수조(1) 내로의 빗물 도입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면, 도 1, 도 39에서 부호(247)(기타 도면에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는 저수조(10)의 한쪽 장변측(249)에서 또한 한쪽 단변측(250)에 바짝 대고 형성된 빗물도입용 슬로프이다. 이 슬로프(247)는 경사부(251)가 상하의 저수조부(5,6)에 걸쳐지도록, 다른쪽 단변측(252)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분(253)이 저수조(1)의 바닥면(255)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로프(247)의 수평인 상단부분(256)은 상기 한쪽 단변측(250)에 형성된 유입관(257)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257)으로부터 저수조(1) 내로 도입된 빗물은 상기 저수조(1)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저수조(1)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관(259)으로부터 하천 등으로 자연스럽게 유출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혹은 펌프로 강제적으로 배출된다. 그를 위한 펌프실은 저수조의 내부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xample of the rainwater introduction structure into the reservoir 1 is described, reference numeral 247 (not shown in other drawings) in FIGS. 1 and 39 is provided at one long side 249 of the reservoir 10. In addition, it is a rainwater introduction slope formed close to one short side (250). The slope 247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ther short side side 252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251 spans the upper and lower reservoir portions 5 and 6, and the lower end portion 253 is the reservoir portion 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55). In addition, the horizontal upper portion 256 of the slope 247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57 formed on the one short side (250). Then,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1 from the inlet pipe 257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reservoir 1, so that it can naturally flow out of the outlet pipe 259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servoir 1 to the river or the like. Is done. Or forcedly discharged to the pump. Pump chambers therefor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reservoir.

또한, 도 40에서 부호(260)는 저수조(1)의 상부에 형성된 맨홀이며, 이 맨홀(260)에 연결되도록, 상하의 저수조부(5,6)에 상하의 승강용 사다리(261,262)가 마련되어 있다. 저수조 바닥부의 청소 등의 저수조 유지관리시에는 작업자가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출입용 개구부(263)를 통해 상기 상하의 승강용 사다리(261,262)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40, the code | symbol 260 is the man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1, and the up-and-down lifting ladders 261 and 262 are provided in the up-and-down water storage part 5 and 6 so that it may be connected to this manhole 260. As shown in FIG. During the maintenance of the reservoir, such as cleaning of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 operator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lifting ladders 261 and 262 through the entrance openings 263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그리고,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이나 상기 외벽지주부재열(39)을 구성할 때에 그 전체를 연결일체화함에 있어, 또는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외벽지주부재(9,9)를 연결일체화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41,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벽지주부재(7)나 외벽지주부재(9)에 그 상하방향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관통공(265)을 삽입관통하는 긴 PC강봉(266a)을 사용하여, 전체를 연결일체화한다.Whe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or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39 are formed, the entire wall holding member rows 32 and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9 and 9, the insertion through holes 265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or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41 and 42, for example. The long PC steel bar 266a penetrates into a single connection.

도 41은 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내벽지주부재(7)의 4~5개를 단위로 하여, 이들을 긴 PC강봉(266a)을 사용하여 연결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긴 PC강봉(266a)의 양단부분은 나사축부(267,267)로 되어 있으며, 상기 긴 PC강봉(266a)이 예를 들면 5개의 내벽지주부재(7,7,7,7,7)의 각각에 형성한 삽입관통공(265)에 삽입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축부(267,267)의 앞쪽부분이, 상기 입면에 형성된 요홈부(270,270)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부(267,267)에 너트(271,271)가 나사결합되어 조여짐으로써 소정개수의 내벽지주부재(7) 전체가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져 있다.FIG. 41 shows an example thereof, and shows a state in which 4 to 5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s 7 are united using a long PC steel bar 266a. As shown in Fig. 41B, both ends of the long PC steel bar 266a are screw shaft portions 267 and 267, and the long PC steel bar 266a is formed of, for example, five inner wall holding members ( I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65 formed in each of 7, 7, 7, 7, 7, and 7,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crew shaft portion (267, 267)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s (270, 270) formed in the elevation. In this state, the nuts 271 and 271 are screwed onto the screw shaft portions 267 and 267 and tightened so that the entire number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s 7 is integrally formed.

도 42는 외벽지주부재(9)의 4~6개를 단위로 하여, 그 전체를 긴 PC강봉(266a)을 사용하여 마찬가지 방식으로 연결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과 외벽지주부재(9)과의 연결일체화도 긴 PC강봉(266a)을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일체화할 때, 연결상태를 보다 안정화시키기 위해, 도 41~도 4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270) 내에서 마주보는 상태로 돌출형성된 상기 나사축부(267,267)을 서로 긴 너트(248)로 연결하여, 이웃하는 긴 PC강봉(266a,266a,266b,266b)을 일체화하는 것이 좋다.Fig. 42 shows a state in which four to six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 are united in the same manner using the long PC steel bars 266a as a unit.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and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may be similarly performed using a long PC steel bar 266a. In this manner, when the connection is integrated, the screw shaft portions 267 and 267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recessed portion 270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s in FIGS. 41 to 42 to stabilize the connection state mor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long PC steel bars 266a, 266a, 266b, and 266b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m with the long nuts 248.

도 43은 상기 내벽지주부재(7,7) 상호간이나 상기 외벽지주부재(9,9) 상호간을 1개의 짧은 PC강봉(266b)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짧은 PC강봉(266b)은 내벽지주부재(7)나 외벽지주부재(9)에 그 상하방향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관통공(265)에 삽입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내벽지주부재(7)의 상기 이음면부(31,31)의 길이중앙선을 따라 형성된 연결장홈(254,254)에서 돌출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홈(254)에서 순차적으로 긴 너트(258)로 연결되며, 이와 같이 연결일체화된 짧은 PC강봉(266b)의 양단부분(264,264)에 너트(268,268)가 나사결합되어 조여짐으로써, 소정개수의 내벽지주부재(7)의 전체, 소정개수의 외벽지주부재(9)의 전체가 연결일체화되도록 이루어져 있다.FIG. 43 shows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s 7 and 7 or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 and 9 to each other using one short PC steel bar 266b. The short PC steel bar (266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65 formed 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or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The joint surface grooves 254 and 254 formed along the length center line of the joint surface portions 31 and 31 are protruded. In addition, the nut 268 and 268 are screwed to both ends 264 and 264 of the short PC steel bars 266b, which are connected to the long nut 258 sequentially in the connecting groove 254, and thus, are connected. The whol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inner wall holding members 7 and the whol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outer wall holding members 9 are made to be integrat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저수조(1)에서는 일체로 구성된 상기 외벽지주부재(9)가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이나 상기 저수조 상판부(11), 상기 중간칸막이부(3)가 빔형상체(274)(도 44)로서 기능함으로써, 저수조(1)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토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들로 인해, 상기의 각 외벽지주부재(9)가 토압에 의해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큰 저수조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the water storage tank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ntegrally configured can stably support the earth pressure. In additio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 the reservoir upper plate portion 11,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function as the beam shaped body 274 (Fig. 44), so that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reservoir 1 is applied. Can effectively support the dispersion state. As a result, each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earth pressure, and a water tank having a high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can be constructed.

