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354B1 -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 Google Patents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354B1
KR101174354B1 KR1020090124095A KR20090124095A KR101174354B1 KR 101174354 B1 KR101174354 B1 KR 101174354B1 KR 1020090124095 A KR1020090124095 A KR 1020090124095A KR 20090124095 A KR20090124095 A KR 20090124095A KR 101174354 B1 KR101174354 B1 KR 10117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roove
slider
us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7485A (en
Inventor
김국원
Original Assignee
김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원 filed Critical 김국원
Priority to KR102009012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54B1/en
Publication of KR2011006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에 장줄 링 및 장줄 고리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수 있도록 하는 장줄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환형 형태의 목걸이 줄과, 상기 목걸이 줄에 일단이 연결되는 단줄과, 상기 단줄의 타단과 장줄의 양단부가 연결되는 신축 지지봉과, 상기 신축지지봉에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신축 지지봉은 다수의 관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길이가 조절가능토록 하고, 결합부재의 착탈이 용이해지도록 신축 지지봉의 일단부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도록 한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device holder to be worn on the neck, and more particularly, a long rope and a long ring are installed at both ends to hang on the user's neck, and an annular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neck. And a cord of cord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necklace cord, and a support rod tha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rd and the other end of the cord, and is insta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so as to attach the information device to the extension support rod. Consists of a coupling member, the elastic support ro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ubular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is adjustable, so that the slider is provided to slide up and down at one end of the elastic support rod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oupling member. It is about an information device holder that is worn on one neck.

휴대용, 거치대, 정보기기 Portable, Cradle, Information Equipment

Description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Hold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본 발명의 스마트폰, PDA, 휴대폰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몸에 지지되어 사용하도록 하는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device holder that is worn on a neck to be supported by a body without using various hand held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and mobile phones.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 PDA,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의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use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and mobile phones is increasing.

그중, 휴대폰은 들거나 넣고 다닐 수 있는 작고 가벼운 이동통신 전화를 지칭하는 것으로, 자동차 거치용 전화와 구조가 비슷하고 그것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각 지역 내의 기지국(基地局)과 무선으로 교신한다.Among them, a mobile phone refers to a small and light mobile communication phone that can be lifted or carried, and is similar in structure to a car-mounted phone and further developed. The mobile phone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in each region wirelessly.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기기 중, 상기 휴대폰은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스캐닝기능을 비롯하여 총통화시간표시?자체고장점검?통화중기억장치?부재중수신표시?수신거부?통화중경보음발생?자동반복다이얼?자기전화번호표시?비밀번호에 의한 잠금?자동송신기능 등 각종 기능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차내?사무실?건설현장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현재 가장 각광받는 이동통신 수단으로 각 메이커의 소형화?경량화 경쟁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Among these various information devices, the mobile phone includes a scanning function for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a total call time display, a self-diagnosis check, a call storage device, a missed call display, a rejection call, an alarm during a call, an automatic repeat dial, and a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ne number display, password lock, and automatic transmission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carry,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places such as in-car, office, construction site, etc., and the competition for miniaturization and lightweighting of each maker continues as the most popular mobile communication means.

더불어, 종래의 휴대폰은 기능이 단순하여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의 전송 등 단시간 사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게임 및 DMB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휴대폰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보고,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간 또한 장시간으로 늘어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as a simple function, such as the use of a short time, such as telephone calls or text messages, but recently, the use of a long time increases by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games and DMB watching, By watching video content and using the Internet, the usage time is also extended for a long time.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휴대용 정보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될 경우, 손과 팔에 무리를 가하게 되어 팔이 마비되는 등의 통증 및 고통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마트폰, PDA, 휴대폰과 같은 정보기기들은 한쪽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쪽 손을 이용하여 조작해야 함으로, 효율적인 조작이 어렵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such a variety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you will feel pain and pain such as numbness of the arm due to excessive force on the hands and arms,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mobile phones Since holding by hand and the other hand to operate, there was a big problem that efficient operation i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목에 거는 정보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equipment holder hanging around the neck that can use the information device with both hands free.

