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62B1 - 증기압식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증기압식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62B1
KR101171262B1 KR1020110013019A KR20110013019A KR101171262B1 KR 101171262 B1 KR101171262 B1 KR 101171262B1 KR 1020110013019 A KR1020110013019 A KR 1020110013019A KR 20110013019 A KR20110013019 A KR 20110013019A KR 101171262 B1 KR101171262 B1 KR 10117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fresh water
steam
wick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권
유재석
김현정
박근태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7/00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F03G7/05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i.e. OTE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압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담수가 저장되는 담수저장부와,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저장부와, 담수저장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담수저장부에서 증발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로와, 배출유로의 타측과 연결되고 배출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발전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발전부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해수저장부로 안내하는 유입유로와, 담수저장부와 해수저장부 사이에 개재되고 해수저장부측의 열을 담수저장부측으로 전달하는 열교환부와, 담수저장부 내부에서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모세관력에 의해 담수저장부의 담수를 빨아들이는 제1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 영역과 응축 영역이 증대됨에 따라 담수저장부에서 해수저장부로 이동하는 증기량이 증대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증기압식 발전장치{POWER GENERATOR USING VAPO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본 발명은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 영역과 증발, 응축 영역을 증대시킴으로써 해수와 담수의 증기압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증기압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실가스 감축 등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국제환경협약과 환경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고유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에너지는 수력, 원자력, 지열, 조력,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이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천연 무공해 에너지원을 일컫는다.
해수(海水)와 담수(淡水)의 염도 차이를 이용한 발전은 무한하고 자연적인 에너지 자원인 바닷물과 강물을 활용하므로, 많은 양의 전력을 이산화탄소 및 오염물질 발생 없이 환경 친화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풍력, 조력 등과는 달리 에너지 생산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예측 가능하며, 작동 원리도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해수와 담수의 염도차를 이용한 발전 방식으로는 압력지연삼투식, 역전기투석식, 증기압식 등이 있다.
압력지연삼투식은 이온은 투과시키지 않고 물 분자만 투과시키는 막(Semipermeable Membrane)을 이용해 압력을 높인 해수가 터빈을 돌리게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역전기투석식은 발전기의 내부에 양이온만 통과하고 음이온은 통과하지 않는 양이온 교환막(Cation Exchange Membrane)과, 음이온만 통과하는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이 설치되어 있어, 해수에 포함된 양이온과 음이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담수에 섞여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이온의 흐름이 전자를 양극에서 음극으로 옮기면서 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압력지연삼투식과 역전기투석식은 발전기에 들어가는 분리막이나 이온교환막이 너무 고가이며, 막 면적당 발생전력이 미미하여 가격경쟁력이 너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증기압식은 해수와 담수의 증기압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리막이나 이온 교환막이 필요 없어 발전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기압식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기압식 발전장치는 담수(F)를 저장하는 담수저장부(10)와, 해수(S)를 저장하는 해수저장부(20)와, 발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담수(F)의 증기압이 해수(S)의 증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담수(F)에 포함된 물분자들은 자발적으로 증발한 후 해수(S)측으로 이동하여 응축된다. 즉, 담수저장부(10)에 저장된 담수(F)의 물분자들은 증발한 후 배출유로(40)와 유입유로(50)를 거쳐 해수저장부(20)로 이동하여 응축된다. 이때 이동하는 물분자의 운동에너지로 발전부(30)를 돌리면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증기압 차에 의해 증발이 일어남에 따라 담수(F)의 온도는 내려가게 되고, 응축이 일어나는 해수(S)의 온도는 올라가게 된다. 