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871B1 -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871B1
KR101171871B1 KR1020090041757A KR20090041757A KR101171871B1 KR 101171871 B1 KR101171871 B1 KR 101171871B1 KR 1020090041757 A KR1020090041757 A KR 1020090041757A KR 20090041757 A KR20090041757 A KR 20090041757A KR 101171871 B1 KR101171871 B1 KR 10117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t
antibiotic
antibiotic resistant
sulfolaf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723A (ko
Inventor
김종기
김헌
임수연
이수성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871B1/ko
Priority to PCT/KR2010/002845 priority patent/WO2010131865A2/ko
Publication of KR2010012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6Cyanate or isocyanate esters; Thiocyanate or isothiocyanate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 또는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대장균, 폐렴간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및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등에 작용하여 항생제 내성 균주의 생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반코마이신, 페니실린 또는 메티실린 등의 베타락탐 계열 또는 비-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감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슈퍼박테리아 항생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MRSA, VRE, 설포라펜, 슈퍼박테리아

Description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Sulforaphene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antibiotics)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로서,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을 치료하는 약물로서 감염 증세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곰팡이류에서 추출된 항생물질로서는 penicillin계, cephalosporin계 등의 항균성 항생제와 griseofulvin, fucidin과 같은 항진균성 항생제가 있으며, 세균류에서 추출한 항생물질로서는 macrolide, aminoglycoside, tetracycline류 및 chloramphenicol 등의 mycin류가 존재한다. 페니실린의 경우 다른 항생제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나 어떤 세균은 페니실린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하기도 하여, 인공적으로 합성한 메티실린(methicillin)이나 옥사실린(oxacillin)등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항생제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항생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으로, 페니실린의 대체약인 메티실린(methicillin)에 내성이 생긴 황색포도상구균이 퍼지자 1950년대에 개발하여 황색 포도상구균의 중증 감염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병원균 스스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길러 그 내성이 점차로 강해져 어떤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 일명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가 1996년 일본에서 처음 등장함에 따라 항생제의 효과적인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세균은 항생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자연적인 돌연변이체가 될 수 있으며, 이 내성균들은 내성 유전자를 다른 세균들에게 전달시켜 주어 내성균의 확대는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슈퍼박테리아는 대표적으로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와 더욱 강한 항생제 내성을 가진 VRSA(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를 들 수 있고,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경우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내성은 점차로 강해져 어떤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미국에서만 한 해 약 1만9000명이 슈퍼박테리아라는 항생제 내성균에 의해 사망하고 있는 등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슈퍼박테리아의 경우 병원체가 신체 한 부분의 1차 병소에서 2차적으로 혈액 속으로 이동하는 증세인 균혈증에 의한 감염질환의 확대 또는 패혈증 등의 중증감염질환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슈퍼 박테리아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슈퍼박테리아 항생제인 자이복스(Zyvox)등이 시판되고 있으나, 자이복 스(Zyvox)등의 슈퍼박테리아 항생제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균이 내성이 생기기 시작하여 약효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현실이며, 반코마이신, 페니실린, 메티실린 내성 균주 등 수퍼박테리아에 대해 두루 효과를 가지는 슈퍼박테리아 항생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설포라펜(Sulforaphene)은 겨자, 서양고추냉이, 양배추, 무, 콜리플라워, 싹눈 양배추, 케일, 브로콜리, 배추, 냉이, 꽃다지 등의 십자화과 식물에 존재하는 항암, 항산화 물질로서, 십자화과 식물들의 2차 대사산물인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가 소화 과정 중에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되거나, 식물체를 가공 또는 섭취할 때 식물의 세포가 파괴되면서 식물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즉시 분해됨으로써 수득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 (isothiocyanate)의 일종이다.
