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979B1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979B1
KR101172979B1 KR20100101063A KR20100101063A KR101172979B1 KR 101172979 B1 KR101172979 B1 KR 101172979B1 KR 20100101063 A KR20100101063 A KR 20100101063A KR 20100101063 A KR20100101063 A KR 20100101063A KR 101172979 B1 KR101172979 B1 KR 10117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rc
circuit breaker
rotation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1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1029A (en
Inventor
가즈마사 와타나베
스스무 다카하시
신이치 치구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97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Break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개폐기구부의 내구성의 향상과 저비용화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얻는다.
[해결수단] 크로스바(30)를 구동하는 하부링크(46)와, 제거장치(33)의 랫치와 맞물리고, 트립(trip)시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피벗지지되어 회동하는 레버(44)와, 이 레버(44)에 피벗지지됨과 아울러 하부링크(46)에 스프링핀(47)을 통하여 결합되어 하부링크(46)와 함께 토글(toggle) 링크를 구성하는 상부링크(45)와, 스프링핀(47)에 종동 측이 결합된 메인스프링(48)과, 이 메인스프링(48)의 구동 측과 결합되어 케이스에 고정된 프레임(43)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핸들암(42)로 이루어지는 개폐 기구(40)를 가지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레버(44)는 레버회동축부(44a)를 포함하여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레버회전축부(44a)에 그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원호모양부(44a2)를 마련했다.
[PROBLEMS] To obtain a circuit breaker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witchgear and reduce the cost and space.
[Solution] The lower link 46 for driving the crossbar 30, the lever 44 which meshes with the latch of the removal device 33 and pivots on the bearing part of the frame at the time of tripping; An upper link 45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ver 44 and coupled to the lower link 46 through a spring pin 47 to form a toggle link together with the lower link 46; A main spring 48 having a driven side coupled to the 47 and a handle arm 42 pivotably pivotally supported on a frame 43 fixed to the case by being coupled to the driving side of the main spring 48. In the circuit breaker having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40, the lever 44 is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including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and an arc-shaped portion having a central angle greater than 180 degrees to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44a2).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나 누전차단기 등의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개폐기구부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ircuit breakers such as circuit breakers and earth leakage breakers, and more particularly, to durability improvement of switchgear units.

일반적인 회로차단기에서는 주지의 토글(toggle) 링크를 이용한 접점조입(早入)기구를 채용하고 있고, 레버의 회동축은 기구부를 관통하지 않는 쪽이 메인스프링 이동공간의 제약이 줄어들어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 레버의 회전은 상간벽(相間壁)을 넘어 부속장치에 전달할 필요가 있지만, 상간의 절연 확보를 위해 레버의 회전전달하는 부재는 가능한 한 레버의 회동축의 주변에 구성하는 쪽이 바람직하다.A general circuit breaker employs a well-known contact inserting mechanism using a toggle link,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lever does not penetrate the mechanism portion,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since the constraint of the main spring moving space is reduced. 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lever needs to be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device beyond the upper wall, but the member which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lever is preferably configured arou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lever as much as possible to secure insulation between the phases. .

이와 같은 제약 때문에,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레버의 일부를 굽힘가공하여 회동축을 구성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Due to such a restriction, in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a part of the lever is bent to form a rotating shaft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8-140692호 공보(제8도)[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140692 (Fig. 8)

상기와 같이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레버의 회동축의 단면은 대략 사각형이고, 축구멍과의 접촉은 각 또는 단면에 한정되어 접촉면압이 커지므로, 반복개폐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이상(異常) 마모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al shaft of the lever is approximately square, and the contact with the shaft hole is limited to the angle or the cross section, so that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becomes large. There was a problem that a misalignment occurs.

또, 굽힘가공이 아니라 압출(extrusion)가공으로 레버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타출(打出) 높이에 한계가 있고, 레버와 프레임의 사이에 토글 링크 등의 별도의 부품이 개재하는 경우는 판두께의 3배 이상을 타출할 필요가 있어, 레버의 회동축의 강도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ivot shaft of the lever by extrusion rather than bending, but there is a limit in the outgoing height, and when a separate part such as a toggle link is interposed between the lever and the frame. It is necessary to cut out three times or more of the plate thickn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trength of the pivot shaft of the lever.

한편,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한 회동축을 레버에 접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접합 스페이스, 치수 정밀도 및 강도의 확보나, 부품 비용 및 조립 비용의 저감 등의 과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곤란했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where the rotational shaft comprised from the other component is joined also to the lever can be considered, but it wa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problems such as securing the joining space, dimensional accuracy and strength, and reducing the component cost and assembly cost.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개폐기구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obtains the circuit breaker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a switching mechanism part.

