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847B1 - 소수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소수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847B1
KR101172847B1 KR1020110126741A KR20110126741A KR101172847B1 KR 101172847 B1 KR101172847 B1 KR 101172847B1 KR 1020110126741 A KR1020110126741 A KR 1020110126741A KR 20110126741 A KR20110126741 A KR 20110126741A KR 101172847 B1 KR101172847 B1 KR 10117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generation
guide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옥규
Original Assignee
(주)큰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큰나무 filed Critical (주)큰나무
Priority to KR102011012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6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6Stators
    • F03B3/18Stator blades; Guide conduits or vanes, e.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 F05B2260/402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through belt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는, 통유관과, 통유관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통유관내를 유동하는 용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닛과, 통유관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통유관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효율을 높이는 가이드유닛과, 회전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발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통유관 내에서 각 블레이드의 외곽을 둘러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링과, 통유관의 내면과 회전유닛의 회전링 외면 사이에 개재되어 통유관과 회전링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는 슬리브베어링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회전유닛의 통유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의 내에서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정렬되는 센터보스와, 센터보스의 둘레에서 가이드관의 내면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며, 회전유닛의 블레이드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에 따르면, 가이드유닛에 의해 용수의 흐름이 조절되어 발전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회전유닛 및 가이드유닛을 비롯한 각각의 구성요소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용이하게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수력 발전장치{Powerplant system}
본 발명은 정수처리장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등에서 용수를 활용하여 발전작용을 수행하는 소수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발전설비는 물의 흐름에 따른 낙차현상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것으로서, 규모에 따라 하천의 댐에 구성되는 이른바 대수력 발전설비와, 소하천과 농수로 및 각종 수처리시설 등에 구성되는 소수력 발전설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수력 발전설비는 발전용량은 크지만, 대규모의 댐과 함께 구성되어야 하므로 시설 가능 지역이 극히 제한적이다.
반면에 소수력 발전설비는 대수력 발전설비와 달리 주변 자연환경에 대하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수처리장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에 소수력 발전설비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자연하천에서보다 구성이 용이하고, 수처리 시설의 가동에 필요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시설에 갖추어지는 종래의 소수력 발전설비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집수정(10)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이어지는 용수배출관(12)상에 배치된 발전터어빈(20) 및 발전장치(2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발전장치(22)는 용수의 수력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터어빈(20)에 연결되어 가동됨으로써 전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회전자 및 회전자와 상호 작용하는 고정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소수력 발전설비에 의하면 집수정(10)에서 용수배출관(12)을 통해 유동되는 용수의 수력에 의하여 발전터어빈(20)이 회전하게 되고, 발전장치(22)가 발전터어빈(20)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발전장치(22)에서 전류가 생성되는 것이다.
한편, 수처리시설에 갖추어진 소수력 발전설비의 발전량은 용수의 유동량과 용수흐름의 낙차 등의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반면, 수처리시설에서의 용수 유동량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용수배출관(12) 또한 수처리시설 본래의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를 벗어나도록 변형될 수 없기 때문에 고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수처리시설에 갖추어진 소수력 발전시스템은 수처리시설의 고유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만큼, 제한된 조건하에서 최대한의 발전효율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단순히 용수의 흐름을 그대로 받아서 발전작용을 행할 뿐이며, 발전효율에 관련된 특별한 구성이 없기 때문에 발전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시설에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높은 발전효율을 얻을 수 있는 소수력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는, 통유관과, 상기 통유관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통유관내를 유동하는 용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통유관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통유관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효율을 높이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발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통유관 내에서 각 블레이드의 외곽을 둘러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링은 다수개의 통수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는 상기 통유관의 내면과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링 외면 사이에 개재되어 통유관과 회전링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는 슬리브베어링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통유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내에서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정렬되도록 배치된 센터보스와, 상기 센터보스의 둘레에서 가이드관의 내면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용수의 충격이 증대되도록 블레이드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guide fi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링과 가이드유닛의 가이드관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가이드유닛의 센터보스는 그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의 가이드핀은 그 표면을 타고 흐르는 용수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횡단면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인가수단은 상기 통유관과 연결되어 통유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용수의 흐름이 내부를 통하여 연속되도록 하며, 내부에 용수가 침투되지 않는 챔버가 구성된 관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앞선단이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후선단이 상기 하우징의 챔버로 이어지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챔버내에서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발전기로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우징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과 접한 부위를 통해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챔버의 주위로 용수의 유동이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챔버에서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으로 이어지는 연결관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관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관내에 구비된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과 접하여 장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공간내에는 통유관내의 용수가 연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메카니컬실이 구성된다.
