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83B1 -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83B1
KR101178883B1 KR1020100106885A KR20100106885A KR101178883B1 KR 101178883 B1 KR101178883 B1 KR 101178883B1 KR 1020100106885 A KR1020100106885 A KR 1020100106885A KR 20100106885 A KR20100106885 A KR 20100106885A KR 101178883 B1 KR101178883 B1 KR 10117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engine
heater
biofuel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378A (ko
Inventor
이석환
영 최
강건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05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pressure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9Liquid fuels having different boiling temperatures, volatilities, densities, viscosities, cetane or octane numbers
    • F02D19/0652Biofuels, e.g. plant 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94Controlling fuel injec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effected by at least two different injectors, e.g. one in the intake manifold and one in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04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 F02M31/06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by hot gases, e.g. by mixing cold and hot air
    • F02M31/08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by hot gases, e.g. by mixing cold and hot air the gases bein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와, 실린더 헤드의 흡기관에 설치되어 흡기관에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와, 흡기관에 설치되어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실린더 헤드에 장착되어 연소실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DUAL INJECTOR ENGINE HAVING HEATER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USING IT}
본 발명은 디젤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디젤유와 바이오 연료를 각각 분사하는 이중 인젝터와,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디젤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서 바이오 원료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 원료는 태양에너지를 받는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유기체, 전분질계 자원과 임목 및 볏짚, 왕겨와 같은 농부산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의 자원, 사탕수수와 사탕무우와 같은 당질계의 자원 및 음식폐기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 등의 바이오 매스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이오 연료는 에너지 밀도가 낮고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차량 시동 초기에 화염 착화가 어려워 디젤 엔진에 원활하게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젤 엔진의 저부하 조건에서는 연소실 압력 및 연소 온도가 낮아서 바이오 연료가 쉽게 자발화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젤유와 바이오 연료를 디젤 엔진에 효율적으로 분사하고, 흡입 공기를 가열하여 바이오 연료의 자발화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와, 실린더 헤드의 흡기관에 설치되어 흡기관에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와, 흡기관에 설치되어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실린더 헤드에 장착되어 연소실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가열기는, 흡기관에 설치되는 어댑터 프레임과, 어댑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재는 흡기관에 메쉬(mesh) 형상의 열선으로 장착될 수 있다.
어댑터 프레임은 흡기관의 내벽면을 따라 환형(round)으로 설치될 수 있다.
흡기관에는 제2 인젝터의 장착을 위해 돌출되는 설치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기는 흡입 공기를 80℃ 까지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방법은, (a)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디젤유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와, 흡기관에 설치되어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와,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디젤 엔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b) 단계(a)의 디젤 엔진의 상태가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인젝터를 사용하여 엔진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하는 단계와, (c) 단계 (a)의 디젤 엔진이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미만의 저부하 조건의 상태로 판단되면 가열기를 이용하여 흡기관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고 제2 인젝터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여 흡입 공기와 혼합된 예혼합기를 형성하여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공급하는 단계와, (d) 단계 (a)의 디젤 엔진이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이상 60% 미만의 중부하 조건의 상태로 판단되면 가열기를 이용하여 흡기관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고 제2 인젝터에서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여 흡입 공기와 혼합한 예혼합기를 연소실에 공급하여 화염을 착화하는 단계와, (e) 단계 (a)의 디젤 엔진이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60% 이상의 고부하 조건의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인젝터와 제2 인젝터를 동시에 사용하여 화염을 착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단계 (d) 단계는, 가열기를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80℃ 까지 가열할 수 있다.
(d) 단계 및 (e) 단계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관에 공급하여 흡입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 단계에서, 가열기는, 흡입 공기가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적용에 의한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에 작동할 수 있다.