온도가 내려갈수록 증발은 어려워지므로, 담수저장부(10)와 해수저장부(20) 사이에 열교환부(60)를 개재하여 해수(S)측의 열을 담수(F)측으로 전달하여 담수(F)의 온도와 해수(S)의 온도가 역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증기압식 발전장치에 따르면, 물의 열전도율이 열교환부(60)의 열전도율에 비해 낮은 관계로, 해수(S)와 담수(F) 사이의 열교환은 열교환부(60)가 해수(S) 및 담수(F)와 접하는 영역(열교환 영역)에서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해수저장부(20)에서 생성되는 응축열을 담수저장부(10)측으로 전달하는데 있어 많은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담수저장부(10)에서 담수(F)와 대기가 접촉하는 영역(증발 영역)에서 주로 증발이 일어나는데, 증발 영역 중에서 열교환 영역과 겹치는 영역은 a에 불과하여 열교환부(60)의 장착에 따른 열교환 및 증발 효과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즉, 담수저장부(10)에서 증발이 일어남에 따라 내려가는 담수(F)의 온도를 보전하기 어려워지므로, 증발 효율이 저하되고 결국 발전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 영역과 증발, 응축 영역을 증대시킴으로써 해수와 담수의 증기압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증기압식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압식 발전장치는: 담수가 저장되는 담수저장부;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저장부; 상기 담수저장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담수저장부에서 증발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발전부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해수저장부로 안내하는 유입유로; 상기 담수저장부와 상기 해수저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해수저장부측의 열을 상기 담수저장부측으로 전달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담수저장부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담수저장부의 담수를 빨아들이는 제1위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위크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위크부는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저장부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유로를 통해 안내되는 증기와 접촉하는 제2위크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위크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위크부는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수저장부에 구비되는 제1위크부에 의해 증발 영역이 확장되어 증발량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저장부에 구비되는 제2위크부에 의해 응축 영역이 확장되어 응축량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 영역과 응축 영역이 증대됨에 따라 담수저장부에서 해수저장부로 이동하는 증기량이 증대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위크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해수저장부에서 응축된 물이 균일하게 퍼지게 되므로 불균일한 응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위크부와 제2위크부에 의해 해수저장부에서 생성되는 응축열을 손실 없이 담수저장부측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수와 담수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해수와 담수의 증기압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증기압식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압식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위크부, 열교환부 및 제2위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기압식 발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압식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제1위크부, 열교환부 및 제2위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압식 발전장치는 담수저장부(110), 해수저장부(120), 발전부(130), 배출유로(140), 유입유로(150), 열교환부(160), 제1위크(Wick)부(170), 제2위크(Wick)부(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담수저장부(110)에는 담수(F)가 저장되고, 해수저장부(120)에는 해수(S)가 저장된다. 담수(F)의 증기압이 해수(S)의 증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담수저장부(110)와 해수저장부(12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담수(F)에 포함된 물분자들은 자발적으로 증발한 후 해수(S)측으로 이동하여 응축된다.
배출유로(140)는 일측이 담수저장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발전부(130)와 연결된다. 따라서 담수저장부(110)에서 증발되어 배출되는 증기는 배출유로(140)를 통해 발전부(130)로 안내된다.
발전부(130)는 배출유로(140)와 연결되어 담수저장부(110)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유입된다. 발전부(130)는 유입되는 증기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러한 발전부(130)는 터빈(Turbine), 제너레이터(Generator)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원리는 당업자에게는 일반적인 기술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입유로(150)는 일측이 발전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이 해수저장부(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발전부(130)에서 배출되는 증기는 유입유로(150)에 의해 해수저장부(120)로 안내되어 응축된다.
열교환부(160)는 담수저장부(110)와 해수저장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해수저장부(120)측의 열을 담수저장부(110)측으로 전달한다.
