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062B1 -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 Google Patents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062B1
KR101176062B1 KR1020120023894A KR20120023894A KR101176062B1 KR 101176062 B1 KR101176062 B1 KR 101176062B1 KR 1020120023894 A KR1020120023894 A KR 1020120023894A KR 20120023894 A KR20120023894 A KR 20120023894A KR 101176062 B1 KR101176062 B1 KR 10117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knitting
angle
contro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성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건설화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설화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설화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배관을 각도 조절 배관한 후 각도 조절부의 볼 자가융착부에 전기를 인가하여서 용융 융착되도록 하여 접속배관을 용이하게 각도 조절하여 배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편수관에 있어서, 편수관부의 일측 배관 접속부 측에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볼 자가융착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수관의 일측 배관 접속부에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자가융착부를 구비한 후 각도 조절부를 용융 고정함으로써 배관 후 각도 조절부의 유동이 방지되어 각도 조절부의 유동으로 인한 변형과 각도 조절부를 통한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Adjustable angle type one sided pipe}
본 발명은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수관에 있어서, 일 측 배관 접속부에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볼 자가융착부를 구비하여서 접속배관을 각도 조절 배관한 후 각도 조절부의 볼 자가융착부에 전기를 인가하여서 용융 융착되도록 하여 접속배관을 용이하게 각도 조절하여 배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수관 등의 배관에 있어서 굴곡부의 배관과 같이 각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통상 각도가 고정된 엘보우가 사용되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엘보우는 그 조절각도가 고정형성되어 접속배관의 설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현장에서 시공 설계도에 따른 시공과정에 있어 시공 현장에 따른 설계편차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약간의 각도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엘보우와 같은 각도 조절 연결관에 볼조인트로 연결된 각도 조절부를 형성하여서 배관 환경에 따라 자유로이 각도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각도 조절부를 갖는 각도 조절 연결구는 접속배관의 연결시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 고정 구성되어 있어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되지 않을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고 접착제로 인한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각도 조절부가 유동 가능상태로 배관되어 사용과정에 있어 유동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각도 조절 연결구는 그 사용과정에 있어 양측에 편수관의 연결시공이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현장시공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볼조인트 각도 조절부를 구비한 각도 조절 연결구가 접속배관의 고정이 접착제를 매개로 이루어져 그 결속이 견고하지 않을 수 있고 접착제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각도 조절부가 유동 가능하게 배관되어 유동에 의하여 배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현장에서 편수관의 접속 작업이 이루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편수관에 있어서, 편수관부의 일측 배관 접속부 측에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볼 자가융착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수관의 일측 배관 접속부에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자가융착부를 구비한 후 각도 조절부를 용융 고정함으로써 배관 후 각도 조절부의 유동이 방지되어 각도 조절부의 유동으로 인한 변형과 각도 조절부를 통한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정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보강피복층으로 이루어진 보강피복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보강섬유 테이프층과 보호외피로 이루어진 보강피복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도.
도 7 은 도 6 에 따른 편수관부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보강피복층과 보강섬유 테이프층과 보호외피로 이루어진 보강피복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도.
도 9 는 도 8 에 따른 편수관부의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편수관부와 각도 조절부의 외면에 열수축보호튜브를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편수관의 배관과 동시에 각도를 조절한 후 자가 융착에 의하여 각도조절이 고정 배관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편수관에 있어서, 직선으로 이루어진 편수관부(110)와 상기 편수관부(110)의 반대 측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 배관되는 접속배관이 결합되는 조절 배관접속부(120)와 상기 편수관부(110)와 조절 배관접속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되게 하는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에 구비한 볼 자가융착부(14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져 편수관부(110)에 결합된 조절볼부(131)와, 상기 조절볼부(131)의 외면을 감싸 결합되며 내면에 조절볼부(131)에 대응하는 곡면을 형성하고 조절 배관접속부(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캡부(132)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 자가융착부(140)는 조절캡부(132)에 매설되는 히터선(H)과 상기 히터선(H)에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한 외면으로 노출된 전원공급단(B)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조절캡부(132)에 매설된 히터선(H)은 조절볼부(131)의 내면을 함께 가열 용융시킬 수 있게 조절캡부(132)의 내면 표피 측으로 편향 매설되게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조절 배관접속부(120)에 폴리에틸렌관을 용융접합할 수 있게 접속 