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26B1 -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726B1
KR101171726B1 KR1020120031971A KR20120031971A KR101171726B1 KR 101171726 B1 KR101171726 B1 KR 101171726B1 KR 1020120031971 A KR1020120031971 A KR 1020120031971A KR 20120031971 A KR20120031971 A KR 20120031971A KR 101171726 B1 KR101171726 B1 KR 10117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page
post
information
user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939A (ko
Inventor
송모헌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3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7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게시물 자동 이동(퍼가기) 기능과 게시물의 이동 경로 정보 제공기능을 가지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회원에게 개인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게시물을 자동으로 자신의 홈페이지로 이동(소위, "퍼가기" 또는 "펌")시킬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을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또는 게시물의 이동경로인 글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홈페이지에 있는 게시물을 용이하게 자신의 홈페이지로 이동시킬 수(퍼올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게시물을 누가 어떠한 경로로 퍼갔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홈페이지 서비스에서의 회원간 유대와 개인 홈페이지 이용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ersonal Homepag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Bulletins Moving Function}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게시물 자동 이동(퍼가기) 기능과 게시물의 이동 경로 정보 제공기능을 가지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 더 상세하게는 특정 사용자가 타인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원하는 게시물을 용이하게 자신의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이동된 게시물의 이동경로나 게시물을 퍼간 사용자 정보를 표시해주기 위한 방법 및 그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상에서 개인 또는 단체를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홈페이지가 생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홈페이지에는 개인 또는 단체의 소개와 다수의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글을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게시판, 방명록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각 홈페이지에는 자신의 홈페이지와 관련이 있는 관련 사이트로서의 링크를 제공하는 항목(관련사이트 또는 링크사이트 등)이 있다.
특히, 최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는 회원이 원하는 경우 소정 형식의 개인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Blog)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인 홈페이지 서비스(소위, 홈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회원들은 자신의 홈페이지 또는 타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텍스트 게시물을 쓰거나,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상에서 다른 웹사이트에 게시된 게시물 중 원하는 게시물이 있는 경우, 그를 복사하여 다른 웹사이트로 옮겨 게재하는 행위가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를 소위 글(게시물)을 "퍼간다"라고 표현된다. 즉, 게시물을 퍼가는 행위를 "퍼가기" 또는 "펌"이라고 표현하고, 옮겨진 게시물을 "펌글" 또는 "펀글" 등으로 표현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는 이러한 게시물의 이동, 즉 사용자의 행위에 의하여 제1의 웹페이지에 있는 게시물이 제2의 웹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을 "퍼가기", "퍼가기" 등의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게시물 "퍼가기"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상에 표시된 게시물을 "드래그(Drag)" 또는 "전체 선택(Control+A)"하여 지정한 후 웹브라우저의 "복사하기(Control+C)"키를 눌러 복사하고, 다시 옮기고자 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후 게시물 쓰기를 선택하여 "붙여넣기(Control+V)" 키를 눌러야 하였다.