(d) 단계는, (d-1) 제2 인젝터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고, 이 바이오 연료와 흡입 공기가 혼합된 예혼합기를 연소실에 유입시키는 단계와, (d-2)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사점 이전에 제1 인젝터를 이용하여 디젤유를 연소실에 분사하여 화염을 착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에는 엔진 연소실에 디젤유 만을 분사하여 원활한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저부하 조건시에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흡입 공기와 함께 바이오 연료를 연소실에 분사함으로써, 에너지 밀도가 낮은 바이오 연료 만을 이용하여도 용이하게 압착 착화 작용이 이루어져 엔진의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중부하 조건시에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포트로 유입시키는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을 적용하고, 가열기를 이용하여 가열된 흡입 공기와 함께 바이오 연료를 연소실에 공급하여 연소실의 자발화 분위기 형성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엔진 구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고부하 조건시에는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을 적용하고 바이오 연료와 디젤유를 함께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디젤유에서 나오는 매연을 바이오 연료에서 나오는 화염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어 매연 저감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실린더 헤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린더 헤드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실린더 헤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린더 헤드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100)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11)에 설치되어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10)와, 실린더 헤드(11)의 흡기관(13)에 설치되어 흡기관(13)에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20)와, 흡기관(13)에 설치되어 흡기관(13)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12)를 가열하는 가열기(30)와, 실린더 헤드(11)에 장착되어 연소실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디젤 엔진은 배출가스의 일부를 흡기포트에 유입시키는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을 적용하는 엔진이다. 이러한 배기 가스 재순환을 적용하기 위해서,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가스 배출을 위한 하나의 포트를 형성하고, 이 포트를 흡기 매니폴드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가스의 일부는 흡기관(13)으로 재차 유입되어 흡기온의 온도 상승이 이루어진다. 한편, 배기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식 밸브로 장착 가능하다. 이러한 배기 가스 재순환을 엔진에 적용하는 기술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한다.
제1 인젝터(10)는 실린더 헤드(11)에서 실린더 블록(미도시)의 연소실 방향으로 설치되어 연소실(미도시)에 디젤유를 분사한다. 제1 인젝터(10)로 분사되는 디젤유는 차량의 엔진 상태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소실로 분사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인젝터(10)는 차량의 시동 조건시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와 고부하 조건시에만 선택적으로 디젤유를 연소실로 분사한다. 이러한 제1 인젝터(10)를 이용한 디젤유의 분사 작용은 이하에서 제2 인젝터(2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인젝터(20)는 엔진의 연소실에 바이오 연료를 분사한다. 바이오 연료는 곡물, 나무, 풀 등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연료와 유사한 대체 연료를 말하여, 이러한 바이오 연료는 공지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인젝터(20)는 흡기관(13)에 설치되어 연소실에 바이오 연료를 선택적으로 분사한다. 흡기관(13)에는 제2 인젝터(20)의 설치를 위한 설치관(13a)이 돌출된다. 설치관(13a)은 제2 인젝터(2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제2 인젝터(20)의 외형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인젝터(20)는 설치관(13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바이오 연료를 흡기관(13)의 내부에 분사하도록 한다. 설치관(13a)은 실린더 헤드(11)의 흡기포트(15)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제2 인젝터(20)에서 분사되는 바이오 연료가 흡기포트(15)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한편, 흡기관(13)에는 흡입 공기(12)를 가열하는 가열기(30)가 설치된다.
도 3은 가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30)는 흡기관(13)에 설치되는 어댑터 프레임(31)과, 어댑터 프레임(31)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33)를 포함한다.
어댑터 프레임(31)은 흡기관(13)의 내벽면을 따라 환형(round)의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어댑터 프레임(31)은 환형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분이 모서리를 갖는 다각 형상도 가능하다. 이러한 어댑터 프레임(31)에는 가열부재(33)가 설치된다.
