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624B1 - 전송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624B1
KR101176624B1 KR1020097026509A KR20097026509A KR101176624B1 KR 101176624 B1 KR101176624 B1 KR 101176624B1 KR 1020097026509 A KR1020097026509 A KR 1020097026509A KR 20097026509 A KR20097026509 A KR 20097026509A KR 101176624 B1 KR101176624 B1 KR 10117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s
time
frequency frame
frame
tim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981A (ko
Inventor
하리 제이 페코넨
야니 바레
주씨 베스마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1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4/00Combined time-division and 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 채널들 사이에서, 고정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fixed 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용량을 동적으로 나누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시간 주파수 프레임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나뉘어지고, 그리고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이 복수의 대응 슬롯들로 나뉘어 진다. 그 다음에, 정의된 시간 시프트가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의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대응 슬롯들 사이에서 존재하도록, 상기 복수의 슬롯들이 선택적으로 시간 시프트된다.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끝을 넘어서 선택적으로 시프트되었던 슬롯들 또는 슬롯 부분들을 위해서, 그런 슬롯들 또는 슬롯 부분들이 상기 프레임의 시작으로 주기적으로 시프트된다. 그런 다음에, 서비스 데이터가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에 기록된다. 수신기를 위한 초기화 및 서비스 액세스 프로세스들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송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nd transferring data through 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전송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시간-주파수(TF : time-frequency) 슬라이상의 사용에 관련된다.
이 섹션은 본 청구범위에서 상술되는 본 발명의 배경이나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서 의도된 것이다. 여기에서의 설명은 수행되었을 수도 있는 개념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지만, 반드시 이전에 고안되거나 수행되었던 것들일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다면, 이 섹션에서 설명되는 것은 본 출원의 설명이나 청구범위에 대한 종래 기술은 아니며, 이 섹션에서 포함된다고 해서 종래 기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브로드밴드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는 최종 사용자들로 하여금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트를 수신가능토록한다. 이동 단말을 사용해서, 사용자는 무선 디지털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서, 무선 전송 채널의 용량을, 시간-분할 멀티플렉싱(TDM : time-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서비스 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는 TDM 프레임 내의 슬롯을 확보하고(reserve), 정해진 비트 레이트가 할당된다. 비트 레이트는 프레임 간격(interval) 및 슬롯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간 비디오 서비스와 같은 몇몇 서비스는 가변 비트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TDM 용량은, 스트림이 항상 확보된 슬롯에 반드시 수습된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비디오 서비스의 최대 비트 레이트에 근거하고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확보되는 슬롯들은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낭비되는 전송 용량의 결과를 낳는다.
낭비되는 전송 용량을 감소시키도록, 확보된 TDM을 더 완전하게 채우기 위한 시스템들이 식별되어 왔다. 그러나 예컨대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송 용량이 더 증가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 채널들 사이에서, 고정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fixed 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용량을 동적으로 나누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시간 주파수 프레임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나뉘어지고, 그리고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이 복수의 대응 슬롯들로 나뉘어 진다. 그 다음에, 정의된 시간 시프트가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의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대응 슬롯들 사이에서 존재하도록, 상기 복수의 슬롯들이 선택적으로 시간 시프트된다.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끝을 넘어서 선택적으로 시프트되었던 슬롯들 또는 슬롯 부분들을 위해서, 그런 슬롯들 또는 슬롯 부분들이 상기 프레임의 시작에 주기적으로 시프트된다. 그런 다음에, 서비스 데이터가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에 기록된다. 수신기를 위한 초기화 및 서비스 액세스 프로세스들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조와 동작 방식과 같이하는 본 발명의 이런 그리고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결합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이 경우 아래에서 설명되는 여러 도면들에서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유사한 참조번호를 가진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4개의 RF 채널들(NRF = 4) 및 10개의 물리적 채널들(슬롯들)을 포함하는 TF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송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어떻게 TF 프레임이 전송기에서 구성되는가를 도해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어떻게 TF 프레임이 각각의 물리적 채널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씩,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나뉘는가를 보여준다.
도 5는 어떻개 개개의 서브프레임들이, 각각의 RF 채널마다 하나의 슬롯씩해 서, 슬롯들로 나뉘는가를 도해한다.
도 6은 시간 시프트하는 것이 RF 채널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해하고, 시간 시프트하는 것은 프레임 지속기간 TF 및 RF 채널들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프레임의 끝을 초과하는 슬롯들 또는 슬롯 프래그먼트들을 프레임의 시작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두 개의 연속한 TF 프레임들의 표현이다.
도 9는 시간 주파수 슬라이싱(TFS)- 프레임 내에 복수 개의 파일롯 신호들 P1 및 P2를 삽입하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도 10은 사용되는 캐리어 및 사용되지 않는 캐리어 모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파일롯 신호 P1 에지 캐리어들을 보여준다.
도 11은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MPEG-2 적응(adaptation)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관련된 원리들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MPEG-2 적응을 위한 일반적 시그널링 원리를 보여준다.
도 13은 GS/GSE 적응에서 상위 r계층 시그널링의 예를 묘사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일반적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표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수신기에서 예시적인 초기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서비스 액세스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의 개괄적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 채널들 사이에서, 고정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fixed 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용량을 동적으로 나누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물리적 채널들은 프레임으로부터의 특정 슬롯을 보유하는 TDM 채널이고, 하나의 물리적 채널은 하나 이상의 논리적 채널들을 운반할 수 있다. 이런 TF 슬라이싱을 사용해서, 비트 레이트 변경(bit rate variation)들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걸쳐서 평균화되고, 따라서 전체 비트 레이트 변경을 감소시키고, 낭비되는 용량을 낮추는 결과를 낳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간-주파수 슬라이싱을 사용해서, 다수의 RF 채널들이, 문제가 되는 TDM 프레임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또한 채널들 전체에 걸쳐서 서비스를 멀티플렉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공되는 서비스의 개수는 RF 채널들의 개수에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증가하고, 그 결과 통계적 멀티플렉싱 이득 (statistical multiplexing gain)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이런 배열은 또한 채널 코딩을 확장시키고 이용가능한 RF 채널들 전체에 걸쳐 인터리빙(interleaving)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또한 제공한다.