자연에는 약 120가지의 서로 다른 글루코시놀레이트들이 알려져 있는데, 아미노산(트립토판, 메싸이오닌, 페닐알라닌, 타이로신)들로부터 합성되며,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그 분해효소인 미로시나제는 정상적인 조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조직이 파괴되면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포도당 계열이 분해되면서 이때 남아 있는 분자는 싸이오사이안산염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나이트릴로 변화된다.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장내로 흡수되면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형성되고,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백혈구와 사이토카인의 조율 능력이 뛰어나며 유방, 간, 대장, 폐, 위, 식도 등에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소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글루코세놀레이트에 의해 생산되는 인돌-3-카비놀(indole-3-carbinol)의 경우 강력한 항암작 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880498호에서는 글루코시놀레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헬리코박터 (Helicobacter)의 성장을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방법 및 지속적인 만성 위염, 궤양 및(또는) 위암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 2007-0083568호에서는 개선된 항암 치료법으로 설포라판을 포함하는 십자화과 식물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8-0045083호에서는 UV광-유발 피부 발암현상의 억제물질로서 설포라판 유사체, 글루코시놀레이트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는 등, 글루코시놀레이트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다양한 암질환의 치료후보물질로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다양하게 연구되는 항암 효과 외에도, 항균효과를 가지고, 한국공개특허 제2007-0065926호에서는 인체 유해세균에 대한 살균 효과 및 소취 효과가 탁월한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드름, 특히 아크네 불가리스(Acne vulgaris)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항균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십자화과 추출물이 한국공개특허 제2002-639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에 적용될 수 있는 슈퍼박테리아 항생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설포라펜이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및 다제 내성을 가진 대장균(Escherichia coli, 그람음성균),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그 람음성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그람음성균), 장구균(Enterococcus faecalis, 그람양성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VRE)등의 내성균주들의 생장을 억제하여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생제 내성 균주의 감염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십자화과 식물 유래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포라펜(CAS No. 592-95-0)은 C6H9NOS2 의 화학식 및 175.27의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로서, 그 구조는 화학식 1로 나타난 바와 같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의 일종으로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소화 과정 중 장내세균에 의해 분비되는 미로시나아제(myrosinase)에 의한 가수분해 또는 식물체를 가공 또는 섭취할 때 식물의 세포가 파괴되면서 식물 미로시나아제에 의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분해를 통하여 수득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한국공개특허 제2003-0086256호 등)을 통하여 식물체로부터 직접 추출하거나, 합성하거나(한국공개특허 제2003-0086256호, 미국등록특허 5, 411, 986호 등),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업적으로 구입한 설포라펜(LKT Laboratories, Inc., MN, USA)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28727559-pat00001
본 명세서에서 십자화과 식물은 양배추, 서양고추냉이, 브로콜리, 양배추, 싹눈 양배추(Brussels sprouts), 콜리플라워, 케일, 복초이(bok choy, 연두색 중국산 양배추), 아루굴라(arugula), 콜라드(collards, 케일의 변종), 콜라비(kohlrabi), 겨자, 무, 순무(turnip), 적무(red radish), 배무채, 냉이, 물냉이(watercress), 꽃다지 등을 포함하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의 한 과에 속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생제는 β-lactam 계열과 비-β-lactam 계열을 모두 포함하며, 페니실린(penicillin)류,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류,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류,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류,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류, 퀴놀론(quinolone)류 및 폴리펩티드(polypeptide) 항생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생제 내성이란,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세균이 항생제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십자화과 식물 유래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 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설포라펜은 십자화과 식물 유래이거나, 합성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포라펜은 양배추, 서양고추냉이, 브로콜리, 양배추, 싹눈 양배추, 콜리플라워, 케일, 복초이, 아루굴라, 콜라드, 콜라비, 겨자, 무, 순무, 적무, 배무채, 냉이, 물냉이 또는 꽃다지 등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공지된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포라펜은 상업적으로 구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생제 내성 균주는 그람양성균 및 그람음성균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자들은 국가지정 항생제 내성 균주 은행(서울여자대학교 소재)에서 분양받은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RSA) 및 다제 내성을 가진 대장균(Escherichia coli , 그람음성균),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그람음성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그람음성균), 장구균(Enterococcus faecalis, 그람양성균) 등을 항생제 내성 균주로 사용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균주에 관하여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분양받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VRE)로 실험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설포라펜의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생제 내성 균주에 설포라펜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항생제 내성 균주의 생장을 측정하였다.