또한, 이러한 구성의 저수조에서는 입설된 하측지주부재(13)의 상측을,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방공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함에 앞서, 넓은 작업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상기 중간슬라브(10)를 장애없이 용이하게 가설할 수 있으며, 이로써 중간칸막이부(3)를 능률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입설상태로 연결하는 것인데, 이 입설(立設)시공은 상기 중간칸막이부(3)를 기반으로 하여 능률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water storage tank of such a structure, since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ide holding member 13 built in can be set as a release spa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efore carrying out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n a wide operation | work, By securing a space, the intermediate slab 10 can be easily hypothesized without obstacles, thereby allowing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to be efficiently constructed. Thereafter,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state, which is efficiently constructed based on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You can do it safely.

덧붙여, 상기 하측지주부재(13)를 입설한 상태에서 또한 중간슬라브(10)를 가설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하측지주부재열(32,32) 사이의 공간부분(272)(예를 들면 도 24)을 철근이나 레미콘 등의 자재임시적치장으로서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간칸막이부(3)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상면(273)(도 3, 도 27)에 넓은 자재임시적치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s placed, and before the intermediate slab 10 is laid, the space portion 272 between the adjacent lower supporting member rows 32 and 32 (for example, FIG. 24) can be utilized as temporary temporary storage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nd ready-mixed concrete, and after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is formed, the upper surface 273 (FIGS. 3 and 27)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is wide. Material temporary storage can be formed.

또한, 상기 공간부분(272)이나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상면(273)에 넓은 시공관리실을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칸막이부(3)의 상면(273)은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할 때에, 상측지주부재(16)를 연결하지 않는 부분을 적당히 만듦으로써, 상기 상면(273) 위의 적당한 곳에, 시공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한 넓은 자재임시적치장이나 넓은 시공관리실을 마련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 large construction management room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273 of the space portion 272 or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The upper surface 273 of the middle partition portion 3 does not connect the upper holding member 16 whe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state. By appropriately making the part, it is also easy to provide a wide material temporary storage space or a large construction management room for facilitating construction at a suitable place on the upper surface 273.

또한, 빔형상체(274)로서 기능하는 상기 중간칸막이부(3)에는 이웃하는 상기 절결개구부(177,177)의 합치에 의해 커다란 점검용 개구부(20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는 저수조 바닥부(275)(도 5~도 6)의 토사의 퇴적상태 등을 점검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상기 연결판부(180)(도 4)의 위 등을 보행하여,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를 통해 저수조 바닥부(275)의 토사의 퇴적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행시의 안전 확보를 위해, 상기 연결판부(180)의 양측 등에 굴러떨어짐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 large inspection opening 201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serving as the beam-shaped body 274 by the matching of the cutout openings 177 and 177 adjacent thereto. It can be used when checking the sedimentation state of the soil of the reservoir bottom part 275 (FIGS. 5-6). The worker walks on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180 (FIG. 4)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and the like, and checks the sedimentation state of the reservoir bottom portion 275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201. You can do it.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safety during the walking, it is good to provide a fall prevention measur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te 180.

또한,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는 도 4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저수조부(5,6)를 연통시켜 물이나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하측 저수조부(6)로의 물 유입시에,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를 통해 상측 저수조부(5)로의 공기빠짐이 원활하게 도모되기 때문에, 하측 저수조부(6)로의 물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하측 저수조부(6)에서의 물 이동은 상기 하측 연통개구부(47)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측 저수조부(6)가 꽉 찬 후에는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를 통해, 상측 저수조부(5)로의 물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측 저수조부(5)에서의 물 이동은 상기 상측 연통개구부(46)를 통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spection opening 20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and lower reservoirs 5 and 6,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45, to allow movement of water or air. When the water flows into the lower reservoir 6, air is discharged smoothly into the upper reservoir 5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201,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lower reservoir 6 smoothly. It can be done. Then, the water movement in the lower reservoir 6 is made through the lower communication opening 47. After the lower reservoir 6 is full,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ervoir 5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201. Water movement in the upper reservoir (5) is made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46).

또한, 상기 제 2 중간슬라브(10b)는 상기 절결개구부(177)가 마련되어 있는 분만큼 철근이나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비용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콘크리트나 철근량을 삭감한 분만큼 경량이 되므로 그 취급성도 좋아진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can reduce the amount of rebar and concrete used by the cutout opening 177,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concrete and steel is reduced. As it becomes light by one person, the handleability improves, too.

상기 중간칸막이부(3)는 상기와 같이 빔형상체(274)로서의 기능 외에, 상기와 같이 점검작업자의 통로로서도 기능하며,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를 통해 저수조 비딕부(275)의 토사 퇴적상태 등의 점검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도 갖는 것인데, 상기 중간칸막이부(3)를 절결개구부(177)가 형성된 상기 제 2 중간슬라브(106b)만으로 구성할 때에는 저수조(1)의 강도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also functions as a passage of an inspection worker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beam shape 274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dimentation state of the reservoir tank Dick portion 275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201. Wh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is composed of only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6b in which the cutout opening 177 is formed, the strength of the reservoir 1 is insufficient. There is.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칸막이부(3)의 양측부분(199,199)에서는 절결개구부(17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 판상의 제 1 중간슬라브(10a)만을 가설하기로 하며, 상기 양측부분(199,199) 사이(200)에서만 제 2 중간슬라브(10b)를 가설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빔형상체(274)로서의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어, 저수조(1)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서의 토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저수조(1)의 강도를 필요에 따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칸막이부(3)의 양측부분(199,199)에서의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상기 연장방향 F1(도 4)에서 본 병렬배치열(268)의 수는 상기 끝면판부(203)를 구성하는 외벽지주부재(9)에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설정한다. 도 4에서는 제 1 중간슬라브(10)의 병렬배치열의 수를 4열로 하고 있는데, 3열 또는 5~6열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only the first rectangular slab 10a having a rectangular plate without the cutout opening 177 is formed at both sides 199 and 199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is hypothesized only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199 and 199. As a result, the function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as the beam shaped body 274 can be more effectively exerted, so that the earth press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Strength can be secured as needed. In addition, the number of parallel arrangement rows 268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at both side portions 199 and 199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seen in the extension direction F1 (FIG. 4) is the end plate portion 203. In consider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constituting the) is set as necessary. In FIG. 4, the number of parallel arrangement rows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 is four rows, but it can also be set to three rows or 5 to 6 columns.

이어,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 중간칸막이부(3)가 갖는 빔형상체(274)의 기능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측면판부(188)를 구성하는 양 외측단의 외벽지주부재열(39,39)을 구성하는 각 외벽지주부재(9)는 도 4,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상기 연장방향(F1)으로 직선형태로 연속하는 연속지지측면(276)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각 외벽지주부재(9)의 내면부(277)는 그 전체폭에 걸쳐 상기 연속지지측면(276)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Next, the function of the beam-shaped body 274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art 3 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First, each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s 9 constituting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39 and 39 at both outer ends constituting the side plate portion 188 is the intermediate partition 3 as shown in FIGS. It is supported by the continuous support side surface 276 continuous in a straight line in the extension direction F1. Thus, the inner surface portion 277 of each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s stably supported by the continuous supporting side surface 276 over its entire width.