본 발명에 의한 회로차단기는, 일단 또는 양단에 가동접점(可動接點)을 가지는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점과 접리(接離)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촉자를 보유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크로스바와, 이 크로스바를 구동하는 하부링크와, 제거장치의 랫치(latch)와 맞물리고, 트립(trip)시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피벗지지되어 회동하는 레버와, 이 레버에 피벗지지됨과 아울러 하부링크에 스프링핀을 통하여 결합되고, 하부링크와 함께 토글 링크를 구성하는 상부링크와, 스프링핀에 종동 측이 결합된 메인스프링과, 이 메인스프링의 구동 측과 결합되고, 이 회로차단기의 케이스에 고정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핸들암을 구비하며, 레버는 이 레버의 회동축부를 포함하여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이 회동축부는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원호모양인 단면형상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된 원호모양부를 가지는 것이다.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lds a movable contact having a movable contact at one end or both ends, a fixed contact foldable with the movable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and pivotably rotatable. A supported crossbar, a lower link for driving the crossbar, a lever engaged with a latch of the removal device, pivoted by the bearing portion of the frame at the time of tripping, and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ver; In addition, the upper link is coupled to the lower link through the spring pin, the upper link constituting the toggle link with the lower link, the main spring coupled to the driven side to the spring pin, and coupled to the driving side of the main spring, the circuit breaker A handle arm pivotally pivotally supported on a frame fixed to the case, wherein the lever is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including the pivot shaft portion of the lever, and the pivot shaft portion has a center angle of 180 degrees. It has an arc-shaped part formed in a surfac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a large arc-shaped.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기구부에서의 레버의 회동축부에 그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원호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된 원호모양부를 마련하고, 프레임의 베어링부와의 접촉을 면접촉으로 함으로써, 접촉면압을 저감할 수 있어 개폐기구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rc-shaped portion formed in a surface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whose central angle is greater than 180 degrees on the pivot shaft of the lev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portion, the contact with the bearing portion of the frame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Since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can be reduced, the dur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트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트립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로부터 온 상태의 개폐기구부, 가동접촉자 및 크로스바를 골라내어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레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레버의 레버회동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의 개폐기구부에 레버회전 전달부재의 장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레버에 걸리는 하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레버와 랫치와의 맞물림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회로차단기의 레버의 레버회동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ip state of a circuit breaker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tripping stat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off stat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on stat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principal parts showing single open / close mechanism parts, movable contacts, and crossbars in a state of turning off the circuit breaker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r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lever rotation shaft part of the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to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portion in the 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load on the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lever and the latch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lever rotation shaft part of the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회로차단기의 트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트립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온 상태의 개폐기구부, 가동접촉자 및 크로스바를 골라내어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레버(44)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동일한 레버(44)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레버회동축부(44a)의 측면도, 도 9는 온 상태의 개폐기구부에 레버회전 전달부재(13)의 장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레버회동축부(44a)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온 상태, (b)는 오프 상태, (c)는 트립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11은 레버(44)에서의 랫치(34)와의 맞물림부(44b)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ip stat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ip state,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ff state,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n stat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single open / close mechanism, movable contactor and crossba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r 44,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ame lever 44, and FIG. 8 is a lever pivot shaft part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to the on / off mechanism in the on state, and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lever pivot shaft 44a, (a ) Represents an on state, (b) represents an off state, and (c) represents a trip state. 11 is the enlarged view of the principal part which expands and shows the engaging part 44b with the latch 34 in the lever 44. As shown in FIG.