게시물을 복사하여 붙이는 방법 이외에도, 옮기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일정 공간에 해당 게시물이 있는 URL이 하이퍼링크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게시물을 복사하여 붙이는 방법이나 하이퍼링크 시키는 방법 등은 과정이 복잡하거나 상당한 수준의 지식을 요하는 일이라, 게시물의 "퍼가기"행위는 주로 젊은 네티즌들에게만 독점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게시물을 퍼가면서 퍼온 글이라는 취지를 남기지 않거나, 원게시물의 출처를 표시하지 않아서 타인의 저작물을 도용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소지에도 불구하고 좋은 게시물을 다수가 공유한다는 취지에서 "퍼가기"는 정보공유라는 인터넷의 취지에 가장 부합되는 행위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이유에서 게시물의 "퍼가기"가 매우 일상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렇듯, 영리추구가 아닌 개인적인 용도의 사용이고, 퍼온 글이라는 취지와 원출처를 명확히 밝히는 경우에는, 게시물의 퍼가기 행위가 정보 공유라는 순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게시물 원작자의 입장에서는 얼마나 많은 타인이 자신의 게시물이 퍼갔는지, 또는 어떠한 사용자가 자신의 게시물을 퍼갔는지 알고자 하는 욕구가 있을 것이다. 즉, 게시물의 이동(퍼간)경로를 추적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게시물의 이동경로 추적은 단순한 인기확인을 위해서도 필요하겠거니와, 자신의 게시물이 다른 곳에서 나쁜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거나, 혹시 있을지 모르는 저작권 위반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게시물 퍼가기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좀더 쉽게 게시물을 퍼갈 수 있으면서도, 퍼간 사용자를 확인하거나 게시물의 이동(퍼간)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서비스에서 타인의 홈페이지상에 있는 게시물을 용이하게 자신의 홈페이지로 옮겨올 수 있는(퍼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 이상의 타인이 특정 게시물을 퍼간 경우, 퍼간 사용자 또는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적/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각 게시물에 대하여 퍼간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이상의 타인이 특정 게시물을 퍼간 경우, 해당 게시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글지도"를 생성/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각 게시물에 대한 "글지도"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게시물 자동 퍼가기가 가능한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결된 서버 시스템으로서, 각 회원별 홈페이지관련 정보(형태, 배치, 게시물 등)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저장/관리하는 홈페이지 관리부와,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을 복사하여 상기 특정 회원(A)의 개인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하는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와, 사용자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기초로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요청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는 홈페이지 출력부, 및 각 회원의 신상정보와 홈페이지 정보(홈페이지 형태, 배열, 배치, 게시물 등)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게시물의 이동(퍼간) 경로를 산출/관리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이동(퍼간)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게시물 이동경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제공서비스에서의 게시물 자동 퍼가기 및 퍼간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은 전술한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a) 개인 홈페이지를 가진 모든 회원에 대하여 회원별 홈페이지 정보(게시물 정보 포함)를 입력받아 저장/관리하는 제1단계와; (b)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와; (c) 해당 게시물 내용을 상기 특정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에 추가 저장하는 제3단계와; (d) 추후 상기 특정회원(A)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퍼간 해당 게시물의 내용을 함께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사용자가 한 번 이상 퍼간 게시판의 경우 퍼간 사용자 (홈페이지) 리스트 정보 및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형태의 글지도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여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퍼간 사용자 리스트 정보 및/또는 글지도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개인 홈페이지 제공 서비스에서 타인의 홈페이지에 있는 게시물을 용이하게 자신의 홈페이지로 이동시킬 수(퍼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게시물을 퍼간 사용자 리스트와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글지도를 제공하여, 자신의 게시물을 누가 어떠한 경로로 퍼갔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홈페이지 서비스에서의 회원간 유대를 강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 홈페이지 이용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게시물의 이동경로(퍼간 사용자 리스트 또는 글지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퍼온 게시물에 출처와 퍼온 게시물이라는 안내메시지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타인의 게시물에 대한 무단 도용을 방지하여, 인터넷 상에서 투명한 게시물 인용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퍼가기 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의 이동경로인 글지도 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또는 글지도 제공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퍼가기 서비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게시물 작성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자동퍼가기 기능,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또는 글지도제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홈페이지 제공시스템(100)과,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200) 및 홈페이지 제공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3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각 회원별 홈페이지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홈페이지에 대한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홈페이지 정보로부터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보유한다. 또한, 모든 회원이 현재 어떠한 홈페이지에 접속중인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으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 내용을 특정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함으로써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후에 특정 회원(A)의 홈페이지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퍼온 게시물을 함께 홈페이지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홈페이지 제공 시스템은 모든 게시물에 대하여 퍼간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퍼간 사용자 리스트를 화면상으로 전송/출력할 수 있다. 