설포라펜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생장이 감소하였으며, 소량의 설포라펜 투여시에도 항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설포라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생제 내성 균주의 생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설포라펜의 사용 농도는 0.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설포라펜이 항생제 내성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여 항균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설포라펜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은 슈퍼박테리아의 항생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생제 내성 균주의 감염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반코마이신, 페니실린 또는 메티실린등의 베타락탐 계열 또는 비-베타락탐계열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감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슈퍼박테리아 항생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염질환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 구균, 다제 내성 대장균, 폐렴간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또는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의 감염에 의한 각종 질환을 포함하며, 대표적인 감염질환으로는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화농증, 염증, 치주질환, 위질환, 식중독, 패혈증, 패혈성 쇼크, 심장 내막염, 장염, 뇌수막염, 골수염, 척추 카리에스, 폐렴, 골수염, 임균 감염 또는 수막구균 감염 등이며, 상기 감염은 균이 혈액속에 들어가 온몸을 순환하는 균혈증에 의한 증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이 상기 질병 외에 상기 박테리아의 감염에 의한 모든 질병에 사용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높기 때문에, 상기 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상기 감염질환 등을 포함한 모든 질병의 치료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반코마이신, 페니실린 또는 메티실린등의 베타락탐 계열 또는 비-베타락탐계열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패혈증, 심장 내막염, 장염, 뇌수막염, 골수염, 척추 카리에스, 폐렴, 골수염 등의 감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감염증은 균혈증에 의한 증상 일 수 있으며, 슈퍼박테리아 항생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성분으로 작용하는 설포라펜은 십자화과 채소에서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항균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실험 준비
1-1. 설포라펜의 수득- 십자화과 식물 추출
십자화과 식물인 무에서 조직을 증류수를 이용해 마쇄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셉-팍 실리카 카트리지(sep-pak silica cartridge)를 이용해 고체상 추출(Solid phase extraction) 과정을 거쳐 메탄올로 용출한 후 다시 감압 농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수행시에 HPLC는 Gilson사의 305시리즈를 사용하였고 분석용 컬럼으로는 Macherey-nagel사의 Nucleosil 100-5C18(150x4.6mm)을 장착하여, 5 mM의 암모늄아세테이트가 포함된 물: 아세토나이트릴: 터트-부틸알콜(tert-butyl alcohol)= 8:1:1의 비율의 용매를 이용하여 아이소크라틱 이동상 용매법으로 설포라펜을 분리하였다.
1-2. 설포라펜의 수득-구입
미국 LKT Laboratories 사로부터 설포라펜을 구입하였다.
1-3. 항생제 내성 균주의 수득
본 발명의 항생제 내성 균주는 그람양성균 및 그람음성균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자들은 국가지정 항생제 내성 균주 은행(서울여자대학교 소재)에서 분양받은 메티실린 내성 균주(MRSA) 및 다제 내성을 가진 대장균(Escherichia coli,그람음성균),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그람음성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그람음성균), 장구균(Enterococcus faecalis, 그람양성균) 등을 항생제 내성 균주로 사용하였다.
항생제 내성 균주
균주명 고유번호* 특징(저항 항생제 등)
MRSA CCARM 3089 Cephalothin, Erythromycin,
Norfloxacin, Oxacillin
CCARM 3090 Cephalothin, Erythromycin,
Norfloxacin, Oxacillin
CCARM 3504 Cephalothin, Erythromycin,
Norfloxacin, Oxacillin, Gentamicin
대장균 CCARM 1056 Cephalothin, Norfloxacin, Ampicillin
폐렴간균 CCARM 10002 Cephalothin, Norfloxacin, Ampicillin,
Gentamicin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CCARM 8002 Chloramphenicol, Sulfonamides,
Streptomycin, Tetracyclin, Ampicillin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CCARM 5115 Chloramphenicol,Erythromycin,
Norfloxacin, Gentamicin,
* 상기 고유번호는 국가지정 항생제내성균주은행(서울여자대학교 소재)에서 분양받은 고유번호 (CCARM No)임.
