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586B1 -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 Google Patents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586B1
KR101178586B1 KR1020110120159A KR20110120159A KR101178586B1 KR 101178586 B1 KR101178586 B1 KR 101178586B1 KR 1020110120159 A KR1020110120159 A KR 1020110120159A KR 20110120159 A KR20110120159 A KR 20110120159A KR 101178586 B1 KR101178586 B1 KR 10117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laser
door senso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규
유정옥
Original Assignee
(주)리츠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츠엔 filed Critical (주)리츠엔
Priority to KR102011012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5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photoelectric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01V8/14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using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s provided to reduce installation time by emitting a laser for confirming a sensing range. CONSTITUTION: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100) comprises an infrared ray emitting unit(130), an infrared ray sensing unit(140), and a laser emitting unit(150). The infrared ray emitting unit emits infrared rays. The infrared ray sensing unit senses the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an object. The laser emitting unit is arranged to be contiguous to the infrared ray emitting unit and emits a laser to confirm the sensing rang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Description

자동문 센서 모듈{AUTOMATIC DOOR SENSOR MODULE}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자동문 센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범위를 시인하기 위해 레이저를 출사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that emits a laser beam to recognize a detection range.

근래들어, 은행, 아파트 및 병원 등의 각종 건물에는 비용 절감 측면을 고려하여 무인 경비시스템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공동현관 출입구에 자동문을 설치하여 경비원 채용으로 인한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unmanned security system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buildings such as banks, apartments, and hospitals in consideration of cost reduction aspects, and as part of thi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costs due to the installation of security guards by installing automatic doors at entrances to common entrances. to be.

이와 같은 자동문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 형태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실외에서는 키박스에 별도의 암호를 버튼식으로 조작하거나, 출입카드,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실내에서는 출입자가 자동문에 근접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자동문을 개방시키거나 별도의 버튼을 눌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Such automatic doors are manufactured and used in a sliding way that opens and closes while mov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winging way that opens and closes in a rotational form. In the outdoor, a separate password is operated on a key box by a button type, an access card, or a fingerprint. The automatic door is to be opened, and in the room, when a person approaches the automatic door, the sensor detects this and automatically opens the automatic door or presses a separate button to open the automatic door.

특히, 출입자가 자동문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나 전파를 감지하는 센서가 이용된다. 적외선이나 전파의 경우는 사람이 볼 수가 없고, 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는 단순히 동작되는 범위를 유추하여 설치하고 동작시킨다.In particular, a sensor for detecting an infrared ray or a sensor for detecting an electric wave is used as a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approaching an automatic door. In the case of infrared rays or radio waves, humans cannot see them, and a sensing sensor that detects this simply installs and operates by inferring the operating range.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한 감지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ion range by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using a general infrared sensor.

도 1을 참조하면, 자동문 센서 모듈(10)은 복수의 포인트 형태로 적외선 신호들(12)을 피조사면에 출사한다. 각 점의 적외선 신호는 필요에 의해 열과 행을 늘려 범위를 늘려 감지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 emits infrared signals 12 to an irradiated surfac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oints. The infrared signal at each point can be expanded to increase the ran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lumns and rows as needed to expand the detection range.

적외선 센서는 특정한 위치를 검지하기 위해 렌즈에 의해 분할된 여러 개의 포인트 형태로 적외선 신호들을 보내고, 그 지점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적외선 신호는 일정한 범위를 지시하고 있고 동일한 위치에 신호가 보내지게 되므로 검지 범위를 정하기가 용이하다. An infrared sensor is a structure that sends infrared signals in the form of several points divided by a lens to detect a specific position, receives and amplifies a signal reflected at the point, and then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present. Since the infrared signal indicates a certain range and the signal is sent to the same position, it is easy to determine the detection range.

하지만, 적외선은 사람의 눈으로 감지가 불가능하다. However, infrared light cannot be detected by the human eye.