상기 전달기구는 챔버내에서 회전축의 후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발전기의 가동축에 장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에 따르면, 가이드유닛에 의해 용수의 흐름이 조절되어 발전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회전유닛 및 가이드유닛을 비롯한 각각의 구성요소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용이하게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수력 발전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부터 도 4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용수가 유입되는 통유관(30)과, 상기 통유관(30)내를 유동하는 용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닛(40)과, 상기 통유관(30)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통유관(30)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전유닛(40)의 회전효율을 높이는 가이드유닛(50)과, 상기 회전유닛(40)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발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닛(40)은 통유관(30)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축(42) 및 중심축(42)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44)와, 상기 각 블레이드(44)의 외곽을 둘러서 감싸는 회전링(46)과, 상기 회전링(46)의 외면과 통유관(3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슬리브베어링(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링(46)은 다수개의 통수홀(46a)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베어링(32)은 테프론 등의 윤활성있는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유관(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유닛(50)은 상기 회전유닛(40)의 통유관(30)과 연결되는 가이드관(52)과, 상기 가이드관(52)의 축중심에 배치된 센터보스(54)와, 상기 센터보스(54)의 둘레에서 가이드관(52)의 내면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guide fin)(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핀(56)은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회전유닛(40)의 블레이드(44)에 가해지는 용수의 충격이 증대되도록 블레이드(44)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며, 그 표면을 타고 흐르는 용수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횡단면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40)의 회전링(46)과 가이드유닛(50)의 가이드관(52)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과 가이드유닛(50)의 센터보스(54)는 역시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데, 상기 중심축과 센터보스의 직경은 회전링(46) 및 가이드관(52) 내경의 1/2 이상 1/1.5 이하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42) 및 센터보스(54)의 직경이 회전링(46) 및 가이드관(52)의 직경에 대해 일정 비율 범위내에서 설정되도록 한 것은 용수의 흐름이 에너지효율이 낮은 중심 측으로 불필요하게 유도되지 않고 외곽측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동력인가수단은 상기 통유관(30)과 연결되어 통유관(30)으로부터 유동되는 용수의 흐름이 내부를 통하여 연속되도록 하는 관형태로서, 그 내부에 용수가 침투되지 않는 챔버(62)가 구성된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유닛(4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70)과, 상기 회전축(70)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발전기로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4 참조)
상기 챔버(62)는 하우징(60)의 내부에서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접한부위에 개방구(62a)가 형성되며, 챔버(62)를 감싸는 하우징(60)의 일정구간은 타부위보다 직경이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60)의 내부에 챔버(62)의 주위로 용수의 유동이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70)은 그 앞선단(701)이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과 연결되며 후선단(702)이 상기 하우징(60)의 챔버(62) 내부로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0)내에는 상기 챔버(62)에서 상기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으로 이어지는 연결관(64)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70)은 상기 연결관(64)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70)은 상기 연결관(64)내에 구비된 다수개의 베어링(641)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70)의 앞선단(701)은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 내부로 삽입되어 중심축(42)과 스플라인(spline)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64)과 접하여 장착공간(421)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공간(421)내에는 연결관(64)으로부터 회전축(70)이 돌출된 구조상 연결관(64)과 회전축(70)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간극을 실링하는 메커니컬실(mechanical seal)(66)이 장착된다.
상기 전달기구는 챔버(62)내에서 회전축(7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풀리(72)와, 발전기에 장착되는 종동풀리(74)와, 상기 구동풀리(72)와 종동풀리(74)를 연결하는 벨트(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기(80)는 하우징(60)의 외부에 설치되는데, 발전기(80)의 설치 위치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곳이라면 제약은 없으나, 하우징(60)의 상방에 지지되는 받침대(82)에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76)는 챔버(62)의 개방구(62a)를 통해 상기 종동풀리(74)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풀리(72)를 상기 회전축(7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70)은 그 후선단(702)이 상기 챔버(62)내부의 중간정도에 까지만 이르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풀리(72)는 회전축(70)과 키결합되며, 상기 회전축(72)의 후선단(702)에는 구동풀리(72)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캡(721)이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소수력 발전장치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가이드유닛(50)의 가이드관(52)이 수처리시설의 용수배출관(12) 등과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용수배출관(12)으로부터 상기 가이드관(52)으로 유입된 용수는 센터보스(54)에 의해 가이드관(52)의 가장자리 측으로 분산되는 흐름을 갖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핀(56)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유닛(40)의 블레이드(44)의 기울어진방향과 대향되도록 편향 유도된다.