도 1은 TF 프레임 (100)을 도시하고, 여기서 4개의 RF 채널들(NRF = 4) 및 10개의 물리적 채널들(슬롯들)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TF 프레임 (100)은 각각의 RF 채널 마다 하나 씩, 4개의 NRF 고정된 TDM 프레임들 (100)(각각 RF1, RF2, RF3, RF4, RF5, RF 4로 식별된다)을 포함한다. 각각의 물리적 채널은 전형적으로 TF 프레임 (100) 동안에 매 RF 채널 내에서 하나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RF 채널들 중 일정 물리적 채널의 슬롯들 사이에서 시간 시프트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튜너를 구비한 수신기들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케하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그 때 다음 슬롯을 수신하기 이전에 새로운 주파수로 튜닝할 시간을 갖기 때문이다. 하나의 슬롯은 TM 프레임 (100)의 시작과 끝에 위치된 2개의 부분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런 컨셉의 예가 도 1의 RF4의 서브프레임 (3)에서 묘사된다. RF 채널들의 개수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NRF = 2, 3, 4, 5, 6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사용된 RF 채널들은 서로 간에 인접할 필요가 없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TM 슬라이싱을 사용하는 하나의 이점은, 서비스 할당 이후에 잔여 용량이 NRF = 1 인 경우보다 감소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표 1은 TDM 프레임 및 슬롯 구조들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이다. 주어진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라미터들을 써서, 프레임 지속기간이 148ms가 되도록, OFDM 심볼들의 개수 K가 선택된다. 3개의 다른 비트 레이트 2, 3, 및 10 Mbps를 갖는 7개의 서비스가 존재한다. 그 서비스를 위한 코딩 및 변조 파라미터들의 3개의 조합들이 존재한다. 평균 슬롯 지속기간은 10ms 로부터 최대 56.5 ms 까지 변경되고, 그리고 총 용량의 92.9% 가 사용된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1
표 1의 예에서, NRF = 1의 경우, lOMbps 데이터 레이트, 25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CR= 1/2 를 갖는 2개의 서비스가, 프레임에 수습될 수 있고, 그 결과 TDM 프레임의 76.4% 의 용량을 사용하는 결과를 낳는다. 환원하면, 낭비되는 용량이 23.6% 이다. 대조적으로, NRF = 4 인 TF 슬라이싱의 경우, 동일한 파라미터들을 갖는 10개의 서비스가 TF 프레임에 수습되고, 그 결과 TDM 프레임의 95.9% 의 용량을 사용하고 낭비되는 용량이 4.5% 뿐인 결과를 낳는다.
튜닝 시간 요구사항들과 관련하여, 전송기는 슬롯들이 적어도 일정 시간 간격만큼 분리되어서, 튜너를 1개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수신기들에 따라서도, TF 슬라이싱 전송들이 정상적이게 수신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런 간격은 Ttuning 으로 표기되고, 동일 물리 채널에 속하지만, 다른 RF 채널에 존재하는, 2개의 슬롯 사이의 최소 시간 간격이다. 또한, 이 시간 간격은, 1개의 슬롯의 끝으로부터 다음 슬롯의 시작까지의 시간 간격이다.
수신기의 경우에, Ttuning은 수신기가 RF 채널을 변경하고,다음의 데이터 슬롯을 수신하는 준비를 하기 위해 그 수신기가 가지는 최대의 시간이다. 다수의 절차들이 Ttuning- 위상고정루프 (PLL : phase-locked loop) 튜닝, 자동 이득 조절 (AGC : automatic gain control) 튜닝, 및 채널 추정 - 동안에 수행된다.
짧은 프레임 지속기간 TF (e.g. 100-150ms)에 기반해서, 주파수 및 심볼 시간 동기화가 그 슬롯을 수신하기 이전에 행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 가정된다. 이런 동기화 파라미터들은 슬롯의 수신 동안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컨대 DVB-T에서, PLL 및 AGC 튜닝이 5ms가 걸리고, 4개의 심볼들이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고, 그 다음에 약 10ms 가 8k 심볼들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채널의 가능할 수 있는 영향들 및 다른 구현들을 고려하기 위해 일정 마진을 남겨야 한다. 예컨대 고속 PLL를 위해, 특히 256 QAM 또는 다른 높은 차수(order)의 변조를 위해, 저위상 잡음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Ttuning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값이 서로 다른 전송 파라미터 조합들을 위해 특정된다. 예컨대 채널 추정이 4개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을 사용해서 행해지고, 그 다음에 이런 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은 전송 모드에 의존한다. Ttuning을 위한 하나의 적합한 값은 8k 모드의 경우 10ms 이다.
수신기 메모리와 관련해서, 코딩 및 인터리빙이 전체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행해지고, 디인터리빙을 하기 위해서 수신기는 충분한 메모리를 구비해야 한다. 이런 메모리의 최대 크기는 일 실시 예에서, (1) 15Mbps의 L2 비트 레이트를 갖는 하나의 서비스가 수신되고; (2) 1/2의 코드 레이트; (3) 디코더를 위한 5개의 소프트 비트; (4) 컨볼루셔널(convolutional) 인터리버(이것은 메모리 요구사항을 절반으로 나눈다); 및 (5) 프레임 지속기간 TF = 120ms 을 가정함으로서 추정된다. 이런 파라미터들을 갖는 수신기의 결과적인 메모리 크기는 9 Mbits이다.