상기 항생제 내성 균주는 페니실린, 메티실린, 세팔로신(Cephalothin),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노플로삭신(Norfloxacin), 옥사실린(Oxacillin), 겐타마이신(Gentamic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설폰아마이드(Sulfonamides),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또는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반코마이신 내성균주의 실험을 위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을 분양받아 이용하였다.
<실험예 1> 설포라펜의 항균성 실험
1-1.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표 1에 나타난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 CCARM 3089. 3090 및 3504를 각각 104 CFU/㎖로 배양하여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하였다. 각 well에 설포라펜을 0(대조군), 20, 50, 100 및 150 ㎍/㎖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20 시간 추가 배양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흡광도 측정 결과는 도 1의 a 내지 c에 도시되었으며, 설포라펜이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을 억제하며, 설포라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성장억제 효과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포라펜 처리에 따른 MRSA의 생장 저해도
처리농도(㎍/㎖)
저해도 (%)
0 20 50 100 150
S. aureus CCARM 3089 - 38.4 94.2 99.2 -
CCARM 3090 - 60.0 85.9 98.1 99.8
CCARM 3504 - 41.2 92.3 98.9 99.3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설포라펜의 소량 투여시(20 ㎍/㎖)에도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으며, 특히 CCARM 3090 균주의 경우, 60%의 생장저해도를 가짐으로써, 설포라펜이 저농도 사용에서도 MRSA의 생장을 높은 효율로 저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2.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반코마이신 내성균주의 실험을 위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을 분양받았다. 상기 내성균주를 104 CFU/㎖로 배양하여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하였다. 각 well에 설포라펜을 0(대조군, DMSO), 5, 10, 20, 40 및 60 ㎍/㎖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20 시간 추가 배양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설포라펜을 처리한 경우(SFE), 설포라펜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DMSO)에 비하여, 흡광도가 명백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 ㎍/㎖의 저농도 처리시에도 약 50%의 생장저해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설포라펜이 반코마이신 내성균주의 생장을 효율적으로 저해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1-3. 기타 항생제 저항성 균주
국가지정 항생제내성균주은행(서울여자대학교 소재)에서 분양받은 대장균(E. coli CCARM 1056), 폐렴간균(K. pneumoniae CCARM 10002),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 typhimurium CCARM 8002) 및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 faecalis CCARM 5115)를 각각 104 CFU/㎖ 로 배양하여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하였다. 대장균(E. coli CCARM 1056)의 well에 설포라펜을 0(대조군), 10, 30, 60 및 100 ㎍/㎖ 농도로 처리하고, 폐렴간균(K. pneumoniae CCARM 10002),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 typhimurium CCARM 8002) 및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 faecalis CCARM 5115)의 well에 설포라펜을 0(대조군), 20, 50, 100 및 150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20 시간 추가 배양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측정 결과는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하였다.