도 1에서, 회로차단기(100)는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11)와 커버(1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1)상에는 삼상의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가 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중앙의 회로차단유니트(20B)의 상부에는 개폐기구부(40)가 배치된다. 베이스(11)는 한 쌍의 외벽(11A, 11B)과, 한 쌍의 구획벽(11C, 11D)을 가진다. 외벽(11A)과 구획벽(11C)의 사이에는 회로차단유니트(20A)가 배치되며, 구획벽(11C, 11D)의 사이에는 회로차단유니트(20B)가 배치되고, 구획벽(11D)과 외벽(11B)과의 사이에는 회로차단유니트(20C)가 배치된다. 커버(12)는 베이스(11)상의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와, 개폐기구부(40)를 덮고, 개폐기구부(40)의 조작핸들(41)은 커버(12)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커버(12)는 회로차단유니트(20A, 20B)를 덮는 부분을 절개하여 그들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In Fig. 1, the circuit breaker 100 is constructed using a case 10 consisting of a base 11 and a cover 12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On the base 11, circuit break units 20A, 20B, and 20C of three phase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portion 40 is disposed above the circuit break unit 20B in the center. The base 11 has a pair of outer walls 11A and 11B and a pair of partition walls 11C and 11D. A circuit blocking unit 20A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wall 11A and the partition wall 11C, and a circuit blocking unit 20B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1C and 11D, and the partition wall 11D and the outer wall are disposed. A circuit interruption unit 20C is disposed between 11B. The cover 12 covers the circuit blocking units 20A, 20B, and 20C of each phase on the base 11 and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part 40, and the operation handle 41 o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part 40 protrudes from the cover 12. do. In addition, in FIG. 1, the cover 12 cut | disconnects the part which covers circuit interrupting unit 20A, 20B, and shows them inside.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낸다. 도 2, 도 4, 도 5는 중앙의 회로차단유니트(20B)를 나타내지만, 다른 회로차단유니트(20A, 20C)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크로스바(30)는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에 공통되어,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에 직교하도록 베이스(11)상에 배치된다.Circuit break units 20A, 20B, and 20C in each phase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nd specific configurations thereof are shown in FIGS. 2, 3, and 4. 2, 4, and 5 show the center circuit break unit 20B, but other circuit break units 20A and 20C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crossbar 30 is common to the circuit break units 20A, 20B and 20C of each phase, and is orthogonal to the circuit break units 20A, 20B and 20C of each phase. It is disposed on the base 11.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는 베이스(11)에 설치된 전원 측 단자(24)와, 전원 측 단자(24)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고정접점(21)과, 이 고정접점(21)과 접리하는 가동접점(22)과, 이 가동접점(22)이 일단에 설치되고, 크로스바(3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보유지지되는 가동접촉자(23)와, 이 가동접촉자(23)와 접속된 과전류 제거장치(33)와, 과전류 제거장치(33)에 접속되고, 베이스(11)에 설치된 부하 측 단자(25)를 가진다.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에 접촉하면, 단자(24, 25)의 사이의 전기회로가 온이 되고, 또,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개리하면, 단자(24, 25) 사이의 전기회로가 오프가 된다.The circuit blocking units 20A, 20B, and 20C in each phase include a power supply terminal 24 provided in the base 11, a fixed contact 21 provided to exten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24, and the fixed contact 21. And a movable contact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22, a movable contact 22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and is rotatably held by the crossbar 30, and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23. It is connected to the overcurrent removal device 33 and the overcurrent removal device 33, and has the load side terminal 25 provided in the base 11. As shown in FIG. When the movable contact 22 contacts the fixed contact 21, the electric circuit between the terminals 24 and 25 turns on, and when the movable contact 22 opens from the fixed contact 21, the terminal ( The electrical circuit between 24 and 25 is turned off.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30)는 베이스(11)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도 2, 도 3, 도 4의 지면과 직교하도록 연장된다. 이 크로스바(30)는 개폐기구부(40)에 의해서,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에서의 각 가동접촉자(23)가 장착된다. 크로스바(30)가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했을 때에, 각 상의 회로차단유니트(20A, 20B, 20C)의 각 가동접촉자(23)가 동시에 회동되며, 이 가동접촉자(23)의 회동에 의해서,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에 접리한다.As shown in FIG. 2, FIG. 3, FIG. 4, the crossbar 3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tom part of the base 11, and extends so that it may orthogonally cross the surface of FIG. 2, FIG. 3, FIG. The crossbar 30 is rotated around the shaft center by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part 40, and each movable contact 23 in the circuit interrupting units 20A, 20B, and 20C of each phase is mounted. When the crossbar 30 is rotated about the shaft center, each movable contactor 23 of the circuit breaking units 20A, 20B, and 20C of each phase is rotated at the same time, and by the rota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23, The movable contact 22 folds against the fixed contact 21.

도 2, 도 3, 도 4에 더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구부(4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판으로 형성되는 프레임(43)과, 이 프레임(43)에 회동축심점 P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대략 'U'자형의 핸들암(42)(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2, 3, 4에 도시.)과, 이 핸들암(42)에 고착되고, 수동으로 조작되는 조작핸들(41)(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2, 3, 4에 도시.)에 의해서, 유니트화되어 있다. 그 내부는 과전류 제거장치(33)의 랫치(34)에 맞물림되고, 회동축(44a)에 의해서 프레임(43)의 프레임 베어링부(43a)에 피벗지지되는 레버(44)와, 이 레버(44)에 링크지지축 Q에 의해서 피벗지지되는 상부링크(45)와, 이 상부링크(45)와 스프링핀(47)을 통하여 맞물림됨으로써 토글 링크를 구성하는 하부링크(46)(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2, 3, 4에 도시.)와, 종동 측(48b)이 스프링핀(47)에, 구동 측(48a)이 핸들암(42)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메인스프링(48)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o FIG. 2, FIG. 3, and FIG. 4, as shown in FIG. 5,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part 40 is the frame 43 formed from a pair of frame board which mutually opposes, and the pivot axis point in this frame 43. FIG. A substantially U-shaped handle arm 42 (not shown in Fig. 5, shown in Figs. 2, 3 and 4) pivotally supported by P, and fixed to the handle arm 42, It is unitized by the operation handle 41 (not shown in FIG. 5, shown in FIG. 2, 3, 4) operated manually. The inside thereof is engaged with the latch 34 of the overcurrent removing device 33, and is pivoted on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of the frame 43 by the pivot shaft 44a, and the lever 44 ), An upper link 45 pivotally supported by the link support shaft Q, and a lower link 46 (not shown in FIG. 5) constituting the toggle link by engaging the upper link 45 and the spring pin 47. 2, 3, and 4), and a pair of main springs 48 each having a driven side 48b mounted on a spring pin 47 and a driving side 48a mounted on a handle arm 42, respectively. It consists of.

