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195B1 -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195B1
KR101177195B1 KR1020100061101A KR20100061101A KR101177195B1 KR 101177195 B1 KR101177195 B1 KR 101177195B1 KR 1020100061101 A KR1020100061101 A KR 1020100061101A KR 20100061101 A KR20100061101 A KR 20100061101A KR 101177195 B1 KR101177195 B1 KR 10117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function
registered
provid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00A (ko
Inventor
정종락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1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는,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는 기능 등록단계,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발자에게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공하는 기능 오픈단계,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및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특정 제조사의 디바이스가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지 않고 특정 디바이스가 타 제조사의 디바이스와 기능상 연계를 또는 서비스를 통해 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이외에 디바이스 Mashed된 서비스 연계제공이 물리적인 디바이스의 한계를 뛰어넘어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ervice linkage and service expansion among heterogeneous devices based on the cloud compu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제조사의 디바이스가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기능을 외부에 오픈하도록 유도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특정 디바이스가 타 제조사의 디바이스와 기능상 연계를 또는 서비스를 통해 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디바이스를 통한 서비스는 개방된 API를 통해 타 개발자를 통해서 서비스가 개발되는 등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이외에 디바이스 Mashed된 서비스 연계제공이 물리적인 디바이스의 한계를 뛰어넘어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디바이스간 연동을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 출시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자체적으로 컴퓨팅할 수 있는 리소스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다. 한편, 디바이스가 출시되는 시점부터 탑재한 본질적 역할 외에,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된 업그레이드형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디바이스간 물리적인 융복합이 이루어지면서 신규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기존에 제공하던 서비스 이외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디바이스를 구매해야 하는 데, 새로 출시된 디바이스는 구 디바이스와의 서비스 연동을 고려해 설계될 수 있지만, 구 디바이스는 새로운 디바이스와의 서비스 연동에 대한 지원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제조사의 디바이스가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기능을 외부에 오픈하도록 유도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특정 디바이스가 타 제조사의 디바이스와 기능상 연계를 또는 서비스를 통해 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디바이스를 통한 서비스는 개방된 API를 통해 타 개발자를 통해서 서비스가 개발되는 등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이외에 디바이스 Mashed된 서비스 연계 제공이 물리적인 디바이스의 한계를 뛰어넘어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디바이스간 연동을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는 기능 등록단계;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발자에게 상기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공하는 기능 오픈단계; 상기 제공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및 상기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오픈단계는 상기 저장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조회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기능 오픈단계는 상기 저장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조회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 등록단계는, 상기 기능 등록단계를 통해서 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하는 연계 기능등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조회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등록단계는,
상기 기능 등록단계를 통해서 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하는 연계 기능등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계 기능등록 단계를 통해서 등록된 연계 기능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 오픈단계는 상기 저장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조회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공개되는 API는 기정의된 표준에 따라서 공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기능을 정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고,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발자에게 개방하는 디바이스 센터; 및 상기 제공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등록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저장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조회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연계 기능등록 단계를 통해서 등록된 연계 기능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개발할 수 있는 API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회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센터; 및 상기 제공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술한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특정 제조사의 디바이스가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기능을 외부에 오픈하도록 유도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특정 디바이스가 타 제조사의 디바이스와의 기능상 연계를 또는 서비스를 통해 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해당 디바이스를 통한 서비스는 개방된 API를 통해 타 개발자를 통해서 서비스가 개발되는 등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이외에 디바이스 Mashed된 서비스 연계제공이 물리적인 디바이스의 한계를 뛰어넘어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디바이스간 연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네트워크(500)를 통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클라우드 센터(100), 서비스 개발자 단말장치(200), 디바이스 제조자 단말장치(300), 및 고객 단말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500)는 무선 혹은 유선의 통신망을 통칭하며, 통신망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장치들(200, 300, 400)도 노트북, 데스크탑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같이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개발자가 특정 동작(예를 들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고 함은 단말장치(200)를 통해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어떤 동작을 "서비스 개발자"가 수행한다는 표현은 "서비스 개발자가 단말장치"를 통해서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고객' 또는 '제조업자'들도 특정 동작을 한다고 표현할 때 비록 단말장치라는 표현이 없더라도 각각의 단말장치를 통해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센터를 통해서 개별 디바이스가 보유하는 기능을 등록하도록 하고, 외부에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오픈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타 디바이스의 등록된 기능과 연동하여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각 디바이스 간의 클라우드 센터를 통한 서비스 및 디바이스를 엮을 수 있는(MASH-UP)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클라우드 센터(100)는,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여 관리하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개발할 수 있는 API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대한 기능 명세가 클라우드 센터의 디바이스 센터(110)에 등록됨으로써, 타 디바이스와 연동을 위한 API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 디바이스 등록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스펙정보, 디바이스가 하드웨어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정보, 기능을 외부에서 도입하여 적용하기 위한 API 정보, 기능의 연동을 위한 메뉴얼 및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된 디바이스의 서비스구현 및 서비스 연계를 위한 기술적인 기능 명세는 타 디바이스와 연동이 되며, 제3의 개발자가 본 디바이스와의 기능과 연계를 하는데 필요한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 등록된 기능들은 외부로 향하는 엑스 터널(external) OPEN API를 통해서 외부에 공개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제조자는 해당 디바이스의 기기상 업그레이드 기능 및 서비스를 디바이스 센터와 서비스 센터에 제공함으로써 기 등록된 정보를 각각 갱신할 수 있다.