슬롯의 위치 및 크기는 TF 프레임으로부터 TF 프레임까지 변경된다. 따라서, 시간 및 주파수 내의 슬롯 (RF 채널)의 위치를 표시하는 동적 L1 시그널링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이런 시그널링은 각각의 TF 프레임을 위해 그리고 그 프레임 내의 각각의 물리적 채널을 위해 요구된다.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속하는 모든 슬롯들은 자신의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슬롯들의 크기가 동일하고(프레임 바운더리 내에서 동일하고, 슬롯은 2개의 서브-슬롯들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슬롯 간격이 TF 프레임 내에서 일정하기(constant)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송기(200)의 구조를 도시하는 일반적인 블록도이다. 도 2의 도면부호 210에서, 입력 데이터는 순방향 오류 정정 (forward error correction)을 거치고, 그 이후에 버퍼들이 도면부호 220에서 입력 비트 레이트 변경들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부호 230에서, 간단한 스케줄이 입력 버퍼 레벨들을 모니터한다. 충만(fill) 레벨들에 기반하여, 개개의 프레임들을 위한 용량 할당들이 결정된다. 도면부호 240에서, 프레이밍, 위상 시프트하는 것, 및 심볼들로의 데이터 맵핑 및 캐리어들이 개개의 프레임들을 위해 발생한다.
도 3은 어떻게 TF 프레임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송기에서 구성되는지를 도해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 예에서 다음 값들이 가정되고 본질상 오직 예일 뿐이다.
● 슬롯들의 개수 L = 10
● 물리적 채널들의 개수는 10이다.
● 서비스의 개수가 10이다.
● 정확히 하나의 서비스가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맵핑되고, 나아가 하나의 슬롯에 맵핑된다.
● 프레임 지속기간 TF = 120ms 이다.
● RF 채널들의 개수 NRF = 4
● 최대 튜닝 시간 Ttuning = 10ms
도 3의 도면부호 300에서,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할당이 결정된다.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경우에,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서비스 (또는 물리적 채널)로부터의 데이터로 이뤄진다는 것을 가정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크기는 도 2의 도면 부호 230의 입력 버퍼들에 대한 트리거 레벨들 및 규칙들의 기결정된 세트에 의존한다. 비트로된 TF 프레임의 크기가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크기 및 물리적 채널 특정 코딩 및 변조 파라미터들 때문에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그 크기는 TF 프레임 당(per) 유용한 캐리어들 또는 OFDM 심볼들 내에서 일정하다. 도 4는 TF 프레임(100)을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나누는 것을 도시하고, 그것은 도 3의 도면부호 310에 또한 나타나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 오직 하나의 서비스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도 3의 도면부호 320에서, 서브프레임들은 각 RF 채널 당 하나의 슬롯인, 슬롯들로 나뉜다. 그러나 일정 실시 예들에서 각각의 RF 채널들을 위해 하나의 슬롯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서,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해, NRF 슬롯들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 5는 각 서브프레임(400)이 개개의 슬롯들로 나뉘어진 이후에 TF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면부호 330에서, 슬롯들이 시간 시프트해서, 하나의 RF 채널로부터 다음 RF 채널까지의 시간 시프트가 30ms이 되도록 한다. 시간 시프트의 양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지속기간 TF 및 RF 채널들의 개수 NRF에 의해 정의된다. 이것은 서로 다른 RF 채널들의 슬롯들 사이에서 최대 시프트의 결과를 낳는 시간 시프트이다. 예컨대 이 예에서 30ms 이외의 모든 시간 시프트는 각각의 RF 채널들 내에서 제1 슬롯 사이의 오버랩에 이르게 할 것이다.
도 3의 도면부호 340에서, TF 프레임 (100)의 길이를 초과하는 슬롯이, 해당 프레임의 선두에 주기적으로(cyclically) 이동된다. 슬롯에 따라서는, 2개의 다른 슬롯에 분단되는 일도 있고, 1개의 슬롯의 그 분단된 부분들이, 프레임의 선두와 최후방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슬롯의 1개의 슬롯 (9)가 도 7의 RF2에 나타난다. 이 지점에서, TF 프레임은 전송할 준비가 되어있다. 따라서 Tmax로 표기된, 최대 슬롯 지속기간이 제한되어야 한다. 그 제한은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여기서, TF는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이고, NRF는 RF 주파수 채널들의 개수이고, 그리고 Ttuning은 하나의 RF 채널에서 다음 RF 채널로 변경할 때, 최대 가정되는 튜닝 시간이다. 전송기는 Tmax가 어떤 슬롯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항상 보장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에서, Ttuning = 10 ms 라는 것이 가정될 때, Tmax = 20ms이다.
도 3의 도면부호 350에서, 서비스 데이터가 TF 프레임(100) 내의 개개의 슬롯들에 기록되고, 도면부호 360에서, TF 프레임 (100)이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로 전송된다.
2개의 프레임들의 경계에서 동적 슬롯 구조들 및 그 영향들을 도해하기 위해서, 도 8은 두 개의 연속적인 TF 프레임들을 도시한다. 이런 상황에서, 전송기는 동시에 2개의 프레임들을 구성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프레임 n 내의 동적 시그널링이 프레임 n + 1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서브프레임은 N 또는 N + 1 개의 슬롯들을 갖고, 여기서 N은 RF 채널들의 개수이다. 예컨대 서브프레임 (9)는 프레임 n 내에 5개의 슬롯들을 갖고, 프레임 n+1 내에 4개의 슬롯들을 갖는다. 또한 서브 프레임의 슬롯 지속기간은, 슬롯이 프레임의 끝에서 2개의 부분으로 나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정적이다. 예컨대 프레임 n 내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및 마지막 슬롯은 서브프레임 (9)의 다른 3개의 슬롯들보다 더 작다. 또한 동일 RF 채널 내에서 서로 다른 TF 프레임들에 속하는 2개의 연속적인 슬롯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서브프레임 (5)는 제로 간격을 갖는 RF3 내의 2개의 연속 슬롯들을 갖고, 반면에 서브프레임 (9)는 RF2 내에 2개의 연속 프레임들을 또한 갖지만 비제로 간격이다. 또한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슬롯의 시작으로부터 다음 슬롯의 시작까지 시간 간격은 일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슬롯의 끝으로부터 다음 슬롯의 시작까지의 간격은 일정하다. 이것은 예컨대 TF 프레임 n의 서브프레임 (9)의 슬롯들에 의해 증명된다.