그리고,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링크(45)는 그 상단이 레버(44)의 링크지지축 Q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하부링크(46)는 그 하단이 크로스바(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핸들(41)은 커버(12)로부터 그 상부로 돌출하고, 수동조작에 의해서, 회동축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 조작핸들(41)의 회동에 의해서, 핸들암(42)도 조작핸들(41)과 함께, 회동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핸들암(42)은, 도 2에 나타내는 트립 상태에서 중간 위치가 되고, 도 3에 나타내는 오프 상태에서 좌경사 위치가 되며, 도 4에 나타내는 온 상태에서 우경사 위치가 된다.2, 3, and 4, the upper link 4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ink support shaft Q of the lever 44, and the lower link 46 has its lower end. It is connected to the crossbar 30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The operation handle 41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12, and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center point P by manual operation.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41, the handle arm 42 is also rotat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P together with the operation handle 41. The handle arm 42 becomes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trip state shown in FIG. 2, becomes a left tilt position in the off state shown in FIG. 3, and becomes a right tilt position in the on state shown in FIG. 4.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4)는 레버회동축부(44a)를 포함하여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핸들암(42)의 각 측판의 내면 측에 배치된다. 레버회동축부(44a)는 레버회동축부(44a)가 되는 금속판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90도 굽힌 후, 원호모양부를 형성하기 위해 레버회동축부에 박음을 행하여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레버(44)의 레버회동축부(44a)의 단면형상을 참조하면, 레버회동축부(44a)는 박음에 의해서 일측에 단면형상이 'く'자 모양인 면으로 형성된 회전전달 오목부(44a1)와, 회전전달 오목부(44a1)의 반대측에 단면형상이 그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대략 원호모양인 면으로 형성된 원호모양부(44a2)를 가지고 있다. 원호모양부(44a2)가 프레임(43)의 프레임 베어링부(43a)와 넓은 범위에서 면접촉하는 접촉부가 된다.As shown to FIG. 6, FIG. 7, the lever 44 is formed from the single metal plate including the lever rotating shaft part 44a, and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side plate of the handle arm 42. As shown in FIG.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etal plate serving as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by 90 degre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n driving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to form an arc shaped por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of the lever 44 shown in FIG. 8,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has a cross-sectional shape on the one side of the lever 44 as a 'ku' shape. The formed rotational transfer concave portion 44a1 and an arcuate portion 44a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tational transfer concave portion 44a1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arc-shaped surface whose center angle is greater than 180 degrees. The arc-shaped portion 44a2 is a contact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of the frame 43 in a wide range.

또, 레버(4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4)의 회전전달 오목부(44a1)에 레버회전 전달부재(13)의 돌기부(13a)를 끼워장착하고 있다. 이 레버회전 전달부재(13)는 트립시에 레버(44)의 회전을 회로차단기(100) 내에 수납된 내부 부속장치 등에 전달하는 것이다.Moreover, as shown in FIG. 9, the lever 44 attaches the projection part 13a of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recessed part 44a1 of the lever 44. As shown in FIG.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lever 44 at the time of tripping to an internal accessory device or the like stored in the circuit breaker 100.

또, 레버회동축부(44a)의 축방향 길이는 금속판을 굽힘가공한 후에 박음을 행하여 형성하므로, 레버(44)를 형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판두께의 3배 이상의 길이로도 회동축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axial length of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is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after bending it, it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forming the lever 44, for example, 3 of the plate thickn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otation shaft part even more than twice the length.

다음에 회로차단기(100)의 온, 오프 및 트립의 각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each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100 on, off and trip will be described.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서는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개리(開離)하여, 이들 고정접점(21)과 가동접점(22)은 개리 상태에 있다. 이 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암(42)은 좌경사 위치에 있고, 하부링크(46)는 가로방향 상태에 있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오프 상태에서 조작핸들(41)이 시계방향으로 조작되면, 이 조작핸들(41)과 함께 핸들암(42)이 회동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핸들암(42)은 도 4에 나타내는 우경사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핸들암(42)의 회동에 의해서, 메인스프링(48)의 구동 측(48a)이 핸들암(42)의 회동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메인스프링(48)의 구동 측(48a)의 이동에 의해서, 메인스프링(48)의 하중 방향이 변화하고, 스프링핀(47)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그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스프링핀(47)의 이동에 의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링크(46)가 기립 상태가 되고, 크로스바(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촉자(23)상의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에 접촉하여 온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off state, the movable contact 22 opens from the fixed contact 21, and these fixed contact 21 and the movable contact 22 are in the open state. In this off state, the handle arm 42 is in the left inclined position and the lower link 46 is in the transverse state. When the operation handle 41 is operated clockwise in the off state shown in FIG. 3, the handle arm 42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P together with the operation handle 41, and the handle arm ( 42) rotates to the right inclination position shown in FIG.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arm 42, the drive side 48a of the main spring 48 moves clockwise around the pivot center point P of the handle arm 42. By the movement of the drive side 48a of this main spring 48, the load direction of the main spring 48 changes, and the spring pin 47 moves to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As the spring pin 47 moves, as shown in FIG. 4, the lower link 46 stands in an upright position, the crossbar 30 rotates clockwise, and the movable contact 22 on the movable contact 23. )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contact 21.

