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104B1 -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104B1
KR101176104B1 KR1020100042228A KR20100042228A KR101176104B1 KR 101176104 B1 KR101176104 B1 KR 101176104B1 KR 1020100042228 A KR1020100042228 A KR 1020100042228A KR 20100042228 A KR20100042228 A KR 20100042228A KR 101176104 B1 KR101176104 B1 KR 10117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en
computer
optical recognition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897A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0004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1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진 스크린;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단부와 스크린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인식펜; 광학인식펜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수단과,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는 복원수단과, 복원된 필기 궤적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하는 합성수단과, 합성된 화면을 외부로 제공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합성된 화면이 외부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Interactive electric board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ing optical sensing pen}
본 발명은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에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갖는 복수 개의 미세한 도트를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 배치하고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필기시 광학인식펜에 의해 스크린의 도트 배열을 인식처리한 후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는 광학인식펜의 필기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합성하여 프로젝트를 통해 합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칠판은 크게 카피보드와 전자 칠판으로 구분된다. 카피보드는 쌍방향 정보 교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기능이 불가능하지만 전자 칠판은 인터랙티브 기능이 가능하다. 전자 칠판은 크게 초음파를 이용하여 판서하는 내용의 위치 좌표값을 구하거나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한 필기시 압력에 반응하여 판서하는 내용의 위치 좌표값을 구하는 스마트보드타입이 대세이다.
초음파 방식의 전자 칠판은 판서 내용의 해상도가 떨어지고 응답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보드는 터치 위치에 반응하는 터치판넬방식으로 해상도는 향상시킬 수 있으나 제작 단가가 비싸지고 유지 비용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에 위치편차를 갖는 복수 개의 미세한 도트를 인쇄 배치하고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필기시 광학인식펜에 의해 스크린의 도트 배열을 인식 처리한 후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는 광학인식펜의 필기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합성하여 프로젝트를 통해 합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진 스크린;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단부와 스크린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인식펜; 광학인식펜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수단과,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는 복원수단과, 복원된 필기 궤적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하는 합성수단과, 합성된 화면을 외부로 제공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합성된 화면이 외부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을 합성하여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고 광학인식펜을 통해 스크린에 표시된 복수 개의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 지점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하는 싱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광학인식펜을 통해 인식되는 터치 지점을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인식하여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과 선 굵기의 속성을 제어하는 메뉴,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툴바 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서 도트는 적외선이 반응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광학인식펜의 광학인식수단은 도트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획득된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녹화하는 녹화 수단과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비디오 영상을 투사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는 녹음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도형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해 문자와 도형을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은 (a)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진 스크린을 마련하는 단계; (b) 컴퓨터가 프로젝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 (c) 광학인식펜이 단부에 압력이 감지되면 단부와 스크린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단계; (d) 광학인식펜이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해서 생성된 시간정보와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e) 광학인식펜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f) 컴퓨터는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해서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하는 단계; (g) 컴퓨터가 합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b) 단계는 컴퓨터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을 합성하여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 광학인식펜이 스크린에 표시된 복수 개의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 지점을 인식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컴퓨터가 복수 개의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 지점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과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 단계는 컴퓨터가 광학인식펜을 통해 인식되는 터치 지점을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인식하여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 단계는 컴퓨터가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과 선 굵기의 속성을 제어하는 메뉴,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를 툴바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 단계는 컴퓨터가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획득된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녹화하는 단계; 및 컴퓨터가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사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 단계는 컴퓨터가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도형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해 문자와 도형을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광학인식펜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필기한 궤적이 컴퓨터에 전송되어 컴퓨터에서 필기 궤적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합성하여 프로젝터를 통해 합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써 스크린에 필기 궤적과 디스플레이 화면이 함께 표시되고 필기 궤적의 해상도가 높아 필기 내용의 가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에서 컴퓨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스크린의 표면에 도트가 인쇄된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광학인식펜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이 합성된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스크린에 투사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이 표시되어 합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우측에 여러 메뉴를 구비한 툴바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사용자가 광학인식펜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예를 보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에서 광학인식펜(200)은 스크린(100) 상의 필기 궤적을 인식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컴퓨터(300)는 광학인식펜(200)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하여 합성된 화면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스크린(100)은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져 있다.