즉, 용수의 흐름은 가이드유닛(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핀(56)에 의해 블레이드(44)의 저항력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핀(56)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가이드핀(56)의 유선형 단면구조상 용수의 유속은 더욱 빨라지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관(52)을 통과한 용수는 회전유닛(40)의 블레이드(44)와 부딪히게 됨으로써 블레이드(44)에 의해 저항력이 유발되고, 이에 의해 회전유닛(40)이 회전되는데, 이때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이 센터보스(54)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특성상 에너지효율이 낮은 중심 측으로 불필요하게 용수의 흐름이 유도되지 않고 외곽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회전유닛(40)의 작동효율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회전유닛(40)의 회전과정에서 블레이드(44)는 용수의 흐름에 의해 유발되는 강한 충격을 불규칙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며, 이러한 충격은 용수의 흐름이 가이드유닛(50)에 의해 블레이드(44)의 외곽측으로 유도되는 특성상 블레이드(44)의 외곽측으로 가면서 더욱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44)의 외곽측 선단은 용수의 흐름으로 인해 매우 강한 충격을 받는 상태가 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44)의 외곽을 회전링(46)이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전유닛(40)의 구조적인 특성상 각 블레이드(44)가 상기 회전링(46)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이 같이 용수의 흐름에 의해 블레이드(44)에 강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블레이드(44)가 뒤틀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불어, 회전링(46)이 슬리브베어링(32)에 의하여 감싸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회전링(46)과 통유관(30)이 직접 접하여 마찰되지 않고, 슬리브베어링(32)과 회전링(46)이 접하여 회전유닛(40)의 회전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욱이 회전링(46)내로 유입된 용수가 회전링(46)에 형성된 통수홀(46a)을 통해 회전링(46)과 슬리브베어링(32)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어 윤활액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회전유닛(40)이 더욱 원활하게 회전된다.
회전유닛(4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에 그 일단이 스플라인 연결된 회전축(7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70)에 장착된 구동풀리(72)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풀리(72)와 벨트(76)에 의해 연결된 종동풀리(74) 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발전기(80)가 가동되어 발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40)의 중심축(42)의 내부에 마련된 장착공간(421)에 메카니컬실(66)이 배치되므로, 용수가 통유관(3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60)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회전축(70)과 연결관(64)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연결관(64) 내부로 스며드는 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용수가 연결관(64) 내부로 스며들어서 베어링(641)이 부식되거나 녹이 발생함으로써 베어링(641)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감소하게 된다.
통유관(30)으로 유입된 용수는 회전유닛(40)을 통과한 다음 하우징(60)으로 유입되고, 하우징(60) 내부에서 챔버(62)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유동되어 하우징(60)의 외부로 배출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관(52)과 용수배출관(12)은 플랜지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통유관(30)과 가이드유닛(50)의 가이드관(52) 및 통유관(30)과 하우징(60) 역시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플랜지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상황에 맞추어 용량이 다른 가이드유닛(50) 및 회전유닛(40)의 사용함으로써 용수의 배출량 변화에도 불구하고 발전량을 어느정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하절기 등과 같이 용수의 배출량이 많은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크기가 큰 이른바 대용량의 가이드유닛(50) 및 회전유닛(40)을 사용하게 되고, 이를 용수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동절기에도 그대로 유지하게 되면, 가이드유닛(50)에 의한 용수의 흐름조절 효과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회전유닛(40)의 회전속도 역시 저하되므로 결과적으로 발전량 역시 크게 감소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배출관(12)과 가이드관(52), 통유관(30)과 하우징(6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특성상 용수의 배출량이 감소하는 시기에는 대용량의 가이드유닛(50)과 회전유닛(40)을 크기가 작은 소용량의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용수의 배출량이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발전량이 감소되는 것을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소용량의 가이드유닛과 회전유닛은 대용량 가이드유닛 및 회전유닛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게 구성된 것으로서 어댑터관(미도시)을 이용하여 용수배출관 및 하우징과 연결하게 된다.