덧붙여, 상기 중간칸막이부(3)에는 상기 연장방향(F1)과 직교하는 방향(F2)으로 직선형태로 연속함과 아울러 그 양단부(278,278)가 상기 양 외벽지주부재열(39,39)의 내면부(외벽지주부재(9)의 내측면)(277)에 접촉하는 제 1 판상연속빔부(279)가 상기 중간슬라브(10) 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판상연속빔부(279)는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양측부분(199,199)에서는 직사각형 판상의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전체로 이루어져서, 빔형상체(274)로서 기능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is continuous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F2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F1, and both ends 278 and 278 ar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39 and 39. The first slab continuous beam portion 279 in contact with the portion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upport member 9) 277 is constituted by the intermediate slab 10 itself. The first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ortion 279 is composed of the entirety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both side portions 199 and 199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to function as a beam-shaped member 274.

한편, 상기 양측부분(199,199) 사이(200)에서는 상기 제 1 판상연속빔부(279)는 상기 제 2 중간슬라브(10b)의,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연장방향(F1)과 직교하는 방향(F2)으로 긴 상기 각 연결판부(180)와, 상기 지지대부(50)(도 18)와, 상기 간극부분(196)에서의 충전재(107)의 경화물(280,280)(도 18)이, 상기 직교하는 방향(F2)으로 직선형태로 늘어섬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양측의 외벽지주부재열(39,39)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토압은 상기 연장방향(F1)으로 나란히 설치된 상기 제 1 판상연속빔부(279)의 병렬체(281)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199, 199), the first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ortion 279 is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F1)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of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Each of the connecting plate portions 180, the support base portions 50 (FIG. 18), and the cured products 280 and 280 (FIG. 18) of the filler 107 in the gap portion 196 are elongated in the direction F2. It is comprised by extending | stretching in linear form in the said orthogonal direction F2. Thus,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39 and 39 on both sides is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parallel body 281 of the first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ortion 279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F1. Will be.

도 4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 1 판상연속빔부(279)의 직선형상의 연장방향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연통개구부(46)를 상기 내벽지주부재열(32)의 단부측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단위저수조(2)로 작업자가 이동할 때, 제 1 중간슬라브(10a)를 가설하여 구성된 평탄한 상기 양측부분(199,199)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FIG. 44, the straight extension direction of the said 1st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art 279 i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 and 44, since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46 is provided at the end sid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2, the worker in the neighboring unit reservoir 2 When moving, it is possible to safely move in the flat both sides (199, 199)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또한, 상기 끝면판부(203)를 구성하는 양측의 외벽지주부재열(184,184)은 상기 중간칸막이부(3)의, 상기 연장방향(F1)과 직교하는 방향(F2)으로 직선형태로 연속하는 연속지지측면(282,282)으로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연장방향(F1)으로 직선형태로 연속함과 아울러, 그 양단부(283,283)가 상기 외벽지주부재열(184,184)의 내면부(285,285)에 접촉하는 제 2 판상연속빔부(28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2 판상연속빔부(286)에는 상기 내벽지주부재 병렬체(33)가 구성하는 것과 상기 중간칸막이부(3)가 구성하는 것의 2종류가 있다. 이 중, 상기 중간칸막이부(3)가 구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의 빔형상부(289,289)와, 그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방향(F1)으로 병렬로 배치된 상기 광폭부(181,181)가 형성하는 중간 빔형상부(290,290)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 2 판상연결빔부(286)의 직선형상의 연장방향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Further,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184 and 184 on both sides of the end plate portion 203 are continuous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F2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F1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side surfaces 282 and 282. In addition, a second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ortion 286 which is continuous in a straight line in the extending direction F1 and whose both ends 283 and 283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portions 285 and 285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s 184 and 184 is provided. have. There are two types of the second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ortion 286 that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33 constitutes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constitute. Among these,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constitutes the beam-shaped portions 289 and 289 on both sides formed by the entirety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and the extension direction F1 formed therebetween. And the intermediate beam shaped portions 290 and 290 formed by the wide portions 181 and 181 arranged in parallel. In FIG. 44, a straight lin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shaped connecting beam portion 286 is indicated by a dashed lin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칸막이부(3)의 양측부분(199,199)에서는 절결개구부(17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 판상의 제 1 중간슬라브(10a)만을 가설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양측의 외벽지주부재열(184,184)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토압의 많은 부분을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열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both side portions 199 and 199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assume that only the first rectangular slab 10a of the rectangular plate having no cutout opening 177 is hypothesized, the outer wall supports on both sides are provided. More preferably, a large portion of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member rows 184 and 184 can be supported by the rows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s 10a.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내에서 여러 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그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 example is as follows.

(1) 도 47~도 47, 도 48~도 49, 도 50~도 51은 하단부분(96)에 상기 슬리브(97)를 매설하여 이루어진 상측지주부재(16)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1) FIGS. 47-47, 48-49, and 50-51 show another aspect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6 formed by embedding the said sleeve 97 in the lower part 96. FIG.

도 46~도 47에 나타낸 상측지주부재(16)는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좌우 입면(22, 23)의 하부 양측에 위치시켜 측부지지편(291,291,291,291)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측부지지편(291)은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93,293)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293,293)의 내측면(295,295)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측면(72,73)의 상단부분에 거의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93,293)의 하면(296,296)이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의 수평인 상면(52)에 올려놓여지는 평활한 수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holding members 16 shown in FIGS. 46 to 47 are position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22 and 23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so that the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and 291 are formed with the upper wall portion 81. It is integrally formed. Each side support piece 291 has protrusions 293 and 293 protruding below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and the inner surfaces 295 and 295 of the protrusions 293 and 293 are the support portions 50. It is made to almost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2, 73).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s 296 and 296 of the protrusions 293 and 293 ar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horizontal surface which is placed o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52 of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그리고,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할 때에는,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서 돌출형성된 수직접합근(95)이 상기 슬리브(97)의 삽입공(9)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매달아 내린다. 이와 같이 매달아 내리면,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가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접촉하며 또한 좌우 돌출부(293,293)의 하면(측부지지편(291,291)의 하면)(296,296)이 좌우의 상부슬라브(12,12)의 끝부분(20,20)의 수평인 상면(52,52)에 접촉하도록, 상기 측부지지편(291,291)이 상기 좌우의 끝부분(20,20) 위에 올려놓여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93,293)의 내측면(295,295)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 측면(72,73)의 상단부분에 거의 접촉상태가 된다. 좌우의 측부지지편(291,291,291,291)의 이러한 위치규제작용에 의해, 상측지주부재(16)는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입설되게 된다. 그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지지대부(50)와 상기 끝부분(20)의 수직인 끝면부(195)와의 사이의 간극부분(196)에 무수축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한다.Whe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state, as shown in FIG. 47, it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upporting part 50.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hung so that the formed vertical joint 9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 of the sleeve 97.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7,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contacts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 portion 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293 and 293 (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so that the lower surfaces of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296 and 296 contact the horizontal upper surfaces 52 and 52 of the ends 20 and 20 of the left and right upper slabs 12 and 12. The left and right ends 20, 20 are placed on. The inner surfaces 295 and 295 of the protrusions 293 and 293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2 and 73 of the support 50. By this position control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291,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placed in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The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filler 107 such as non-condensed mortar or grout is placed in the gap portion 196 between the support portion 50 and the vertical end surface portion 195 of the end portion 20. To charge.

