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498B1 -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498B1
KR101178498B1 KR1020090086850A KR20090086850A KR101178498B1 KR 101178498 B1 KR101178498 B1 KR 101178498B1 KR 1020090086850 A KR1020090086850 A KR 1020090086850A KR 20090086850 A KR20090086850 A KR 20090086850A KR 101178498 B1 KR101178498 B1 KR 10117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foam
line
pipe
wireless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259A (ko
Inventor
한상섭
Original Assignee
한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섭 filed Critical 한상섭
Priority to KR102009008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4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A62C5/024Apparatus in the form of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을 유입하기 위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방수라인과 제 2 방수라인을 포함하는 방수라인;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무선리모컨과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펌프; 물탱크로부터 또는 자체적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자체급수관; 상기 제 1 방수라인 및 제 2 방수라인 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유출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 방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방수밸브; 및 폼배관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폼배관을 통해 유입된 폼액과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혼합되도록 하는 방수포라인; 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폼배관은, 상기 방수포라인의 일 측면과 연결된 구조의 배관인 폼방수라인; 상기 폼액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폼탱크라인; 및 상기 폼탱크라인과 폼방수라인이 연결되는 중간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폼밸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는, 무선리모컨을 통해 엔진 회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선리모컨을 통해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방수밸브 및 제 2 방수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선리모컨을 통해 폼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폼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방관 등이 무선리모컨을 이용해 방수장치의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 등을 RF무선통신으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으며, 방수장치에 대한 선 조작 없이 화재 지점으로 긴급히 투입하여 방수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초기 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방수, 화재, 무선리모컨, 방수배관, 폼액

Description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Fire extiguisher using wireless remot control}
본 발명은 소방차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수장치에 대한 선 조작 없이 화재 지점으로 긴급히 투입하여 방수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초기 진화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방차에 탑재된 고압 방수 장치는 야산이나 농경지에 발생한 산불을 초기에 진화작업을 할 수 있도록 먼 거리까지 이동이 가능하고, 산불의 초기진화 후 잔불진화를 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유용하며, 농번기 등의 대민 지원용으로 논이나 밭 등의 농약 살포나 산림의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도록 그 분양가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야산이나 농경지에 발생한 산불은 초기에 진화하지 않으면 큰 화재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가급적 신속하게 진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미 화재가 이른 시간 내에 주위로 확대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초기진화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산불의 경우에는 잡목 및 바위 등 주위의 여건에 의해 화재 현장까지 소방차의 진입이 어렵고, 기존의 개인 소방 장비나 헬기에 의한 살수 등에 의해서 진화를 해야하며, 진화 후에도 잔불은 여전히 남아 급격한 기상의 변화에 의해 다시 산불이 번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큰 면적의 화재일 경우 개인 소방장비로는 기동성이 떨어지고, 화재에 접근해서 진화를 해야 하는 등, 위험에 노출되어 작업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개인 소방장비의 접근이 어려울 경우에는 헬기에 의한 공중 살수에 의해서 진화를 해야 하는데, 악천후 및 강한 바람 등에 의해서 헬기가 이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소화수의 정확한 살수가 힘들며, 살수 후 재충전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헬기의 복귀 및 재충전하는 동안 산불은 계속 확대되어 초기의 진화가 어렵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고안 실 제 20-0142852 호(산불 진화용 물 분사기 호스)에 있어서, 상기 고안인 소방호스는 소정의 단면 지름을 가지고, 소정의 단위 길이이면서 상기 소방호스 양단에 각각 소방호스 연결용 호스 이음관 또는 밀폐관이 볼트 체결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성형된 나사부와, 상기 소방호스의 외주에 길이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과, 상기 통공 가능하게 타설되며, 내단 측은 개방되고, 외단 측에는 상기 통공 내외로 출몰되는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화재지역 또는 화염이 전파될 우려가 있는 지역까지 소방수를 지속적으로 끌여들여 스프링쿨러 형태로 산불의 예상 경로에 분사하는 기능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급격한 날씨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산불의 예상 경로를 미리 예측하여야 하고, 산불의 예상 경로를 미리 예측하여 상기 고안의 설치시 화재 발생 현장과 멀리 떨어져 설치해야하므로, 화재의 초기진화가 중요한 산불에 있어서는 초기진화가 어려우며, 소방호스를 멀리 이동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수납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먼 거리의 이동이 불가능하고, 설령 이동하여 설치되더라도 산불의 진행 방향이 변할 