즉,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몸에 지지되어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목에 거는 정보기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formation device holder that is hung on the neck so that it can be supported by the body without using the ha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보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되며, 일단에는 장줄 고리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장줄 링이 설치되는 장줄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될 수 있도록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목걸이줄 고리가 끼워져 있는 목걸이줄과; 상기 장줄 고리와 장줄 링에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는 신축 지지봉과; 상기 목걸이줄 고리에 착탈가능한 제 1링을 일단에 형성하고, 상기 신축지지봉과 연결되는 제 2링이 타단에 형성되는 단줄과; 상기 신축 지지봉의 일면에 착탈되되,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정보기기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information equipment holder, is used to hang on the user's neck, one end is provided with a long string ring, the other end is a long string ring is installed; A necklace having an annular shape so as to be worn on a user's neck and having a necklace ring; An elastic support ro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ng ring and the long ring; A single line having a first ring detachable to the collar loop and having a second ring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bar at the other end; A coupling member detachable from one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bar, and configured to attach the information device in a direction facing the user; . ≪ / RTI >

또한, 상기 신축지지봉은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관체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되어, 신축이 가능한 안테나봉의 형태를 이루는 세로 신축관과; 상기 세로 신축관의 일단 외주연에 상호간 대칭설치되되,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관체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한 안테나봉의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과; 상기 세로 신축관의 타단에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복부와 접촉되는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링이 착탈되는 하부 연결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 일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줄 고리 또는 장줄 링이 연결되도록 하되, 링 또는 고리 형태로 설치되는 상부 연결링 및 상부 연결고리와; 상기 세로 신축관의 일단 외주연에 사각형 형태로 천공되는 상부홈과; 상기 세로 신축관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 타단 외주연에 사각형 형태로 각각 천공되는 복수개의 하부홈과; 상기 세로 신축관의 일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원판형태의 플러그에, 상기 상부홈과 이어지도록 천공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끼움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는 슬라이더;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etchable support rod is a longitudinal stretch tube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ntenna rod that can be stretched, a plurality of pipes different in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expansion pipes symmetrically installed on one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pipe, hav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pe of an antenna rod that can be stretched; A contact pa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tretch tube to contact the abdomen of the user; A lower connection ring formed on the contact pad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ring; An upper connection ring and an upper connection ring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stretching pipes, so that the long string ring or the long string ring is connected; An upper groove perforated in a quadrangular shape at one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pipe; A plurality of lower grooves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expansion pipe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pansion pipes; A sliding rail perforated so as to connect with the upper groove, and a slider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disc-shaped plug sealing one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보기기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보기기가 사용자와 대향위치 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부재와; 상기 메인판의 후면에‘ㄱ’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신축지지봉에 천공형성된 상부홈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는 상부 홈걸이와; 상기 메인판의 후면에‘ㄱ’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신축지지봉에 천공형성된 복수개의 하부홈에 각각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홈걸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main plate; An adhesive memb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to attach the information device so that the information device can face the user; An upper groove hanger formed to protrude in a shape of a 'b'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and correspondingly fitted to correspond to an upper groove formed in the elastic support rod; A plurality of lower groove hanger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to protrude in a shape of “a” and correspondingly fitted to a plurality of lower grooves perforated in the elastic support rod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파여지는 안내홈과; 상기 상부 홈걸이가 상기 상부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저절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홈의 일부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안내홈 상단에 형성되는 홈막이와; 상기 홈막이가 상기 상부홈의 일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과 상기 플러그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재 고정편과;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막이가 상부홈을 일부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하부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홈을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헤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lider and the guide groove which is dug on both sides so as to slide on the sliding rail; A groove barri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so as to close a part of the upper groove so that the upper groove hanger is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 and is not detached by itself;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slider so that the groove barrier can keep a part space of the upper groove closed; An elastic member fixing pie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lider and one side of the plug to mount the elastic member; A hatch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r to form a concave-convex shape so that the user can slide the slider downward using a finger to open the upper groove completely while the groove blocking part partially closes the upper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의 목에 지지됨으로써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without supporting the information device by hand by being supported by the neck of a person.

즉,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 않고 바라볼 수 있음으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목이나 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또한, 양손이 자유로워 손으로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look at the information device without digging it by hand, so that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wrist or the arm is not overwhelmed.