도 48~도 49는 상측지주부재(16)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좌우 입면(22,23)의 하부 양측에 위치시켜 측부지지편(291,291,291,291)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중간받침부(21a, 21a)로 지지되는 중간슬라브(10,10)의 끝부분(20,20)의 끝면부(195,195)가 수직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점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다른 것은 상기 측부지지편(291)의 하면(296)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와 동일 높이의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48 to 49 show other aspects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wherein the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and 291 are position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22 and 23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End portions 20 of the intermediate slabs 10 and 10 which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ll portion 81 and are supported by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portions 21a and 21a formed on the lower support members 13. The end surfaces 195 and 195 of the 20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ne as above. Another point is that the lower surface 296 of the side support piece 291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lane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그리고,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에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할 때에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서 돌출형성된 수직접합근(95)이 상기 슬리브(97)의 삽입공(99)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매달아 내린다. 이와 같이 매달아 내리면,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가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가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를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끝부분(20)의 상면(52)과 상기 수평한 하면(296)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좌우의 높이조정간극(310,310)에, 도 4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라이너 플레이트(311)를 필요한 개수만큼 삽입함으로써,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수직상태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지지대부(50)와 상기 끝부분(20)의 끝면부(195)와의 사이의 간극부분(196)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한다.And, when connecting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state, as shown in Figure 49, the vertical contac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 50 Suspending the upper holding member 16 so that the proximal 9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9 of the sleeve 97. When suspend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49, the lower surface part 87 of the said upper side wall part 81 contacts the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aid support stand 50.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contacts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 portion 50. In this state,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upport base 50, the upper surface 52 of the end portion 20 and the horizontal In the left and right height adjustment gaps 310 and 310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296, as shown in FIG. 49 (B), by inserting the necessary number of liner plates 311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upper holding member The vertical state of (16) can be adjusted. Thereafter, the gap portion 196 between the support portion 50 and the end surface portion 195 of the end portion 20 is filled with a filler 107 such as non-condensed morta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도 50~도 51은 상측지주부재(16)의 기타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측 입벽부(81) 좌우의 입면(22,23)의 하부 양측에 위치시켜 측부지지편(291,291,291,291)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점은 도 46~도 47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인데, 상기 측부지지편(291,291)의 구성이 상기와 다르다. 즉, 상기 상측지주부재(16)는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마련된 제 1 중간받침부(21a, 21a)로 지지되는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의 끝면부(195)가, 도 46~도 47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수직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측 수직면(297)의 상단가장자리(299)에서, 바깥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300,300)이 연결설치된 굴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맞춰 상기 좌우의 측부지지편(291,291)은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좌우의 돌출부(301,301)의 외면(302,302)이, 상기 좌우의 경사면(300,300)과 접촉할 수 있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지주부재(16)가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를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접촉시킨 매달아 내린 상태에서, 상기 좌우 돌출부(301,301)의 내측면(305,305)이 상기 지지대부(50)의 좌우 측면(72,73)에 거의 접촉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좌우 돌출부(301,301)의 하면(306,306)이 상기 하측 수평재치면(75,75)으로부터 떠오른 상태에 있다.50 to 51 show other aspects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wherein the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and 291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s 22 and 23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mouth wall 81. The point of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ll part 81 is the same as the case shown in FIGS. 46-47, but the structure of the said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differs from the above. That is,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the end of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which is supported by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a, 21a) provided on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The inclined surfaces 300 and 300 inclined upwardly outward from the upper edge 299 of the lower vertical surface 297 are no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rtical surface as shown in FIGS. 46 to 47.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surface installed.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have the outer surfaces 302 and 302 of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301 and 30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that can contact with.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301 and 301 are suspend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holding member 16 contacts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with the upper end surface 51 of the support stand 50. The inner surfaces 305 and 305 of the support portions 50 ar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2 and 73, and the lower surfaces 306 and 306 of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301 and 301 are lower horizontally mounted surfaces 75 and 75. It is in a state of rising from.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측부지지편(291,291)의, 상기 경사면(300)의 상단 가장자리(307)에 늘어선 수평하면(309)은 상기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의 수평한 상면(52)의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20mm정도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를 상기 지지대부(50)의 상단면(5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끝부분(20)의 상면(52)과 상기 수평하면(309)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좌우의 높이조정간극(310,310)에, 소정 두께의 라이너플레이트를 필요한 개수만큼 삽입함으로써,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수직상태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지지대부(50)와 상기 끝부분(20)의 끝면부(195)와의 사이의 간극부분(196)에, 상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한다.Further, in this state, the horizontal surface 309 of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lined with the upper edge 307 of the inclined surface 300 is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It is located slightly above 52. For example, it is located about 20mm upwards. Then,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51 of the support stand 50, the upper surface 52 of the end portion 20 and the horizontal surface ( By inserting the required number of liner plates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to the left and right height adjustment gaps 310 and 310 formed between 309, the vertical state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can be adjusted. Thereafter, the gap portion 196 between the support portion 50 and the end surface portion 195 of the end portion 20 is filled with a filler 107 such as non-condensed morta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2) 도 52~도 53, 도 54~도 55, 도 56~도 57, 도 58~도 59는 상기와는 반대로,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부분(312)에 슬리브(97)를 매설하고, 상측지주부재(16)의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에서 돌출형성된 수하접합근(313)을 대응하는 슬리브(97)의 삽입공(99)에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2) FIGS. 52 to 53, 54 to 55, 56 to 57, and 58 to 59, the sleeve 97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312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contrast to the above. It shows the case of embedding the submerged joint 31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nto the insertion hole 99 of the corresponding sleeve 97. will be.

도 52~도 53에 나타낸 상측지주부재(16)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거의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리브(97)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에 수하접합근(313)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상기 수하접합근(313)을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슬리브(97)의 삽입공(99)에 삽입하도록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매달아 내리고, 상기 하면부(87)를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상기 상단(15)에 입설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upper holding member 16 shown in FIGS. 52-53 is comprised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7, but does not have the said sleeve 97, and it loads on the lower surface part 87 of the upper wall part 81. The apex 313 differs in that it protrudes. The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suspended to insert the drooping joint 313 into the insertion hole 99 of the corresponding sleeve 97,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is lowered.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placed on the upper end 15 by placing it on the upper end 15 of the support member 13.

도 54~도 55에 나타낸 상측지주부재(16)에서는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좌우 입면(22,23)의 하부 양측에 위치시켜 측부지지편(291,291,291,291)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측부지지편(291,291)의 하면(296)은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의 상방에 위치시켜 설치된 수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하접합근(313)이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슬리브(97)의 삽입공(99)에 삽입하도록,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매달아 내리고, 좌우의 측부지지편(291,291)의 하면(296,296)을 좌우의 상기 중간슬라브(10,10)의 끝부분(20,20)의 수평한 상면(52,52)에 접촉시키면, 상기 좌우의 측부지지편(291,291)의 위치규제작용에 의해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할 수 있다.I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shown in FIGS. 54 to 55, the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and 291 are position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22 and 23 of the upper wall portion 81, so that the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291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wall portion 81. It is integrally formed. The lower surface 296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shape which is located above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1. The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hung so that the submerged joint 31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9 of the corresponding sleeve 97 as shown in FIG. 55,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When the lower surface (296, 296) of th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52, 52) of the ends (20, 20) of the left and right intermediate slab (10, 10), the position control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ieces (291, 291) By the actio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can be placed in a standing position.