경우에는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프링 클러 방식의 살수는 일반 평지에서 사용하는 것이 통상의 사용방법이고, 산의 특성상 주위에 바위 및 나무들이 많아 소화수의 분사시 소화수가 주위의 방해물에 의해 멀리 분사되지 않고 튀어나옴으로 산불의 진화에 사용하는 소화용 장비로서 적당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방관이 호스를 가지고 화점까지 도착한 경우 방수장치 주변에 있는 기관요원에게 무전 연락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선리모컨을 이용해 방수장치의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 등을 RF무선통신으로 간편히 조작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소방관 등이 무선리모컨을 이용해 방수장치의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 등을 RF무선통신으로 간편히 조작하기 위한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방관 등이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혼합비율로 방수할 수 있는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수장치에 대한 선 조작 없이 화재 지점으로 긴급히 투입하여 방수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초기 진화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는, 물을 유입하기 위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방수라인과 제 2 방수라인을 포함하는 방수라인;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무선 리모컨과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펌프; 물탱크로부터 또는 자체적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자체급수관; 상기 제 1 방수라인 및 제 2 방수라인 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유출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 방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방수밸브; 및 폼배관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폼배관을 통해 유입된 폼액과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혼합되도록 하는 방수포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폼배관은, 상기 방수포라인의 일 측면과 연결된 구조의 배관인 폼방수라인; 상기 폼액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폼탱크라인; 및 상기 폼탱크라인과 폼방수라인이 연결되는 중간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폼밸프;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방수라인은 옆으로 누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방수라인은 상기 제 1 방수라인과 대칭되는 방향의 옆으로 누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체급수관은 가로로 선 "ㄴ"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는, 무선리모컨을 통해 엔진 회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선리모컨을 통해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방수밸브 및 제 2 방수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선리모컨을 통해 폼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폼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를 이용한 방수방법은 물을 유입하기 위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방수라인과 제 2 방수라인을 포함하는 방수라인;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펌프; 자신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자체급수관;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유출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 방수밸브를 포함하는 방수밸브; 폼배관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폼배관을 통해 유입된 폼액과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혼합되도록 하는 방수포라인; 을 포함하는 방수배관을 포함하는 방수장치를 이용한 방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수장치는 무선리모컨으로 입력된 엔진 회전신호 입력에 따라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엔진 회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회전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방수장치는 상기 무선리모컨으로 입력된 방수배관 개방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방수밸브 및 제 2 방수밸브를 개방시키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방수장치는 상기 무선리모컨으로 입력된 폼배관 개방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폼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폼밸브를 개방시키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를 이용한 방수방법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계의 연쇄 작용에 따라, 상기 방수장치는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상기 방수배관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폼배관으로 유입된 폼액을 혼합하여 방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는 소방관 등이 무선리모컨을 이용해 방수장치의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 등을 RF무선통신으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소방관 등이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혼합비율로 방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방수장치에 대한 선 조작 없이 화재 지점으로 긴급히 투입하여 방수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초기 진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를 나 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는 펌프(110), 방수라인(120: 121, 123), 방수밸브(130: 131, 133), 방수포라인(140), 물탱크(150) 및 자체급수관(160)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110)는 방수라인(120)이 맞물리는 지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펌프(110)는 자신의 구동에 따라 자체급수관(160)을 통해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펌프(110)에 대한 엔진 회전 및 엔진 정지는 후술할 무선리모컨(300)에 의한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방수라 이(120)는 옆으로 누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면상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방수라인을 지칭한다.