자가융착부(15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속 자가융착부(150)는 볼 자가융착부(140)의 히터선을 연장하여서 나선권취하며 조절 배관접속부(120)의 내면이 용융 융착되게 내면 표피측으로 편향 매설되게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자가융착부(140)와 접속 자가융착부(150)에는 용융 접합과정에 용융부위가 내측으로 밀착수축 융착되게 히터선(H)의 외측으로 매설되는 수축탄성밴드(16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축탄성밴드(160)는 "C"형 클립 또는 나선 권취된 스프링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편수관부(110)는 조절볼부(131)와 일체로 형성하여 실시하거나 제조과정에 융착 제조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편수관부(110)의 외면에는 도 5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피복부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피복부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보호피복층(300)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호피복층(300)은 편수관부(110)로의 자외선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합성수지에 2~2.5중량%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이 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피복부는 도 6 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나선 권취된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보호외피(210)를 형성하며, 상기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보강섬유 테이프층(220)과 마찰접촉에 의하여 슬립이 방지되게 하는 슬립방지면(2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립방지면(211)은 너어링 가공과, 샌드브러쉬, 방전가공 중 어느 하나의 가공방법을 통하여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요철은 편수관부(110)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고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의 보강섬유사와의 마찰이 유지되게 0.1~1mm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요철은 편수관부(110)의 크랙을 유발하지 않게 홈을 0.1mm 이상의 곡률로 이루어진 곡면홈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은 아라미드섬유사로 이루어진 보강섬유사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섬유사는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나 방탄쪼기드에 사용되는 아라미드섬유사를 합사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피복부는 도 8 과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보호피복층(300)을 형성하고, 보호피복층(300)의 외면에 나선 권취된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보호외피(210)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피복층(300)의 외면에 보강섬유 테이프층(220)과 마찰접촉에 의하여 슬립이 방지되게 하는 슬립방지면(2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호피복층(300)과 보호외피(210)는 편수관부(110)로의 자외선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합성수지에 2~2.5중량%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이 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수관부(110)와 각도 조절부의 외면을 결합되어 융착과정에 열수축되어 각도 조절부를 보호하는 열수축보호튜브(4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수관에 있어서, 직선으로 이루어진 편수관부(110)와 상기 편수관부(110)의 반대 측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 배관되는 접속배관이 결합되는 조절 배관접속부(120)와 상기 편수관부(110)와 조절 배관접속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되게 하는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에 구비한 볼 자가융착부(140)로 구성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외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져 편수관부(110)에 결합된 조절볼부(131)와, 상기 조절볼부(131)의 외면을 감싸 결합되며 내면에 조절볼부(131)에 대응하는 곡면을 형성하고 조절 배관접속부(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캡부(132)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절 배관접속부(120)에 각도를 갖고 결합되는 접속배관을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배관의 결합이 완료된 후 전원공급단(B)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볼 자가융착부(140)의 동작에 의하여 조절캡부(132)가 용융 접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속 자가융착부(150)의 동작에 의하여 조절 배관접속부(120)가 용융되어 접속배관과 용융 접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수축탄성밴드(160)를 볼 자가융착부(140)와 접속 자가융착부(150)가 탄성 수축탄성밴드(160)에 의하여 수축되어 긴밀하고 견고하게 밀착 융착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카본블랙이 배합되어 자외선이 차단되는 보호피복층(300)으로 이루어진 보강피복부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편수관부(110)가 상기 보호피복층(300)에 의하여 자외선이 차단 보호되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보강섬유 테이프층(220)과 보호외피(210)로 이루어지는 보강피복부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에 의하여 편수관부(110)의 내압 내구성이 향상되며, 편수관부의 외면에 형성한 슬립방지면(211)에 의하여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의 테이핑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수관부의 외면에 보호피복층(300)을 형성하고, 보호피복층(300)의 외면에 나선 권취된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을 형성하며, 그 외면에 보호외피(210)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피복층(300)의 외면에 보강섬유 테이프층과 마찰접촉에 의하여 슬립이 방지되게 하는 슬립방지면(21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보강피복부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편수관부(110)가 자외선에 의한 내구성이 향상되고,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에 의하여 편수관부(110)의 내압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수관부(110)와 각도 조절부의 외면에 열수축보호튜브(4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시공 완료함과 더불어 열수축보호튜브(400)가 열수축되어 각도 조절부가 긴밀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110 : 편수관부