도 56~도 57에 나타낸 상측지주부재(16)는 좌우에 위치하는 중간슬라브(10,10)의 끝면부(195,195)가 하측 수직면(316)의 상단가장자리(317)에서, 바깥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319,319)을 연결한 구성을 갖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좌우 입면(22,23)의 하부 양측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는 측부지지편(291,291,291,291)은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면(296)이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면부(87)는 수평한 상기 상단(15)에 접촉하는 수평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부분의 좌우 외면(320,320)은 상기 경사면(319,319)에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319,319)의 상단가장자리(65,65)에 상기 하면(296,296)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상기 측부지지편(291,291)의 상기 외면(320,320)을 상기 끝부분(20,20)의 경사면(319,319)에 접촉시킨 매달아 내린 상태에서, 상기 수평한 하면(296)과 상기 끝부분(20)의 상면(52)과의 사이에 높이조정간극(31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우의 높이조정간극(310,310)에, 소정 두께의 라이너플레이트(311)를 필요한 개수만큼 삽입함으로써,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입설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I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shown in FIGS. 56 to 57, the end face portions 195 and 195 of the intermediate slabs 10 and 1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upwardly upward from the upper edge 317 of the lower vertical surface 316. This is used when the inclined surfaces 319 and 31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57, the side support pieces 291, 291, 291, 29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urfaces 22, 23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1 have a lower surface 296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1.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is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upper end 15, and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320 and 320 of the lower portion thereof are inclined surfaces 319 and 319. The lower surfaces 296 and 296 are connected to upper edges 65 and 65 of the inclined surfaces 319 and 319. The horizontal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suspen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320 and 320 of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to the inclined surfaces 319 and 319 of the end portions 20 and 20. 296 and the height adjustment gap 31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52 of the end portion 20. By inserting the necessary number of liner plates 311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to the left and right height adjustment gaps 310 and 310, the upper holding member 16 can be placed on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t consists of.

도 58~도 59는 상기와 거의 비슷하게 구성된 좌우의 측부지지편(291,291)을 갖는 상측지주부재(16)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좌우의 수평하면(296,296)을 좌우의 끝부분(20,20)의 수평한 상면(52,5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부지지편(291,291)을 상기 끝부분(20,20)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상측 입벽부(81)의 하면부(87)가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수평한 상단(15)으로부터 약간 떠오른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측지주부재(16)가 입설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58 to 59 are directed to an upper holding member 16 having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configured substantially similarly to the above, where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surfaces 296 and 296 of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20 and 20 are shown. When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are placed on the end portions 20 and 20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upper surfaces 52 and 52, the lower surface portion 87 of the upper mouth wall portion 81 is It is made to rise slightly from the horizontal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this state,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configured to be in a standing position.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97)를 하측지주부재(13)에 마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97)의 삽입공(99)에 미리 충전재(107)를 충전해 두고, 상기 수하접합근(313)을 상기 삽입공(99)에 삽입시킬 수 있다. 기타, 예를 들면 도 53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97)의 측부 상하단측에 형성한 상하의 개구와 연통하도록 상하의 연통공(103,105)을 형성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하측 연통공(105) 아래의 개방단으로부터 슬리브(97)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107)를 충전하고, 상측 연통공(103) 위의 개방단으로부터 충전재가 유출한 것을 보고, 상기 슬리브(97) 내에 충전재(107)가 충전된 것을 확인하며, 그 후, 상하의 연통공(103,105)의 상하 개방단을 마개로 막도록 할 수도 있다. 슬리브(97)를 하측지주부재(13)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측지주부재(13)의 좌우 입면(17,19)의 상부에 중간받침부(21,21)를 형성하는 관계상, 상하의 연통공(103,105)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지주부재(16)에 슬리브(9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상하의 연통공(103,105)의 길이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연통공의 가공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측부지지편(291,291)이 돌출형성되는 경우이더라도, 상기 측부지지편(291,291)이 존재하는 장소를 적극적으로 피하여 슬리브(97)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하 연통공(103,105)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leeve 97 is provided in the lower holding member 13, the filler 107 is filled in advance into the insertion hole 99 of the sleeve 97,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drooping joint 313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9. In addition, for example, as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53,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and 105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eeve 97, an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Filling material 107 such as non-shrink mortar or grout in the sleeve 97 from the open end below, and seeing that the filler flowed out from the open end on the upper communication hole 103, the sleeve 97 ), The filler 107 is confirmed, and then the top and bottom open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and 105 may be plugged. In the case where the sleeve 97 is formed on the lower holding member 13,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so that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arts 21 and 21 are formed. Although the length of the 103 and 105 is inevitably long, as shown in FIG. 18, when the sleeve 97 is formed i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ng holes 103 and 105 can be set shor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rocessing cost of the communication hole. Even when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are protruded as described above, the sleeve 97 may be provided by actively avoiding the place where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exist, and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and 105 may be formed. This can be done more easily.

(3) 상측지주부재(16)가, 상기와 같이 측부지지편(291,291)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경우일지라도, 도 31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측지주부재(16)를 좌우의 서포트장치(204,204)로 지지하는 일도 있다.(3) Even whe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formed by protruding the side support pieces 291 and 291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1, the upper holding members 16 support the left and right support devices 204 and 204. I may support it.

(4) 도 60은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한 후, 세로방향의 PC강봉(321)을 사용하여, 상하의 너트(322a, 322b)를 조여서 연결일체화한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PC강봉(321)은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부분을 이루는 나사축부(323)가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입면의 요홈부(304)에서 너트(322b)로 고정됨과 아울러, 그 상측부분(325)이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상측부분(325)이, 상기 상측지주부재(16)에 형성된 하단개방의 삽입공(327)에 삽입되며, 그 상단부분을 이루는 나사축부(329)가, 상기 상측지주부재(16)의 입면에 형성한 요홈부(314)에 너트(322a)로 고정됨으로써,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가 입설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측지주부재(13)와 상측지주부재(16)는 앵글형 연결부재 등의 연결쇠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4) Fig. 60 shows the upper and lower nuts 322a and 322b using the PC steel rod 3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placed on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the case of tightening the connection. As shown in FIG. 60, the PC steel bar 321 is fixed with a nut 322b in the recess 304 of the inlet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the screw shaft portion 323 forming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The upper portion 325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The protruding upper portion 325 is inserted into the lower opening insertion hole 327 formed in the upper holding member 16, and the screw shaft portion 329 constituting the upper portion is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he upper hold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in a standing state by being fixed to the recess 314 formed on the raised surface of the upper holding member 15. In addition, the lower holding member 13 and the upper holding member 16 may be connected by using a hinge such as an angled connecting member.