또한, 퍼가기에 의하여 게시물이 이동한 경로를 추적하여 그를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 형태의 "글지도"를 생성/관리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특정 게시물에 대한 글지도를 화면상에 전송/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홈페이지 정보란 홈페이지의 형태, 배치, 배열, 게시물, 게시이미지, 게시동영상 등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각 게시물에 대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와 게시물의 이동경로인 "글지도" 정보 또한 전술한 각 회원별 홈페이지 정보에 포함된다.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은 유무선 인터넷, 컴퓨터 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 제공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뿐 아니라,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헨드헬드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는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에 접속하고, 소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일반 PC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어가 될 수 있으며, PDA 등과 같은 무선통신 기기인 경우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와 같은 무선인터넷 브라우저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페이지 제공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300)은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망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유무선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인터넷의 경우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서버(홈페이지 제공서버)사이의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현재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100)은 유무선 인터넷망에 배치되는 웹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웹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자동 퍼가기가 가능한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100)은 각 회원별 홈페이지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저장/관리하는 홈페이지 관리부(110)와,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을 복사하여 상기 특정 회원(A)의 개인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하는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120)와, 사용자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기초로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요청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는 홈페이지 출력부(130), 게시물의 이동(퍼간) 경로를 산출/관리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이동(퍼간)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게시물 이동경로 관리부(140), 및 각 회원의 신상정보와 홈페이지 정보(홈페이지 형태, 배열, 배치, 게시물 등)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홈페이지 관리부(110)는 모든 회원에 대하여 홈페이지의 형태, 배치, 배열정보와 함께 해당 개인(소유자)이 입력한 게시물, 공지사항, 이미지 이외에 다른 방문자가 입력한 게시물, 이미지, 동영상 등을 해당 홈페이지의 고유 식별 정보(URL 등)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퍼온 게시물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회원(게시물을 퍼온 사용자)에 대한 홈페이지 정보에 추가/갱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홈페이지 관리부(110)는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한 형식(레이아웃)의 홈페이지를 일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형식의 홈페이지라도 추가 입력되는 정보는 각각의 홈페이지별로 다르며, 필요에 따라서는 개인이 취향에 따라 홈페이지의 형식을 선택하거나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홈페이지"는 일반적인 개념의 홈페이지는 물론, 블로그, 미니 홈피 등과 같이 특정 개인 또는 단체가 웹공간에 생성/운영하는 모든 형태의 특정 사용자의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모두 고유한 URL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든 홈페이지는 동일한 시스템(또는 동일한 업체)에 의하여 생성/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120)는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이타인(B)의 홈페이지에 있는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을 하는 경우 그 요청을 접수한 후, 해당 게시물의 URL 및/또는 식별번호(코드)와 게시물 내용을 확인하고, 그를 특정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퍼온 게시물 정보와 출처 회원(B)의 정보 및 퍼간 회원(A)의 정보를 전술한 홈페이지 관리부에 전달하여 퍼간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갱신/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홈페이지 출력부(13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기초로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요청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게시물 이동경로 관리부(140)는 게시물의 이동(퍼간) 경로, 구체적으로는 해당 게시물을 자동으로 퍼간 사용자 리스트(퍼간 사용자 정보 또는 홈페이지 정보) 및/또는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형태의 글지도를 생성/관리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또는 글지도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120)는 특정 회원(A)이 타인(B)의 홈페이지로부터 퍼온 게시물을 해당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할 때, 해당 게시물이 최초로 위치하던 사용자의 정보 또는 홈페이지를 나타내는 "출처정보" 및 해당 게시물이 타인으로부터 퍼온 것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퍼온 게시물 안내 텍스트"를 게시물 내용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출처정보"는 "출처+회원B의 홈페이지 명칭"의 형식으로 표현되고, "퍼온 게시물 안태 텍스트"는 퍼온 글의 제목 앞에 "[펌]"이라는 텍스트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시물 각각은 고유한 식별번호(코드) 또는 고유한 URL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각 기능별 모듈(홈페이지 관리부,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 홈페이지 출력부, 게시물 이동경로 관리부)들은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프트웨어로 작성되어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내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능을 가지는 한 구현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실제로,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자동 퍼가기 기능,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 글지도 제공 기능은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에 의하여 구현된다.
그 일예로, 게시물 자동 퍼가기를 요청하는 HTML 문서에는 <a href="javascript:pump(29525894,89776399);">와 같이 해당되는 자바스크립트 함수인 "Javascript:pump"를 호출하도록 구현된다. 위에서 숫자 중 하나는 현재 게시물이 위치하는 홈페이지 또는 게시물의 식별코드이고, 나머지 하나는 이동할(퍼갈) 홈페이지 또는 이동 후 게시물에 대한 식별코드이다.