가열부재(33)는 어댑터 프레임(31)에 설치되는 메쉬(mesh) 형상의 열선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재(33)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 공기(12)는 가열되어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열기(30)를 이용한 흡입 공기(12)의 가열은 디젤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축 착화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가열기(30)를 이용하여 흡입 공기(12)를 80℃까지 가열하여 연소실에 공급하면, 연소실 내부는 용이한 자발화 분위기가 형성되어 연료의 압축 착화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열기(30)를 이용한 흡입 공기(12)의 가열은, 연소실의 자발화 분위기가 용이하기 형성되기 어려운 디젤 엔진의 저부하 조건 또는 중부하 조건시에 적용될 수 있다. 저부하 조건은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미만의 부하 조건을 말하며, 중부하 조건은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이상 60% 미만의 부하 조건을 말한다.
한편, 압력 센서(40)는 실린더 헤드(11)에 설치되어 디젤 엔진의 연소실의 압력을 센싱한다. 압력 센서(40)를 이용한 연소실 압력 센싱 작용에 대해서는 공지된 것으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인젝터(10) 및 제2 인젝터(20)를 이용한 디젤유 및 바이오 연료의 분사는 디젤 엔진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사된다. 이하에서는 디젤 엔진의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와, 저부하 조건과, 중부하 조건 및 고부하 조건시에 제1 인젝터(10) 및 제2 인젝터(20)를 이용한 연료 분사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 디젤 엔진의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 디젤 엔진의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에는 연소실의 온도가 낮아서 연료가 충분히 기화가 가능한 조건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인젝터(20)는 사용하지 않고, 제1 인젝터(10)만을 이용하여 연소실에 디젤유를 직접 분사한다. 즉, 차량의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에 바이오 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연소의 안정성이 낮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시에 디젤유 만을 공급하여, 디젤 엔진의 압축 착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차량 디젤 엔진의 저부하 조건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저부하 조건은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미만의 부하 조건을 말한다.
차량 디젤 엔진의 저부하 조건시에는 연소실의 압력 및 연소 온도가 낮아서, 바이오 연료가 쉽게 자발화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기(30)를 구동하여 흡입 공기(12)를 80℃ 까지 가열하여, 바이오 연료가 용이하게 자발화될 수 있는 분위기 조건을 형성한다.
이후, 제2 인젝터(20)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연소실에 공급하여 압축 착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인젝터(20)를 이용한 바이오 연료의 분사는 연소실로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고, 흡기관(13)에 미리 바이오 연료를 분사한다. 그러면, 흡기관(13)에서 바이오 연료와 흡입 공기가 혼합되어 예혼합기가 형성되어 연소실로 공급된다.
전술한 엔진의 저부하 조건시에는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을 적용하지 않는다. 이는 저부하 조건시에는 연소실 압력 및 온도가 낮으므로,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을 적용하게 되면 연소실의 연소 안정성이 크기 나빠지기 때문이다.
이어서, 차량 디젤 엔진의 중부하 조건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중부하 조건은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이상 60% 미만의 부하 조건을 말한다.
중부하 조건에서는 배기 가스 재순환을 적용하여,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관(13)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흡입 공기(12)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흡입 공기의 온도가 80℃ 미만이면, 가열기(30)를 이용하여 흡입 공기(12)를 80℃까지 가열한다.
이어서, 제2 인젝터(20)를 이용하여 흡기관(13)에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여, 흡입 공기(12)와 바이오 연료를 연소실에 공급하기 전에 미리 혼합한 예혼합기를 형성한다. 다음 예혼합기는 연소실로 공급되어 엔진 구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부하 조건에서는 흡입 공기를 80℃ 까지 가열함으로써, 디젤유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오 연료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이오 연료의 사용량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차량 디젤 엔진의 고부하 조건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부하 조건은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60% 이상의 부하 조건을 말한다.