방수밸브(130)는 방수라인(120) 상에 형성되며 자체급수관(160)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방수라인(120)으로 유출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수포라인(140)은 후술할 폼배관(180)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물탱크(150)는 물을 저장하며 자체급수관(160)과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물탱크(150)는 3800 리터의 물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물탱크(150) 내부에는 AL체크판, 방파판, 중간판막이, 서포트를 추가적인 구성요소로 갖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자체급수관(160)은 가로로 선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물탱크(150) 또는 자체적으로 유입된 물을 방수라인(120)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 중 방수배관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수배관은 펌프(110), 방수라인(120), 방수밸브(130), 방수포라인(140), 자체급수관(160)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1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펌프(110)는 제 1 방수라인(121) 및 제 2 방수라인(123)이 맞물리는 지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펌프(110)는 자신의 구동에 따라 자체급수관(160)을 통해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펌프(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에 대한 엔진 회전 및 엔진 정지는 후술할 무선리모컨(300)에 의한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10)는 무선리모컨(300)과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200)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방수라인(120)는 제 1 방수라인(121) 및 제 2 방수라인(123)으로 형성된다. 제 1 방수라인(121)은 옆으로 누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면상의 좌측에 형성된 방수라인을 지칭한다. 한편, 제 1 방수라인(121)의 일 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방수밸브가 2개가 추가될 수 있다. 제 2 방수라인(123)도 제 1 방수라인(121)과 대칭되는 방향의 옆으로 누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면상의 우측에 형성된 방수라인을 지칭한다. 제 2 방수라인(123)도 제 1 방수라인(123)과 같이 일 측에 추가적인 방수밸브 2개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추가된 방수밸브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점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방수밸브(130)는 제 1 방수밸브(131) 및 제 2 방수밸브(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방수밸브(131)는 제 1 방수라인(121) 상에 형성되며 자체급수관(160)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제 1 방수라인(121)으로 유출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방수밸브(133)는 제 2 방수라인(123) 상에 형성되며 동일하게 자체급수관(160)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제 2 방수라인(123)으로 유츨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방수밸브(131, 133)에 대한 개방 또는 잠김은 후술할 무선리모컨(300)에 의한 방수배관 개방 및 잠김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방수밸브(131, 133)는 무선리모컨(300)과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200)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방수포라인(140)은 후술할 폼배관(180)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방수포라인에 유입된 폼액과 자체급수관(160)을 통해 유입된 물이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혼합되도록 한다.
자체급수관(160)은 가로로 선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물탱크(150) 또는 자체적으로 유입된 물을 제 1 방수라인(121) 및 제 2 방수라인(123)로 제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자체급수관(160)과 제 1 방수라인(121) 및 제 2 방수라인(123)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급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방수배관에 결합되는 폼배관(1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폼배관(180)은 폼방수라인(181), 폼밸브(183), 폼탱크라 인(185)을 포함할 수 있다.
폼방수라인(181)은 전술한 방수포라인(140)의 측면과 연결된 구조의 배관을 말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포라인(140)과 연결할 연결부를 포함한다.
폼밸브(183)는 폼탱크라인(185)과 폼방수라인(181)이 연결되는 중간 지점에 형성된다. 폼밸브(181)에 대한 개방 또는 잠김은 후술할 무선리모컨(300)에 의한 폼배관 개방 또는 잠김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폼밸브(181)는 무선리모컨(300)과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200)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폼탱크라인(185)은 도시되지 않은 폼액이 저장된 폼탱크(미도시)로부터 폼액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즉, 폼액은 폼밸브(183)가 모선리모컨(300)에 의한 폼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폼탱크라인(185), 및 폼방수라인(181)을 거쳐 방수포라인(140)으로 유입한다.
도 4는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 무선송수신기(200) 및 무선리모컨(300) 간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방수장치(100)는 소방차 내부에 있으며, 무선송수신기(200)는 방수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무선리모컨(300)은 소방관이 화재 현장으로 들고 들어가는 유닛이다. 소방관은 화재 진압용 호수와 무선리모컨(300)을 들고 화재 현장으로 도달한다. 먼저 소방관은 무선리모컨(300)의 제 1 버튼(301)으로 엔진 회전신호를 입력하면, 무선리모컨(300)은 RF 무선신호를 통하여 방수장치(100)와 연결된 무선송수신기(200)로 엔진 회전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송수신기(200)는 자신과 연결된 방수장치(100)의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회전시킨다.
소방관은 무선리모컨(300)의 제 2 버튼(303)으로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입력하면, 무선리모컨(300)은 RF 무선신호를 통하여 방수장치(100)와 연결된 무선송수신기(200)로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송수신기(200)는 자신과 연결된 방수장치(100)의 방수밸브(130)인 제 1 방수밸브(131) 및 제 2 방수밸브(133)를 개방하도록 구동시킨다.
이후, 소방관은 무선리모컨(300)의 제 3 버튼(305)으로 폼배관 개방신호를 입력하면, 무선리모컨(300)은 RF 무선신호를 통하여 방수장치(100)와 연결된 무선송수신기(200)로 폼배관 개방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송수신기(200)는 자신과 연결된 방수장치(100)의 폼밸브(183)을 개방하도록 구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는 무선리모컨(300)으로 입력된 엔진 회전신호 입력에 따라 무선송수신기(200)를 통해 엔진 회전신호를 수신하면,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회전시킨다(S501).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는 무선리모컨(300)으로 입력된 방수배관 개방신호 입력에 따라 무선송수신기(200)를 통해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방수밸브(130)인 제 1 방수밸브(131) 및 제 2 방수밸브(133)를 개방시킨다(S503).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는 무선리모컨(300)으로 입력된 폼배관 개방신호 입력에 따라 무선송수신기(200)를 통해 폼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폼밸브(183)를 개방시킨다(S505).