따라서, 이러한 제품을 자동문 개폐 시스템에 설치하는 경우, 보통 적게는 수차례 많게는 수십차례 반복적으로 자동문 센서 모듈의 설치위치를 정하거나 조정을 통해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럴 경우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when such a product is installed in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e installation is usually performed by setting 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t least several times and several times repeatedly. In this case, it is cumbersome and time consuming due to installation.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한 감지범위를 시인하기 위해 레이저를 출사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that emits a laser to view the detection range by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은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키기 위해 적외선 출사부, 적외선 감지부 및 레이저 출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출사부는 적외선을 출사한다. 상기 적외선 감지부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한다. 상기 레이저 출사부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자동문 센서 모듈의 감지범위가 시인되도록 레이저를 출사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는 막대 형태로 확산되어 상기 감지범위의 외곽 테두리를 표시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ncludes an infrared emitter, an infrared detector, and a laser emitter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object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The infrared emitting unit emits infrared rays. The infrared detector detects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reflected by the object. The laser emitter is disposed close to the infrared emitter and emits a laser beam so that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s visually recognized. At this time, the laser is spread in the form of a rod to mark the outer edge of the detection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의 레이저 출사 동작은 설치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emission operation of the laser emission unit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sta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문 센서 모듈은 상기 레이저 출사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는 제1 빔 분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빔 분할기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오목렌즈부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am splitt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aser emitter to divide the laser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The first beam splitter may be a concave lens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문 센서 모듈은 상기 적외선 출사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외선을 복수의 적외선 빔들로 분할하는 제2 빔 분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빔 분할기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오목렌즈부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am splitter disposed in front of the infrared emitter to split the infrared rays into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The second beam splitter may be a concave lens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문 센서 모듈은 상기 레이저 출사부 및 상기 적외선 출사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고, 상기 적외선을 복수의 적외선 빔들로 분할하는 제3 빔 분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빔 분할기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오목렌즈부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aser emitting unit and the infrared emitting unit, the third beam for dividing the laser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the infrared beam into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The divider may further include. The third beam splitter may be a concave lens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빔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피조사면에서 상기 감지범위로서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laser beam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as the detection range on the irradiated surface.

이러한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하면,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한 감지범위를 시인하기 위해 상기 감지범위를 표시하는 레이저를 출사하므로써, 자동문 센서 모듈의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can be reduced by emitting a laser indicating the detection range in order to recognize the detection range by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한 감지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문 센서 모듈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제1 빔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빔 분할기를 라인 I-I'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영역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문 센서 모듈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이 채용된 자동문 개폐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ion range by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using a general infrared sensor.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beam splitter illustrated in FIG. 2.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the first beam splitter shown in FIG. 4A. FIG. 4C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A shown in FIG. 4B.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llustrated in FIG. 5.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employing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문 센서 모듈(100)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illustrated in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100)은 하부케이스(110), 상부케이스(120), 적외선 출사부(130), 적외선 감지부(140), 레이저 출사부(150), 제1 빔 분할기(160) 및 제2 빔 분할기(170)를 포함하여,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킨다. 2 and 3,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110, an upper case 120, an infrared ray emitter 130, an infrared ray detector 140, Including the laser output unit 150, the first beam splitter 160 and the second beam splitter 170,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object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 상기 적외선 감지부(140),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 상기 제1 빔 분할기(160) 및 상기 제2 빔 분할기(170)를 수납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20)와 체결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자동문 센서 모듈(100)이 벽체 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홀들(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의 측벽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케이블이 노출되도록 홀(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110 is formed in a box shape, the infrared emitter 130, the infrared detector 140, the laser emitter 150, the first beam splitter 160 and the second beam splitter. The housing 170 is fastened to the upper case 120. One or more fasten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so that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may be attached to a wall or the like. In addition,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sidewalls of the lower case 110 to expose a power cabl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체결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20)에는 상기 제1 빔 분할기(160)에 의해 분할된 레이저 빔들이나 상기 제2 빔 분할기(170)에 의해 분할된 적외선 빔들이 외부의 피조사면에 출사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에는 외부의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레이저 빔이나 적외선 빔은 투과하는 글라스 재질의 이물질 유입 방지 글라스가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has a box shape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case 110.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20 so that the laser beams split by the first beam splitter 160 or the infrared beams split by the second beam splitter 170 can be emitted to an external irradiated surface. .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openings, a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ng glass made of a glass material that transmits a laser beam or an infrared beam may be further disposed.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는 적외선을 출사한다.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는 적외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rared emitting unit 130 emits infrared rays. The infrared emitter 130 may include an infrared diode.

