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928B1 -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928B1
KR101168928B1 KR1020110139493A KR20110139493A KR101168928B1 KR 101168928 B1 KR101168928 B1 KR 101168928B1 KR 1020110139493 A KR1020110139493 A KR 1020110139493A KR 20110139493 A KR20110139493 A KR 20110139493A KR 101168928 B1 KR101168928 B1 KR 10116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unit
upper cover
ram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1013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13/10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mechanical drive
    • F16N13/14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mechanical drive with cam or wobble-plate on shaft parallel to the pump cylinder o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3/00Special adaptations of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02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oil
    • F16N3/04Oil cans; Oil syringes
    • F16N3/06Oil cans; Oil syringes delivering on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feed by pumping action of the member to be lubricated or of a shaft of the machine; Centrifugal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이 설치된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구동부와 같이 윤활유를 필요로 하는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일정 주기 마다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압출하여 목적 요소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윤활유 수용 공간과 상기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목적 요소에 공급하기 위한 축방향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에 삽입되어 승하강 구동되는 램(ram), 상기 축방향홀의 유출입부에 각각 구비된 복귀방지밸브, 상기 램과 고정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압출유닛; 및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구동캠면이 구비되어 상기 램과 동축상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부가 승하강되게 하는 캠구동부, 상기 캠구동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동력제공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소정 설정 기준에 맞추어 압출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lubricant}
본 발명은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이 설치된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구동부와 같이 윤활유를 필요로 하는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일정 주기 마다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윤활제는 자동차 산업, 컨베이어 기술, 기계공학, 사무기기, 산업 공장 및 기계설비뿐만 아니라, 가정용 제품, 오락용 전자제품 등의 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구동부 등에 설치되는 베어링 등에 사용되는 윤활제는 베어링의 내외륜, 볼 등의 표면이 상호간 마찰에 의해 마모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윤활유 부족으로 인한 베어링의 내외륜, 볼 등의 표면 사이의 마찰열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윤활유가 변성되어 윤활유가 눌어붙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운전되면 회전요소의 회전부분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구동부 등에 설치되는 베어링 등의 목적 요소에는 적정시점에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해당 목적 요소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주입하는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종래의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12397호에 기재된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는, 베어링에 윤활유를 자동 공급하기 위하여 윤활유를 내장한 용기(a) 내의 윤활유를 특정의 시기에 일정량 압출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A)이다.
특히, 상기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A)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디(b1)와 하부 바디(b2)의 내측에 형성된 연통로(c)에서 승강되는 원통형의 플런저 앗세이(B)에 의해 상기 용기(a) 내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런저 앗세이(B)의 승하강은 전동기 동력축에 워엄 기어(미도시)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바디(b2)에 워엄휠(d)을 축결합하며, 상기 워엄휠(d)에 편심된 링크 결합 시트(e)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앗세이(B)의 일측에 형성된 돌부(f)에 레버(g)를 결합하고, 상기 레버(g)와 상기 링크 결합 시트(e) 사이를 링크(h)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회전 동력이 상기 플런저 앗세이(B)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 바디에는 볼 밸브(i)가 구비되고, 플런저 앗세이(B)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공(미도시)의 바깥 둘레에는 신축튜브(j)를 끼워 결합하여, 윤활유의 복귀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는, 상기 플런저 앗세이(B)의 승하강 동력이 "전동기 동력축→워엄 기어→워엄휠→링크 결합 시트→링크→레버→돌부→플런저 앗세이"의 순서로 복잡한 링크 구조를 통해 전달되므로, 동력 전달 효율이 높지 않으며, 이는 배터리 수명을 저감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앗세이(B)의 승하강 동력이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되므로, 각 구성요소의 설치와 조립이 복잡하고, 내구성 측면에서도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런저 앗세이(B)의 하단부의 신축튜브(j)는 윤활유의 배출시 반경이 팽창되고, 윤활유의 미배출시 반경이 복원되어 윤활유의 복귀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지만, 신축튜브(j)의 팽창/복원이 지속적으로 반복됨에 따라 신축튜브(j)의 복원력이 약해져 윤활유의 복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도 2는,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종래의 또다른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53113호에 기재된 "윤활유용 계량 장치"는, 윤활유 저장조(1)와, 이 윤활유 저장조(1) 내에서 나사식 스핀들(2) 상에 배치된 피스톤(3)과, 상기 나사식 스핀들(2)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7)와 이 구동 샤프트(7)를 가동시키는 전자 기계적 구동 장치(5)가 있는 구동 헤드(4)를 포함하는 윤활유용 계량 장치이다.