단계(S501 내지 S505)의 연쇄 작용에 따라,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방수배관으로 유입된 물과 폼배관으로 유입된 폼액을 혼합하여 배출할 수 있다(S507).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는 소방관 등이 무선리모컨을 이용해 방수장치의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 등을 RF무선통신으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으며, 소방관 등이 방수장치에 대한 선 조작이 필요 없으며, 방수배관, 폼배관, 엔진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혼합비율로 방수가 가능하므로,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중 방수배관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방수배관에 결합되는 폼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무선송수신기 및 무선리모컨 간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110: 펌프
121: 제 1 방수라인 123: 제 2 방수라인
131: 제 1 방수밸브 133: 제 2 방수밸브
140: 방수포라인 150: 물탱크
160: 자체급수관 180: 폼배관
181: 폼방수라인 183: 폼밸브
185: 폼탱크라인 200: 무선송수신기
300: 무선리모컨 301: 제 1 버튼
303: 제 2 버튼 305: 제 3 버튼

Claims (5)

  1. 물을 유입하기 위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방수라인과 제 2 방수라인을 포함하는 방수라인;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무선리모컨과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펌프; 물탱크로부터 또는 자체적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자체급수관; 상기 제 1 방수라인 및 제 2 방수라인 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물이 유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방수라인으로 유출되도록 개방 또는 잠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 방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방수밸브; 및 폼배관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폼배관을 통해 유입된 폼액과 상기 자체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미리 설정된 혼합비로 혼합되도록 하는 방수포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폼배관은, 상기 방수포라인의 일 측면과 연결된 구조의 배관인 폼방수라인; 상기 폼액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폼탱크라인; 및 상기 폼탱크라인과 폼방수라인이 연결되는 중간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폼밸프; 를 포함하는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는,
    무선리모컨을 통해 엔진 회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선리모컨을 통해 방수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방수밸브 및 제 2 방수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선리모컨을 통해 폼배관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폼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86850A 2009-09-15 2009-09-15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KR10117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50A KR101178498B1 (ko) 2009-09-15 2009-09-15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50A KR101178498B1 (ko) 2009-09-15 2009-09-15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259A KR20110029259A (ko) 2011-03-23
KR101178498B1 true KR101178498B1 (ko) 2012-09-07

Family

ID=4393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850A KR101178498B1 (ko) 2009-09-15 2009-09-15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707B1 (ko) * 2020-07-24 2021-03-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복합 소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74B1 (ko) * 2001-10-19 2004-06-23 홍영기 소방용 폼액 분사장치
KR100667572B1 (ko) * 2005-03-08 2007-01-25 (주)무선스포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소방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74B1 (ko) * 2001-10-19 2004-06-23 홍영기 소방용 폼액 분사장치
KR100667572B1 (ko) * 2005-03-08 2007-01-25 (주)무선스포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소방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707B1 (ko) * 2020-07-24 2021-03-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복합 소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259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679B1 (ko)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US9764174B2 (en) Rain maker wildfire protection and containment system
KR100981287B1 (ko) 산불 초기진화장치
GB2106385A (en) Fire detection and fighting system
US9561393B2 (en) Fluid hose apparatus with integrated nozz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7104334B2 (en) Deployable automatic foaming fire protection system
KR101178498B1 (ko)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방수장치
RU2482924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JP2004065905A (ja) 高層ビル火災の外部からの消火システム
KR20100006171U (ko) 헤드에 배수장치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AU2017424706B2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system
CN202942577U (zh) 一种gps智能自动喷淋灭火装置
KR200463826Y1 (ko) 선박용 소화수 배관 동파 방지장치
CN108744374A (zh) 一种建筑及其灭火系统与灭火方式
KR101267421B1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KR102399521B1 (ko) 복수의 드론을 이용한 산불 진화 시스템
CN213724581U (zh) 一种基于建筑消防防火装置
AU2017425222A1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system and extinguisher nozzle
EP3727608B1 (en) Fire extinguisher plant using water
KR102051630B1 (ko) 산불 진화용 이동 확장식 호스릴 소방시스템
KR200466639Y1 (ko) 선박용 소화수의 서지 방지 장치
KR200202173Y1 (ko) 소방차에 탑재된 고압 방수 장치
CN220572579U (zh) 一种用于楼宇自动化的灭火设备
CN111135505A (zh) 智能消防车和消防车灭火方法
CA2891833C (en) Fluid hose apparatus with integrated nozz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