아울러 상기 목에 거는 정보기기 거치대는 신축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기기를 바라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device holder hanging on the neck has the feature that the user can view the information device more convenient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rod.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 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 right, "" lateral, "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1)에 걸어 착용하는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older worn on a neck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는 장줄(10), 목걸이줄(20), 신축 지지봉(30), 단줄(40), 결합부재(5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information device holder to be worn on the n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 string 10, necklace strap 20, elastic support rod 30, single rope 40, coupling member 50.

상기 장줄(10)은 사용자의 목(1)에 걸어 사용하는 줄의 형태로, 일단에는 장줄 고리(1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장줄 링(1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The long string 10 is in the form of a string to be used to hang on the user's neck (1), one end of the long string ring 11 is formed, the other end so that the long string ring 12 is formed.

상기 목걸이줄(20)은 사용자가 목(1)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환형, 즉 목걸이의 형태를 이루도록 한 형태로서, 상기 목걸이줄(20)에는 목걸이줄(20)의 외주연에 고리형상으로 끼워져 이동이 가능한 목걸이줄 고리(21)가 끼워져 있도록 한다.The collar 20 is formed to form a ring, that is, the shape of the necklace so that the user can wear to hang on the neck (1), the collar 20 has a ring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lar 20 The necklace ring 21 to be inserted and movable is inserted.

상기 단줄(40)은 일단과 타단에 제 1링(41)과 제 2링(42)을 각각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링(41)은 목걸이줄 고리(21)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 2링(42)은 후술 될 신축 지지봉(30)에 연결된다.The single line 40 is to form a first ring 41 and a second ring 42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ring 41 is connected to the necklace ring 21, The two rings 42 ar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rod 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신축 지지봉(30)은 세로 신축관(31)과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이 'T 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The stretchable support rod 30 is a vertical stretch tube 31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tretch tube 35 to form a 'T' shape, in more detail,

상기 세로 신축관(31)은 차량에 설치된 안테나봉의 형태처럼 다수개의 관체(P)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으로, 당연히 다수의 관체(P)는 상호간 직경이 상이하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이거나 또는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를 가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상호간의 연결형태 또한 안테나봉과 같은 형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결합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 및 형태는 후술 될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 또한 동일하다. The vertically stretchable tube 31 is a plurality of pipes (P)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in the form of an antenna rod installed in the vehicle to adjust the length, of course, a number of pipes (P) so that the diameter between each other, length Obviously, the diameter should gradually decrease in the direction, or the diameter should gradually increase in shape, and if the connection form between each other can also take the form of an antenna rod, various coupling forms can be applied by the user. Such a structure and shape are also the same in the plurality of transverse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35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는 세로 신축관(31)의 직경이 큰 일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세로 신축관(31)을 수직으로 한 후,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일단부 외주연에 상호간 대칭되는 형태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을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로 신축관(35)의 직경이 큰 부분이 세로 신축관(31)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is vertically oriented so that one en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of 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faces upward, and then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one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Combin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expansion pipe 35 so as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transverse expansion tube 35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더불어,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타단, 즉 직경이 가장 작으며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관체(P)의 단부에는 접촉패드(34)가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가슴 또는 복부 등 신체와의 접촉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마찰저항이 큰 재질이 사용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마찰저항이 큰 재질은 신체, 더욱 자세히는 사용자의 옷과 접촉시 손쉽게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의 재질이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재질로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접촉패드(34)의 일면에는 하부 연결고리(32)가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전술된 단줄(40)의 제 2링(42)이 하부 연결고리(32)에 연결되도록 하 여, 상기 신축 지지봉(30)의 하단부를, 사용자의 목(1)에 착용하고 있는 목걸이줄(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pipe 31, that is, the diameter of the smallest, the end of the tube (P) that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contact pad 34 is installed, the user's chest or abdomen, such as contact with the body Make sure to use a material with high frictional resistance so that it does not flow down. Of course, the material with a large frictional resistanc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in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the material does not slip easily in contact with the body, more specifically, the user's clothes. One side of the contact pad 34 so that the lower connecting ring 32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second ring 42 of the above-described short line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ring 32, the elastic support rod The lower end of the 30 is supported by the necklace 20 worn on the user's neck (1).

또한,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사각형 형태의 상부홈(33)이 천공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one end portion of the vertical expansion pipe 3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groove 33 of the rectangular shape toward the direction facing the user.