(5)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조형 저수조(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내벽지주부재 병렬체(33)의 선택된 1열 또는 복수열의 내벽지주부재열(32a)과 관련하여, 이를 구성하는 내벽지주부재(7) 전부를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상단(15)에 상측지주부재(16)를 입설상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분할형의 것(7a)(도 8)을 사용하며, 그 나머지 내벽지주부재(7b)는 예를 들면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5) Fig. 6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and lower two-screw tan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a of the selected one row or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ies 33 are shown. In connection with this, the bi-divided type 7a formed by connecting all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s 7 constituting the upper holding members 16 to the upper end 15 of the lower holding members 13 in a standing state. 8), the res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b is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as shown in FIG. 61, for exampl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좁은 시공현장에서도, 예를 들면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넓은 자재임시적치장(98a)이나 넓은 시공관리실(198b)을 시공공간부에 바람직한 분산상태로 마련할 수 있어 시공능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even in a narrow construction site, as shown in FIG. 6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도 62는 선택된 내벽지주부재열(32a)을 구성하는 내벽지주부재(7)의 일부를 이분할형의 내벽지주부재(7a)를 사용하여 구성한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중간칸막이부(3)가 예를 들면 도 3~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부분(199,199)에서는 직사각형 판상의 제 1 상기 중간슬라브(10a)을 가설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양측부분 사이(200)에서는 상기 절결개구부(177,177)가 형성된 중간슬라브(10b)를 가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절결개구부(177)가 형성된 중간슬라브(10b)를 배설한 부분에서는 상기 절결개구부(177)가 존재하는 부부에서 상기 걸림고정부재(206)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내벽지주부재(7)를 구성하는 상측지주부재(16)를 도 30~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장치(204)로 임시지지하는 것이 어렵다. 때문에, 상기 중간슬라브(10b)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전체가 일체로 구성된 내벽지주부재(7b)를 입설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판상의 상기 중간슬라브(10a)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상측지주부재(16)를 도 31~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장치(204)로 임시로 지지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중간슬라브(10)의 가설 용이성도 고려하여, 상기 이분할형 내벽지주부재(7a)를 입설하는 일이 있다.FIG. 62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ar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s 7 constituting the selected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32a is formed using the dividing inner wall holding members 7a. The middle partition portion 3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to 4, both sides 199 and 199 are constructed by hypothesizing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etween the two parts 200, the notch openings 177 and 177.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intermediate slab 10b.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hook fixing member 206 cannot be mounted in the couple where the cutout opening 177 is disposed in the portion where the cutout opening 177 is formed, the intermediate slab 10b is disposed. It is difficult to temporarily support the upper holding member 16 constituting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7 with the support device 204 as shown in Figs. Therefore, in the place where the said intermediate slab 10b exists, the inside wall holding member 7b which may be integrated with the whole may enter. In the place where the intermediate slab 10a on the rectangular plate exists, it is easy to temporarily support the upper holding member 16 with the support device 204 as shown in Figs.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installation of the intermediate slab 10, the bi-divided inner wall holding member 7a may be placed.

(6)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조형 저수조(1)는 상기 끝면판부(203)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나 현장타설 콘크리트제의 평판형 끈면판으로 구성하는 일도 있다.(6) In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face plate portion 203 may be formed of a flat string plate made of precast concrete or cast-in-place concrete.

(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1)의, 상기 끝면판부(203)의 형태는 시공현장의 지형에 따라서는 상방에서 볼 때 직선형상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63~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형상을 띠도록 구성되는 일도 있다. 혹은, 저수조(1)의 상방에서 볼 때의 외형(338)이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형 등으로 구성되는 일도 있다. 혹은 저수조(1)의 상방에서 볼 때의 외형이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형 등으로 구성되는 일도 있다. 도 63~도 65에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구성부분에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32,32a,33,39,188,203)를 붙였다.(7)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nd face plate portion 203 of the reservoi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traight line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depending on the topography of the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shown in FIGS. 63 to 64.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ep shape. Alternatively, the outer shape 338 when viewed from above the reservoir 1 may be configured as a 'c' shap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appearance when viewed from above the water storage tank 1 may be composed of a 'c' shap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63 to 6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32, 32a, 33, 39, 188 and 203 are denoted by the sam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8)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에는 상기한 제 1, 제 2 판형연속빔부(279,286)의 구성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의 상기 연장방향(F1)에서 본 양측부분에서의 공기빠짐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독립상태의 공기빠짐 개구부(340a)가 적절히 형성되는 일이 있다. 이 공기빠짐 개구부(340a)는 예를 들면 직경 150mm의 원형공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의 상기 연장방향(F1)에서 본 측부에 절결부(33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장방향(F1)에서 이웃하는 제 1 중간슬라브(10a,10a) 사이에 공기빠짐 개구부(340b)를 형성하는 일도 있다. 또한, 이들 공기빠짐 개구부(340a,340b)는 저수조 바닥부(275)를 점검하기 위한 개구부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8)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has no problem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haped continuous beam portions 279 and 286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n order to more smoothly deflate the air from both sides as seen from F1), an independent air deflecting opening portion 340a may be appropriately formed. The air bleed opening 340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hole having a diameter of 150 mm, for exampl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7, by forming the notch 332 at the side of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in the extending direction F1, the first intermediate slab adjacent to the extending direction F1 ( The air bleeding opening part 340b may be formed between 10a and 10a. These air bleed openings 340a and 340b can also be used as openings for checking the reservoir bottom 275.

(9) 도 68~도 71은 상기 제 2 중간슬라브(10b)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8에 나타낸 제 2 중간슬라브(10b)에서는 그 일측부분에만 절결개구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도 69에 나타낸 제 2 중간슬라브(10b)에는 상기와 같은 절결 개구부(177)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개구부(3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0에 나타낸 제 2 중간슬라브(10b)는 상방에서 볼 때 H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광폭부(181,181)가 서로 직선형상의 연결판부(180)로 연결되어 있다. 도 71에 나타낸 제 2 중간슬라브(10b)에서는 상기 연장방향(F1)과 직교하는 방향(F2)에서 이웃하는 독립개구부(341,341)가 중간연결판부(342)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연결판부(342)에는 그 상면(343)에서 개구하는 인서트(345)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도 71에서는 2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345)는 예를 들면 도 71(B), 7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장치(204)를 구성하는 상기 걸림고정부재(206)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볼트(210)를 나사결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345)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 위치의 인서트(345)를 선택함으로써, 도 7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지주부재(16)와 상기 제 2 슬라브(10b)와의 사이에 상기 서포트축(207)을 무리가 없는 경사상태로 하여 장착할 수 있다.(9) FIGS. 68 to 71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In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shown in FIG. 68, the notch opening 177 is formed only at one side thereof. In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illustrated in FIG. 69, the above-described notch openings 177 are not formed, but independent openings 341 are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shown in FIG. 70 is H-shaped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wide portions 181 and 181 on both side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inear connecting plate portion 180. In the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illustrated in FIG. 71, independent openings 341 and 34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F2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F1 are formed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portion 342.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portion 34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s 345 which are opened at the upper surface 343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four. In FIG. 71, two rows are formed. The insert 345 is fastened to fix the locking member 206 constituting the support device 204, as shown in Figs. 71 (B), 72 (A), and (B),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screw the bolt 210. Since the insert 345 is formed in plural, by selecting the insert 34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s shown in Fig. 72A, the upper holding member 16 and the second slab 1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upport shaft 207 can be mounted in an inclined state without difficulty.

(10)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측부분 사이(200)에서, 절결개구부(177)나 독립개구부(335)를 갖는 제2 중간슬라브(10b)를 가설하고 있는데, 상기 점검용 개구부(201)를 통해 저수조 바닥부(275)의 점검을 할 수 있는 한,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중간슬라브(10a)를 가설하는 일도 있다.(10) In the above embodiment,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200, a second intermediate slab 10b having a cutout opening 177 or an independent opening 335 is hypothesized,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201. As long as the reservoir bottom 275 can be inspected, the first intermediate slab 10a may be partially installed.

(11) 직사각형을 띠는 상기 제 1, 제 2 중간슬라브(10a,10b)에는 상기한 직사각형 판상을 띠는 것 외에, 정사각형 판상을 띠는 것도 포함된다.(11) The rectangular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slabs 10a and 10b include not only the rectangular plate shape described above but also a square plate shape.