자바스크립트는 넷스케이프에서 만든 인터프리터형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트 언어로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베이직, 썬의 Tcl, 유닉스에서 파생된 펄(Peal), IBM의 REXX 등과 기능 면에서 다소 비슷하며, 일반적으로 스크립트 언어들은 C나 C++과 같이 보다 구조적이고 컴파일러용 언어에 비해 쉽고 더 빠르게 코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방식이다. 이러한 스크립트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컴파일된 언어에 비해 처리에 더 시간이 걸리지만, 짧은 프로그램들에는 매우 유용하며, 주로 웹사이트와 관련하여 웹페이지 상의 날짜 형식을 자동으로 변경시키거나, 연결된 페이지가 팝업 윈도우 내에 나타나게 하거나,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텍스트나 그래픽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등의 구현을 위하여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HTML 페이지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측인 웹브라우저에 의해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ASP처럼 페이지가 요청한 사용자에게 보내지기 전에 서버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50)에는 사용자(회원) 정보와, 각 회원별 홈페이지 (구성) 정보(형식, 배치, 게시물, 이미지, 동영상 정보 등)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정보는 해당 홈페이지 주인이 다른 회원 홈페이지로부터 게시물을 자동으로 퍼온 경우 퍼온 게시물에 대한 정보와, 각 게시물에 대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정보 및 각 게시물에 대한 이동경로 정보(글지도)까지 포함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5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전술한 정보(회원정보, 홈페이지 구성정보, 퍼간 사용자 리스트, 글지도 등)가 적절한 필드로 표현된 다수의 테이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한 어떠한 형식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개인 홈페이지를 가지는 모든 회원별 홈페이지 (구성) 정보를 입력/선택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S310). 홈페이지 정보란 홈페이지의 형태, 배치, 배열정보뿐 아니라, 해당 개인(홈페이지 소유자) 또는 다른 방문자가입력한 게시물, 공지사항,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 정보와, 해당 홈페이지의 고유 식별 정보(URL 등)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다른 홈페이지로부터 자동으로 퍼온 게시물에 대한 정보(게시물 내용, 게시물 출처 URL 등)를 포함한다.
그 다음으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이 특정 게시물에 구비된 "내홈피에 퍼가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그를 수신한다(S320). 그 다음으로 퍼온 게시물에 대한 정보, 즉 게시물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원출처 정보(홈페이지 명칭 또는 URL 등)를 퍼온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에 추가/갱신한다(S330).
또한,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한 번 이상 퍼 간 게시물별로 ?? 퍼간 사용자의 홈페이지 명칭, 이름, ID 등으로 이루어지는 "퍼간 사용자 리스트", 또는 ??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글지도"를 생성/관리한다(S340).
그 이후에 해당 특정회원(A)의 홈페이지 생성/출력시 퍼온 게시물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또는 글지도를 출력한다(S350).
이러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또는 글지도는 해당 게시물이 최초로 생성된 홈페이지에서만 제공될 수 있으나, 여러 홈페이지를 경유하여 퍼간 경우에는, 그 경유 홈페이지 상에서도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에 대한 열람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그 회원이 퍼온 게시물을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특정 게시물에 대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또는 "글지도"에 대한 열람까지 요청을 접수한 경우, 해당되는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해 주도록 한다.
다수의 사용자가 시간에 따라 게시물을 퍼가기 때문에, 게시물 퍼가기에 따른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 갱신, 퍼간 사용자 리스트 생성 및 글지도 생성 과정은 소정 주기(예를 들면, 1시간)마다 반복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퍼가기 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회원 개인에게 할당되는 홈페이지의 초기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회원이 도 4a와 같은 동일한 형식의 홈페이지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회원 기호에 따라 여러 홈페이지 형식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임의로 홈페이지 형식을 꾸밀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홈페이지에는 기본적으로 홈페이지 주인 및 임의의 방문자가 게시물을 올릴 수 있는 "홈피 게시판"영역과, 방문자가 글을 남길 수 있는 "홈피 방명록" 및 "사진첩"이라는 공간이 제공된다.