120 : 조절 배관접속부
131 : 조절볼부 132 : 조절캡부
140 : 볼 자가융착부
150 : 접속 자가융착부
160 : 수축탄성밴드
H : 히터선 B : 접원공급단
210 : 외피
211 : 슬립방지면
220 : 보강섬유 테이프층
300 : 보호피복층
400 : 열수축보호튜브

Claims (7)

  1. 편수관에 있어서;
    직선으로 이루어진 편수관부(110)와 상기 편수관부(110)의 반대 측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 배관되는 접속배관이 결합되는 조절 배관접속부(120)와 상기 편수관부(110)와 조절 배관접속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되게 하는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에 구비한 볼 자가융착부(140)로 구성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외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져 편수관부(110)에 결합된 조절볼부(131)와, 상기 조절볼부(131)의 외면을 감싸 결합되며 내면에 조절볼부(131)에 대응하는 곡면을 형성하고 조절 배관접속부(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캡부(132)로 구성되며,
    상기 볼 자가융착부(140)는 조절캡부(132)에 매설되는 히터선(H)과 상기 히터선(H)에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한 외면으로 노출된 전원공급단(B)으로 구성하고,
    상기 편수관부(110)는 외면에 보강피복부를 형성하되,
    상기 보강피복부는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보호피복층(300)을 형성하고, 보호피복층(300)의 외면에 나선 권취된 보강섬유 테이프층(220)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보호외피(210)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피복층(300)의 외면에 보강섬유 테이프층(220)과 마찰접촉에 의하여 슬립이 방지되게 하는 슬립방지면(211)을 형성하고,
    상기 슬립방지면(211)은 너어링 가공과, 샌드브러쉬, 방전가공 중 어느 하나의 가공방법을 통하여 편수관부(110)의 외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배관접속부(120)에 폴리에틸렌관을 용융접합할 수 있게 접속 자가융착부(1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캡부(132)와 조절 배관접속부(120)와 매설된 히터선(H)은 내면에 위치되는 용융 접합 대상물을 함께 가열 용융시킬 수 있게 조절캡부(132)의 내면 표피 측으로 편향 매설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자가융착부(140)와 접속 자가융착부(150)에는 용융 접합과정에 용융부위가 내측으로 밀착수축 융착되게 히터선(H)의 외측으로 매설되는 수축탄성밴드(1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탄성밴드(160)는 "C"형 클립 또는 나선 권취된 스프링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피복층(300)과 보호외피(210)는 편수관부(110)로의 자외선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합성수지에 2~2.5중량%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이 배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수관부(110)와 각도 조절부의 외면을 결합되어 융착과정에 열수축되어 각도 조절부를 보호하는 열수축보호튜브(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KR1020120023894A 2012-03-08 2012-03-08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KR101176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94A KR101176062B1 (ko) 2012-03-08 2012-03-08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94A KR101176062B1 (ko) 2012-03-08 2012-03-08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062B1 true KR101176062B1 (ko) 2012-08-24

Family

ID=4688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94A KR101176062B1 (ko) 2012-03-08 2012-03-08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1309A1 (de) * 2021-08-26 2023-03-01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Kugelgelenkfit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888A (ja) * 2001-04-27 2002-11-15 Sekisui Chem Co Ltd 複合高圧管用電気融着継手
JP2007225001A (ja) * 2006-02-23 2007-09-06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888A (ja) * 2001-04-27 2002-11-15 Sekisui Chem Co Ltd 複合高圧管用電気融着継手
JP2007225001A (ja) * 2006-02-23 2007-09-06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1309A1 (de) * 2021-08-26 2023-03-01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Kugelgelenkfit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1511B (zh) Rtp管电熔热熔不变尺寸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ATE463696T1 (de) Faserverstärktes rohr
EP1565682A2 (en) Flexible tubular member with sealed tape layer
US6164702A (en)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couping
KR101176062B1 (ko) 배관 각도 조절 가능한 편수관
CN101521055A (zh) 光纤复合电力电缆
RU2513861C1 (ru) Термоусаживаемая муфта
US201602364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protective sheeting of polymer material to a pipeline
KR20110108865A (ko)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RU2675914C2 (ru) Ролик и способ для обжатия защитной обшивки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округ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148595B1 (ko) 합성수지 파이프
CN209626921U (zh) 电缆转角保护装置
US7175893B2 (en) Corrosion protection method
KR200377317Y1 (ko) 가변곡관
KR100900216B1 (ko) 관로 연결장치
CN214368339U (zh) 一种柔性接口供热管道
CN218972033U (zh) 排水管道对接结构
JP2012251628A (ja) 配管の接続構造および配管接続部の補強方法
CN205301671U (zh) 铠装微型光缆
RU2696611C1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ой прочности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муфт
CN109373088A (zh) 一种柔性抗沉降自调节钢塑转换
JP6802563B2 (ja) 更生管の固定具及び更生管の固定具敷設方法
KR101317710B1 (ko) 배관용 가변식 엘보
JP7120854B2 (ja) 配管構造
KR101301985B1 (ko) 양단에 연결너트를 가지는 단열피복 플랙시블 호오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