물리적 계층에서 다양한 기준 신호들이 여기서 논의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에 삽입된다. 2개의 파일롯 신호들 P1 및 P2가 각각의 프레임의 앞에 삽입된다. 파일롯 심볼 P1은 신호의 빠른 인지를 위해 개시 채널 탐색에서 사용되고, 수신기로 하여금 코어스(coarse) 및 파인(fine)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되는 FFT-크기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사용된다. 파일롯 심볼 P2는 파인 동기화, 채널 추정 및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된다. 다중-주파수 TF-슬라이싱 모드에서, 두 개의 파일롯 심볼들이 각각의 주파수에서 TFS-프레임의 시작에서 삽입된다.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심볼들은 동일하다. 이런 파일롯 신호들의 삽입은 도 9에 도시된다(꼭 크기조정될 필요는 없다). 산재된(Scattered) 파일롯들이 다른 가능한 트랙킹 기능들은 물론, 개시 채널 추정의 트랙킹을 가능하게 하도록 모든 데이터 심볼들 내에 삽입된다. 다중-주파수 TF-모드에서, 하나의 실시 예에서 채널 추정이 산재된 파일롯들(P2가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바운더리에 있는 것을 제외)에 의존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파일롯 밀도들을 갖는 다양한 파일롯 패터(patter)들이 다양한 수신 컨디션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속 파일롯들이 가 능한 공통 위상 에러(CPE : Common Phase Error) 정정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트랙킹 알고리즘들을 위해 각각의 데이터 심볼에 제공된다.
파일롯 심볼 P1은 3개의 원리 목적을 가진다. 첫 째 P1은 TFS 프레임 신호의 빠른 인지를 위한 개시 신호 스캔 동안에 사용되고, 이를 위해 단순히 P1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P1의 구성은 수신기가 명목상의 센터 주파수로 튜닝될지라도, 주파수 오프셋들이 직접 감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스캐닝 시간을 절약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가능한 오프셋들 모두를 별도로 테스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P1의 두 번째 태스크는 사용되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크기를 시그널링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 심볼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데, 그 이유는 P1이 일실시 예에서 2k FFT를 항상 사용하기 때문이다. P1의 세 번째 태스크는 코어스 주파수 및 타이밍 동기화이다.
P1은 8 MHz 시스템에서 224 μs의 심볼 지속기간을 갖는 1/4 보호 간격을 갖는 2k 심볼이다. 심볼은 일반적으로 다른 채널 대역폭들로 크기조정된다. 1705개의 액티브 캐리어들 중에서 오직 256개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제로로 세팅된다. 사용되는 캐리어들은 정상적인 7.61 MHz 신호 대역폭의 중간으로부터 6.82992 MHz 대역을 차지한다. 평균적으로 매 6th 캐리어가 사용되지만, 패턴은 3, 6, 또는 9의 간격을 가지며 불규칙적이다. 첫번째 및 마지막 캐리어 인덱스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3
P1 심볼의 디자인은 0.5 MHz의 최대 오프셋이 사용될지라도, P1 심볼 내에서 사용되는 캐리어들의 전부가 여전히 7.61 MHz 명목상(nominal)의 대역폭 내에 있고, 심볼이 명목상의 센터 주파수로 튜닝되는 수신기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파일롯 심볼 P1 에지(edge) 캐리어들은 도 10에 도시된다. 도 10을 리뷰하면, 실제 래스터(raster)가 랜더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사용되는 캐리어들이 의사 난수 패턴으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써서 변조된다. 하나의 실시 예에서, 4개의 상이한 패턴들이 정의된다- 각각의 가용 FFT-크기 (일 실시 예에서 2k, 4k, 8k 및 32k) 마다 하나-. P1에서 사용되는 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수신기는 사용되는 FFT-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다음 심볼 P2를 디코딩할 수 있다.
파일롯 심볼 P2는 4개의 서로 다른 태스크들을 위해서 사용된다. 첫 째, P2는 파인 주파수 및 파인 타이밍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P1으로 달성되는 초기 동기화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 태스크는 TF-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계층 1 (L1)의 시그널링 정보를 운반하는 것이다. 세 번째 태스크는 초기 채널 추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것은 TF-프레임 내의 첫 번째 데이터 심볼들 내, 및 P2 심볼 자체 내의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하다. 네 번째 태스크는 OSI 계층 2 (L2) 시그널링 정보를 운반하는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정보는 정상적인 페이로드(데이터)의 부분으로서 그것을 운반하기 보다는 특정 심볼에게 수집된다. 이 방법은 오직 파일롯 심볼들이 수신되고 디코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초기 서비스 발견(discovery)의 경우에 요구된 L2 시그널링의 디코딩을 단순화시킨다. 서로 다른 FFT-모드에서 이용가 능한 캐리어들의 개수가 다르고 L2-시그널링 필요들이 일정하기 때문에, P2 심볼들의 개수가 다음과 같이 FFT-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 8k FFT - 한개의 P2 심볼들 (32k 또는 16k 또는 1k와 같은 다른 FTT 크기들을 위해, 심볼들의 개수가 정의될 수 있다),
● 4k FFT - 2개의 P2 심볼들
● 2k FFT - 4개의 P2 심볼들
상기 배열을 써서, 시그널링 용량 뿐만 아니라, P2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이 일정하다. 또한 TF - 프레임 길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또한 일정하게 남아있다.
P2 심볼이 1/4 보호 간격을 갖는(또는 일실 시 예에서 최장 G1으로 제한된 32k FFT-크기를 갖는) 전체(full) FFT-크기 심볼이다. 모든 액티브 캐리어들이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 예에서, 캐리어들의 총 개수 중 256개가 P1 심볼과 유사한 패턴 및 변조를 갖는 파일롯들로 사용된다. 추가적인 파일롯 캐리어들이 삽입되어서, 파일롯 캐리어들의 총 개수(Pl + 추가)가 일실시 예에서 캐리어들의 총 개수의 1/3이 되도록 한다. 이것은 수신기로 하여금 하나의 주파수 보간법(interpolation)을 수행함으로서 원샷(one-shot) 채널 추정을 하도록 인에이블시킨다. 캐리어들의 남아있는 2/3가 L1 및 L2를 위해 2개의 시그널링 채널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8k 및 단지 하나의 P2 심볼의 경우에, 4544개의 캐리어들이 시그널링을 위해 남겨진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이런 캐리어들 중 약 1000개가 L1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가 L2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P2 심 볼(i.e., 2k 및 4k)이 존재한다면, L1 및 L2 시그널링이 모든 심볼들에 걸쳐서 퍼질 수 있다. 이것은 임펄시브(impulsive) 간섭에 대한 강건성(robustness)을 향상시킨다.
