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05B1 - 연료전지 스택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05B1
KR101172205B1 KR1020100108090A KR20100108090A KR101172205B1 KR 101172205 B1 KR101172205 B1 KR 101172205B1 KR 1020100108090 A KR1020100108090 A KR 1020100108090A KR 20100108090 A KR20100108090 A KR 20100108090A KR 101172205 B1 KR101172205 B1 KR 10117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tack
fuel
outlet
cel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444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2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로 적층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료전지셀(1)과;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 엔드플레이트(3a,3b)와;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스택인렛부(5)로부터의 연료를 상기 각 연료전지셀(1)들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인렛매니폴드(7)와;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연료전지셀(1)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스택아웃렛부(9)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 아웃렛매니폴드(11)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의 상기 스택아웃렛부(9)의 반대편 부분을 상기 스택아웃렛부(9)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된 바이패스관(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연료전지셀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배가 보다 균등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모든 연료전지셀의 작동성능의 균일화를 향상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연료전지를 탑재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스택 구조{Fuel Cell Stack Structur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분기를 통해 연료전지셀로 공기와 수소 및 냉각수와 같은 유체를 공급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된 연료전지 스택의 유체 공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스택은 다수의 연료전지셀을 일정한 길이방향으로 적층하여 두고, 상기와 같이 적층된 연료전지셀에 전기 발생 작용에 필요한 공기와 수소 및 냉각수를 공급하여, 원하는 출력의 전기를 얻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을 예시한 것으로서, 다수의 연료전지셀(500)이 적층되어 있고, 적층된 연료전지셀(500)의 양단은 엔드플레이트(502)로 감싸지며, 상기 적층된 각 연료전지셀(500)로 공기와 수소 및 냉각수(이하 ‘연료’라 칭함)를 배분하여 공급하기 위한 인렛매니폴드(504)와, 상기 각 연료전지셀(5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아웃렛매니폴드(50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료가 상기 각 연료전지셀(500)로 공급됨에 있어서, 모든 연료전지셀(500)에 동시에 동일한 양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인렛매니폴드(504)로 연료를 공급하는 관로로 이루어진 스택인렛부(508)가 상기 연료전지셀(500)들의 적층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는 상기 스택인렛부(508)로부터 상기 인렛매니폴드(504)를 따라 연료전지셀(500)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연료전지셀(500)들로 공급되므로, 상기 각 연료전지셀(500)은 상기 스택인렛부(508)로부터 가깝고 먼 정도에 따라 연료의 공급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각 연료전지셀(500)의 작동성능의 차이를 초래하게 된다.
즉, 상기 스택인렛부(508)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연료전지셀(500)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연료가 공급되고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된 연료전지셀(500)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연료가 공급되어, 각 연료전지셀(500)에서의 발전 작용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연료의 공급량이 현저히 부족한 연료전지셀(500)은 연료전지 스택 전체의 성능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기 쉬우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택인렛부(508)로부터 먼 위치의 연료전지셀(500)에까지 충분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과도한 양의 연료를 공급해야 하는데, 이는 연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일렬로 정렬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료전지셀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배가 보다 균등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모든 연료전지셀의 작동성능의 균일화를 향상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연료전지 스택을 탑재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료전지 스택 구조는
일렬로 적층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료전지셀과;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스택인렛부로부터의 연료를 상기 각 연료전지셀들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인렛매니폴드와;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연료전지셀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스택아웃렛부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 아웃렛매니폴드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의 상기 스택아웃렛부의 반대편 부분을 상기 스택아웃렛부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된 바이패스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렬로 정렬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료전지셀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배가 보다 균등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모든 연료전지셀의 작동성능의 균일화를 향상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연료전지 스택을 탑재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료전지 스택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일렬로 적층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료전지셀(1)과;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 엔드플레이트(3a,3b)와;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스택인렛부(5)로부터의 연료를 상기 각 연료전지셀(1)들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인렛매니폴드(7)와;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연료전지셀(1)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스택아웃렛부(9)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 아웃렛매니폴드(11)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의 상기 스택아웃렛부(9)의 반대편 부분을 상기 스택아웃렛부(9)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된 바이패스관(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스택인렛부(5)로부터 가장 먼 곳 인근에 위치한 연료전지셀(1)들의 아웃렛매니폴드(11) 쪽의 배압을 상기 바이패스관(13)으로 해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이 위치의 연료전지셀(1)들에도 연료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 연료전지셀(1)들의 연료 공급이 가급적 균등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택인렛부(5)와 상기 스택아웃렛부(9)는 모두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 일측의 상기 엔드플레이트(3a)를 관통하여 각각 상기 인렛매니폴드(7)와 아웃렛매니폴드(11)에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관(13)은 상기 연료전지셀(1)들의 적층방향 타측의 상기 엔드플레이트(3b)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연료전지셀(1)들이 도 3과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적층되어 있을 때, 상기 적층된 연료전지셀(1)들의 좌측을 감싸는 엔드플레이트(3a)에 상기 스택인렛부(5)와 스택아웃렛부(9)가 모두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13)은 연료전지셀(1)들의 우측을 감싸는 엔드플레이트(3b)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바이패스관(13)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 유동 단면적의 20~60%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이패스관(13)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엔드플레이트(3b)를 관통한 후 U자형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와 평행하게 연장된 후, 상기 스택아웃렛부(9)의 측벽을 관통하여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료전지 스택 구조에서는 상기 스택인렛부(5)로부터 상기 인렛매니폴드(7)로 공급되는 연료는 상기 인렛매니폴드(7)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면서, 적층되어 있는 상기 각 연료전지셀(1)들에 상기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택인렛부(5)로부터 먼 위치의 연료전지셀(1)들의 경우 상기 바이패스관(13)이 없다면,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에 형성되는 배압에 의해 상기 인렛매니폴드(7)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서, 도 4에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와 같이 점차로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이 줄어들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스택인렛부(5)로부터 먼 위치의 연료전지셀(1)들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아웃렛매니폴드(11)의 부분에 형성되는 배압을 상기 바이패스관(13)으로 해소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연료전지셀(1)에 전반적으로 비슷한 연료의 유량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에 적층된 모든 연료전지셀(1)에 고르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모든 연료전지셀(1)이 비슷한 수준의 작동성능을 발휘하여, 원활한 발전작용이 이루어짐은 물론, 그 내구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하게 과다한 연료의 공급이 필요하지 않게 됨에 따라, 이를 탑재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연료전지셀
3a, 3b; 엔드플레이트
5; 스택인렛부
7; 인렛매니폴드
9; 스택아웃렛부
11; 아웃렛매니폴드
13; 바이패스관

