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484B1 -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484B1
KR101176484B1 KR1020060078833A KR20060078833A KR101176484B1 KR 101176484 B1 KR101176484 B1 KR 101176484B1 KR 1020060078833 A KR1020060078833 A KR 1020060078833A KR 20060078833 A KR20060078833 A KR 20060078833A KR 101176484 B1 KR101176484 B1 KR 10117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terminal bod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584A (ko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484B1/ko
Priority to US11/466,742 priority patent/US20070129099A1/en
Publication of KR2008001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및 단말기 본체와 통신가능하게 결합하여,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단말기 본체와 유무선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통신모듈, 단말기 본체

Description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communication modul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도 8은 도 7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상세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격 절차 호출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7에서 RPC 클라이언트부와 RPC 서버부의 연결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말기 본체 12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30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40 : RPC 클라이언트부
150 : 제1 근거리 통신부 200 : 통신모듈
210 : 무선통신부 220 : 모뎀 프로세서
230 : 모뎀제어부 240 : RPC 서버부
250 : 제2 근거리 통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별도로 구성하여 이를 단말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 타입, 폴더(Floder) 타입,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나 단문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에 번호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와, 송화부 등이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에 디스플레이, 외부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 및 수화부 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외부 형태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회사의 개발단계에서 결정되어 변경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다른 형태의 단말기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새로 구입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일 형태나 동일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면서, 디스플레이나 기타 필요한 입출력 장치만을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교체주기가 짧아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입 비용이 증대하고,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어, 단말기 제조시 규격화된 통신 네트워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는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에 통신모듈을 포함해야 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데도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통신모듈에 필요한 입출력장치를 설치하고, 이러한 통신모듈을 단말기 본체와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모듈과 단말기 본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입출력장치가 설치된 통신모듈을 별도로 구성하여 단말기 본체와 분리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통신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통신모듈이 통신가능하게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서 상기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원격 절차 호출(RPC)를 통해 호출하여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에 폴더형 통신모듈을 결합하였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에 슬라이드형 통신모듈을 결합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에 바형 통신모듈을 결합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 및 단말기 본체(100)에 탈/장착되는 통신모듈(200)(300)(400)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00)에는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3)와 송화부(5) 등이 배치된다. 단말기 본체(100)에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가 탈/장착되며, 내부에는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등이 구비된다.
단말기 본체(10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모듈(200)(300)(400)의 스펙(Specification) 정보를 담고 있는 로컬 디바이스 DB(Datebase)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0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모듈(200)(300)(400)에 구비 된 입출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 각각의 입출력 장치에 대응하는 외부 출력부 드라이버(예를 들면, LCD Drive) 및 외부 출력에 필요한 아이콘 및 이미지를 내장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통신모듈(200)(300)(400)에 적절한 아이콘 및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모듈(200)(300)(400)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 것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된다. 통신모듈(200)(300)(400)은 영상과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에 탈/장착되는 폴더형 통신모듈(200), 단말기 본체(100)에 탈/장착되는 슬라이더형 통신모듈(300), 및 단말기 본체(100)에 탈/장착되는 바형 통신모듈(400) 등이 포함된다.
통신모듈(200)(300)(400)의 각각에는 엘시디(LCD) 등의 디스플레이(21)(31)(41)와 외부 스피커(22)(32)(42)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200)(300)(4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1)(22)(23) 각각은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내재하고 있다. 또한, 통신모듈(200)(300)(400)에는 각각 수화부(23)(33)(4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본체와 폴더형 통신모듈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본체(100)와 슬라이드형 통신모듈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본체와 바형 통신모듈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와 통신모듈(200)(300)(40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부(50)를 포함한다. 결합부(50)는 단말기 본체(100)에 형성된 본체 결합부(52)와, 통신모듈(200)(300)(400)의 각각에 형성되어 본체 결합부(52)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통신모듈 결합부(56)를 포함한다. 본체 결합부(52)는 통신모듈 결합부(56)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결합부(52)는 좌,우 양 측면부에 장착홀(54A)(54B)이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신모듈 결합부(56)는 통신모듈(200)(300)(400)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통신모듈 결합부(56)는 공간부(53)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 결합부(52) 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와 단말기 본체(100)에 착탈가능한 통신모듈(200)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 RPC 클라이언트부(140), 제1 근거리 통신부(150), 제1 입출력 제어부(160), 키입력부(170), 및 제1 음향처리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00)은 무선통신부(210), 모뎀 프로세서(220), 모뎀 제어부(230), RPC 서버부(240), 제2 근거리 통신부(250), 제2 입출력 제어부(260), 표시부(270), 음향처리부(28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단말기 본체(100)에서 키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RPC 클라이언트부(140)는 통신모듈(200)에 원격 절차 호출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한다.