차량 엔진의 고부하 조건시에는 제1 인젝터(10)와 제2 인젝터(20)를 함께 구동하여, 바이오 연료와 디젤유가 함께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진 피스톤의 상사점 이전에는 제1 인젝터(10)를 이용하여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하여 화염을 착화한다. 그리고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에서는 제2 인젝터(20)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연소실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고부하 조건시에는 엔진에 더 많은 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디젤유의 화염으로부터 생성되는 매연을 바이오 연료에서 생성되는 화염으로 재연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매연 발생량의 감소 작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고부하 조건에서는 바이오 연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뿐만 아니라 디젤유에서 발생한 화염이 바이오 연료가 포함된 예혼합기를 연소시키게 되어, 디젤유에 의한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부하 조건시에 EGR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의 온도를 높여 연료의 기화 특성을 높이고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부하 조건시에는 연소실의 압력 및 온도가 높아 연소 안정성이 높으므로 가열기(30)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은 차량 엔진의 상태 별로 바이오 연료 및 디젤유를 연소실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디젤 엔진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세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디젤 엔진의 상태 조건을 판단한다.(S10) 즉, 디젤 엔진의 시동 조건, 아이들링 조건, 저부하 조건, 중부하 조건 및 고부하 조건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단계(S10)의 디젤 엔진의 상태가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인젝터(10)를 이용하여 엔진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한다.(S20) 단계(S20)에서는 차량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 상태로, 연소실의 온도가 낮아서 연료가 충분히 기화가 가능한 조건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디젤유 만을 사용하여 엔진 구동을 실시한다.
이어서, 단계(S10)의 디젤 엔진의 상태가 저부하 조건 상태로 판단되면, 가열기(30)를 구동하여 흡입 공기(12)를 80℃ 까지 가열하고, 제2 인젝터(20)로 바이오 연료를 분사한다.(S3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인젝터(20)를 이용하여 흡기관(13)에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고, 이 분사된 바이오 연료를 흡입 공기와 혼합하여 예혼합기를 형성한다. 이후, 예혼합기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압착 착화 작용으로 엔진 구동이 이루어진다.
다음, 단계(S10)의 디젤 엔진의 상태가 중부하 조건 상태로 판단되면,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을 이용하여 배기가스를 흡기관(13)에 공급하여 흡입 공기(12)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후, 흡입 공기(12)의 온도가 80℃ 미만이면 가열기(30)를 이용하여 흡입 공기(12)를 80℃까지 가열한다. 다음, 제2 인젝터(20)를 이용하여 흡기관(13) 내에서 바이오 연료와 흡입 공기(12)가 혼합된 예혼합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예혼합기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압착 착화 작용이 이루어져 엔진 구동이 이루어진다.(S40)
이어서, 단계(S10)의 디젤 엔진의 상태가 고부하 조건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인젝터(10)와 제2 인젝터(20)를 동시에 사용하여 화염을 착화한다.(S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2 인젝터(20)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흡기관(13)에 분사하고, 이 바이오 연료와 흡입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실에 유입시킨다.
이어서,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사점 이전에 제1 인젝터(10)를 이용하여 디젤유를 분사하여 화염을 착화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고부하 조건시에는 엔진에 더 많은 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디젤유의 화염으로부터 생성되는 매연을 바이오 연료에서 생성되는 화염으로 재연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매연 발생량의 감소 작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제1 인젝터 11...실린더 헤드
12...흡입 공기 13...흡기관
13a..설치관 20...제2 인젝터
30...가열기 31...어댑터 프레임
33...가열부재(열선) 40...압력 센서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디젤유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와, 흡기관에 설치되어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와, 상기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디젤 엔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상기 디젤 엔진의 상태가 시동 조건 또는 아이들링 조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인젝터를 사용하여 엔진 연소실에 디젤유를 분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디젤 엔진이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미만의 저부하 조건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가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흡기관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2 인젝터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여 상기 흡입 공기와 혼합된 예혼합기를 형성하여 상기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a)의 디젤 엔진이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20% 이상 60% 미만의 중부하 조건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가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흡기관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2 인젝터에서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여 흡입 공기와 혼합한 예혼합기를 연소실에 공급하여 화염을 착화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a)의 디젤 엔진이 100%의 엔진 부하를 기준으로 60% 이상의 고부하 조건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인젝터와 상기 제2 인젝터를 동시에 사용하여 화염을 착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는, 상기 가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 공기를 80℃ 까지 가열하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관에 공급하여 흡입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흡입 공기가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적용에 의한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에 작동하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2 인젝터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분사하고, 이 바이오 연료와 흡입 공기가 혼합된 예혼합기를 연소실에 유입시키는 단계; 및
    (d-2) 상기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사점 이전에 제1 인젝터를 이용하여 디젤유를 연소실에 분사하여 화염을 착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의 제어방법.