소용량의 회전유닛은 크기가 작은 만큼 중량부하가 작기 때문에 용수 배출량이 감소되어도 회전속도면에 있어서의 손실이 줄어들게 되며, 가이드유닛에 의한 용수의 흐름조절효과 역시 유지되기 때문에 상당한 정도로 발전량의 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유닛과 가이드유닛 및 하우징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회전유닛의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풀리(72)가 파손되거나 하여 수리 내지는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록킹캡(721)을 해체하고 간단하게 구동풀리(72)를 회전축(7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등, 유지관리상의 편의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30: 통유관 32: 슬리브베어링
40: 회전유닛 42: 중심축
44: 블레이드 46: 회전링
46a: 통수홀 50: 가이드유닛
52: 가이드관 54: 센터보스
56: 가이드핀 60: 하우징
62: 챔버 64: 연결관
66: 메카니컬실 70: 회전축
72: 구동풀리 74: 종동풀리
76: 벨트 80: 발전기

Claims (12)

  1. 통유관과,
    상기 통유관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통유관내를 유동하는 용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통유관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통유관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효율을 높이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발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인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인가수단은
    상기 통유관과 연결되어 통유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용수의 흐름이 내부를 통하여 연속되도록 하며, 내부에 용수가 침투되지 않는 챔버가 구성된 관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앞선단이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후선단이 상기 하우징의 챔버로 이어지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챔버내에서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발전기로 전달하는 전달기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력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통유관 내에서 각 블레이드의 외곽을 둘러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력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다수개의 통수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유관의 내면과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링 외면 사이에 개재되어 통유관과 회전링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는 슬리브베어링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력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통유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내에서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정렬되도록 배치된 센터보스와,
    상기 센터보스의 둘레에서 가이드관의 내면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용수의 충격이 증대되도록 블레이드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guide fi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력 발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링과 가이드유닛의 가이드관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가이드유닛의 센터보스 역시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의 가이드핀은 그 표면을 타고 흐르는 용수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횡단면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우징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과 접한 부위를 통해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챔버의 주위로 용수의 유동이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소수력 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챔버에서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으로 이어지는 연결관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관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관내에 구비된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축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과 접하여 장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공간내에는 통유관내의 용수가 연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메카니컬실이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는 챔버내에서 회전축의 후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발전기의 가동축에 장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력 발전장치.
KR1020110126741A 2011-11-30 2011-11-30 소수력 발전장치 KR10117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41A KR101172847B1 (ko) 2011-11-30 2011-11-30 소수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41A KR101172847B1 (ko) 2011-11-30 2011-11-30 소수력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847B1 true KR101172847B1 (ko) 2012-08-09

Family

ID=4688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741A KR101172847B1 (ko) 2011-11-30 2011-11-30 소수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8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759B1 (ko) 2013-01-07 2013-08-14 정주원 유속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14465B1 (ko) 2013-05-15 2013-10-07 윈월드(주) 공업용수 라인을 활용한 소수력 발전설비
CN104100450A (zh) * 2013-04-09 2014-10-15 清净技术株式会社 简易水力发电装置
KR20160042601A (ko) * 2014-10-10 2016-04-20 박성구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의 회전저항력 완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014A (ja) * 2005-01-07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水力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014A (ja) * 2005-01-07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水力発電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759B1 (ko) 2013-01-07 2013-08-14 정주원 유속을 이용한 발전장치
WO2014106995A1 (ko) * 2013-01-07 2014-07-10 Jung Ju-Won 유속을 이용한 발전장치
CN104100450A (zh) * 2013-04-09 2014-10-15 清净技术株式会社 简易水力发电装置
KR101314465B1 (ko) 2013-05-15 2013-10-07 윈월드(주) 공업용수 라인을 활용한 소수력 발전설비
KR20160042601A (ko) * 2014-10-10 2016-04-20 박성구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의 회전저항력 완화장치
KR101709146B1 (ko) * 2014-10-10 2017-02-22 박성구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의 회전저항력 완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494B1 (ko) 조력발전 터빈
JP5681459B2 (ja) 水流発電装置
EP1642024B1 (en) Water turbine and liquid pump
US7378750B2 (en) Tidal flow hydroelectric turbine
US8382425B2 (en) Hydraulic energy converter
KR101172847B1 (ko) 소수력 발전장치
KR20070005886A (ko) 수력 발전기
JP6968517B2 (ja) 水力発電装置
KR101642676B1 (ko) 내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KR101642677B1 (ko) 외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CN103917775A (zh) 用于水力设备的涡轮机和水力设备
US20140117667A1 (en) Marine current power plant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EP1825139B1 (en) Electric generator and turbine generator assembly
JP6954739B2 (ja) 発電機用のロータ
KR102024907B1 (ko) 벌브형 수차의 블레이드 개폐 조절장치
WO2010082011A3 (en) River / tidal energy converter
KR101060350B1 (ko) 수력발전장치
CN101265865A (zh) 海洋水力驱动装置
KR101195082B1 (ko) 소수력 발전장치
CN106837664B (zh) 一种水轮机
CN202561045U (zh) 冷却塔用微型水轮机
RU2173745C2 (ru) Бесплотинн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CZ309583B6 (cs) Zařízení pro výrobu elektrické energie a způsob řízení chodu zařízení
CA2756113A1 (en) An improved hydro turbine
JP2016223341A (ja) 水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