제1 근거리 통신부(150)는 통신모듈(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입출력 제어부(160)는 단말기 본체(100)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키입력부(170)는 숫자 키와 기능 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른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1 입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에 전달하여, 단말기 본체(100)가 사용자의 동작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한다. 제1 음향 처리부(180)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며, 단말기 본체(100)로 음향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기 본체(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모듈(200)에서 무선통신부(21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모뎀 프로세서(22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RPC 서버부(240)는 원격 절차 호출에 의해 RPC 클라이언트부(140)에서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 근거리 통신부(250)는 단말기 본체(1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2 입출력 제어부(260)는 단말기 본체(100)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표시부(2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창 등을 포함하며, 동작 제어를 위한 메뉴, 통화 중 상대방의 신호 수신 상태 및 배터리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등 이 표시된다. 제2 음향 처리부(280)는 마이크와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마이크는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향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피커는 모뎀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모뎀 제어부(230)는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통신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은 도 7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5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근거리 통신부(150)는 근거리통신 제어부(151), 주파수변환부(153), RF 필터부(155), 및 유선인터페이스부(157)를 포함한다.
주파수 변환부(153)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적합하도록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주파수를 변환하고, RF 필터부(155)는 원하는 대역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선인터페이스부(157)는 유선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 제어부(151)는 주파수 변환부(153)와 RF 필터부(155)를 통해 통신모듈(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거나, 유선인터페이스부(157)를 통해 통신모듈(200)과 유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통신모듈(200)에서 제2 근거리 통신부(250)의 구성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50)와 동일하다.
도 9는 단말기 본체에서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원격 절차 호출(RPC, Remote Procedure Call)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절차 호출은 한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위치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서비스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이때 서비스를 요청하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 필요가 없는 프로토콜이다. 원격 절차 호출(RPC)에서, 절차 호출이란 때로 함수 또는 서브루틴 호출의 의미로도 사용되며, 원격 절차 호출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는데,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이 클라이언트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이 서버가 된다. 다른 정상적인 또는 자체적인 프로시저(procedure)의 호출과 마찬가지로, RPC도 요청하는 프로그램이 원격 절차의 처리 결과가 반환될 때까지 일시 정지되어야 하는 동기 운영이다. 그러나, 가벼운 프로세스의 사용이나, 같은 주소공간을 공유하는 스레드(thread) 등은 여러 개의 RPC들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와 같은 원격 절차 호출을 단말기 본체(100)와 통신모듈(200)간에 적용하여, 단말기 본체(100)에서 통신모듈(200)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RPC 클라이언트부(140)는 제1 RPC 인터페이스 맵퍼(RPC interface mapper)부(141), RPC 태스크(RPC Task)부(143), 제1 XDR(external data representation) 변환부(145), 제1 먹스/디먹스부(147)를 포함한다. RPC 서버부(240)는 제2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241), 제2 RPC 태스크부(243), 제2 XDR 변환부(245), 및 제2 먹스/디먹스부(24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원격 절차 호출은 사용자의 전화 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등에 대해 통신모듈(200)이 제공하는 관련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및 제2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141, 241)는 모뎀 제어부(220)나 모뎀 프로세서(230)가 제공하는 API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쪽으로 이출(Export)시킨다.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모뎀 프로세서(220)가 유/무선으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와 무관하게 모뎀 프로세서(220)가 제공하는 API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전송의 경우, 키입력부(170)를 통한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단문 메시지에 대해 유니트 데이터(Unit Data)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모뎀 프로세서(220)가 제공하는 유니트 데이터 전송 API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141, 241)가 제공하는 API 이출(Export) 기능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유니트 데이터(Unit Data) 전송 API가 호출되면, 제1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141)는 유니트 데이터 전송 API에 대한 RPC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 XDR 변환부(145)를 통해 API의 인자(Arguments)를 XDR 포맷으로 팩킹(Packing)한다. 팩킹된 데이터는 제1 먹스/디먹스부(147)에서 멀티플렉싱된 후,제1 근거리 통신부(150)를 통해 통신모듈(20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200)의 제2 먹스/디먹스부(247)는 제2 근거리 통신부(25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제2 XDR 변환부(245)에 전달한다. 제2 XDR 변환부(245)는 전달된 데이터로부터 RPC 메시지와 인자(Arguments)를 추출하여 제2 RPC 태스크부(243)에 전달한다. 제2 RPC 태스크부(243)는 RPC 메시지를 순차적으 로 처리하게 되고, 각 메시지의 인자(Argument)를 이용하여, 제2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241)를 통해 모뎀 프로세서(220)가 제공하는 유니트 데이터 전송 API를 호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뎀 프로세서(220)에서 발생하는 응답이나 수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0은 단말기 본체에 탑재되는 RPC 클라이언트부와 통신모듈에 탑재되는 RPC 서버부간의 연결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RPC 클라이언트부(140)는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부(150, 250)에서 사용하는 유/무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RPC 서버부(240)와 통신 가능함을 인지하게 된다(S500). 이러한 인지 방법은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부(150, 250)의 구현에 적용된 유/무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그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직접 결합의 경우 인터페이스부의 접합 인지 플러그 단자에서 특정 전압이 검출되어 인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블루투스의 경우 단말기 본체(100)에서 제공되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 메뉴 등을 통해 RPC 서버부(240)를 인지할 수도 있다.