Claims (4)

  1. 일렬로 적층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료전지셀과;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스택인렛부로부터의 연료를 상기 각 연료전지셀들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인렛매니폴드와;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을 따라 긴 통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연료전지셀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스택아웃렛부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 아웃렛매니폴드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의 상기 스택아웃렛부의 반대편 부분을 상기 스택아웃렛부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된 바이패스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택인렛부와 상기 스택아웃렛부는 모두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 일측의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각각 상기 인렛매니폴드와 아웃렛매니폴드에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연료전지셀들의 적층방향 타측의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 유동 단면적의 20~60%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아웃렛매니폴드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한 후 U자형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아웃렛매니폴드와 평행하게 연장된 후, 상기 스택아웃렛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구조.
KR1020100108090A 2010-11-02 2010-11-02 연료전지 스택 구조 KR10117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90A KR101172205B1 (ko) 2010-11-02 2010-11-02 연료전지 스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90A KR101172205B1 (ko) 2010-11-02 2010-11-02 연료전지 스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444A KR20120046444A (ko) 2012-05-10
KR101172205B1 true KR101172205B1 (ko) 2012-08-07

Family

ID=4626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090A KR101172205B1 (ko) 2010-11-02 2010-11-02 연료전지 스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053A1 (ja) * 2013-12-18 2015-06-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4130A (ja) 2002-10-08 2004-04-3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5276694A (ja) 2004-03-25 2005-10-06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の燃料ガス置換装置
JP2007018800A (ja) 2005-07-06 2007-01-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4130A (ja) 2002-10-08 2004-04-3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5276694A (ja) 2004-03-25 2005-10-06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の燃料ガス置換装置
JP2007018800A (ja) 2005-07-06 2007-01-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444A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903B1 (ko) 연료전지차량용 통합형 수소재순환블로워
JP6989256B2 (ja) 燃料電池用加湿器
JP2006331881A5 (ko)
WO2008029948A1 (fr) Système de pile à combustible
JP6536840B2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CN111244523B (zh) 一种用于燃料电池电堆的歧管装置
WO2009038322A3 (en) Unified air cooling structure of high-capacity battery system
JP6328640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への余分の冷却流体の供給
CN214797484U (zh) 一种车辆、燃料电池发动机及其多电堆介质分配装置
US8889318B2 (en) Fuel cell stack that promotes generally uniform flow therein
CN104335404A (zh) 燃料电池堆中的气体出口区域的断水结构
CN107580734B (zh) 燃料电池的流场
KR101172205B1 (ko) 연료전지 스택 구조
JP6478563B2 (ja) 燃料電池ユニットおよび構成部品を備える装置、そのような装置で使用するための構成部品ユニットおよびスタック構成部品
KR100579308B1 (ko) 연료전지의 유량분배 안정장치
CN210040419U (zh) 一种用于大功率燃料电池的电堆管路系统
KR20130008322A (ko) 연료전지 스택
JP700636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36699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210074050U (zh) 氢燃料电池
KR101442977B1 (ko) 버퍼 탱크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N219203215U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电堆模组气流分配装置
JP5793432B2 (ja) 燃料電池及び分配マニホールド
KR101172207B1 (ko) 연료전지 스택 구조
US20070134523A1 (en) Common distribution device of fuel cell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