도 4b는 특정 회원(송은희; haemos97)이 홈페이지 주인인 타인(소상혁; ichnaton)의 홈페이지(상혁이네집)를 방문한 후, 해당 홈페이지 주인이 올린 게시물을 열람하는 경우의 화면으로서, "글쓰기 테스트입니다. 맘껏 퍼가시길.."이라는 게시물의 제목이 상부에 표시되고, 그 아래에 작성자(홈페이지 주인)의 이름과 ID인 "소상혁(ichnaton)"이 표시되며, 그 아래에 게시물의 내용이 표시된다.
게시물 내용 하단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해당 게시물을 자동으로 퍼갈 수 있는 버튼(410; 내홈피에 퍼가기)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 버튼은 접속한 해당 특정 회원(송은희; haemos97) 자신의 홈페이지(해모집)로 게시물을 자동으로 이동(퍼가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d에서와 같이 특정 회원(송은희; haemos97)이 "내홈피에 퍼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게시물 퍼가기를 확인할 수 있는 팝업창(420)이 생성되면, 이 팝업창에는 퍼갈 게시물의 제목(421)과, 퍼가는 목적 게시판을 선택할 수 있는 풀다운 메뉴바(420)와, 출처표시(423; 상혁이네 집)가 표시되어 있다.
옮겨갈 목적 게시판을 선택한 후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도 4e에서와 같이 "내 홈피에 담았습니다. 지금확인하시겠습니까?"라는 확인 메시지 팝업창(430)이 생성/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도 4f에서와 같이 게시물을 퍼간 특정회원(송은희; haemos97)의 홈페이지인 "해모집"으로 이동하게 되며, 게시물 리스트에는 도 4d에서 퍼온 게시물인 "[펌]글쓰기 테스트입니다. 맘껏 퍼가시길.."가 표시(440)되어 있다. 이와 같이, 퍼온 게시물의 제목 앞에는 "[펌]"과 같이 퍼온 게시물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도 4g에서와 같이, 퍼온 게시물 중간에는 "출처:상혁이네집"과 같이 출처표시(450)를 함으로써 어디에서 게시물을 퍼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처표시 부분에는 게시물의 출처에 해당되는 홈페이지(http://hompy/sayclub.com/ichnaton)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도 5a는 1회 이상 퍼간 게시물에 대한 화면으로 게시물 하단에 "답글(0)"과 함께 퍼간 사용자 리스트를 볼 수 있는 퍼간 사용자 보기 선택항목(510)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퍼간 사용자 보기 선택항목에는 "이글을 퍼간 홈피(3)"와 같은 메시지와 퍼간 홈페이지의 개수가 표시되어 있다.
도 5a의 퍼간 사용자 보기 선택항목(510)을 클릭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본 게시물의 제목(520)과, 퍼간 홈페이지 리스트(530)가 출력되며, 각각의 퍼간 홈페이지 이름 옆에는 퍼간 시점도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서는 퍼간 사용자 리스트로서 홈페이지 이름만 표시되어 있으나, 해당 사용자의 이름, ID 등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b에서의 퍼간 사용자(홈페이지) 리스트 각각은 해당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의 이동경로인 글지도 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도 6a은 1회 이상 퍼간 게시물에 대한 다른 화면으로 게시물 하단에 퍼간 사용자 리스트 선택항목인 "이글을 퍼간 홈피" 항목 옆에, 글지도 선택버튼(610)이 제공되어 있다.
글지도 선택버튼(610)을 클릭하면, 도 6b에서와 같이 해당 게시물의 제목과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글지도를 표시하는 독립적인 팝업창(글지도 팝업창)이 생성된다. 이러한 글지도 팝업창에는 해당 게시물의 제목과 함께, 해당 게시물을 퍼간 경로가 "홈페이지 이름(사용자 ID)"으로 표시되는 지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물론, 해당 글지도에서의 각 "홈페이지 이름(사용자 ID)"에도 해당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또는 글지도 제공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게시물 리스트에 퍼간 사용자 리스트 선택항목(710) 및 글지도보기 선택항목(720)이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선택항목을 클릭하면 독립적인 팝업창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서 퍼간 사용자 리스트와 글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게시물 퍼가기 서비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게시물 작성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다.