광학인식펜(200)은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이 감지되면 단부와 스크린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한다. 광학인식펜(200)은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광학인식펜(200)은 무선 전송 수단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컴퓨터(300)는 무선 수신 수단을 통해 광학인식펜(200)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컴퓨터(300)는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을 복원한다. 컴퓨터(300)는 복원된 필기 궤적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합성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컴퓨터(300)의 출력 화면으로 컨텐츠를 재생할 때 생성되는 화면을 포함한다. 컴퓨터(300)는 필기 궤적과 디스플레이 화면이 합성된 화면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한다.
[도 2]는 [도 1]의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에서 컴퓨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컴퓨터(300)는 필기 궤적과 디스플레이 화면이 합성된 화면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하는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싱크 수단(310), 명령 실행 수단(320), 툴바 제공 수단(330), 녹화 수단(340), 녹음 수단(350)에 대해 설명한다.
싱크 수단(310)은 스크린(100)에 광학인식펜(200)으로 필기하는 궤적과 프로젝터(400)에 의해 스크린(100)에 투사되는 디스플레이 화면간의 매핑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싱크 수단(31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을 합성하여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 그리고 싱크 수단(310)은 광학인식펜(200)을 통해 스크린(100)에 표시된 복수 개의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 지점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한다.
명령 실행 수단(320)은 마우스 명령 모드로 동작하여 광학인식펜(200)을 통해 인식되는 터치 지점을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인식하여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클릭, 더블 클릭, 드래그 중 선택된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명령 실행 수단(320)은 광학인식펜(200)이 위치하는 지점에 아이콘이 위치하는 경우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여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다른 위치에 놓을 수 있다.
툴바 제공 수단(330)은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과 선 굵기의 속성을 제어하는 메뉴,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툴바 제공 수단(33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툴바를 합성하여 스크린(100)에 표시하고 툴바가 위치한 지점에 광학인식펜(200)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해당 메뉴를 실행하여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과 선 굵기의 속성을 제어한다.
녹화 수단(340)은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획득된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녹화하고, 녹음 수단(350)은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비디오 영상을 투사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한다. 녹화 수단(340)에 의해 녹화된 이미지/텍스트 정보와 녹음 수단(350)에 의해 녹음된 오디오 신호는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 서버에서 관리된다.
컴퓨터(300)는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도형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에 대해 문자와 도형을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 컴퓨터(300)는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0)을 이용하여 필기한 궤적에 대해 문자인식과 도형인식을 실행하여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
[도 3]은 스크린의 표면에 도트가 인쇄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크린의 표면에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예 : 상, 하, 좌, 우의 네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도트가 배치된다.
즉, 상하좌우의 네 방향으로 도트의 위치편차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도트 하나당 총 4개의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트를 여러 개 조합하여 인식하면 경우의 수를 더욱 늘릴 수 있다. 예컨대, 6×6의 총 36개의 도트 조합을 하나의 정보 단위로 사용할 경우 436개(= 272개)의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이는 약 170억 기가바이트의 정보량에 해당된다.
따라서, 6×6의 도트 조합에는 스크린 내에서의 좌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에 인쇄된 도트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카본블랙만으로 도트를 인쇄하여 나머지 내용들과 구별되도록 함으로써 광학인식펜의 광학인식수단을 통해 카본블랙만을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학인식펜의 광학인식수단으로 적외선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스크린의 도트를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광학인식펜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광학인식펜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력감지수단(220)은 단부(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이는 현재 광학인식펜(200)이 필기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2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가 현재 스크린에 필기하는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단부(21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압력이 셀수록 선굵기를 굵게 설정하는 선굵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광학인식수단(230)은 압력감지수단(220)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단부(210)와 스크린(100)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한다. 이때, 광학인식수단(230)은 스크린(100)의 도트 배열만 인식하면 되므로 예컨대 도트가 카본 블랙 색상이라면 카본 블랙만을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도 도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적외선 감지수단으로 구현 가능하다.