상기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은 각 단부(상기 세로 신축관(31)의 결합된 일단의 반대방향)에 링 형태의 상부 연결링(36) 또는 고리 형태의 상부 연결고리(37)가 각각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술된 장줄(10)의 일단에 형성된 장줄 고리(11)는 상부 연결링(36)과 연결되고, 상기 장줄(10)의 타단에 형성된 장줄 링(12)은 상부 연결고리(37)에 각각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신축 지지봉(30)의 양단부가 목(1)에 걸고 있는 장줄(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horizontal expansion pipes 35 each have a ring-shaped upper connection ring 36 or a ring-shaped upper connection ring 37 at each e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mbined one end of the longitudinal expansion pipe 31). By being formed, the long string ring 11 formed at one end of the above-described long string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ring 36, the long string ring 1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ng string 10 is the upper link ring 37 By connecting to each), both ends of the elastic support rod 30 is supported by the long string 10 hanging on the neck (1).

또한, 상기 가로 신축관(35)의 일단부, 즉 세로 신축관(31)과 연결되는 단부의 외주연에는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사각형 형태의 하부홈(38)이 각각 천공형성되도록 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horizontal expansion pipe 35, that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expansion pipe 31, so that the lower groove 38 of the rectangular shape in the direction facing the user is formed to each perforated.

상기 결합부재(50)는 'T'자를 이루는 상기 신축 지지봉(30)의 전면(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50)의 메인판(51) 후면에는 신축 지지봉(30)의 상부홈(33) 및 복수개의 하부홈(38)에 각각 대응되며 끼움결합되는, 'ㄱ'자 형태의 상부 홈걸이(52) 및 복수개의 하부 홈걸이(53)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The coupling member 5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direction facing the user) of the elastic support rod 30 forming the 'T', the elastic support rod 30 on the back of the main plate 51 of the coupling member 5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pper groove 33 and the plurality of lower grooves (38) of the), 'b' shaped upper groove hanger 52 and a plurality of lower groove hangers 53 are protruded, respectively. .

또한, 메인판(51)의 전면에는 정보기기(90)를 부착 또는 착탈가능토록 해주는 접착부재(54)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판(51)의 전면에 다양한 정보기기(ex: 스마트폰, PDA, 휴대폰 등)(90)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기기(90)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접착부재(54)로는 양면테이프 등이 사용될 것이며,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main plate 51 to form an adhesive member 54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information device 90, by forming a variety of information devices (ex: smart phones, PDA, mobile phone, etc.) by attaching, so that the user can be fixed and used without holding the information device 90 by hand. Of course,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will be used as the adhesive member 54, and any component having the same function will be a part that can be variously changed by a user's selection.

상기 세로 신축관(31)은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의 관체(P)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것이기에,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단부(상기 상부홈(3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는 개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본 발명에서는 개구부(α)라 칭함)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is a plurality of pipes (P) having an empty inside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part where the upper groove 33 is formed) is an ope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α is referred to.)

이러한 원형의 개구부(α)에는 개구부(α)에 대응결합되어 끼워지는 원판 형태의 플러그(80)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플러그(80)에는 상부홈(33)과 이어지는 홈을 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슬라이딩 레일(81)이라 명명하겠다.The circular opening (α) is fixedly installed in the disk-shaped plug 80 is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to the opening (α), the plug 80 is drilled in the groove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groove 33,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sliding rail (81).

상기 슬라이딩 레일(81)에는 슬라이딩 레일(81)에 대응되며 끼움결합되어 상, 하 방향으로 즉, 슬라이딩 레일(8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60)가 설치된다.The sliding rail 81 is provided with a slider 60 that corresponds to the sliding rail 81 and is fitted and moved up and down,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rail 81.