RPC 서버부(240)를 인지한 RPC 클라이언트부(140)는 RPC 서버부(240)에게 연결을 요청한다(S505). 이때, 연결 요청은 모뎀 API 서비스에 대한 연결 요청이며, 연결 요청시 RPC 클라이언트부(140)는 자신이 지원하는 기능적 스펙에 대한 RPC 프로파일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RPC 서버부(240)는 RPC 클라이언트부(140)의 프로파일(Profile)을 확인하여, 연결 수락 및 거절에 응답을 RPC 클라이언트부(140)에게 전송한다(S510). 이 응답 은 RPC 서버부(240)가 지원하는 프로토콜 버전과 RPC 서버부(240)에서 제공되는 모뎀 API 셋(Set)에 대한 버전 정보 등을 포함하게 된다. RPC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이나 그 구조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그 구조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명시하지 않는다.
RPC 서버부(240)의 연결 수락 응답을 받은 RPC 클라이언트부(140)는 단말기 본체(100)에서 이동통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RF 관련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되고(S515),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통신모듈(200)의 모뎀 API를 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S520).
이와 같은 동작 중에, 유무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RPC 서버부(240)와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RPC 클라이언트(140)가 인지하게 되면, 단말기 본체(100)의 RF 관련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단말기 본체(100)와 통신모듈(200)가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원격 절차 호출에 따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 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에서 통신모듈을 분 리하여 이동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단말기 본체와 유무선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하여, 전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할 필요없이 통신모듈만 교체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를 종전과 같이 계속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종전과 다른 통신모듈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구입 비용이 저렴하며,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1)

  1. 단말기 본체;
    폴더형, 슬라이드형 및 바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통신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는 원격 절차 호출(RPC)에 의해 상기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기능을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통신모듈에 원격 절차 호출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RPC 클라이언트부;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근거리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모뎀 프로세서;
    원격 절차 호출에 의해 상기 RPC 클라이언트부에서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RPC 서버부; 및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PC 서버부는 원격 절차 호출을 통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모뎀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API를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RPC 클라이언트부로 전송하는 제2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RPC 클라이언트부는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RPC 인터페이스 맵퍼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API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이출(exert)시키는 제1 RPC 인터페이스 맵퍼(RPC interface mapper)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통신모듈의 형태에 따른 스펙(Specification) 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에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구비되는 입출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출력부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키입력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통신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통신모듈이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통신모듈에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모듈이 연결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본체에서 상기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원격 절차 호출(RPC)를 통해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절차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API를 실행하여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통신모듈의 형태에 대응하여 기능적 스펙에 대한 버전 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원격 절차 호출과 관련된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060078833A 2005-08-24 2006-08-21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10117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33A KR101176484B1 (ko) 2006-08-21 2006-08-21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US11/466,742 US20070129099A1 (en) 2005-08-24 2006-08-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eparable functional modul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33A KR101176484B1 (ko) 2006-08-21 2006-08-21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84A KR20080017584A (ko) 2008-02-27
KR101176484B1 true KR101176484B1 (ko) 2012-08-22

Family

ID=3938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33A KR101176484B1 (ko) 2005-08-24 2006-08-21 통신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4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5722A1 (en) 2002-05-29 2006-05-18 Rajendra Kumar Portable data entry device with a detachable host p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5722A1 (en) 2002-05-29 2006-05-18 Rajendra Kumar Portable data entry device with a detachable host p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84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1013B (zh) 一种sim模块的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00367187C (zh) 一种同时支持多路蓝牙音频应用的方法
JP6946550B2 (ja) ペアリング方法、ペアリング解除方法、端末デバイス、および外部接続デバイス
CN108476060A (zh) 用于双模蓝牙设备之间建立经典蓝牙连接的方法和双模蓝牙设备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US6895242B2 (en) Speech enabled wireless device management and an access platform and related control methods thereof
EP2466480B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CN101232310B (zh) 蓝牙模块、蓝牙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20070009123A1 (en) Remote control unit for a hearing aid
CN105516897A (zh) 一种蓝牙设备间一键建立通信连接的方法及装置
CN110650405A (zh) 无线耳机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1244429A1 (zh) 一种控制应用程序安装的方法及装置
EP3913892A1 (en) Service-based communication method, unit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US8493282B2 (en) Handheld device with secondary screen for soft key descriptors
US2007012909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eparable functional modul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10121902A (zh) 一种通信建立的方法及终端
EP4210362A1 (en)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bluetooth conne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618319A (zh) 通信连接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07505528A (ja) 移動通信端末及びその無線通信モジュール
EP434426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221465A (zh) 用于管理呼叫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CN108959277A (zh) 一种支持多用户tws蓝牙耳机的翻译系统
CN100531431C (zh) 一种实现本地维护终端维护远端射频终端的装置
WO2011116572A1 (zh) 语音业务的控制方法和语音业务系统
CN101651473B (zh) 通信装置,制造芯片的方法以及提供无线通信规范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