L1 시그널링 채널이 TF 프레임의 구성(construction)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정보가 디코딩 이후에 즉시 필요하기 때문에, 그리고 원하는 서비스와 연관된 슬롯을 디코딩하기 위해 다른 주파수로의 점프를 수행해야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P2 내의 L1 시그널링은 바로 다음의 TF-프레임을 참조하지 않고, 바로 다음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다. L1 시그널링은 일실시 예에서 적어도 다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보호 간격 {1/4, 3/16, 1/8, 1/16, 1/32}을 위해 3 비트
● 각각의 서비스를 위해:
○ 서비스 시작 위치를 위해 20 비트 (심볼, 캐리어 그룹(예컨대 10개의 캐리어들), 고정된 해상도 -> 심볼 개수를 위해 더 적은 비트, 큰 FFT에서 캐리어 그룹을 위해 더 많은 비트)
○ 서비스 코드 레이트 {1/2,... 7/8}를 위해 3 비트
○ 서비스 변조를 위해 2 비트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 64QAM, 256QAM}
● 다중-입력-다중-출력 (MIMO : multiple-input-multiple-output) 정보를 위해 4 비트
● 프레임 개수를 위해 8 비트
● 장래에 사용될 비트가 또한 보유될 수 있다.
모든 시그널링 캐리어들이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써서 변조되고, 캐리어 당 2 비트를 운반한다. L1 시그널링이 매우 강건해야되기 때문에, 강한(strong) 코딩이 1/2의 코딩 레이트를 써서 사용된다. 따라서 대략 총 1000개의 정보 비트가 L1 시그널링을 위해 운반될 수 있다. 나머지 캐리어들이 L2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코딩도 심벌 내에서 사용되지 않고; 에러 보호가 상위 계층에서 발생한다. 파일롯 캐리어들이 부스팅된 전력 레벨을 써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시그널링 및 서비스 발견이 상위 계층 및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으로 나누어 진다. MPEG-2 TS 적응화(adaptation)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DVB-T에서 정의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기반한다. GS/GSE 적응에서, 여기서 논의된 시그널링을 위해, GS/GSE 적응은 시스템 계층의 서브-그룹의 범위 내에서 정의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그 두 개의 프로파일 들에서 유사하고, 따라서, MPEG-2 TS 및 GS/GSE 적응은 그 적응 중 하나 또는 두개를 물리적 계층과 맵핑시키는 공통된 엔트리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MPEG-2 TS 조정(adaptation)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원리는 DVB-T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원리와 매우 유사하다. 모든 시그널링이 PSI/SI 를 수단으로 L2에 제공되고, 오직 몇몇 새로운 파라미터들만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DVB-T처럼 유사하게 셀 정보 및 튜닝 파라미터들이 네트워크 정보 표(NIT : network information table) 내에 제공된다. 서비스 기술 및 스케줄링이 서비스 전달 표(SDT : service information table) 및 이벤트 정보 표 (EIT : event information table) 내에서 시그널링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가 프로그램 연관 표 (PAT : program association table)및 프로그램 맵 표 (PMT : program map table)를 통해 엘리멘터리 스트림들과 맵핑된다. MPEG-2 TS 적응에서 상위 레벨 시그널링 원리는 도 11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DVB-T 시그널링과 MPEG-2 TS 적응 프로파일의 시그널링 간의 첫 번째 차이는 물리적 계층 및 관련된 시그널링이다. 물리적 채널은 서비스를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과 맵핑시키는 새로운 파라미터이다. 또한 TFS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NIT 내에서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PSI/SI 정보 내의 시그널링이 DVB-T 내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그런 기술어(descriptor)들을 식별한다. 후자의 일반적인 시그널링 원리는 도 12에서 설명된다.
IP 서비스를 논리적 채널에 맵핑시키는 것은 IP 위의 지원되는 프로토콜 스택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각의 IP-기반 서비스가 하나의 논리적 채널과 연관되어 있다면(IP 상의 지원되는 프로토콜들과 관련없이), 동일한 물리적 채널 구조가 GS/GSE 적응을 지원하는 모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논리적 채널이 GSE 패킷 헤더 내에서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GS/GSE 적응 내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의 예를 묘사하고, 여기서 각각의 서비스의 IP 주소들과 서비스 기술은 OSI 계층들 4-7 내에서 서비스ID와 연관된다. L2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ID들을 논리적 채널과 연관시키고, 이것은 또한 서로다른 셀들의 물리적 채널들과 더 연관된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채널은 상위 계층 및 물리적 계층 사이의 맵핑을 제 공한다. 따라서 서비스ID는 L2와 L4-L7 사이의 엘리먼트를 통합시키고 있고, 이때 물리적 채널이 상위 계층과 물리적 계층을 링크시킨다. 또한 전체 이동성 지원(mobility support)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셀이 적어도 현재 및 이웃 셀들 내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위해 시그널링을 제공해야 한다.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이 첫번째 2개의 OFDM 심볼들 즉 각각의 프레임의 P1 및 P2 내에서 운반된다. P1 및 P2 내에서 시그널링되는 정보에 더하여, 수신기는 동기화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P1 및 P2의 물리적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2개의 목적들을 가진다. 첫째로, 그것은 수신기 동기화를 빠르게하고(fasten) 따라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가속화한다. 둘째, 그것은 전송 프레임 내에서 각각의 물리적 채널의 위치를 식별한다. 이 정보에 기초해서,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정적(static) 시그널링과 동적(dynamic) 시그널링으로 분리된다.