상기 적외선 감지부(140)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한다. 도 2에서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와 상기 적외선 감지부(140)는 하나의 부재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부재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 infrared detector 140 detects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object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130. In FIG. 2, the infrared emitter 130 and the infrared detector 140 are disposed on one member, but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physically separated members.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자동문 센서 모듈(100)의 감지범위가 시인되도록 레이저를 출사한다.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출사부에는 상기 레이저 출사부를 둘러싸고, 상기 레이저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을 확산시켜 상기 제1 빔 분할기(170)에 출사하는 광 확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광 확산캡을 통해 하나의 경로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은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레이저 빔들로 확산되어 상기 제1 빔 분할기(170)의 서로 다른 영역에 조사될 수 있다. The laser emitter 150 is disposed close to the infrared emitter 130, and emits a laser beam so that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is visually recognized. The laser emitter 150 may include a laser diode. The laser emitter may further include a light diffusion cap surrounding the laser emitter and spreading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emitter to the first beam splitter 170. The laser beam emitted in one path through the light diffusion cap may be diffused into laser beams having different paths and irradiated to different areas of the first beam splitter 170.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의 레이저 출사 동작은 설치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와 상기 적외선 감지부(140)가 배치된 부재와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의 형상이 동일하게 도시하였으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 상기 적외선 감지부(140) 및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는 제1 PCB(180)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PCB(18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The laser emission operation of the laser emission unit 150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staller. In FIG. 2, although the shape of the member on which the infrared emitter 130 and the infrared detector 140 are disposed and the laser emitter 150 are illustrated in the same manner, the infrared emitter 130 and the laser emitter 15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In addition, the infrared emitter 130, the infrared detector 140, and the laser emitter 15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PCB 180. The first PCB 18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상기 제1 빔 분할기(160)는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여 피조사면에 제공한다. 상기 제1 빔 분할기(160)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제1 오목렌즈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렌즈부의 오목렌즈들 각각에는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할되어 피조사면에 조사되도록 요철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eam splitter 1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aser emitter 150 and divides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emitter 150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to provide the irradiated surface. The first beam splitter 160 may be a first concave lens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oncave lenses of the first concave lens part so that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emitter 150 is di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rradiated onto the irradiated surface.

상기 제2 빔 분할기(170)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14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복수의 적외선 빔들로 분할하여 피조사면에 제공한다. 상기 제2 빔 분할기(170)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제2 오목렌즈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렌즈부의 오목렌즈들 각각에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14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할되어 피조사면에 조사되도록 요철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eam splitter 17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nfrared emitter 140 to divide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130 into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and provide them to the irradiated surface. The second beam splitter 170 may be a second concave lens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oncave lenses of the second concave lens part so that the laser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140 is di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rradiated onto the irradiated surface.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제1 빔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빔 분할기를 라인 I-I'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영역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beam splitter illustrated in FIG. 2.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the first beam splitter shown in FIG. 4A. FIG. 4C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A shown in FIG. 4B.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빔 분할기(160)는 오목렌즈부(162), 제1 에지부(164) 및 제2 에지부(166)를 포함한다. 4A to 4C, the first beam splitter 160 includes a concave lens portion 162, a first edge portion 164, and a second edge portion 166.

상기 오목렌즈부(162)는 복수의 오목렌즈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렌즈들은 6개이다. 오목렌즈들 각각에는 레이저 출사부(도 2의 150)에서 출사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요철부들이 형성된다. 상기한 요철부들의 형성 각도에 따라 레이저 출사부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출사 경로가 변경된다. The concave lens unit 162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six concave lenses. In each of the concave lenses, irregularities are formed to guide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emission unit 150 of FIG. 2. The exit path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exit par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ngle of formation of the uneven parts.

상기 제1 에지부(164)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렌즈부(162)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에지부(164)는 상기 오목렌즈부(16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dge portion 164 is formed in an L-shape and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ncave lens portion 162. The first edge portion 16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cave lens portion 162.

상기 제2 에지부(166)는 역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렌즈부(162)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에지부(166)는 상기 오목렌즈부(16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에지부(164)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에지부(166)는 상기 오목렌즈부(16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dge portion 166 is formed in an inverted L-shape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cave lens portion 162. The second edge portion 166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edge portion 164 based on the concave lens portion 162. The second edge portion 16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cave lens portion 162.