도 4에 나타내는 온 상태에서 조작핸들(41)이 반시계방향으로 조작되면, 이 조작핸들(41)과 함께 핸들암(42)이 회동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핸들암(42)은 도 3에 나타내는 좌경사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핸들암(42)의 회동에 의해서, 메인스프링(48)의 구동 측(48a)이 핸들암(42)의 회동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메인스프링(48)의 구동 측(48a)의 이동에 의해서, 메인스프링(48)의 하중 방향이 변화하고, 스프링핀(47)이 도 4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스프링핀(47)의 이동에 의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링크(46)가 가로방향 상태로 돌아오고, 크로스바(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촉자(23)상의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개리하여 오프 상태가 된다.When the operation handle 41 is operated counterclockwise in the on state shown in FIG. 4, the handle arm 42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vot center P together with the operation handle 41, and the handle arm is rotated. 42 rotates to the left inclination position shown in FIG.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arm 42, the drive side 48a of the main spring 48 mov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P of the handle arm 42. As shown in FIG. By the movement of the drive side 48a of the main spring 48, the load direction of the main spring 48 changes, and the spring pin 47 moves to the lef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By the movement of the spring pin 47, as shown in FIG. 3, the lower link 46 returns to a horizontal state, the crossbar 3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movable contact 23 is movable. The contact 22 is opened from the fixed contact 21 and is turned off.

도 4에 나타내는 온 상태에서 과전류 제거장치(33)가 동작하면, 과전류 제거장치(33)이 트립바(35)를 밀어넣어 회동시키면, 트립바(35)에 의한 랫치(34)의 걸림이 풀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랫치(34)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고, 이 랫치(34)와 레버(44)와의 맞물림이 풀리게 된다. 레버(44)는 메인스프링(48)에 의해서 상시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랫치(34)와의 맞물림이 풀림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레버(44)의 회동에 의해서, 핸들암(42)은 회동중심점 P를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우경사 위치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중간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핸들암(42)의 회동에 의해서, 메인스프링(48)의 구동 측(48a)이 스프링핀(47)보다 우측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스프링핀(47)에 위쪽 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시작한다. 이 스프링핀(47)의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크로스바(30)가 위쪽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하부링크(46)가 도 2에 나타내는 중간 기립 상태가 되고, 가동접촉자(23)상의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개리하여 도 2에 나타내는 트립 상태가 된다.When the overcurrent removing device 33 operates in the ON state shown in FIG. 4, when the overcurrent removing device 33 pushes the trip bar 35 to rotate, the latch 34 of the trip bar 35 is released. do. As a result, the latch 34 is rotated freely, and the latch 34 and the lever 44 are engaged. Since the lever 44 is always pressed clockwise by the main spring 48, the engagement with the latch 34 is released and rotates 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4, the handle arm 42 rotates from the right inclination position shown in FIG. 4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shown in FIG. 2 with the rotation center point P as the center.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arm 42, the driving side 48a of the main spring 48 moves relatively to the right side of the spring pin 47, so that an upward force acts on the spring pin 47. do.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pring pin 47, the crossbar 30 is lifted upward, and the lower link 46 is in an intermediate standing state shown in Fig. 2, and the movable contact on the movable contact 23 is 22 is opened from the fixed contact 21, and will be in the trip state shown in FIG.

다음으로, 레버회동축(44a)에 가해지는 하중 F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회동축(44a)에 가해지는 하중 F2는 상부링크(45)가 레버(44)의 링크지지축 Q를 밀어 올리는 힘 F1의 반력으로서, 레버회동축부(44a)에 가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링크지지축 Q를 밀어 올리는 힘 F1은 상부링크(45)와 하부링크(46)을 결합하는 스프링핀(47)에 장착된 한 쌍의 메인스프링(48)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다.Next, the load F2 applied to the lever pivot shaft 44a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0, the load F2 applied to the lever pivot shaft 44a is a reaction force of the force F1 that the upper link 45 pushes up the link supporting shaft Q of the lever 44 to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It is added. Here, the force F1 for pushing up the link support shaft Q is pressurized by a pair of main springs 48 mounted on the spring pins 47 that couple the upper link 45 and the lower link 46.