서비스 개발자 단말장치(200)는 클라우드 센터(200)에서 관리하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개발자 단말장치(200)는 조회한 디바이스의 기능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센터(200)에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자 단말장치(300)는 클라우드 센터(200)에 디바이스의 기능 명세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조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등록하는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른 서비스를 클라우드 센터(20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제조자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는 단말장치와, 그러한 디바이스 기능에 따른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말장치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 없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말장치(300)만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별도의 단말장치로 마련하여 본원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고객 단말장치(400)는 클라우드 센터(200)에 등록된 서비스를 조회하고, 조회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센터(200)는, 디바이스의 기능을 정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고,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발자에게 개방하는 디바이스 센터(110); 상기 제공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120);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서비스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센터(110)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주로 디바이스 제조업자)가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조업자와 같이 디바이스를 개발하거나 제조하는 자(이하, '제조업자'라고 함)는 그러한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디바이스의 기능 명세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디바이스의 기능 명세를 조회하고 조회한 기능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디바이스 명세'라고 함은, '디바이스 일반 명세'와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바이스 일반 명세는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사항(제조사명, 모델명, 또는 스펙등)을 의미하고, 디바이스 기능 명세는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사항을 정의한 것이다. 또한, '서비스 확장'이라고 함은 디바이스가 기존에 가지지 못하였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공개 API'라고 함은 디바이스를 컨트롤할 수 있는 오픈된 API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를 의미하며, '서비스 연동'은 디바이스간 서비스를 연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비스 센터(120)는 디바이스 센터(110)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센터(120)는 디바이스별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관리하며, 디바이스에 대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도록 서비스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개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개발자는 그러한 서비스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새롭게 개발된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120)는 서비스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등록되는 서비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서비스들의 목록을 유지한다.
또한, 서비스 센터(120)는, 자신이 관리하는 서비스들의 목록을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고객 단말장치(400)를 통해서 서비스 신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센터(120)는 그러한 신청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 단말장치(400)는, 서비스 신청을 할 때,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를 받을 자신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디바이스의 일반 명세, 디바이스의 기능 명세, 디바이스의 기능 리스트, 디바이스의 기능별 연계 방법에 대한 정보, 디바이스의 기능 샘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30)는 DB(데이터베이스)와 물리적 디스크를 포함하여, 여기서 물리적 디스크는 주로 파일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는 물리적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의 주소나 상호 관련성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저장부(14)는 서비스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4)는 디바이스별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가 포함하는 DB와 물리적 디스크의 역할은 상술한 저장부(130)의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저장부(130)를 '디바이스 저장부'라고 언급하고 저장부(140)는 '서비스 저장부'라고 종종 언급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이들 디바이스 저장부와 서비스 저장부를 각각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마련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제 구현시에는 이들을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센터(100)는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록부(111),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부(111)는 디바이스 명세를 등록할 수 있도록 제3자에게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자(주로 제조업자가 될 것이다)는 그러한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 새로운 디바이스에 대한 명세를 등록하거나, 또는 ii) 기 등록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갱신 등록을 하거나, 또는 iii)기 등록된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의 기능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명세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부(111)의 '등록' 동작은 제3자(예를 들면 디바이스 제조업자)에게 i) ~ iii)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정보들을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회부(113)는 상술한 등록부(111)를 통해서 등록된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에 대한 기능 명세)를 제3자(이하, '조회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조회부(113)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요청되는 디바이스에 대한 기능 명세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색하여 조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회부(113)는 특정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API를 조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120)는 등록부(120), 조회부(123),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부(120)는 디바이스 센터(110)에 등록된 디바이스에 기반한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개발자 단말장치(220)로 제공한다. 서비스 개발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술한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등록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조회부(123)는 기등록된 서비스 목록을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서비스를 선택(신청)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고객이 특정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 센터는 그 특정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A)의 제조자 병이 디바이스 등록부(111)가 제공하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디바이스(A)의 명세를 디바이스 센터(110)로 전송할 수 있다(S201). 디바이스 센터(110)의 등록부(111)는 디바이스의 일반 정보(일반 명세), 기능 리스트, 기능별 연계방법, 디바이스 기능 구현 샘플 등을 등록한다(S203).