시간체크수단(240)은 현재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100분의 1초 단위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0)로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광학인식펜(200)에 의해 필기가 이루어진 시각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 궤적 전 구간에 걸쳐 시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필기 과정과 필기 속도를 거의 그대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50)에는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이때,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 정보나 수학 공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와 광학인식수단(230)을 통해 감지된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스크린(100)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시간체크수단(240)으로부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전달받아 앞서 산출된 정보와 함께 결합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압력감지수단(220)에 의해 선굵기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선굵기 정보를 추가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블루투스 전송 수단(260)은 필기 데이터를 외부 전송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300)에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0)을 이용하여 스크린(100) 상에 필기할 때 광학인식펜(200)과 무선 통신하는 컴퓨터(300)가 광학인식펜(200)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필기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합성하여 프로젝터(400)를 통해 합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진 스크린(100)을 마련한다(S101).
컴퓨터(300)는 프로젝터(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한다(S102). 여기서, 컴퓨터(3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스크린의 어느 위치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컴퓨터(30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을 합성하여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 사용자는 광학인식펜(200)을 사용하여 복수 개의 기준점을 터치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 화면(600)에 복수 개의 기준점(500)이 합성된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광학인식펜(200)은 스크린(100)에 표시된 복수 개의 기준점(500)에 대응한 터치 지점을 인식하여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컴퓨터(300)는 복수 개의 기준점(500)에 대응한 터치 지점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과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한다.
컴퓨터(300)가 디스플레이 화면과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한 다음 광학인식펜(200)은 단부에 압력이 감지되면 단부와 스크린(100)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한다(S103).
광학인식펜(200)은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스크린(100)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해서 생성된 시간정보와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S104).
광학인식펜(200)은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컴퓨터(300)로 무선 전송한다(S105).
컴퓨터(300)는 광학인식펜(200)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을 복원해서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한다(S106).
컴퓨터(300)는 합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S107). [도 7]은 스크린(100)에 투사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이 표시되어 합성된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상, 컴퓨터(300)가 필기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합성하여 프로젝터(400)를 통해 합성된 화면을 스크린(100)에 투사하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컴퓨터(300)가 합성된 화면을 스크린(100)에 투사하는 동작 이외의 다양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컴퓨터(300)는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과 선 굵기의 속성을 제어하는 메뉴,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를 툴바로 제공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우측에 여러 메뉴를 구비한 툴바를 보인 예시도이다.
컴퓨터(300)는 툴바로 제공된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광학인식펜을 통해 인식되는 터치 지점을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인식하여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클릭, 더블 클릭, 드래그의 명령을 실행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광학인식펜(200)을 사용하여 컴퓨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00)에 표시된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예를 보인도이다.
