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274B1 - 물분사식 완구 - Google Patents

물분사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274B1
KR101176274B1 KR1020100004331A KR20100004331A KR101176274B1 KR 101176274 B1 KR101176274 B1 KR 101176274B1 KR 1020100004331 A KR1020100004331 A KR 1020100004331A KR 20100004331 A KR20100004331 A KR 20100004331A KR 101176274 B1 KR101176274 B1 KR 10117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injection
toy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661A (ko
Inventor
백명원
김정대
Original Assignee
김정대
백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대, 백명원 filed Critical 김정대
Priority to KR102010000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2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0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 F41B9/0006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the liquid being pressurised prior to e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zzl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이 구비되며, 등에 메는 것이 가능한 배낭형 물통; 상기 물저장통과 공기주입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장치; 그리고 상기 물저장통과 급수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완구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분사식 완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원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으며, 물저장통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을 등에 멜 수 있어 물놀이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의 휴대성과 사용자의 이동성이 향상되고 대용량의 물저장통을 사용할 수 있어 기존에 물을 자주 넣어줘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분사식 완구{Water Injection Type Toy}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물을 원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으며, 물저장통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을 등에 멜 수 있어 물놀이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의 휴대성과 사용자의 이동성이 향상되고 대용량의 물저장통을 사용할 수 있어 기존에 물을 자주 넣어줘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물분사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분사식 완구인 물총은 물이 발사되므로 주로 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각종 놀이를 즐길 수도 있으며 스릴이 있으면서 위험하지는 않아 아이들이 즐겨 가지고 노는 완구이다.
상기 물총은 초창기에는 연질 합성수지에 의하여 중공으로 이루어진 총 모양의 본체에 물을 담고 손으로 힘껏 움켜쥐어 압착하면 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미세구멍인 총구에서 물이 발사되도록 구성된 타입이 대부분이었으나, 이 타입은 구조적 특성상 사정거리가 짧을 수밖에 없어 놀이 자체의 즐거움이나 만족감 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총의 본체에 물이 저장되는 물통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통으로 공기를 직접 펌핑하여 펌프작용으로 물탱크에 연속하여 주입함으로써 부피를 축소시켜 압축공기화한 후 방아쇠를 조작하면 압축공기와 물의 작용과 반작용에 의하여 총구에서 물이 발사되도록 물총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물총은 사정거리를 늘릴 수 있기는 하지만, 물총의 본체에 물통이 구비되어 물총 전체의 중량이 커져 사용자 특히 어린이들이 물놀이시 이동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물통의 용량 즉 크기를 크게 하기 어려워 물놀이시 물통에 물을 자주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물놀이의 흐름을 중단시켜 흥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물총과 같은 완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원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는 물분사식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저장통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을 등에 멜 수 있어 물놀이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의 휴대성과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는 물분사식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물저장통을 사용할 수 있어 기존에 물을 자주 넣어줘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물분사식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이 구비되며, 등에 메는 것이 가능한 배낭형 물통; 상기 물저장통과 공기주입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장치; 그리고 상기 물저장통과 급수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완구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분사식 완구를 제공한다.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완구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완구본체는 상기 급수튜브와 연통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급수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튜브를 갖는 물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튜브는 상기 급수튜브와 연결되는 연통튜브와, 상기 연통튜브로부터 분기되는 제1, 2 분사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제1 분사튜브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제1 분사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제1 작동레버와, 상기 제2 분사튜브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제2 분사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제2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사튜브의 분사구의 수직방향 하부에 상기 제2 분사튜브의 분사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분사튜브의 분사구는 수평방향 좌우측으로 분기된 좌?우측 분사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완구본체와 분리되어 구비되며, 상기 완구본체는 상기 급수튜브와 연통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급수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튜브를 갖는 물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완구본체가 상기 물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물분사식 완구는, 상기 배낭형 물통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장치에 의해 공기를 물저장통에 주입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물을 원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물저장통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을 등에 멜 수 있어 물놀이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의 휴대성과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배낭형 물통을 적용하여 대용량의 물저장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물을 자주 넣어줘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완구본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물분사식 완구에 포함되는 방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완구본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100)는, 크게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112)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110)과, 상기 물저장통(112)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장치(120)와, 상기 물저장통(11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완구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배낭형 물통(110)은, 배낭케이스(111)와, 상기 배낭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저장통(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저장통(112)의 상부에는 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2a)가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통(112)의 하부에는 물저장통(1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주입구(112b)와 물저장통(112)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구(11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배낭케이스(111)에는 사용자가 물저장통(112)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110)을 등에 멜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깨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저장통(112)의 투입구(112a)를 통해 물저장통(112) 내부에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112a)를 외부로 노출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놀이식 완구는 물저장통(112)이 등에 멜 수 있는 배낭형 물통(110)에 구비되어 물저장통(112)의 용량을 대략 2~3L의 대용량으로 적용 가능하여 물을 자주 넣어줘야 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물저장통(112)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110)을 등에 메고 다니면서 물놀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물놀이시 사용자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펌핑장치(120)는 상기 물저장통(112)의 공기주입구(112b)와 공기주입튜브(125, 129)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펌핑장치(120)를 작동하여 상기 물저장통(112)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12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펌프의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면서 공기를 압축하여 주입하는 압축 피스톨과 같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핑장치(120)에 의해 상기 물저장통(112)에는 압축공기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통(112)의 압축공기에 의해 물저장통(112)에 저장된 물이 가압되어 상기 완구본체(130)를 통해 물이 