특히, 상기 윤활유용 계량 장치는, 상기 구동 샤프트(7)는 윤활유 저장조(1)의 윤활유 보관 공간으로 개방된 윤활유 통로 도관(8)을 수용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7)의 윤활유 통로 도관(8) 내에는 램(9)이 삽입된다.
상기 램(9)은 입구측에 복귀 방지 밸브(11)가 있는 축방향 보어(10)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압축 스프링(12)에 의해 부하를 받는 램 헤드(13)를 포함한다.
상기 램 헤드(13)는 압축 스프링(12)의 작용 하에 구동 샤프트(7)의 제어면(14)을 지지하며, 상기 제어면(14) 및 관련된 램 헤드(13)의 접촉면(15)은 슬롯형 안내면으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면(14)이 회전할 때 램(9)의 스트로크 운동을 야기하고, 이 스트로크 운동은 윤활유를 램(9)의 보어(10)를 통해 램 단부에 있는 윤활유 출구로 급송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윤활유용 계량 장치는, 램 헤드(13)가 압축 스프링(12)의 탄발력에 의해 구동 샤프트(7)의 제어면(14)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제어면(14)의 슬롯형 안내면과 램 헤드(13)의 접촉면(15)의 슬롯형 안내면의 형상에 의해 상기 램 헤드(13)가 상승 및 하강하는 구조이다.
특히, 종래의 윤활유용 계량 장치는, 램(9)의 상승 스트로크가 압축 스프링(12)의 탄발력에 의해 이뤄지도록 구성되는데, 램 헤드(13)의 복원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 스프링(12)의 탄발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램 헤드(13)의 하강구동시 상기 구동장치(5)는 상기 압축 스프링(12)도 함께 압축시켜야 하므로 동력의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용량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상기 압축 스프링(12)의 탄발력 변화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이 설치된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구동부와 같이 윤활유를 필요로 하는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일정 주기 마다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압출하여 목적 요소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윤활유 수용 공간과 상기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목적 요소에 공급하기 위한 축방향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에 삽입되어 승하강 구동되는 램(ram), 상기 축방향홀의 유출입부에 각각 구비된 복귀방지밸브, 상기 램과 고정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압출유닛;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구동캠면이 구비되어 상기 램과 동축상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부가 승하강되게 하는 캠구동부, 상기 캠구동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동력제공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소정 설정 기준에 맞추어 압출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가 내장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메인하우징, 압출유닛, 구동유닛이 내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로와 연통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자바라식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파우치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상부커버의 내면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파우치의 상면을 가압토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는, 일측이 상기 가압판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고정 지지되며, 타측 단부에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한 상기 가압판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걸림지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제한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귀방지밸브는,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캠구동부는, 내측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과 맞닿는 제1구동캠면이 형성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과 맞닿는 제2구동캠면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구동기어가 형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를 통해 상기 제2바디의 구동기어와 연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구동캠면 및 제2구동캠면의 각 고점 부분의 소정 구간과 각 저점 부분의 소정 구간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램의 승하강 횟수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계측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계측유닛은,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캠구동부의 외측 상면에 형성된 계측캠면, 레버 및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의 단부에 형성된 구름편이 상기 계측캠면의 상사점과 맞닿을 시 상기 누름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계측유닛은,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캠구동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측캠면, 레버 및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의 단부에 형성된 구름편이 상기 계측캠면의 상사점과 맞닿을 시 상기 누름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메인하우징, 압출유닛, 구동유닛이 내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를 구성하는 제1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상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와 연통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제2상부커버, 상기 제2상부커버에 수용된 윤활유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제1상부커버의 내면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제2상부커버에 수용된 윤활유를 가압토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 상기 제2상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상부커버의 내주면과 밀착을 위한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상부커버의 저면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2상부커버와 결합시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가압편이 구비된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배출공의 단부에 설치된 원통부싱과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원통부싱을 폐쇄하는 탄성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삽입공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커버와 상기 지지판의 결합 시, 상기 가압편이 상기 탄성핀을 밀어서 상기 