증기압의 차이에 의해 증발이 일어남에 따라 담수(F)의 온도는 내려가게 되고, 응축이 일어나는 해수(S)의 온도는 올라가게 된다. 온도가 내려갈수록 증발은 어려워지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응축은 어려워지므로, 담수저장부(110)와 해수저장부(120) 사이에 열교환부(160)를 개재하여 해수저장부(120)측의 열을 담수저장부(110)측으로 전달시킨다. 이로써 담수(F)의 온도와 해수(S)의 온도가 역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위크부(170)는 담수저장부(110) 내부에서 열교환부(160)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모세관력에 의해 담수저장부(110)에 저장되는 담수(F)를 빨아들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열교환부(160)와 밀착되는 제1위크부(170)가 담수저장부(110)의 담수(F)를 빨아들이게 되면, 담수저장부(110)의 담수(F)는 제1위크부(170)의 전 영역에서 열교환부(160)와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열교환부(16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담수(F)가 제1위크부(170)에 의해 빨아들어져 상승하는 면적만큼 열교환부(160)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이는 열교환부(160)가 담수(F)와 접하는 영역인 열교환 영역의 증대를 의미한다. 열교환 영역의 증대에 따라 담수(F)의 온도를 해수(S)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담수(F)와 해수(S)의 증기압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증기압 차이를 이용한 발전을 지속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담수저장부(110)에서의 실질적인 증발은 담수(F)가 대기와 접촉하는 영역(증발 영역)에서만 일어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위크부(170)에 의해 증발 영역이 “┛”형상으로 확장된다. 즉, 증발 영역 역시 담수(F)가 제1위크부(170)에 의해 빨아들어져 상승하는 면적만큼 증대된다. 증발 영역이 증대되는 만큼 담수저장부(110)에서의 증발되는 증기량이 증대되므로, 이를 이용한 발전부(130)에서의 발전 용량 역시 증대된다.
제1위크부(170)는 스폰지가 물을 빨아들이는 원리와 같이 모세관력을 이용하여 담수저장부(110)에 저장되는 담수(F)를 빨아들이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담수(F)가 빨아들여져 상승할 수 있도록 다공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나, 이외에도 모세관력을 이용하여 담수(F)를 빨아들일 수 있는 구성이라면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위크부(17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수저장부(120)에서의 응축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열교환부(160)와 제1위크부(170)를 통해 담수저장부(110)측으로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다.
제1위크부(170)는 하단에서 상단까지, 즉 전 영역에서 열교환부(16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담수저장부(110)에 저장되는 담수(F)가 열교환부(160)와 접하게 되는 열교환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담수(F)를 빨아들여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 담수(F)가 대기와 접하게 되는 증발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어 증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위크부(175)는 해수저장부(120) 내부에서 열교환부(16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유입유로(150)를 통해 안내되는 증기는 해수저장부(120) 내에서 제2위크부(175)와 접촉하면서 응축된다.
이에 따라 증기의 응축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열은 제2위크부(175)로 전달된다. 이후 응축열은 열교환부(160)와 제1위크부(170)를 통해 담수(F)측으로 전달되므로, 증발과 응축이 일어나는 모든 영역(A, B)에 금속재질의 제1위크부(170) 및 제2위크부(175)가 닿아 있으므로 서로간의 열전달 과정에서 열손실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해수저장부(120)에서의 실질적인 응축은 해수(S)가 대기와 접촉하는 영역(응축 영역)에서만 일어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위크부(175)에 의해 응축 영역이 “┗”형상으로 확장된다. 응축 영역이 증대되는 만큼 해수저장부(120)에서의 응축량이 증대되고, 이는 다시 담수저장부(110)에서의 증발량의 증대를 유도하므로, 결국 발전부(130)에서의 발전 용량의 증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제2위크부(175)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수저장부(120)에서의 응축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2위크부(175)를 통해 담수저장부(110)측으로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다.
제2위크부(175)는 하단에서 상단까지, 즉 전 영역에서 열교환부(16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해수저장부(120)에서 증기가 응축되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해수(S)측의 열을 손실 없게 담수(F)측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담수저장부 120 : 해수저장부
130 : 발전부 140 : 배출유로
150 : 유입유로 160 : 열교환부
170 : 제1위크부 175 : 제2위크부

Claims (6)

  1. 담수가 저장되는 담수저장부;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저장부;
    상기 담수저장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담수저장부에서 증발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발전부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해수저장부로 안내하는 유입유로;
    상기 담수저장부와 상기 해수저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해수저장부측의 열을 상기 담수저장부측으로 전달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담수저장부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담수저장부의 담수를 빨아들이는 제1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식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크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식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크부는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식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저장부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유로를 통해 안내되는 증기와 접촉하는 제2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식 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크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식 발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크부는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기 열교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식 발전장치.