상기 슬라이더(60)는 플러그(80)의 슬라이딩 레일(8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ㄷ'자 단면의 안내홈(61)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81)의 양측이 'ㄷ'자 형태의 안내홈(61)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0)가 슬라이딩 레일(81)의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0)는 플러그(80)에 끼워진 채로 세로 신축관(31) 단부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60)의 후면이 세로 신축관(31)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더(60)는 세로 신축관(31)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단, 상기 슬라이더(60)의 상부에는 상부홈(33)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홈막이(6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0)를 최상부로 올리게 되면, 상기 상부홈(33)이 홈막이(62) 부분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끼워져, 상기 홈막이(62)가 상부홈(33)의 일정부분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부재(50)의 상부 홈걸이(52)를 상부홈(33)에 끼울 경우에는 슬라이더(60)를 하강시켜 상부홈(33)이 최대한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홈(33)에 상부 홈걸이(52)가 끼워진 후에는, 상기 상부 홈걸이(52)가 상부홈(33)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더(60)를 상부로 이동시켜 홈막이(62)가 상부홈(33)의 일부를 밀폐하도록 한 것이다.The slider 60 forms guide grooves 61 having a 'c' cross section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fitted to the sliding rails 81 of the plug 80, so that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s 81 are 'c'. 'It i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61 of the shape, so that the slider 6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rail (81). (Of cours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lider 6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tube 3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lug 80,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r 60 is a vertical expansion tube 31. Since the slider 60 is located inside, the slider 60 does not have to be removed from the vertical expansion pipe 31. However, the slider 60 may correspond to the upper groove 33 and may be fitted. When the slider 60 is raised to the top by forming the groove film 62, the upper groove 33 is inserted while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into the groove film portion 62, so that the groove film 62 is the upper groove ( A part of 33) will be closed. That is, when the upper groove hanger 52 of the coupling member 50 is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 33, the slider 60 is lowered to open the upper groove 33 to the maximum, and the upper groove 33 After the upper groove hanger 52 is fitted in the upper groove hanger 52, the slider 60 is moved upward so that the upper groove hanger 52 is not removed from the upper groove 33 so that the groove barrier 62 is the upper groove 33. It is to seal a part of.

또한, 상기 슬라이더(60)의 하단부측과 슬라이딩 레일(81) 부분 각각에는 탄성부재 고정편(82)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슬라이더(60)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편(82)에는 핀 형태의 탄성부재(70)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81)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편(82)에는 탄성부재(70)의 중단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7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0)는 항시 상부로 올려져 홈막이(62)가 상부홈(33)의 일부를 밀폐하고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되, 상기 상부 홈걸이(52)를 상부홈(33)에 끼우는 경우에는 슬라이더(60)의 전면에 형성된 요철 형태의 헤치(63)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밀어 내려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fixing piece 82 is formed on each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slider 60 and a portion of the sliding rail 81, and the elastic member fixing piece 82 formed on the slider 60 has a pin shape elasticity. One end of the member 70 is fixed, and the suspension of the elastic member 70 is fixed to the elastic member fixing piece 82 formed on the sliding rail 81, thereby allowing the slider 60 to be fixed by the elastic member 70. ) Is always raised to the upper portion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groove membrane 62 seals a part of the upper groove 33, in the case of inserting the upper groove hanger 52 in the upper groove 33, the slider (60) Hatch 63 of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on the front of the) is to be used by pushing down the user's finger.

이때, 상기 탄성부재(70)는 슬라이더(60)가 하강함으로 인해 압축하게 되고, 사용자가 슬라이더(6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70)는 원상복귀되어 홈걸이가 상부홈(33)의 일부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70 is compressed by the slider 60 is lowered, and if the user does not apply a force to the slider 60, the elastic member 7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so that the groove hook is the upper groove ( A part of 33 will be sealed.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와 같은 역할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라면, 핀 형태 외에 스프링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슬라이더(60)를 탄성력에 의해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탄성부재(70)의 고정형태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If the elastic member 70 may have the same role and effect 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springs, such as a spring form,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pin shape, and the slider 60 may move up and down by elastic force. If it is a form,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variously to the fixed form of the elastic member (7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기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using an inform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지봉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showing a stretchable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지봉과 결합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ic support rod and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showing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 신축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slider coupled to the vertical expans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나타낸 일시시예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temporary example showing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Indic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장줄 11: 장줄 고리10: long rope 11: long rope