(12) 도 73은 이분할형 내벽지주부재(7)의 상기 제 1 중간받침부(21a)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74는 일체형의 내벽지주부재(7)의 중간받침부(21a)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5는 외벽지주부재(9)의 제 2 중간받침부(21b)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12) FIG. 7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21a of the two-divided inner wall holding member 7, and FIG. 74 shows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a of the integral inner wall holding member 7. As shown in FIG. Another aspect of the is shown. 7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21b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13) 도 76은 지수재(189)가 부착된 상측지주부재(16)를 나타낸 것이며, 도 77~도 79는 지수재(189)가 부착된 외벽지주부재(16)를 나타낸 것이다.(13) FIG. 76 shows the upper holding member 16 to which the water stopper 189 is attached, and FIGS. 77 to 79 show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16 to which the stopper 189 is attached.

(14) 상기 중간칸막이부(3)는 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저수조를 구축할 수 있는 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중간슬라브가 생략되는 일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경우에, 단위저수조(2)의 1열 또는 복수열에 대해 부분적으로 중간슬라브가 생략되는 일이 있다.(14)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may be omitted, in whole or in part,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build a reservoir that can resist earth pressure. 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in FIG. 4, the intermediate slab may be partially omitted for one row or a plurality of rows of the unit reservoir 2.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사용하는 중간슬라브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그 가설을 위한 시공수고를 삭감할 수 있는 등, 시공경제상 바람직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number of intermediate slabs to be used can be reduced, and construction labor for the construction can be reduced.

(15) 상기 하측지주부재(13)의 대좌부(61)를 구성하는 상기 하측 돌출부(56)(도 7)나, 상기 외벽지주부재(9)의 대좌부(128)를 구성하는 상기 하측 돌출부(116)(도 10)의 각각의 돌출량은 상기 하측지주부재(13)나 상기 외벽지주부재(9)를 기초콘크리트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의 입설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7이나 도 10에 나타낸 경우보다도 크게 하는 일이 있다.
(15) The lower protrusion 56 (FIG. 7) constituting the pedestal portion 61 of the lower holding member 13, or the lower protrusion constituting the pedestal portion 128 of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Each protrusion amount of 116 (FIG. 10) i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tanding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holding member 13 or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9 is plac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It may increase larger than the case shown in FIG.