컴퓨터(300)는 광학인식펜(200)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획득된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녹화하고,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사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한다. 컴퓨터(300)는 녹화된 이미지/텍스트 정보와 녹음된 오디오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관리 서버에서 컴퓨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300)는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도형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해 문자와 도형을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프로젝터(400)를 통해 스크린(100)에 투사한다.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0)을 사용하여 스크린(100)에 필기한 내용이 컴퓨터(300)의 문자인식과 도형인식을 통해 특정 폰트의 문자와 여러 형태의 도형으로 스크린에 투사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크린 200 : 광학인식펜
300 : 컴퓨터 400 : 프로젝터

Claims (13)

  1. 다수의 도트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상기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진 스크린;
    단부에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부와 상기 스크린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광학인식펜;
    상기 광학인식펜으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는 복원수단과, 상기 복원된 필기 궤적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 화면을 외부로 제공하여 외부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스크린에 투사하도록 제공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을 합성하여 외부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고 상기 광학인식펜을 통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복수 개의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 지점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하는 싱크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칠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 프로그램은,
    상기 광학인식펜을 통해 인식되는 터치 지점을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인식하여 상기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 프로그램은,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과 선 굵기의 속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와 상기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툴바 제공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서 상기 도트는 적외선이 반응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광학인식펜의 광학인식수단은 상기 도트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 프로그램은,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획득된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녹화하는 녹화 수단과,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비디오 영상을 투사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는 녹음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 프로그램은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도형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해 문자와 도형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외부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8. (a) 다수의 도트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고, 상기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어 인코딩이 이루어진 스크린을 마련하는 단계;
    (b) 컴퓨터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기준점을 합성하여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
    (c) 광학인식펜이 단부에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부와 상기 스크린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 및 상기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 지점을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광학인식펜이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해서 상기 생성된 시간정보와 상기 스크린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광학인식펜이 상기 인식된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지점 및 상기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는 단계;
    (g)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필기 궤적을 디스플레이 화면과 합성하는 단계;
    (h) 상기 컴퓨터가 상기 인식된 기준점에 대응한 터치지점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필기 데이터간의 합성 위치를 싱크하는 단계;
    (i)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합성 화면을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j) 상기 컴퓨터가 상기 광학인식펜을 통해 인식되는 터치 지점을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인식하여 상기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k) 상기 컴퓨터가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한 색상 속성과 선 굵기 속성을 제어하는 제 1 메뉴와 마우스 포인터에 의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 2 메뉴를 툴바 형태로 상기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
  12.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l) 상기 컴퓨터가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획득된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녹화하는 단계;
    (m) 상기 컴퓨터가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사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n) 상기 컴퓨터가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도형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에 대해 문자와 도형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문자와 도형을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운영 방법.
KR1020100042228A 2010-05-06 2010-05-06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117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28A KR101176104B1 (ko) 2010-05-06 2010-05-06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28A KR101176104B1 (ko) 2010-05-06 2010-05-06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897A KR20110122897A (ko) 2011-11-14
KR101176104B1 true KR101176104B1 (ko) 2012-08-22

Family

ID=4539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28A KR101176104B1 (ko) 2010-05-06 2010-05-06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13A1 (ko) * 2014-03-11 2015-09-17 이명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12B1 (ko) * 2012-12-12 2014-06-12 한국산업은행 전자칠판
KR102057647B1 (ko) 2013-02-15 2019-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1010029B2 (en) 2013-12-19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display apparatus
KR102308879B1 (ko) * 2013-12-19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WO2015137544A1 (ko) * 2014-03-14 2015-09-17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KR101594591B1 (ko) * 2014-10-15 2016-02-16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전자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CN109407892A (zh) * 2018-12-03 2019-03-01 姚苏栩 一种共享黑板、一种书写工具及一种书写感应面板
CN114237481A (zh) * 2021-12-20 2022-03-25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书写笔迹显示处理方法、系统、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13A1 (ko) * 2014-03-11 2015-09-17 이명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897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104B1 (ko)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 칠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N105760019B (zh) 基于交互式电子白板的触摸操作方法及其系统
US5148155A (en) Computer with tablet input to standard programs
JP62333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0921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hand annotations
RU2536667C2 (ru) Система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вывода, лист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 система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и лис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ввод информации
US91171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handwritt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CN107656633A (zh) 一种智能笔、智能笔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60195975A1 (en) Touchscre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JP5353219B2 (ja) ボード書き込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347762B2 (en) Near-surface object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JP6100013B2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JP201906711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79185B2 (ja) ペン形入力装置及び電子情報ボードシステム
GB2377607A (en) Analysing and displaying motion of hand held instrument
CN103869941A (zh) 具虚拟触控服务的电子装置及虚拟触控即时校正方法
CN206961103U (zh) 数码笔、板擦及包括其的电子白板装置、系统
JP5943293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41060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44647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169427U (ja) コンピュータ装置
JP5862395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3577084A (zh) 多模式触控输入方法及系统
JP2013020402A (ja) コンピュータ装置、ストローク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2239109A1 (ja) ホスト装置及び入出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