외부 원거리까지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펌핑장치(120)는 상기 완구본체(130)에 내장되어 구비되거나 별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되어 구비된 것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주입튜브(125, 129)는 상기 완구본체(130)의 내부에서 상기 펌핑장치(120)와 연결된 제1 공기주입튜브(125)와, 상기 제1 공기주입튜브(125)와 상기 물저장통(112)의 공기주입구(112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펌핑장치(120)에 의해 생성된 공기를 상기 물저장통(112)에 주입하는 제2 공기주입튜브(1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공기주입튜브(125)와 상기 제2 공기주입튜브(129)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공기주입튜브(129)를 상기 제1 공기주입튜브(125)와 착탈가능하게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완구본체(130)와 상기 배낭형 물통(110)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구본체(130)는 상기 물저장통(112)의 배수구(112c)와 급수튜브(139)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통(11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작동레버(133, 134)의 작동됨에 의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구본체(13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튜브(139)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133, 134)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급수튜브(139)를 통해 상기 물저장통(112)의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튜브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튜브는 상기 급수튜브(139)와 연통되는 연통튜브(135)와, 상기 연통튜브(135)로부터 분기되는 제1, 2 분사튜브(131, 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완구본체(130)는 상기 제1, 2 분사튜브(131, 132)로 이루어진 분사튜브를 통해 2개의 물 분사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분사구(131a)와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분사구는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분사구는 외부로 분사되는 물이 2줄기로 분사될 수 있도록 2개의 분사구(132a, 13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2개의 분사구(132a, 132b)는 수평방향으로 좌우측으로 분기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분사구(131a)와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2개의 분사구(132a, 132b)를 통해 분사되는 물줄기가 삼각형 모양의 물줄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분사구 역시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2개의 좌?우측 분사구(132a, 132b)와 마찬가지로 2개의 분사구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분사구 역시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분사구(131a)와 마찬가지로 1개의 분사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133, 134)는 상기 제1 분사튜브(131)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제1 작동레버(133)와, 상기 제2 분사튜브(132)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제2 작동레버(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작동레버(133)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분사구(131a)를 통해 1줄기의 물이 외부로 분사되고, 상기 제2 작동레버(134)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분사구(132a, 132b)를 통해 2줄기의 물이 외부로 분사되며, 상기 제1, 2 작동레버(133, 134)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상기 제1 분사튜브(131)의 분사구(131a)와 상기 제2 분사튜브(132)의 분사구(132a, 132b)를 통해 3줄기의 물이 외부로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물분사식 완구에 포함되는 방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20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212)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210)과, 상기 물저장통(212)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장치(220)와, 상기 물저장통(21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완구본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20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완구본체(230)가 작동레버(233)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물저장통(212)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물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200)는 총의 형태가 아닌 칼날부를 갖는 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칼의 일측 예를 들면 칼날부의 끝단에서 물이 분사되어 칼놀이 겸 물놀이가 가능한 완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의 물분사식 완구(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낭형 물통(210) 역시 배낭케이스(211)와, 상기 배낭케이스(2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저장통(2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저장통(212)의 상부에는 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12a)가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통(212)의 하부에는 물저장통(2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주입구(212b)와 물저장통(212)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구(21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배낭케이스(211)에도 사용자가 물저장통(212)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210)을 등에 멜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깨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저장통(212)의 투입구(212a)를 통해 물저장통(212) 내부에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212a)를 외부로 노출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식 완구(200) 역시 물저장통(212)이 등에 멜 수 있는 배낭형 물통(210)에 구비되어 물저장통(212)의 용량을 대략 2~3L의 대용량으로 적용 가능하여 물을 자주 넣어줘야 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물저장통(212)이 구비된 배낭형 물통(210)을 등에 메고 다니면서 물놀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물놀이시 사용자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펌핑장치(220)는 상기 물저장통(212)의 공기주입구(212b)와 공기주입튜브(229)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펌핑장치(220)를 작동시키면 상기 물저장통(212)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22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펌프의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면서 공기를 압축하여 주입하는 압축 피스톨과 같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핑장치(220)에 의해 상기 물저장통(212)에는 압축공기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통(212)의 압축공기에 의해 물저장통(212)에 저장된 물이 가압되어 상기 완구본체(230)를 통해 물이 외부 원거리까지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펌핑장치(220)는 상기 완구본체(230)에 내장되어 구비되거나 별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구본체(230)와 분리되어 구성된 것을 개시한다.
한편, 상기 완구본체(230)는 상기 물저장통(212)의 배수구(212c)와 급수튜브(239)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통(21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작동레버(233)의 작동됨에 의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구본체(23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튜브(239)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233)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급수튜브(239)를 통해 상기 물저장통(212)의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튜브(231)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233)는 상기 완구본체(230) 중 손잡이부(23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사튜브(231)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분사튜브(231)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233)를 작동시키면 상기 분사튜브(231)의 분사구(231a)를 통해 1줄기의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분사튜브(231)의 분사구는 2개 이상으로 분기된 분사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2줄 이상의 물줄기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 분사되는 물이 다양한 형태의 물줄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200)는 상기 배낭형 물통(2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패(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완구(200)는 칼놀이를 할 수 있는 칼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방의 칼을 막고 상대방이 분사하는 물줄기를 막을 수 있는 방패(2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놀이의 재미를 배가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패(240)는 상대방측으로 노출되는 전면부(241)와 사용자측으로 노출되는 후면부(242)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241)에는 상품성 및 홍보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형(241a)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로고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242)에는 사용자가 손 또는 팔에 휴대 가능한 일명 찍찍이와 같은 착용부(242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패(240)는 상기 배낭형 물통(2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방패(240)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물놀이식 완구 110: 배낭형 물통
111: 배낭케이스 112: 물저장통
120: 펌핑장치 130: 완구본체