KR1020100106885A 2010-10-29 2010-10-29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KR10117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85A KR101178883B1 (ko) 2010-10-29 2010-10-29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85A KR101178883B1 (ko) 2010-10-29 2010-10-29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78A KR20120045378A (ko) 2012-05-09
KR101178883B1 true KR101178883B1 (ko) 2012-08-31

Family

ID=4626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885A KR101178883B1 (ko) 2010-10-29 2010-10-29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136B1 (ko) 1995-05-10 2004-03-26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내연디젤엔진용에멀젼의혼합및반송방법및장치
US20060150958A1 (en) 2003-07-28 2006-07-13 Gill Alan P Quick temperature rise air intake heater
JP2010209722A (ja) 2009-03-09 2010-09-24 Ihi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136B1 (ko) 1995-05-10 2004-03-26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내연디젤엔진용에멀젼의혼합및반송방법및장치
US20060150958A1 (en) 2003-07-28 2006-07-13 Gill Alan P Quick temperature rise air intake heater
JP2010209722A (ja) 2009-03-09 2010-09-24 Ihi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78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ng et 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direct-injection natural gas engine under various fuel injection timings
Bedoya et al. Experimental study of biogas combustion in an HCCI engine for power generation with high indicated efficiency and ultra-low NOx emissions
AU2017200457B2 (e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engine
US9057321B2 (en) Fuel reactivity stratification in rotary diesel engines
CN102027225B (zh) 燃烧方法及设备
CN101037968A (zh) 用于改进燃烧控制的第一和第二火花塞
US8851045B2 (en) Engine combustion control at low loads via fuel reactivity stratification
CN101037969A (zh) 用于改进燃烧控制的第一和第二火花塞
CN104712445B (zh) 单燃料压燃与点燃混合的燃烧控制方法及内燃机
Yamasaki et al. Development of an engine control system using city gas and biogas fuel mixture
Lu et al. Controlled three-stage heat release of stratified charge compression ignition (SCCI) combustion with a two-stage primary reference fuel supply
CN105114193A (zh) 一种甲醇/柴油双燃料柴油机燃油供给方法
CN102705068A (zh) 任意燃料压燃式内燃机
JP2007077992A (ja) アシストする火花点火によるオット機関の、コントロールされた自己着火
Fırat et al. Comparison of ethanol/diesel fuel dual direct injection (DI2) strategy with reactivity controlled compression ignition (RCCI) in a diesel research engine
Lalsangi et al. Analysis of CRDI diesel engine characteristics operated on dual fuel mode fueled with biodiesel-hydrogen enriched producer gas under the single and multi-injection scheme
KR101178883B1 (ko) 가열기를 갖는 이중 인젝터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JP4719797B2 (ja) 内燃機関運転方法
Sudhakar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I diesel engine using diethyl ether fumigation with ethanol blended diesel
Huang et al. Study on cycle-by-cycle variations of combustion in a natural-gas direct-injection engine
CN107002564A (zh) 用于控制内燃机的方法和装置
Tutak et al. The effect of methanol-diesel combustion on performance and emissions of a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KR101166543B1 (ko) 이중 인젝터를 가지는 엔진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제어 방법
Ambekar et al. Preliminary optimization of duel fuel engine using dimethyl ether premixed combustion
Ergenc et 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high pressure fuel injected single cylinder compression-ignition engine, fuelled with diesel–ester blends under various fuel injection advance an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