12: 장줄 링 20: 목걸이줄12: long ring 20: necklace

21: 목걸이줄 고리 30: 신축 지지봉21: Necklace Loop 30: Stretch Support Rod

31: 세로 신축관 32: 하부 연결고리31: vertical expansion pipe 32: lower link

33: 상부홈 34: 접촉패드33: upper groove 34: contact pad

35: 가로 신축관 36: 상부 연결링35: horizontal expansion pipe 36: upper connecting ring

37: 상부 연결고리 38: 하부홈37: upper link 38: lower groove

40: 단줄 41: 제 1링40: single line 41: first ring

42: 제 2링 50: 결합부재42: second ring 50: coupling member

51: 메인판 52: 상부 홈걸이51: main plate 52: upper groove hanger

53: 하부 홈걸이 54: 접착부재53: lower groove hanger 54: adhesive member

60: 슬라이더 61: 안내홈60: slider 61: guide groove

62: 홈막이 63: 헤치62: gutter 63: hatch

70: 탄성부재 80: 플러그70: elastic member 80: plug

81: 슬라이딩 레일 82: 탄성부재 고정편81: sliding rail 82: elastic member fixing piece

90: 정보기기90: information equipment

Claims (4)

정보기기 거치대에 있어서,In the information equipment holder,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되며, 일단에는 장줄 고리(1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장줄 링(12)이 설치되는 장줄(10)과;It is used to hang on the user's neck, one end of the long rope (11) is installed, the other end of the long rope (12) is installed on the long string ring 12;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될 수 있도록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목걸이줄 고리(21)가 끼워져 있는 목걸이줄(20)과;A necklace 20 having an annular shape so as to be worn on a user's neck, and having a necklace loop 21 inserted therein; 상기 장줄 고리(11)와 장줄 링(12)에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는 신축 지지봉(30)과;Stretch support rods 30 which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ng ring 11 and the long ring 12, respectively; 상기 목걸이줄 고리(21)에 착탈가능한 제 1링(41)을 일단에 형성하고, 상기 신축지지봉과 연결되는 제 2링(42)이 타단에 형성되는 단줄(40)과;A single line 40 formed at one end of a first ring 41 detachable to the collar ring 21 and having a second ring 42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rod at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신축 지지봉(30)의 일면에 착탈되되,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정보기기(9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50);로 구성되며,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etchable support rod 30, the coupling member 50 to be attached to the information device 90 in a direction facing the user; 상기 신축 지지봉(30)은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관체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한 안테나봉의 형태를 이루는 세로 신축관(31)과,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일단 외주연에 상호간 대칭설치되되,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관체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한 안테나봉의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과,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타단에 돌출형성되되,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세로 신축관(31)의 타단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접촉패드(34)와, 상기 접촉패드(34)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링(42)이 착탈되는 하부 연결고리(32)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 일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줄 고리(11) 또는 장줄 링(12)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링(36) 및 상부 연결고리(37)와,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일단 외주연에 사각형 형태로 천공되는 상부홈(33)과, 상기 세로 신축관(31)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로 신축관(35) 타단 외주연에 사각형 형태로 각각 천공되는 복수개의 하부홈(38)과, 상기 세로 신축관(31)의 일단 개구부(α)를 밀폐하는 원판형태의 플러그(80)에, 상기 상부홈(33)과 이어지도록 천공되는 슬라이딩 레일(81)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81)에 끼움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는 슬라이더(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The elastic support bar 30 is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stretch tube 31 to form a stretchable antenna rod and symmetrical mutually at one outer periphery of the longitudinal stretch tube 31 Is installed, but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expansion pipes 35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expansion pipes 31, which form a stretchable antenna rod, and protruding to form the user, A contact pad 34 which prevents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tretching tube 31 from slipping upon contact with the body, a lower connection ring 32 formed on the contact pad 34,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ring 42; And an upper connection ring 36 and an upper connection ring 37 which protrude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stretching pipes 35 and to which the long string ring 11 or the long string ring 12 is connected. Cloth in the form of a square on the outer periphery of one end of the expansion pipe (31) A plurality of lower grooves 38 which are respectively drilled in a quadrangular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expansion pipes 35 connected to the vertical expansion pipes 31 and the vertical expansion pipes 31, and the vertical expansion pipes ( 31, a sliding rail 81 perforated so as to connect with the upper groove 33, and a sliding rail 81 which is inserted into the plug-shaped plug 80 which seals the opening part α of one end, and is longitudinally connected. The information device cradle to be worn on the ne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lider 60 that is moved up and dow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재(50)는The coupling member 50 is 메인판(51)과;A main plate 51; 상기 메인판(5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보기기(90)가 부착되도록 함으 로써, 상기 정보기기(90)가 사용자와 대향되며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부재(54)와;An adhesive member 54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51 to attach the information device 90 so that the information device 90 faces the user; 상기 메인판(51)의 후면에‘ㄱ’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신축 지지봉(30)에 천공형성된 상부홈(33)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는 상부 홈걸이(52)와;An upper groove hanger 52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51 in a 'b' shape and fitt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groove 33 formed in the stretchable support bar 30; 상기 메인판(51)의 후면에‘ㄱ’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신축 지지봉(30)에 천공형성된 복수개의 하부홈(38)에 각각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홈걸이(53);A plurality of lower groove hangers 53 formed to protrude in a shape of 'B'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51 and fitt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lower grooves 38 perforated on the elastic support rods 30, respectively;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Information equipment holder worn on the ne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더(60)는The slider 60 is 상기 슬라이딩 레일(81)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파여지는 안내홈(61)과;Guide grooves 61 which are recessed at both sides to be slid into the sliding rail 81; 상기 상부홈(33)의 일부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안내홈(61) 상단에 형성되는 홈막이(62)와;A groove film 62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61 to close a portion of the upper groove 33; 상기 홈막이(62)가 상기 상부홈(33)의 일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60)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0)와;An elastic member 7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60 so that the groove membrane 62 maintains a part of the space of the upper groove 33 closed; 상기 탄성부재(70)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60)의 일측과 상기 플러그(8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재 고정편(82)과;In order to mount the elastic member 70, an elastic member fixing piece (82)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lider (60) and one side of the plug (80); 상기 슬라이더(60)의 일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막이(62)가 상부홈(33)을 일부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더(60)를 하부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홈(33)을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헤치(63);I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slider 60 in the form of concave-convex, the user is sliding the slider 60 by using a finger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groove barrier 62 partially closed the upper groove 33, A hatch 63 for allowing the upper groove 33 to be fully opened;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Information equipment holder worn on the ne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KR1020090124095A 2009-12-14 2009-12-14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KR101174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95A KR101174354B1 (en) 2009-12-14 2009-12-14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95A KR101174354B1 (en) 2009-12-14 2009-12-14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85A KR20110067485A (en) 2011-06-22
KR101174354B1 true KR101174354B1 (en) 2012-08-16