실험결과, 설포라펜이 클로람페니콜, 앰피실린 등에 저항성을 가지는 그람양성균주 및 그람음성균주에 모두 작용하여, 항생제 저항성 균주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설포라펜에 의한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RSA)의 생장억제 효과를 나타내며(a: CCARM 3089 b:CCARM 3090 c:CCARM 3504), 도 2는 설포라펜(SFE)에 의한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의 생장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도 3(a) 내지 도3(d)는 각각 설포라펜에 의한 대장균(a), 폐렴간균(b), 살모넬라 티피뮤리움(c),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d)의 생장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5)

  1.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 항생제 내성 대장균, 항생제 내성 페렴간균, 항생제 내성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및 항생제 내성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라펜은 십자화과 식물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식물은 양배추, 서양고추냉이, 브로콜리, 양배추, 싹눈 양배추, 콜리플라워, 케일, 복초이, 아루굴라, 콜라드, 콜라비, 겨자, 무, 순무, 적무, 배무채, 냉이, 물냉이 또는 꽃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식물은 무 또는 브로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라펜은 0.01 내지 150 ㎍/㎖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 항생제 내성 대장균, 항생제 내성 페렴간균, 항생제 내성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및 항생제 내성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항생제 내성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12. 삭제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 항생제 내성 대장균, 항생제 내성 페렴간균, 항생제 내성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및 항생제 내성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항생제 내성 균주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 질환은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화농증, 염증 치주질환, 위질환, 식중독, 패혈증, 패혈성 쇼크, 심장 내막염, 장염, 뇌수막염, 골수염, 척추 카리에스, 폐렴, 골수염, 임균 감염 또는 수막구균 감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90041757A 2009-05-13 2009-05-13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10117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57A KR101171871B1 (ko) 2009-05-13 2009-05-13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PCT/KR2010/002845 WO2010131865A2 (ko) 2009-05-13 2010-05-04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57A KR101171871B1 (ko) 2009-05-13 2009-05-13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23A KR20100122723A (ko) 2010-11-23
KR101171871B1 true KR101171871B1 (ko) 2012-08-07

Family

ID=4340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757A KR101171871B1 (ko) 2009-05-13 2009-05-13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8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7441B2 (en) 2000-08-21 2004-05-18 Jed W. Fahey Treatment of helicobacter with isothiocyan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7441B2 (en) 2000-08-21 2004-05-18 Jed W. Fahey Treatment of helicobacter with isothiocyanat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therapy Research Vol.14(4):284-287 (2000)
Planta Medica Vol.74(7):747-750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23A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angamani et al. Repurposing auranofin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staphylococcal infections
Parvez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een tea crude extracts and synergist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with gentamicin against MDR pathogens
Borges et al. The action of selected isothiocyanates on bacterial biofilm prevention and control
Balachandran et al. Antimicrobial and antimycobacterial activities of methyl caffeate isolated from Solanum torvum Swartz. fruit
US20200146999A1 (en) Bacitracin and/or daptomycin combined with cannabidiol for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Eom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brown alga Eisenia bicycli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lmedo-Juárez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pounds isolated from Caesalpinia coriaria (Jacq) Willd against important bacteria in public health
Soulaiman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synergistic potential of essential oil from endemic Lavandula maroccana (Mill.)
Giacometti et al. RNAIII-inhibiting peptide improves efficacy of clinically used antibiotics in a murine model of staphylococcal sepsis
Chacón et al. Effect of Aloe barbadensis Miller (Aloe vera) associated with beta-lactam antibiotics on the occurrence of resistance in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uberis
Xing et al. Bacterial driver–passenger model in biofilms: a new mechanism in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US11369628B2 (en) Cranberry-derived compositions for potentiating antibiotic efficacy against bacterial persistence
Isayenko et al. Simultaneous and sequential influence of metabolite complexes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Saccharomyces boulardii and antibiotics against poly-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
KR101171871B1 (ko)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20160044768A (ko) 시클로피록스와 폴리믹신 b 조합을 이용한 병원성 그램-음성 박테리아 제어 방법
Panthong et al. Bactericidal effec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ssia garettiana heartwood extract
KR20100122713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umar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pimozide by targeting ROS‐mediated killing in Staphylococcus aureus
KR2022003037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WO2010131865A2 (ko)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Naccari et al. Effectiveness of thymus vulgaris essential oil on ovine mammary pustular dermatitis
US20190038651A1 (en) Use of floridoside or isethionic acid to potentiate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biotics
KR102251577B1 (ko) 에버니아 메소모르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US20190125712A1 (en) Compound for enhancing activity of antibiotic compositions and overcoming drug resistance
Patel et al. Plants as latent sources of new antimicrobials and resistance modifying agents against multi drug resistant (MDR) str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