정적 시그널링은 동기화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정적 시그널링은 TF-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운반된다. 정적 시그널링의 대부분이 P1 내에서 운반된다. 물리적 계층의 정적 시그널링은 주파수 오프셋, FFT 크기, 보호 구간 상관도(correlation), Cell_id 및 Network_id를 포함한다.
상기에 더하여, 수신기는 동기화를 떠 빠르게 수행하도록 다수의 절차들을 수행한다. 이런 절차들은 P1의 위치에 기반한 코어스 주파수 및 타이밍 동기화; P2의 위치에 기반한 파인 주파수 및 타이밍 동기화; 및 P2의 위치에 기반한 초기 채 널 추정(estimation)을 포함한다.
동적 시그널링은 각각의 프레임에 고유한, 실시간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그것은 하나 이상의 P2 심볼들 내에서 운반된다. 사용되는 P2 심볼들의 개수는 필요한 시그널링의 양 및 사용되는 변조에 기반한다. 동적 시그널링은 다음 TF-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는 TF-프레임-특정 및 물리적 채널-특정 정보이다. TFS-프레임-특정 정보는 보호 구간 및 프레임 개수를 포함한다. 물리적 채널-특정 정보는 심볼(즉 캐리어 그룹) 내의 슬롯의 위치; 변조, 코드 레이트; Frame_ number; OFDM 개수; 캐리어 그룹을 포함한다.
다음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네트워크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4에서 묘사된다. 기본적인 무선 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큰 SFN(Single Frequency Network)-영역들 (F1-F5)을 포함하고, 그 각각의 영역은 다수의 동기화된 전송기들(1400) 및 선택적으로는 리피터(repeater)들(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이 TF-슬라이싱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병렬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물리적 SFN-영역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들이 있다. 전송기 사이트들의 전부가 TF 슬라이싱 배열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들 만큼 많은 병렬 변조기들(1420)을 갖는다. 전송기들의 전부가 각각의 주파수 멀티플렉서에 대한 스트림들 모두를 함께 포함하는, 전체 스트림이 있는 중심 사이트로부터 공급된다. 새로운 인터페이스(1430)가 이런 목적을 위해 이것을 위해 사용되고, 1G 이더넷과 같은 공통 기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기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서비스들은, 각각의 SFN - 영역을 위해 TF-프레임들을 형성하는, 중심 서비스 인캡슐레이터 들(SE : service encapsulators) (1440) 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SFN - 영역마다 하나의 서비스 인캡슐레이터가 필요하다. 서비스 인캡슐레이터들은 실제 플레이아웃 센터들 (1450) 센터들과 연결되고, 실제 플레이아웃 중심(centre)들 (1450)은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네트워크에 공급한다. 그 네트워크는 중심 네트워크 컨트롤러 (1460)에 의해 제어된다.
네트워크는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이것들은 기능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DVB-T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다르다. 서비스 시스템은 종래의 DVB-시스템들과 유사할 수 있다. 프로그램들은 스토리지 유닛들 밖으로 재생되고, 인코딩되고, 서비스 인캡슐레이터들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다. 네트워크는 중심 네트워크 제어 센터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가 비록 모두 IP-기반 서비스이긴 하지만,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SE는 다양한 실시 예들의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엘리먼트이고 무선 자원들을 서비스에 할당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비스 스트림들(예컨대 TS 또는 IP 스트림들)은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다. 서비스 인캡슐레이터는 이런 슈퍼프레임들(일련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고정된 TDM 프레임 구조들), 프레임들 및 최종 TF-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서비스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시간 슬롯들 내에 있다. 또한 시그널링 정보는 TF-프레임 내에, SFN을 위해 요청된 동기화 정보와 함께 삽입된다. 이런 구현을 위한 하나의 옵션은 종래의 DVB-T 시스템들에서와 같은 GPS-기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송기 사이트에서 각각의 사용되는 주파수는 그 자신의 변조기를 갖는다(또는 다중주파수 유닛들로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의 변조기는 변조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에 할당된 슬롯들을 스트림으로부터 디멀티플렉싱하고, OFDM 변조 및 기준(reference) 신호들의 삽입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중주파수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리피터들이 각각의 사용되는 주파수에서 동작해야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3개의 인터페이스들이 식별된다. 첫 번째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인캡슐레이터로의 IP 인터페이스이다. 두 번째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인캡슐레이트들로부터 변조기로의 인터페이스이다. 세 번째 인터페이스는 제어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은 서로 다른 사용 케이스들에서 일반적인 수신기 구현 예들이다, 수신기가 최초로 스위치 온되거나 주파수들에 대한 어떤 정보도 수신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 초기화가 수행된다.
파일롯 신호들 P1 및 P2를 포함하여, 수신기가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이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4
상기에서,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5
는 최소 프레임 시간 (P1 및 P2 시그널링을 포함) 리셉션이 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6
는 사용되는 RF 채널들의 개수이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7
최대 슬롯 지속기간이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8
는 수신기를 위한 튜닝 시간이다.
Figure 112009078501217-pct00009
는 P1 및 P2 파일롯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개시 데이터플로우를 묘사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5의 단계 1500에서, 수신기는 주어진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들로 튜닝시도를 한다. 시작 주파수는 영역 내의 가용 주파수들에 관한 정보에 의존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디폴트로, 시작 주파수가 DVB 주파수 범위 내의 첫번째 주파수이다. 신호가 발견된다면, 수신기는 단계 151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절차는 처음부터 시작한다. 단계 1510에서, 수신기는 P1 심볼이 튜닝된 신호에서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P1이 발견된다면, 절차는 단계 1520으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다면 절차는 단계 1500으로 복귀한다.
단계 1520에서, 수신기는 P1으로부터 P2에 의해 사용되는 FFT 크기를 획득하고, 코어스 주파수 및 타이밍 동기화를 수행한다. 수신기는 단계 1530에서, P2를 수신한다. 단계 1540에서, 파인 주파수 및 타이밍 동기화가 수행된다. 단계 1550에서, 초기 채널 추정이 P2의 위치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단계 1560에서 L2 정보가 P2로부터 수집된다. 그런 다음에, 수신기는 단계 1570에서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관계하여 모든 이용가능한 서비스에 관한 액세스 정보를 획득한다. 이웃 셀들 내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정보 또한 획득된다. 이 지점에서, 수신기는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준비가 되었고, 서비스 액세스 절차로 계속한다.