Family

ID=4439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95A KR101174354B1 (en) 2009-12-14 2009-12-14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98B1 (en) 2013-01-02 2014-04-10 주식회사백상 Hands Fre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Keybo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251B1 (en) 2005-04-18 2006-11-14 최후림 A im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 apparatus for necklace hard type
KR100983310B1 (en) 2008-08-12 2010-09-20 김국원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251B1 (en) 2005-04-18 2006-11-14 최후림 A im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 apparatus for necklace hard type
KR100983310B1 (en) 2008-08-12 2010-09-20 김국원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98B1 (en) 2013-01-02 2014-04-10 주식회사백상 Hands Fre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85A (en)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675B1 (en) Wristwatch type smart mobile terminal
JP3281615B2 (en) Improved mobile phone
KR101849753B1 (en) Mobile phone bracket
JP4796257B2 (en) Device for quick and easy use of small mobile phones
KR101159815B1 (en) Mobile case
KR100983310B1 (en)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KR101174354B1 (en)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KR100983308B1 (en) 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CN204291314U (en) A kind of neck hanging type bluetooth earphone
KR20120080809A (en) Smart phone cover
CN204859504U (en) Can accomodate earphone of earphone cord
KR200396918Y1 (en) Mobile phone string
US20080305840A1 (en) Clip for wireless devices
JP2013081148A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20040168A (en) Stands shoulder spanning mobile devices.
CN202231755U (en) Household mobile phone possessing storage card slot
CN106453709B (en) Electronic communication terminals
CN204887123U (en) Cell phone stand of area couple
CN210246841U (en) Anti-drop mobile phone shell
CN106535515B (en) Wearable communication equipment
CN203775281U (en) Handset support
CN203252106U (en) Mobile phone cover with anti-theft function
KR200274175Y1 (en) Wrist band for mobile terminal adhesion
CN215581270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mobile phone telescopic support
CN209964118U (en) Hang rope r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