이후, 디바이스(B)의 제조자 정이 S203에서 등록한 디바이스(A)의 기능 명세를 조회할 것을 요청하면, 조회부(113)는 공개된 API를 포함한 기능 명세를 제조자(B)에게 제공한다. 이후, 디바이스(A)의 기능과 연계된 기능이 있는 경우(S205: Y), 그러한 연계된 기능을 포함하여 디바이스(B)의 기능 명세를 등록부(111)가 제공하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등록한다(S209).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센터(110)에 디바이스(A)의 기능 명세를 등록하고(S301), 그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를 등록한다(S302). 디바이스 개발 업자는 기 등록된 디바이스(A)의 기능을 조회한다(303). 이후, 조회한 디바이스(A)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B)의 연계 기능을 개발하여 등록하고(S305), 그 연계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를 등록한다(S304). 또한, 조회한 디바이스(B)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B)의 연계 기능을 개발하여 등록하고(S307), 그 연계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를 등록한다(S306). 이후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와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한다. 이제 고객이 기등록된 서비스 목록을 요청하면(S311), 기등록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고, 서비스 신청을 받을 수 있다(S313). 이후, 서비스 센터(120)는 신청받은 서비스를 신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클라우드 센터 200 : 서비스 개발자 단말장치
300 : 디바이스 제조자 단말장치 400 : 고객 단말장치

Claims (20)

  1.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사항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클라우드 센터에 등록하는 기능 등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발자에게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공하는 기능 오픈단계;
    상기 서비스 개발자에게 제공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개발자에 의해 생성되면, 생성된 상기 새로운 서비스를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등록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 등록단계를 통해서 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하는 연계 기능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오픈단계는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조회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오픈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조회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계 기능등록 단계를 통해서 등록된 연계 기능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오픈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공개되는 API는 기정의된 표준에 따라서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 방법.
  11.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사항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하고,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발자에게 개방하는 디바이스 센터; 및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개발자에 의해 생성되면, 생성된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고,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등록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 명세를 저장하며,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디바이스 센터에 저장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제3자가 조회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센터는,
    상기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새로운 연계 기능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8.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사항을 정의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등록할 수 있는 등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를 서비스 개발자가 조회할 수 있는 조회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의 디바이스 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조회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센터; 및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개발자에 의해 생성되면, 생성된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고, 등록한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등록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 기능 명세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계 기능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인,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9. 삭제
  20.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61101A 2010-06-28 2010-06-28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01A KR101177195B1 (ko) 2010-06-28 2010-06-28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01A KR101177195B1 (ko) 2010-06-28 2010-06-28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00A KR20120000700A (ko) 2012-01-04
KR101177195B1 true KR101177195B1 (ko) 2012-08-27

Family

ID=4560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101A KR101177195B1 (ko) 2010-06-28 2010-06-28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78B1 (ko) * 2013-04-29 2013-10-07 송은하 버추얼 클래스 기반 글로벌 시티즌십 인큐베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00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0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mputer and user migration
US7779409B2 (en) Device-to-device software distribution
TW201814509A (zh) 實現網路頁面與本體應用通信的方法、裝置和電子設備
US9459859B2 (en) Template derivation for configuration object management
US10235147B2 (en) Discovery and activation of application extensions
CN105765533A (zh) 用于固件虚拟化的方法和装置
CN108431763A (zh) 通过网络服务管理多个云存储装置
US20190087131A1 (en) Mechanism for multiple coexisting configurations support in virtual tape applications
US201403519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license management program
WO2017128964A1 (zh) 一种应用融合方法及装置
KR101177195B1 (ko)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704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36192B2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管理方法
JP6305758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による管理方法、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54626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4253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05671A (ko) 클라우드 컴퓨터 기반의 디바이스간 서비스 연동 및 서비스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04498B (zh) 移动智能终端下转发应用程序内流量的方法
JP2014085994A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管理方法
KR20160134419A (ko) 복수의 가입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가입자 식별 정보 변경 방법,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957400B2 (ja) 情報端末、端末管理システム、端末管理方法およびインストール支援プログラム
KR102334093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60117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mobile technology platforms respective of personas
JP2016105271A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スマートデバイス、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74262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