1 : 저수조 2 : 단위저수조
3 : 중간칸막이부 5 : 상측 저수조부
6 : 하측 저수조부 7 : 내벽지주부재
9 : 외벽지주부재 10 : 중간슬라브
11 : 저수조 상판부 12 : 상부슬라브
13 : 하측지주부재 15 : 상단
16 : 상측지주부재 20 : 중간슬라브의 끝부분
21 : 중간받침부 25 : 상부받침부
27 : 상부슬라브의 끝부분 32 : 내벽지주부재열
33 : 내벽지주부재 병렬체 37 : 이음면부
39 : 외벽지주부재열 40 : 외벽 포위 프레임체 43 : 하측 단위저수조부 44 : 저수조 상판부 45 : 상측 단위저수조부 46 : 상측 연통개구부 47 : 하측 연통개구부 50 : 지지대부 51 : 상단면 75 : 하측 수평재치면 76 : 접합용 볼트 79 : 인서트 92 : 상측 수평재치면 95 : 수직접합근 97 : 슬리브 107 : 충전재 125 : 이음면부 135 : 상측 수평재치면 141 : 하측 수평재치면 177 : 절결개구부 187 : 하측지주부재열 189 : 지수재 190 : 하측지주부재 병렬체 196 : 간극부분 201 : 점검용 개구부 204 : 서포트장치 206 : 걸림고정부재 207 : 서포트축
1: Reservoir 2: Unit Reservoir
3: middle partition part 5: upper reservoir part
6: lower reservoir tank 7: inner wall holding member
9: outer wall holding member 10: intermediate slab
11: reservoir top plate 12: upper slab
13: lower holding member 15: upper
16: upper holding member 20: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21: intermediate bearing portion 25: upper bearing portion
27: end of the upper slab 32: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33: parallel body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37: joint surface portion
39: outer wall holding member row 40: outer wall enclosing frame 43: lower unit reservoir tank 44: reservoir upper plate 45: upper unit reservoir 46: upper communication opening 47: lower communication opening 50: support base 51: upper surface 75: lower horizontal member Tooth surface 76: bolt for joining 79: insert 92: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95: vertical joint 97: sleeve 107: filler 125: joint surface portion 135: upp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41: lower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77: notch opening 187: lower holding member row 189 : Indexing material 190: Lower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196: Gap portion 201: Inspection opening 204: Supporting device 206: Engagement fixing member 207: Support shaft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중간슬라브(10)가 배설됨으로써 중간 칸막이부(3)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상부슬라브(12)가 배설됨으로써 저수조 상판부(11)가 마련되며, 하측 지주부재(13)의 상단에는 상측 지주부재(16)가 입설(立設)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측 지주부재(13) 좌우의 입면(立面) 상부에는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21,21a)가 형성되며, 상측 지주부재(16) 좌우의 입면(立面) 상부에는 상부슬라브(12)의 끝 부분(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상부받침부(25,25a)가 형성되고, 상측 지주부재(16)의 하단부분에는 하측 지주부재(13)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수직접합근(95)의 각각을 삽입시키기 위한 하단 개방의 슬리브(97) 다수가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97)의 측부에는 상단과 하단 측에 각각 개구(101,102)가 형성되고, 상측 지지부재(16)의 하단부분에는 상기 개구(101,102)와 대응되어 연통되도록 하되, 상측 지지부재(16)의 하단부분 외면에서 개방되어 상하단 개구(101,102)와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상하의 연통공(103,10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저수조 구성용 내벽 지주부재에 있어서,
하측 지주부재(13)의 상면부에는 지지대부(50)가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지지대부(50)의 상단에는 상측 지주부재(16)가 입설(立設)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지지대부(50)의 상단면 높이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20)이 중간받침부(21)의 상면에 걸쳐 올려진 상태에서의 높이와 대비시 동일한 높이이거나 또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20) 상면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지주부재(13)는 직사각형 판상을 띠는 하측 입벽부(53)의 좌우 입면(17,19)의 윗부분에 양측으로 뻗도록 상측 돌출부(5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입면(17,19)의 아랫부분에는 양측으로 뻗도록 하측 돌출부(56)가 돌출 형성되고, 하측 돌출부(56)의 상면에는 외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7)이 형성되며, 하단가장자리(59)에 수직면(60)이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지주부재(13)의 하단부분에는 전후방향에서 볼 때 산 형상을 띠는 대좌부(61)가 마련되어 있고, 수직면(60)의 중앙에는 사다리꼴 홈부(62,62)가 대향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 구성용 내벽 지주부재.
The intermediate slab 10 is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 provide the intermediate partition portion 3, and the upper slab 12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o provide the reservoir upper plate portion 1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13. The upper strut member 16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standing state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and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1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trut member 13. Intermediate support parts 21 and 21a supporting from below are formed, and the upper support part supports the end portion 27 of the upper slab 12 from the lower side on the upper and upper sides of the upper and left support members 16. 25 and 25a are formed, and a lower opening sleeve for inserting each of the vertical joints 95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rut member 13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t member 16 ( 97) A plurality of embeddings are provided, and openings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eeve 97, respectively. (101,102)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6 i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101,102) corresponding to, but ope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6)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101,102), respectively 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for the reservoir configuration is formed by forming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105),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50 is protruded upwards,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16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pport member 16 is connected in a standing state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50. ,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50 is the same height as compared to the height in the state that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is rais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 or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It is formed so as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trut member 13 is projected to the upper projection 55 so as to extend to both sides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17, 19) of the lower side wall portion 53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lower projections 56 are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elevations 17 and 19, and the inclined surfaces 57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projections 56. , The lower surface 59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rface 60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pedestal 61 having a mountain shape whe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rapezoidal grooves 62 and 62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rface 60 in an opposite state. The inner wall support member for the upper and lower two-type water tank configuration.
좌우 입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가 형성되고, 좌우 입면의 상부에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상부받침부가 형성되는 내벽지주부재와; 내측 입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입면의 상부에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상부받침부가 형성되어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외벽지주부재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지주부재는 전후 입면 이음면부를 상호 접촉상태로 일렬로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내벽지주부재열을 구성하되, 상기 내벽지주부재열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내벽지주부재 병렬체를 구성하도록 하며; 상기 외벽지주부재는 내벽지주부재 병렬체를 구성하는 양 외측단의 내벽지주부재열의 외방측에서 양단의 입면인 이음면부를 상호 접촉상태로 하여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내벽지주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외벽지주부재열을 구성하도록 하고; 내벽지주부재 병렬체로부터 선택된 내벽지주부재열에는 내벽지주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측 지주부재의 상단에 상측 지주부재가 입설(立設) 상태로 연결되며, 하측 지주부재의 좌우 입면 상부에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기 중간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지주부재 좌우의 입면 상부에는 상부슬라브의 끝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부받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내벽지주부재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중간슬라브(10)가 배설됨으로써 중간 칸막이부(3)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상부슬라브(12)가 배설됨으로써 저수조 상판부(11)가 마련되며, 하측 지주부재(13)의 상단에는 상측 지주부재(16)가 입설(立設)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측 지주부재(13) 좌우의 입면(立面) 상부에는 중간슬라브(10)의 끝부분(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받침부(21,21a)가 형성되며, 상측 지주부재(16) 좌우의 입면(立面) 상부에는 상부슬라브(12)의 끝 부분(2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상부받침부(25,25a)가 형성되고, 상측 지주부재(16)의 하단부분에는 하측 지주부재(13)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수직접합근(95)의 각각을 삽입시키기 위한 하단 개방의 슬리브(97) 다수가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97)의 측부에는 상단과 하단 측에 각각 개구(101,102)가 형성되고, 상측 지지부재(16)의 하단부분에는 상기 개구(101,102)와 대응되어 연통되도록 하되, 상측 지지부재(16)의 하단부분 외면에서 개방되어 상하단 개구(101,102)와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상하의 연통공(103,105)이 형성되며, 하측 지주부재(13)의 상면부에는 지지대부(50)가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지지대부(50)의 상단에는 상측 지주부재(16)가 입설(立設)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지지대부(50)의 상단면 높이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20)이 중간받침부(21)의 상면에 걸쳐 올려진 상태에서의 높이와 대비시 동일한 높이이거나 또는 중간슬라브의 끝부분(20) 상면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지주부재(13)는 직사각형 판상을 띠는 하측 입벽부(53)의 좌우 입면(17,19)의 윗부분에 양측으로 뻗도록 상측 돌출부(5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입면(17,19)의 아랫부분에는 양측으로 뻗도록 하측 돌출부(56)가 돌출 형성되고, 하측 돌출부(56)의 상면에는 외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7)이 형성되며, 하단가장자리(59)에 수직면(60)이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지주부재(13)의 하단부분에는 전후방향에서 볼 때 산 형상을 띠는 대좌부(61)가 마련되어 있고, 수직면(60)의 중앙에는 사다리꼴 홈부(62,62)가 대향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2조형 저수조.
An inner wall support member having an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lab from below on an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surfaces to support an end portion of the upper slab from below; An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from below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to support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slab from below.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is; Composed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is configured to form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by installing the front and rear elevation joint side by side in a line in mutual contact state,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form an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 The outer wall holding member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s of both outer ends constituting the parallel wall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struct heat; In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row selected from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parallel body, all or part of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is connected with the upper holding member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and the middle slab is loc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In the water tank,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slab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pport member,
The inner wall hold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slab 10 by disposing an intermediate slab 10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n upper slab 11 provided with an upper slab 12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upper strut member 1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rut member 13 so that the upper strut member 16 is connected in a standing state, and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lab 10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trut member 13. Intermediate support portions 21 and 21a are formed to support the portion 20 from below, and the upper end portion 27 of the upper slab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trut member 16 from below. The upper support portions 25 and 25a are formed to support each other,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6 is configured to insert each of the vertical joints 95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A plurality of the sleeves 97 of the lower opening are embedded, and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97 is Openings 101 and 102 are formed at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6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s 101 and 102, and is open at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16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holes 103 and 105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101 and 102,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50 protrudes upward,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50 is upper side. The strut member 16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standing position,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and 50 is in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is rais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ing portion 21.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20 of the intermediate slab, the lower strut member 13 i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ide wall portion 53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17) On the upper part of 19) Protruding portion 55 is formed to protrude, the lower portion of the raised surface (17, 19), the lower protrusion 56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56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ward inclined surface A 57 is formed, and a vertical surface 60 is connected to the lower edge 59, and a lower portion 61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pedestal 61 having a mountain shape when view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rface (60), trapezoidal grooves (62, 62), the upper and lower two tank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opposite state.
삭제delete
KR1020110115036A 2011-11-07 2011-11-07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KR101178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036A KR101178905B1 (en) 2011-11-07 2011-11-07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036A KR101178905B1 (en) 2011-11-07 2011-11-07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905B1 true KR101178905B1 (en) 2012-08-31

Family

ID=4688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036A KR101178905B1 (en) 2011-11-07 2011-11-07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9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23B1 (en)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ecasting rainfall detention basin
KR100952605B1 (en) * 2009-09-09 2010-04-16 김병기 Water storage ta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23B1 (en)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ecasting rainfall detention basin
KR100952605B1 (en) * 2009-09-09 2010-04-16 김병기 Water storage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29B1 (en)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apbeam
US8789337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8925282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101574253B1 (en) A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a twin wall structure using a PC panel
US9695558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101281070B1 (en) Wall structure for the water-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100876355B1 (en) The lifting apparatus with a guide form and the lifting method of bridge therewith
KR20100009802A (en) All precast concrete prefabricated water storage tan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for retaining wall
CN110396919B (en) Assembled steel structure-concrete combin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88806B1 (en) The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710304B1 (en) Method of repairing and reinforcing scour and separation of underwater concrete structure
KR20190069910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precast concrete culvert
US20170247843A1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100824713B1 (en) Ledge type revetment using a pc wal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54450B1 (en) Precasting structure
KR101178905B1 (en) An insidde wall support for water storage tank with
KR101914691B1 (en) Self-assembly water tank structure for sewerage or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9148158A (en) Wall balustrade construction method and wall balustrade
JP5938234B2 (en) Outer wall strut member for construction of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water tank,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water tank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ter tank
JP5836647B2 (en) Inner wall strut member for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water tank construction and upper and lower two tank type water tank using the same
KR20080081622A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pumping plant manho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nhole
KR101190129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he precast concrete box culverts constructed in the slope
KR101415867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downwar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KR101518433B1 (en) The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KR20200005841A (en) Rainwater storage tank construction method using top-dow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