도 16은 최종 사용자가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서비스를 선택하는 시점으로부터 수신기 구현 흐름을 묘사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1600에서, 서비스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이 시점에서, 물리적 채널로의 서비스 맵핑이 L2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되고(단계 1605) 셀들 및 네트워크들로의 서비스 맵핑이 L2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된다(단계 1610). 단계 1615에서, 수신기가 서비스와 연관된 주파수로 동기화한다. 주파수들의 개수는 특정 TFS-프레임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에 의존한다. 선택된 주파수로 동기화한 이후에, 수신기는 초기화 프로세스에서 발생한것처럼 P2로의 액세스를 얻는다. 단계 1620에서, 수신기는 찾는 물리적 채널에 대한 동적 시그널링에 액세스하고 이를 수집한다. 단계 1625에서,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해서, 수신기는 다양한 액션들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찾는 물리적 채널이 현재 TF-서브프레임 내에서 이용가능하다면, 수신기는 그것이 그 찾는 물리적 채널을 수신하기 시작할 때까지 대기한다. 찾는 물리적 채널이 현재 TF-프레임의 몇몇 다른 TF-서브-프레임에서 이용가능하다면, 수신기는 요청된 물리적 채널을 운반하는 TF-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한다. 찾는 물리적 채널이 이어지는 TF 프레임들 중 일부에서 이용가능하다면, 수신기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찾는 물리적 채널을 갖는 TF-프레임이 이용가능하게 될 때 깬다. 단계 1630에서 동적 시그널링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기는 물리적 채널과 연관된 슬롯을 수신할 수 있고, 어떤 심볼 및 어떤 캐리어 그룹이 물리적 채널 내에서 운반되는 첫 번째 서비스를 위한 출발점이 될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1635에서, 서비스의 수신이 계속되는지가 결정된다. 계속된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1630으로 복귀한다. 계속되 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1600으로 복귀한다.
동일 물리적 채널 내에서 운반되는 서비스들 간의 분리는 다음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행해진다. :
MPEG-2 TS 적응: 각각의 전달 스트림 패킷 헤더 GS/GSE 적응 내에서 시그널링되는 PID : L2 인캡슐레이션 헤더 내에서 시그널링되는 논리 채널.
각각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는 슬롯의 끝일 때까지 수신된다. 그 지점 이후에, 수신기는 사용되는 서비스를 운반하는 다음 TF-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 (10)을 보여주며, 그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다중의 통신 기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10)은,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 개인 영역 네트워크, 이더넷 LAN, 토큰 링 LAN,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포함하며, 그것들로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 유선의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유선 및 무선 통신 기기를 둘 다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를 위해서, 도 17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 (10)은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 (11)와 인터넷 (28)을 포함한다. 인터넷 (28)으로의 접속성은 장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근거리 무선 접속 및 전화 라인, 케이블 라인, 전력 라인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시스템 (10)의 예시적인 통신 기기들은 전자 기기 (12),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와 모바일 전화기의 결합 기기 (14), PDA (16), 통합 메시징 기기 (IMD) (18), 데스크탑 컴퓨터 (20), 노트북 컴퓨터 (22)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이만, 그런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통신 기기들은 고정적일 수도 있을 것이며, 움직이는 개인에 의해 운반될 때에는 이동 (mobile)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 기기들은 자동차, 트럭, 택시, 버스, 기차, 보트, 비행기, 자전거, 모토사이클 등을 포함하는 운송 수단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그런 운송 수단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통신 기기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호 (call) 및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을 것이며, 기지국 (24)까지의 무선 접속 (25)을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들과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지국 (24)은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 (11)와 인터넷 (28) 사이에서의 통신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서버 (26)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스템 (10)은 추가적인 통신 기기들과 다른 유형들의 통신 기기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 기기들은, 코드 분할 다중화 액세스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시분할 다중 액세스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단문 메시징 서비스 (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블루투스, IEEE 802.11 등을 포함하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전송 기술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데 결부된 통신 기기는 무선, 적외선, 레이저, 케이블 접속 등등을 포함하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이 그 내부에서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전자 기기 (12)를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특정한 유형의 기기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8 및 도 19의 전자 기기 (12)는 하우징 (30), 액정 디스플레이 형상의 디스플레이 (32), 키패드 (34), 마이크로폰 (36), 이어-피스 (ear-piece) (38), 배터리 (40), 적외선 포트 (42), 안테나 (4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CC 형상의 스마트 카드 (46), 카드 리더기 (48),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 (52), 코덱 회로 (54), 제어기 (56) 및 메모리 (58)를 구비한다. 개별적인 회로들 및 엘리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의 노키아의 개발 분야에서 잘 알려진 모든 유형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방법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되며, 이 방법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일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한 추상적인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 성분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구조들과 연관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여기에서 개시된 방법들의 실행 단계들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그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또는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의 특정한 시퀀스는 그런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 동작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소프트웨어 및 웹 구현들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검색 단계들이나 프로세스들, 상관 (correlation) 단계들이나 프로세스들, 비교 단계들이나 프로세스들 그리고 결정 단계들이나 프로세스들을 달성하기 위해 규칙-기반의 로직이나 다른 로직을 구비한 표준의 프로그래밍 기술들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성분 (component)" 와 "모듈"의 단어는 사람의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하드웨어 구현 및/또는 장비를 이용하는 구현들을 망라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시예들을 상세한 모습까지 모두 예시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상기의 교시들을 참조하여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며,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학습하여 수정과 변형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숙고된 특정한 이용에 적합한 것과 같은 다양한 변형을 구비하여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칙들과 속성 그리고 그 실제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선택되고 설 명되었다.