KR1020110013019A 2011-02-14 2011-02-14 증기압식 발전장치 KR10117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019A KR101171262B1 (ko) 2011-02-14 2011-02-14 증기압식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019A KR101171262B1 (ko) 2011-02-14 2011-02-14 증기압식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262B1 true KR101171262B1 (ko) 2012-08-06

Family

ID=4688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019A KR101171262B1 (ko) 2011-02-14 2011-02-14 증기압식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9159A1 (en) * 2015-12-24 2017-06-29 Halloy Guillaume Power generation using liquids with different vapour press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294A (ja) 2001-08-01 2003-02-14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発電・冷却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6051442A (ja) 2004-08-11 2006-02-23 Choonpa Jozosho Kk 液体の分離方法と分離装置
JP2009072734A (ja) 2007-09-23 2009-04-09 Motohide Takezaki 気流循環による海水の淡水化装置
KR100956765B1 (ko) 2008-01-18 2010-05-12 한국화학연구원 막 증류용 분리막 모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효율의 막증류 분리공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294A (ja) 2001-08-01 2003-02-14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発電・冷却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6051442A (ja) 2004-08-11 2006-02-23 Choonpa Jozosho Kk 液体の分離方法と分離装置
JP2009072734A (ja) 2007-09-23 2009-04-09 Motohide Takezaki 気流循環による海水の淡水化装置
KR100956765B1 (ko) 2008-01-18 2010-05-12 한국화학연구원 막 증류용 분리막 모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효율의 막증류 분리공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9159A1 (en) * 2015-12-24 2017-06-29 Halloy Guillaume Power generation using liquids with different vapour pressures
US10473091B2 (en) 2015-12-24 2019-11-12 Delta Driven 24 Sprl Power generation using liquids with different vapour press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kareem et al. Recent progress in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o power water desalination plants
AU20132034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pour driven absorption heat pumps and absorption heat transformer with applications
CN101830531B (zh) 一种低温余热海水淡化系统
CN103964523B (zh) 聚光蒸发脉动自提水太阳能海水淡化器
US10384164B2 (en) Combined electrical and thermal renewable/conventional energy storage and on-demand hydro-osmotic power generation methods and systems
KR101297930B1 (ko) 해수-담수간의 염도차 에너지를 회수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CA3000629C (en) Heat pump-reinforced salinity-gradient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the vapor-pressure difference energy method under positive temperature difference
CN111268754A (zh) 一种太阳能驱动光热-盐差发电耦合增效的界面蒸发系统
Qiu et al.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solar-driven interfacial steam generation
CN104445481A (zh) 一种余热电水联产系统
KR101291325B1 (ko) 초순수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8979B1 (ko) 염도차 발전 시스템 및 염도차 발전 방법
KR101171262B1 (ko) 증기압식 발전장치
CN202811240U (zh) 蒸压法盐差能发电装置
KR101705783B1 (ko) 염분차 기반 발전장치
KR101519828B1 (ko) 염수와 해수 사이의 염도차 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KR20120071023A (ko) 전력 및 담수의 동시 생산 시스템
KR102341372B1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고효율 해수담수화 복합 공정 시스템
CN204490541U (zh) 新型家用太阳能海水淡化装置
KR101526214B1 (ko) 캡믹스 장치를 이용한 개방형 염도차 발전 시스템
KR102162462B1 (ko) 복합발전을 이용한 담수화 시스템
CN201309841Y (zh) 一种太阳能海水淡化装置
JP2005087821A (ja) 淡水化装置
CN104696140A (zh) 小型水力发电装置
KR20230099226A (ko) Tepg를 이용한 발전 및 담수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