게시물의 종류에 따라, 게시물 작성자가 다른 홈페이지로 옮겨지지 않기를 바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게시물 작성시에는 도 8의 하단에서와 같이 "퍼가기를 허용함"라는 항목을 선택하지 않으면 된다. 이렇게 "퍼가기 금지"가 설정된 게시물을 타인이 열람했을 때에는 도 4c와 같은 "내홈피에 퍼가기" 버튼(410)을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자동 퍼가기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마찬가지 원리로, 게시물의 종류에 따라, 게시물에 대한 답글을 달지 않기를 바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게시물 작성시에는 도 8의 하단에서와 같이 "답글을 허용함"이라는 항목을 선택하지 않으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고, 게시물 자동 퍼가기가 가능한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으로서,
    각 회원별 홈페이지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저장/관리하는 홈페이지 관리부;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을 복사하여 상기 특정 회원(A)의 개인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하는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
    사용자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기초로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요청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는 홈페이지 출력부; 및,
    각 회원의 신상정보와 홈페이지 정보(홈페이지 형태, 배열, 배치, 게시물 등)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되,
    게시물의 이동(퍼간) 경로를 산출/관리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이동(퍼간)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게시물 이동경로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게시물 이동경로 관리부는 해당 게시물을 자동으로 퍼간 사용자 리스트(퍼간 사용자 정보 또는 홈페이지 정보) 및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형태의 글지도 중 하나 이상을 생성/관리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퍼간 사용자 리스트 및 글지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고,
    상기 퍼간 사용자 리스트는 퍼간 사용자의 이름, ID, 홈페이지 명칭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며, 각각의 퍼간 사용자 항목에는 해당 홈페이지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관리부는 홈페이지를 가지는 모든 회원에 대하여 홈페이지의 형태, 배치, 배열정보와 함께, 해당 개인(소유자) 또는 다른 접속자가 입력한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게시물, 동영상 게시물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해당 홈페이지의 고유 식별 정보(URL 등)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관리부는 상기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퍼온 게시물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회원(게시물을 퍼온 사용자)에 대한 홈페이지 정보에 추가/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관리부는 모든 회원에 대하여 동일한 형식(레이아웃)의 홈페이지를 일률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는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이 타인(B)의 홈페이지에 있는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을 하는 경우 그 요청을 접수한 후, 해당 게시물의 URL 또는 식별번호(코드)와 게시물 내용을 확인하고, 그를 특정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퍼가기 관리부 및 홈페이지 출력부는 특정 회원(A)이 타인(B)의 홈페이지로부터 퍼온 게시물을 해당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할 때, 해당 게시물이 최초로 위치하던 사용자의 정보 또는 홈페이지를 나타내는 "출처정보" 및 해당 게시물이 타인으로부터 퍼온 것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퍼온 게시물 안내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해당 게시물 내용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처정보"는 "출처+회원B의 홈페이지 명칭"의 형식으로 표현하고, "퍼온 게시물 안내 텍스트"는 퍼온 글의 제목 앞에 "[펌]"이라는 텍스트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처정보에는 해당 게시물의 출처에 해당하는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출력부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회원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회원의 홈페이지 정보를 기초로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요청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지도는 해당 게시물이 이동한 경로를 하나 이상의 홈페이지 명칭과 화살표로 표현하며, 상기 홈페이지 명칭 각각에는 해당 홈페이지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관리부는 특정 게시물이 사용자에 의하여 "퍼가기 금지"로 설정된 경우에는, 자동퍼가기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해당 게시물을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
  12.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고, 게시물 자동 퍼가기가 가능한 개인 홈페이지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게시물 자동 퍼가기 및 퍼간 사용자 정보 제공기능을 보유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a) 개인 홈페이지를 가진 모든 회원에 대하여 회원별 홈페이지 정보(게시물 정보 포함)를 입력받아 저장/관리하는 제1단계와;
    (b) 타인(B)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특정 회원(A)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한 자동 퍼가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와;
    (c) 해당 게시물 내용을 상기 특정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에 추가 저장하는 제3단계와;