도 10의 (a)의 온 상태, 도 10의 (b)의 오프 상태, 도 10의 (c)의 트립 상태의 각각 상태 및 온 상태로부터 트립 상태로의 이행 도중 상태에서도 레버회동축부(44a)와 프레임 베어링부(43a)와의 접촉면압을 저감할 수 있도록 레버(44)의 레버회동축부(44a)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레버회동축부(44a) 걸리는 외력의 레버회동축부(44a)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이 항상 레버회동축부(44a)의 원호모양부(44a2)에 하중 F2가 가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also in the on state of FIG. 10A, the off state of FIG. 10B, the trip state of FIG. 10C, and the state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on state to the trip state. Perpendicular to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at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of the lever 44 so as to reduce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with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A component in the in-direction is always configured to apply a load F2 to the arc-shaped portion 44a2 of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4)에서의 랫치(34)와의 맞물림부(44b)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전류를 검지하여 제거장치(33)가 작동하면 랫치(34)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레버(44)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실선의 34-1위치로부터 이점쇄선의 34-2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맞물림부(44b)에 형성된 곡면에 의해서, 레버(44)가 랫치(34)에 주어지는 하중은 G1로부터 G2로 변화한다. 이 때, 랫치(34)의 회동축중심(34a)으로부터 작용점인 레버(44)와 랫치(34)와의 접촉점까지의 거리는 이동 전의 길이 A로부터 이동 후의 길이 B로 변화한다. 이동 후의 하중 G2는 이동 전의 하중 G1과 동등하거나 약간 크게 되며, 랫치(34)의 회동축(34a)으로부터 작용점까지의 거리는 B(이동 후) ≥ A(이동 전)이므로, 레버(44)와 랫치(34)와의 맞물림이 풀리는 과정에서 랫치(34)가 레버(44)로부터 받는 회전모멘트는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1, the engaging part 44b with the latch 34 in the lever 44 is comprised by the curved surface. When the removal device 33 is operated by detecting the overcurrent, the latch 34 is free to rotate, and receives the load from the lever 44 and moves from the 34-1 position of the solid line to the 34-2 position of the double-dashed line. At this time, the load given to the latch 34 by the lever 44 changes from G1 to G2 due to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44b. At this time,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center 34a of the latch 34 to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lever 44 and the latch 34, which are acting points, changes from the length A before the movement to the length B after the movement. The load G2 after the movement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load G1 before the movement, and the distance from the pivot 34a of the latch 34 to the working point is B (after movement) ≥ A (before movement), so that the lever 44 and the latch The rotation moment that the latch 34 receives from the lever 44 increases in the process of releasing engagement with the (34).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레버(44)는 레버회동축부(44a)를 포함하여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레버회동축부(44a)에 그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원호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된 원호모양부(44a2)를 마련함으로써, 원호모양부(44a2)가 프레임(43)의 프레임 베어링부(43a)와 넓은 범위에서 면접촉하여, 접촉면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반복동작시의 개폐기구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44 is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including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greater than 180 degrees on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By providing the formed arc-shaped portion 44a2, the arc-shaped portion 44a2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of the frame 43 in a wide range, whereby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can be reduced to be low, The dur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can be improved, and the positional shift can be suppressed.

또, 레버회동축부(44a)의 축방향 길이는 금속판을 굽힌 후에 박음을 행하여 형성하므로, 레버(44)를 형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레버회전 전달부재(13)와의 결합부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xial length of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is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i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forming the lever 44,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with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is formed. We can secure enough.

또, 온, 오프 및 트립의 각각의 상태에서 레버(44)의 레버회동축부(44a)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레버회동축부(44a)에 걸리는 외력의 레버회동축부(44a)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이 항상 레버회동축부(44a)의 원호모양부(44a2)에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레버회동축부(44a)와 프레임 베어링부(43a)의 양쪽 모두 접촉면압을 억제할 수 있어, 반복동작시의 개폐기구부의 개폐기구부의 내구성이 향상한다.Furthe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ver pivot shaft 44a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pivot shaft 44a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lever pivot shaft 44a of the lever 44 in each of the on, off and trip states. Since the component is always applied to the circular arc 44a2 of the lever pivot shaft 44a,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of both the lever pivot shaft 44a and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can be suppressed, thereby repeating the operation. The dur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city is improved.

또, 레버회동축부(44a)는 단일의 금속판을 굽힘가공한 후에 박음을 행하여 형성하므로, 축부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시의 위치 어긋남이나 부품치수오차의 누적을 저감할 수 있어, 부품 비용 및 조립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is formed by bending after a single metal plate is bent, the strength of the shaft portion can be improved, and the positional shift and the accumulation of component dimension errors during joining can be reduced. In addition, component cost and assembly cost can be reduced.

또, 레버(44)의 레버회동축부(44a)에는 박음에 의한 회전전달 오목부(44a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전달 오목부(44a1)에 레버회전 전달부재(13)의 돌기부(13a)를 끼워장착하므로, 레버회전 전달부재(13)와 레버회동축부(44a)의 회전방향에서의 상대적인 덜컹거림을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the rotation transmission recessed part 44a1 is formed in the lever rotation shaft part 44a of the lever 44, and the projection part 13a of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is formed in this rotation transmission recessed part 44a1. Since it is fitted, the relative rattl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and the lever pivot shaft 44a can be efficiently suppressed in a limited space.

또, 레버(44)의 회전전달 오목부(44a1)에 레버회전 전달부재(13)를 설치함으로써, 회로차단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부속장치 등에 트립시의 레버(44)의 회전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13 in the rotation transmission recess 44a1 of the lever 44, rotation of the lever 44 at the time of tripping, etc., is provided in the internal accessory device disposed inside the circuit breaker 100. It can be delivered easily.