이상에서는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여 피조사면에 출사하는 상기 제1 빔 분할기(16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 빔 분할기(170)의 형상도 제1 빔 분할기(16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 분할기(17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beam splitter 160 which splits a laser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and emits the light to an irradiated surfac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hape of the second beam splitter 17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beam splitter 160. The same can be forme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beam splitter 170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은 개별 렌즈 방식으로서, 적외선 출사부와 적외선 감지부에 대응하여 하나의 빔 분할기가 배치되고, 레이저 출사부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빔 분할기가 배치되어 물체 감지를 위해 적외선을 출사하고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킨다. 한편, 자동문 센서 모듈을 설치할 때, 레이저를 출사하여 자동문 센서 모듈의 감지범위를 표시하므로써,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한 유효 감지범위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separate lens system, one beam splitter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frared emitter and the infrared detector, the other beam splitter corresponding to the laser emitter Is arranged to emit infrared light for object detection and to detect the reflected infrared light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by emitting a laser to display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by checking the effective detection range by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installed properly.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문 센서 모듈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llustrated in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200)은 하부케이스(110), 상부케이스(120), 적외선 출사부(130), 적외선 감지부(140), 레이저 출사부(150) 및 제3 빔 분할기(260)를 포함하여,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킨다. 도 2에서 설명된 자동문 센서 모듈(100)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 and 6,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110, an upper case 120, an infrared ray emitting unit 130, an infrared ray sensing unit 140, Including the laser output unit 150 and the third beam splitter 260, and detects the presence of the object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Compared with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described in FIG. 2,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3 빔 분할기(260)는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 및 상기 적외선 출사부(14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여 피조사면에 제공하고, 상기 적외선 출사부(130)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복수의 적외선 빔들로 분할하여 피조사면에 제공한다. 상기 제3 빔 분할기(260)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제3 오목렌즈부일 수 있다. 상기 제3 오목렌즈부의 오목렌즈들 각각에는 상기 레이저 출사부(15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할되어 피조사면에 조사되도록 요철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오목렌즈부의 오목렌즈들 각각에는 상기 적외선 출사부(14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할되어 피조사면에 조사되도록 요철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beam splitter 2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aser emitter 150 and the infrared emitter 140 to divide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emitter 150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emitter 1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and provided to the irradiated surface. The third beam splitter 260 may be a third concave lens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oncave lenses of the third concave lens unit so that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emitter 150 is di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rradiated onto the irradiated surface. In additio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oncave lenses of the third concave lens part so that the laser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140 is di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rradiated onto the irradiated surfac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은 공유 렌즈 방식으로서, 적외선 출사부, 적외선 감지부 및 레이저 출사부에 대응하여 하나의 빔 분할기가 배치되어 물체 감지를 위해 적외선을 출사하고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킨다. 한편, 자동문 센서 모듈을 설치할 때, 레이저를 출사하여 자동문 센서 모듈의 감지범위를 표시하므로써,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한 유효 감지범위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shared lens system, one beam splitter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frared emitter, infrared detector and laser emitter to emit infrared rays for object detection. Automatic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detecting reflected infrared rays. 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ing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by emitting a laser to display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by checking the effective detection range by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installed proper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센서 모듈이 채용된 자동문 개폐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employing a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자동문 센서 모듈(100)에서 출사된 복수의 적외선 빔들과 복수의 레이저 빔들은 피조사면에 조사된다. 레이저 빔들은 적외선 빔들이 조사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피조사면에 조사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plurality of infrared beams and the plurality of laser beams emitted from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are irradiated onto the irradiated surface. The laser beams are irradiated onto the irradiated surface so as to surround the area to which the infrared beams are irradiated.

도 7에서, 적외선 빔들은 도트 형상으로 도시하였고, 레이저 빔들은 막대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적외선 빔들은 사람의 눈에 시인되지 않고, 레이저 빔들은 사람의 눈에 시인된다. 따라서, 자동문 센서 모듈(100)을 자동문 개폐시스템에 설치하는 설치자는 시인된 레이저 빔들을 근거로 자동문 센서 모듈의 조사 각도를 조정한다. In Fig. 7, the infrared beams are shown in dot shape, and the laser beams are shown in rod shape. Infrared beams are not visible to the human eye, and laser beams are visible to the human eye. Therefore, the installer who installs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00 in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djusts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based on the visually recognized laser beams.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빔들은 막대 형상을 갖고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막대 형상을 갖고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ser beams are shown as having a rod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may have a rod shape and overlap each other.

또한, 레이저 빔들은 막대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별 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삼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laser beams have a bar shape, they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star shape, circular shape, elliptical shape, and triangular shape.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문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범위가 시인되도록 상기 감지범위의 외곽 테두리를 레이저로서 표시하므로써 자동문 센서 모듈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시 소용되는 비용 역시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time can be shortened by displaying the outer edge of the detection range as a laser so that the detection range detected by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s visually recognized. have. Accordingly,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ation can also be reduced.