    (d) 추후 상기 특정회원(A)의 홈페이지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퍼간 해당 게시물의 내용을 함께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e) 사용자가 한 번 이상 퍼간 게시물의 경우, 해당 게시물의 이동(퍼간) 경로를 산출/관리하며, 클라이언트로 시스템으로부터의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게시물의 이동경로는 게시물을 퍼간 사용자 (홈페이지) 리스트 정보 및 게시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형태의 글지도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퍼간 사용자 리스트는 퍼간 사용자의 이름, ID, 홈페이지 명칭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며, 각각의 퍼간 사용자 항목에는 해당 홈페이지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글지도는 해당 게시물이 이동한 경로를 하나 이상의 홈페이지 명칭과 화살표로 표현하며, 상기 홈페이지 명칭 각각에는 해당 홈페이지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홈페이지를 가지는 모든 회원에 대하여 홈페이지의 형태, 배치, 배열정보와 함께, 해당 개인(소유자) 또는 다른 접속자가 입력한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게시물, 동영상 게시물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해당 홈페이지의 고유 식별 정보(URL 등)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특정 회원(A)이 타인(B)의 홈페이지로부터 퍼온 게시물을 해당 회원(A)의 홈페이지 정보로 추가할 때, 해당 게시물이 최초로 위치하던 사용자의 정보 또는 홈페이지를 나타내는 "출처정보" 및 해당 게시물이 타인으로부터 퍼온 것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퍼온 게시물 안내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해당 게시물 내용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KR1020120031971A 2012-03-28 2012-03-28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7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971A KR101171726B1 (ko) 2012-03-28 2012-03-28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971A KR101171726B1 (ko) 2012-03-28 2012-03-28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587A Division KR20050112476A (ko) 2004-05-25 2004-05-25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39A KR20120050939A (ko) 2012-05-21
KR101171726B1 true KR101171726B1 (ko) 2012-08-07

Family

ID=4626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971A KR101171726B1 (ko) 2012-03-28 2012-03-28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0439B2 (en) 2011-09-09 2016-08-30 Facebook, Inc. Visualizing reach of posted conten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EP2738732A1 (en) * 2012-11-29 2014-06-04 Facebook, Inc. Visualizing reach of posted conten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39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1236B2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user activity associated with an information resource
US7890957B2 (en) Remote management of an electronic presence
US20220327174A1 (en) Collecting and providing customized user generated contentacross networks based on domain
JP5647141B2 (ja) 関心のあるオブジェクトを指定することにより動作を開始し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313260A1 (en) Automated website generation
US20080065974A1 (en) Template-based electronic presence management
US20100010893A1 (en) Video overlay advertisement creator
US20120144327A1 (en) Website file and data structure, website management platfo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stomized, managed websites
US20140067934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 social network layer over the World-Wide Web and other networks
CN107093093A (zh) 域间通信
DE202008018624U1 (de) Karten-Gadgets
CN103336794B (zh) 用于在目标页面中提供对应呈现信息的方法与设备
US20040205488A1 (en) Active web page for editing with any browser
Green Cartography and the Internet
JP2010224583A (ja) 電子掲示板サーバ、電子掲示板システム及び電子掲示板システムにおける投稿記事の重複掲載方法
KR100918503B1 (ko) 웹사이트 링크정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71726B1 (ko)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3737310B2 (ja) Wwwサーバーシステム
Peterson MapQuest and the beginnings of web cartography
KR20050112476A (ko)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46848B1 (ko) 개인 홈페이지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0076289A (ja) ビジターに提示する閲覧画面にビジター毎の備忘印を付けるサービスに特徴を有するwwwサーバー
KR101092131B1 (ko)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홈페이지 연관정보 제공 방법
Zhang Reanimating cultural heritage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Y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mpus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google m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