또, 레버(44)에서의 랫치(34)와의 맞물림부(44b)에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과전류를 검지하여 제거장치(33)가 작동하고, 랫치와의 맞물림이 풀리는 과정에서 랫치(34)를 거는 제거장치(33)에 걸리는 하중을 늘리지 않고, 랫치(34)에 부여하는 회전모멘트를 증가시키므로, 트립 동작을 안정시켜 회로차단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a curved surface on the engaging portion 44b with the latch 34 in the lever 44, the removal device 33 is activated by detecting the overcurrent, and the latch 34 is opened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engagement with the latch. The hanging moment increases the rotation moment applied to the latch 34 without increasing the load applied to the removal device 33, so that the tripping opera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접촉자의 일단에 가동접점을 가지는 1점 차단 타입의 회로차단기의 예로 설명했지만, 가동접촉자의 양단에 가동접점을 가지는 2점 차단 타입의 회로차단기에 본 실시형태에서의 개폐기구부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본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of the 1-point breaker type circuit breaker which has a movable contact in the one end of a movable contactor was demonstrated, the two-point breaker type circuit breaker which has a movable contact in both ends of a movable contactor is a switch in this embodiment. Needless to sa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bend, and the same effect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obtain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도 12는 실시형태 2에서의 레버회동축부(44a)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lever pivot shaft 44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서, 레버회동축부(44a)의 원호모양부(44a2)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심각이 약 180도인 원호부(44a3)와, 이 원호부의 외접원상의 연장부에 형성되고, 프레임(43)의 프레임 베어링부(43a)에 접촉하는 접촉부(44a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모양부(44a2)의 중심각은 원호부(44a3)에 접촉부(44a4)까지를 더한 범위로 180도보다 크게 구성된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rc-shaped portion 44a2 of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is formed in an arc portion 44a3 having a central angle of about 180 degrees and an extension portion on the circumscribed circle of the arc portion, as shown in FIG. The contact part 44a4 which contacts the frame bearing part 43a of the frame 43 is comprised. The center angle of the arc-shaped portion 44a2 is larger than 180 degrees in the range of adding the arc portion 44a3 to the contact portion 44a4.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about another structur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형태 1에서는 레버(44)를 형성하는 단일의 금속판의 절단면인 단면도 원호에 박음 혹은 커팅(cutting) 등의 형성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44)의 단면에 대해서는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프레임(43)의 프레임 베어링부(43a)에 접촉하는 접촉부(44a4)로 한 것이다. 접촉부(44a4)의 선단부는, 예를 들면 모따기 혹은 커팅 처리 등에 의해서 프레임 베어링부(43a)와 점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orming process such as cutting or cutting is performed on the cross-sectional arc which is the cutting surface of the single metal plate forming the lever 44.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lever 44 is used as it is. The contact portion 44a4 is in contact with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of the frame 43. The distal end of the contact portion 44a4 is more preferably not in point contact with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by, for example, chamfering or cutting.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레버(44)는 레버회동축부(44a)를 포함하여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레버회동축부(44a)에 그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원호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된 원호모양부(44a2)를 마련함으로써, 원호모양부(44a2)가 프레임(43)의 프레임 베어링부(43a)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여, 접촉면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반복동작시의 개폐기구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44 is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including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greater than 180 degrees on the lever pivot shaft portion 44a. By providing the formed arc-shaped portion 44a2, the arc-shaped portion 44a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ame bearing portion 43a of the frame 43 in a wide range, whereby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can be suppressed low,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portion at the time of repeated operation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positional shift can be suppressed.

또, 레버(44)를 형성하는 단일의 금속판의 단면의 처리를 간략화함으로써, 레버회동축부(44a)를 마련하는 공정의 일부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processing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ingle metal plate forming the lever 44, a part of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lever pivot shaft 44a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상기 설명에서는 회로차단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런 종류의 개폐기 전반에 대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세세한 변경이 이루어져도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Although the circuit breaker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natural to be able to use the overall switch of this kind, and even minute changes are not intended to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21 고정접점, 22 가동접점,
23 가동접촉자, 30 크로스바,
33 제거장치, 34 랫치,
42 핸들암, 43 프레임,
44 레버, 44a 레버회동축부,
44a2 원호모양부, 47 스프링핀,
48 메인스프링, 45 상부링크,
46 하부링크, 100 회로차단기.
21 fixed contacts, 22 movable contacts,
23 movable contactors, 30 crossbars,
33 remover, 34 latches,
42 handle arms, 43 frames,
44 lever, 44a lever pivot,
44a2 arc, 47 spring pins,
48 main spring, 45 upper link,
46 lower link, 100 circuit breaker.