100, 200 : 자동문 센서 모듈 110 : 하부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30 : 적외선 출사부
140 : 적외선 감지부 150 : 레이저 출사부
160 : 제1 빔 분할기 170 : 제2 빔 분할기
162 : 오목렌즈부 164 : 제1 에지부
166 : 제2 에지부 260 : 제3 빔 분할기
100, 200: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110: lower case
120: upper case 130: infrared ray emitting unit
140: infrared detection unit 150: laser exit unit
160: first beam splitter 170: second beam splitter
162: concave lens portion 164: first edge portion
166: second edge portion 260: third beam splitter

Claims (10)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자동문 센서 모듈에서,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출사부;
상기 적외선 출사부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적외선 출사부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자동문 센서 모듈의 감지범위가 시인되도록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는 막대 형태로 확산되어 상기 감지범위의 외곽 테두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In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An infrared emitting unit for emitting infrared rays;
An infrared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and reflected by an object; And
It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frared emitting unit, and includes a laser emitting unit for emitting a laser so that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is visually recognized,
The laser is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ed in the form of a rod to display the outer edge of the detection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의 레이저 출사 동작은 설치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ser emission operation of the laser emission unit is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sta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는 제1 빔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beam splitter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aser emitter to divide the laser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분할기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오목렌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beam splitter is a concave lens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출사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외선을 복수의 적외선 빔들로 분할하는 제2 빔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eam splitter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nfrared emitter to split the infrared light into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분할기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오목렌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6.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eam splitter is a concave lens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 및 상기 적외선 출사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복수의 레이저 빔들로 분할하고, 상기 적외선을 복수의 적외선 빔들로 분할하는 제3 빔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beam splitter disposed in front of the laser emitter and the infrared emitter to divide the laser into a plurality of laser beams and to split the infrared light into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characterized 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빔 분할기는 복수의 오목렌즈들이 형성된 오목렌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beam splitter is a concave lens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formed.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피조사면에서 상기 감지범위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8.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claim 3 or 7, wherein each of the laser beam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as the detection range on an irradiated surface.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레이저 빔들 각각은 일정 간격 중첩되어 피조사면에서 상기 감지범위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 모듈. 8. The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ccording to claim 3 or 7, wherein the laser beams adjacent to each other overlap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displayed as the detection range on the irradiated surface.
KR1020110120159A 2011-11-17 2011-11-17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KR101178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159A KR101178586B1 (en) 2011-11-17 2011-11-17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159A KR101178586B1 (en) 2011-11-17 2011-11-17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586B1 true KR101178586B1 (en) 2012-08-31

Family

ID=4688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159A KR101178586B1 (en) 2011-11-17 2011-11-17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58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16Y1 (en) * 2013-02-26 2014-12-08 조성수 The sensor of auto-door
CN108008462A (en) * 2017-12-30 2018-05-08 南京超华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ally-controlled door infrared induction device
CN108071298A (en) * 2017-12-20 2018-05-25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window switch system and vehicle
CN112406491A (en) * 2020-12-06 2021-02-26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Outward convex type bus getting-on guid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16Y1 (en) * 2013-02-26 2014-12-08 조성수 The sensor of auto-door
CN108071298A (en) * 2017-12-20 2018-05-25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window switch system and vehicle
CN108008462A (en) * 2017-12-30 2018-05-08 南京超华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ally-controlled door infrared induction device
CN112406491A (en) * 2020-12-06 2021-02-26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Outward convex type bus getting-on gui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1597B2 (en) Motion sensor with LED alignment aid
KR101162803B1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KR101178586B1 (e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US6469625B1 (en) Security sensor having disturbance detecting capability
US7531787B2 (en) Access control device
KR101529804B1 (en) Sensor for automatic door
US20210046346A1 (en)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1186999B1 (en) Obstacle sensing system for a screen do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074652A1 (en) Retroreflector-bas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trusion into a restricted area
US7733226B2 (en) Infrared intrusion detection device
JP2005241556A (en) Passive-type infrared detector and obstruction detection system used therefor
CA1241404A (en) Detection means
CN109313282A (en) The search coverage of sensor adjusts system, the search coverage method of adjustment of automatic door sensor, label and sensor
US7976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ng an optical projection onto a projection surface
US6914401B2 (en) Sensor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spatial area
JP2015174715A (en) human detection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US20210082264A1 (en) 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or
JP6475055B2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JP6430866B2 (en) Entrance / exit equipment
US8912944B2 (en) Human presence detector suitable for concealment and using a shaped microwave beam
KR101225057B1 (en) Automatic door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tomatic door by using the same
JP2002187685A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door
JP2021067582A (en) Detector with function of monitoring sight disturbance
FI3629067T3 (en) Light grid with tof sensor
JP2020512552A (en) Objec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light projection surface for intrusion of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