Claims (34)

  1.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간 주파수 프레임을, 가변 크기의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을 복수의 슬롯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 사이에,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에서 정의된 시간 어긋남(shift)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슬롯들을 선택적으로 시간 시프트하고;
    선택적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종단을 넘는 슬롯 또는 슬롯의 부분을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선두에 주기적으로(cyclically)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에 최종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들은, 각각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하여, 한 개의 슬롯을 가지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각각 1개의 서비스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지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각각 사이즈가 같은,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어긋남은,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지속기간, 및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에 따라 정해지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의 최대 시간 지속기간 Tmax
    Figure 112012005282701-pct00031
    에 따라서 정의되고,
    여기서, TF는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지속기간이고,
    NRF는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의 무선 주파수 채널들의 개수이고, 그리고
    Ttuning은 무선 주파수 채널들을 변경할 때, 수신기에 대하여 상정되는 최대 동조 시간인,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7. 제1항의 프로세스를 구현하도록 설정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8.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도록 연결된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유닛은:
    시간 주파수 프레임을, 가변 크기의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하는 컴퓨터 코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을 복수의 슬롯들로 분할하는 컴퓨터 코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 사이에,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에서 정의된 시간 어긋남(shift)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슬롯들을 선택적으로 시간 시프트하는 컴퓨터 코드;
    선택적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종단을 넘는 슬롯 또는 슬롯의 부분을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선두에 주기적으로(cyclically) 이동하는 컴퓨터 코드; 및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에 최종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들은, 각각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하여, 한 개의 슬롯을 가지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각각 1개의 서비스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지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각각 사이즈가 같은,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어긋남은,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지속시간, 및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에 따라 정해지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의 최대 시간 지속기간 Tmax
    Figure 112012005282701-pct00032
    에 따라서 정의되고,
    여기서, TF는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지속기간이고,
    NRF는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의 무선 주파수 채널들의 개수이고, 그리고
    Ttuning은 무선 주파수 채널들을 변경할 때, 수신기에 대하여 상정되는 최대 동조 시간인,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14.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간 주파수 프레임을, 가변 크기의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을 복수의 슬롯들로 분할하는 수단;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 사이에,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 내에서 정의된 시간 어긋남(shift)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슬롯들을 선택적으로 시간 시프트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종단을 넘는 슬롯 또는 슬롯의 부분을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선두에 주기적으로(cyclically) 이동하는 수단; 및
    상기 시간 주파수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슬롯들에 최종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097026509A 2007-06-04 2008-05-29 전송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76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192707P 2007-06-04 2007-06-04
US60/941,927 2007-06-04
PCT/IB2008/052106 WO2008149263A2 (en) 2007-06-04 2008-05-29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nd transferring data through a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81A KR20100011981A (ko) 2010-02-03
KR101176624B1 true KR101176624B1 (ko) 2012-08-23

Family

ID=3978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509A KR101176624B1 (ko) 2007-06-04 2008-05-29 전송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70372B2 (ko)
EP (1) EP2151076B1 (ko)
JP (1) JP5005810B2 (ko)
KR (1) KR101176624B1 (ko)
CN (1) CN101682445B (ko)
AU (1) AU2008259448B2 (ko)
TW (1) TWI441474B (ko)
WO (1) WO20081492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4447C (zh) * 2007-07-11 2009-09-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多媒体广播业务数据流的传输方法
PL2993850T3 (pl) * 2007-07-12 2017-09-29 Lg Electronics Inc. Sposób nadawania sygnału
EP2198578B1 (en) * 2007-09-28 2016-03-30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cheduling for time-frequency slicing
US8369301B2 (en) * 2007-10-17 2013-02-05 Zte (Usa) Inc. OFDM/OFDMA frame structure for communication systems
PL2238798T3 (pl) * 2008-01-29 2018-09-28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i sposób separacji serii i powiększania długości przeplotu
JP5267874B2 (ja) * 2009-07-24 2013-08-2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5413464B2 (ja) * 2009-10-27 2014-02-12 富士通株式会社 中継局、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577884B2 (ja) * 2010-06-28 2014-08-2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受信システム
KR20120100078A (ko) * 2011-03-03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도약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GB201208389D0 (en) * 2012-05-10 2012-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JP2016507913A (ja) * 2012-10-29 2016-03-10 イカノ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Ikanos Communications,Inc. 時分割デュプレクスシステムにおいてタイミング回復を容易にするメカニズム
EP3087792A4 (en) 2013-12-25 2017-08-30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transmit sl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528A (en) 1994-04-28 2000-01-25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pectral efficiency using time-frequency-code slicing
FR2758673B1 (fr) * 1997-01-21 1999-04-23 Thomson Csf Procede auto-adapta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US5844890A (en) * 1997-03-25 1998-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s cell scheduler and scheduling method for providing proportional use of network bandwith
US6804208B2 (en) * 2002-01-10 2004-10-12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with parallel scheduling oper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4084475A1 (en) 2003-03-18 2004-09-30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header protection
US7423989B2 (en) * 2004-02-13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Preamble formats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7787548B2 (en) * 2007-03-15 2010-08-31 Nokia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service discovery correlation
EP2040429A1 (en) * 2007-09-18 2009-03-25 Panasonic Corporation Distributed insertion of dynamic signaling data for time-frequency sli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2445A (zh) 2010-03-24
KR20100011981A (ko) 2010-02-03
JP2010531083A (ja) 2010-09-16
US20090059887A1 (en) 2009-03-05
CN101682445B (zh) 2014-01-01
JP5005810B2 (ja) 2012-08-22
TWI441474B (zh) 2014-06-11
AU2008259448A1 (en) 2008-12-11
TW200915769A (en) 2009-04-01
EP2151076A2 (en) 2010-02-10
EP2151076B1 (en) 2012-06-27
WO2008149263A3 (en) 2009-04-02
US8670372B2 (en) 2014-03-11
AU2008259448B2 (en) 2013-11-28
WO2008149263A2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624B1 (ko) 전송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254299B1 (en) OFDM reception device
KR10068944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AU2011220004C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EP22387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burst separation and extended interleaving length
US2009029683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t of radio parameter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KR101826350B1 (ko)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A2789648A1 (en)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AU2008294388B2 (en) Method and system to guarantee service reception within a broadcast system
JP4345508B2 (ja) 受信装置
EP21985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cheduling for time-frequency sli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