Claims (8)

일단 또는 양단에 가동접점(可動接點)을 가지는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점과 접리(接離)하는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촉자를 보유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크로스바와, 이 크로스바를 구동하는 하부링크와, 제거장치의 랫치(latch)와 맞물리고, 트립(trip)시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피벗지지되어 회동하는 레버와, 이 레버에 피벗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링크에 스프링핀을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하부링크와 함께 토글(toggle) 링크를 구성하는 상부링크와, 상기 스프링핀에 종동 측이 결합된 메인스프링과, 이 메인스프링의 구동 측과 결합되어 이 회로차단기의 케이스에 고정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핸들암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는 이 레버의 회동축부를 포함하여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부는, 중심각이 180도보다 큰 원호모양인 단면형상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된 원호모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A movable contact having a movable contact at one end or both ends thereof, a fixed contact folded with the movable contact, a crossbar ho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pivotally supported, and a crossbar A lower link for driving the lever, a lever engaged with a latch of the removal device and pivoted by a bearing part of the frame during tripping, and a pivot pin supported by the lever and a spring pin on the lower link. An upper link coupled to the upper link to form a toggle link together with the lower link, a main spring coupled to the spring pin, and a driving side of the main spring coupled to a case of the circuit breaker. A handle arm pivotably pivoted to a fixed frame,
And the lever is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including the rotation shaft portion of the lever, a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has an arc shape portion formed with a surfac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n arc shape with a central angle greater than 180 degre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전달하는 회전전달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ever is provided on a rotation shaft of the lever, and has a rotation transmission reces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전달 오목부에 끼워장착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레버회전 전달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a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fix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lever, the lever rotation transmission member having a projection fitt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reces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에 마련된 원호모양부는 그 단면형상이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rc-shaped portion provided in the rotating shaft portion of the lever is an arc.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에 마련된 원호모양부는 상기 원호모양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원호부와, 이 원호부의 외접원상의 연장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rc-shaped part provided in the rotational shaft part of the said lever has a circular arc part which forms a part of the said arc-shaped part, and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on the circumscribed circle of this arc part, and the contact part which contacts the bearing part of the said frame, Th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는 축방향 길이가 상기 레버의 판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pivot shaft portion of the lever has an axial length larg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leve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레버 축에 걸리는 외력의 축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이 항상 상기 레버의 회동축부에 마련된 원호모양부를 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compon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shaft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ivot shaft portion of the lever to always face an arc shaped portion provided on the pivot shaft portion of the leve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랫치와의 맞물림면은 곡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랫치와의 맞물림이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랫치가 상기 레버로부터 받는 회전모멘트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ngaging surface of the lever with the latch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rotation moment received by the latch from the lever in the process of the engagement with the latch.
KR20100101063A 2010-01-07 2010-10-15 Circuit breaker KR1011729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2036A JP5304658B2 (en) 2010-01-07 2010-01-07 Circuit breaker
JPJP-P-2010-002036 2010-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029A KR20110081029A (en) 2011-07-13
KR101172979B1 true KR101172979B1 (en) 2012-08-09

Family

ID=4425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1063A KR101172979B1 (en) 2010-01-07 2010-10-15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04658B2 (en)
KR (1) KR101172979B1 (en)
CN (1) CN10212259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6030B (en) * 2016-02-02 2019-04-16 三信国际电器上海有限公司 A kind of contact system of residual current action breaker
KR20180099330A (en)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for Contacts
CN110544608A (en) * 2018-05-29 2019-12-06 江苏大全凯帆开关有限公司 Auxiliary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692A (en) 2006-12-04 200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unit
JP2009043605A (en) 2007-08-09 200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028A (en) * 1990-10-31 1992-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JPH06295654A (en) * 1993-04-06 199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692A (en) 2006-12-04 200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unit
JP2009043605A (en) 2007-08-09 200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04658B2 (en) 2013-10-02
CN102122592B (en) 2014-05-07
JP2011142012A (en) 2011-07-21
KR20110081029A (en) 2011-07-13
CN102122592A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7459B2 (en) Mold cased circuit breaker
JP2007103374A (en) Breaker for multipole wiring
KR100883624B1 (en) Circuit breaker
WO2014057517A1 (en) Circuit breaker
KR101172979B1 (en) Circuit breaker
KR101449884B1 (en) Circuit breaker
EP2107588B1 (en) Circuit breaker
EP0827173B1 (en) Circuit breaker
JP4798243B2 (en) Thermal overload relay
US6373009B1 (en) Fail safe safety switch
AU771377B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trip bar assembly
KR200385589Y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eccentricity preventing part for double contactor
JPH08250007A (en) Single pole circuit breaker
JP2005044755A (en) 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0379691B1 (en) Contact point closing/open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JP5671727B2 (en) Circuit breaker for wiring
JP2012186065A (en) Circuit breaker
JP5288626B2 (en) switch
CN108172475B (en) Contact structure of switch electric appliance
JP3709829B2 (en) Circuit breaker
JP4093150B2 (en) Circuit breaker alarm output device
EP1388158A1 (en) Circuit breaker mechanism for a rotary contact system
JP5554210B2 (en) Circuit breaker
JP3709830B2 (en) Circuit breaker
JPH08167366A (en)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