Claims (6)

  1.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이 구비되며, 등에 메는 것이 가능한 배낭형 물통; 상기 물저장통과 공기주입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장치; 그리고 상기 물저장통과 급수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완구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분사식 완구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완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완구본체는 상기 급수튜브와 연통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급수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튜브를 가지며; 상기 분사튜브는 상기 급수튜브와 연결되는 연통튜브와, 상기 연통튜브로부터 분기되는 제1, 2 분사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제1 분사튜브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제1 분사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제1 작동레버와, 상기 제2 분사튜브와 연동되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제2 분사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제2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분사식 완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튜브의 분사구의 수직방향 하부에 상기 제2 분사튜브의 분사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분사튜브의 분사구는 수평방향 좌우측으로 분기된 좌?우측 분사구를 포함하는 물분사식 완구.
  5.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이 구비되며, 등에 메는 것이 가능한 배낭형 물통; 상기 물저장통과 공기주입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장치; 그리고 상기 물저장통과 급수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완구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분사식 완구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완구본체와 분리되어 구비되며, 상기 완구본체는 상기 급수튜브와 연통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됨에 의해 상기 급수튜브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튜브를 갖는 물칼로 이루어진 물분사식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낭형 물통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분사식 완구.
KR1020100004331A 2010-01-18 2010-01-18 물분사식 완구 KR10117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331A KR101176274B1 (ko) 2010-01-18 2010-01-18 물분사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331A KR101176274B1 (ko) 2010-01-18 2010-01-18 물분사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661A KR20110084661A (ko) 2011-07-26
KR101176274B1 true KR101176274B1 (ko) 2012-08-22

Family

ID=4492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331A KR101176274B1 (ko) 2010-01-18 2010-01-18 물분사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2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94A (ko) 2017-09-27 2019-04-04 백명원 물 분사식 완구
KR20220112604A (ko) 2021-02-04 2022-08-11 이창구 펌프식 자동 물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25B1 (ko) * 2020-09-11 2024-01-25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유출 방지를 위한 비눗방울 생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79Y1 (ko) 2000-01-18 2000-08-16 이광수 물총
KR100908669B1 (ko) * 2008-05-15 2009-07-21 박선배 항압식 액체분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79Y1 (ko) 2000-01-18 2000-08-16 이광수 물총
KR100908669B1 (ko) * 2008-05-15 2009-07-21 박선배 항압식 액체분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94A (ko) 2017-09-27 2019-04-04 백명원 물 분사식 완구
KR101977562B1 (ko) * 2017-09-27 2019-05-10 백명원 물 분사식 완구
KR20220112604A (ko) 2021-02-04 2022-08-11 이창구 펌프식 자동 물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661A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1918C (zh) 具有可手动操作的喷射机构的儿童水板
US2589977A (en) Water gun
KR101176274B1 (ko) 물분사식 완구
JP3150387U (ja) 水鉄砲玩具
CN103162575B (zh) 水枪玩具
US20110186595A1 (en) Water Toy Gun
WO2004098717A3 (en) Hand-crankable water guns
JP6018412B2 (ja) 化粧水噴霧器及び化粧水噴霧装置
KR20130034376A (ko) 등짐 펌프
KR101977562B1 (ko) 물 분사식 완구
CN205642145U (zh) 背负式催泪喷射器
KR100946284B1 (ko) 물총완구
KR101059858B1 (ko) 완구용 물총
US7721722B1 (en) Water-powered toy guns and method
CN210198197U (zh) 一种儿童玩具水枪
CN210292979U (zh) 玩具喷水枪
US20110059675A1 (en) Water entertainment device
EP3344353B1 (en) Pogostick with water firing apparatus
KR20210002436U (ko) 완구용 물분사식 칼
KR101206440B1 (ko) 장난감 물총
CN210186443U (zh) 一种儿童玩具水枪
CN215676660U (zh) 一种玩具水枪
CN211291178U (zh) 一种集喷灌浇水和水枪娱乐的增压自喷装置
CN210696301U (zh) 一种水枪伞
JP3030125U (ja) ペン型水鉄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