원통부싱의 통로가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는, 일측이 상기 가압판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상부커버의 상면에 고정 지지되며, 타측 단부에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한 상기 가압판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상부커버의 상면에 걸림지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제한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베어링이 설치된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구동부와 같이 윤활유를 필요로 하는 목적 요소에 윤활유를 일정 주기 마다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램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가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캠면에 의해 승하강되는 간단한 동력 전달 과정을 통해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램의 승하강 운동력이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은 수의 구성요소 및 간단한 동력 전달 과정을 통해 램의 승하강 운동이 이뤄지므로, 간단한 조립과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하측의 복귀방지밸브를 볼 체크 밸브로 구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므로 윤활유의 복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력스프링에 의한 상기 압력판의 위치를 제한하는 제한고리에 의해 사용완료된 자바라식 파우치의 교환시 상기 압력판이 완전하게 분리됨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한고리를 당겨 상부커버의 상면으로 배출하여 상기 압력판을 상부커버의 내측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파우치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교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삭제
또한, 램의 승하강 횟수를 계측하는 계측유닛과 이러한 계측유닛의 계측 횟수 정보에 근거하여 윤활유의 잔량이나 작동횟수 등을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으로써 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캠구동부의 제1구동캠면 및 제2구동캠면의 각 고점 부분의 소정 구간과 각 저점 부분의 소정 구간이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 관성에 의한 돌기부의 방향 전환시 보압 및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의 펌프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윤활유용 계량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하부커버 내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계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이 상승한 상태의 제1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이 하강한 상태의 제2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이 상승한 상태의 제3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하부커버 내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계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제2실시예 제2상부커버에 설치된 체크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7은 제2실시예 제2상부커버에 설치된 체크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압출하여 목적 요소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로 이뤄진 케이싱(100), 상기 하부커버(120)의 개구부(121)에 장착되는 제어유닛(150), 상기 케이싱(100) 내에 수장되는 수용부(200), 메인하우징(300), 계측유닛(400), 압출유닛(500), 구동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00) 및 수용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수용부(200)가 내장되는 상부커버(110) 및 상기 메인하우징(300), 압출유닛(500), 구동유닛(600)이 내장되어 상기 상부커버(1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10)는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면에는 제한고리(2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63)가 끼워져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 형상의 스토핑홀(110h)이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커버(120)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탭(1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10)의 내측에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200)가 내장되며, 상기 수용부(200)는 자바라식 파우치(210), 지지판(220), 가압판(230), 가압스프링(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바라식 파우치(210)는 가압에 의하여 수축이 용이하도록 자바라 형태로 이뤄져 내부에 윤활유를 수용하는 윤활유 수용공간(210s)이 형성되며, 하면 중심부에는 수축시 윤활유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싱(21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220)은 상기 파우치(2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싱(100) 내에 고정설치되며, 상하면 중심부를 관통하는 삽입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210)의 배출부싱(211)이 관통하도록 상기 파우치(210)의 하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유닛(150) 및 구동유닛(6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250)이 장착될 수 있는 전원유닛 장착부(222)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230)은 상기 상부커버(110)의 내측 상면과 상기 가압판(230) 사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240)에 의해 상기 파우치(21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스프링(240)의 탄발력을 제공받아 상기 파우치(210)의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가압스프링(240)은 상기 가압판(23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231)에 의해 상기 가압판(230)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한고리(260)는 일측이 상기 가압판(230)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커버(110)의 상면에 고정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고리(260)의 일측단에는 부싱(26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한고리(260)의 일측단이 상기 가압판(2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공(230h)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부싱(261)의 부싱홀(261h)에 지지핀(262)을 삽입시켜 결합함에 따라 상기 삽공(230h)과 연통하여 형성된 핀지지홈(232)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고리(260)의 타측에는 상기 상부커버(110)의 상단면에 형성된 다단 형상의 스토핑홀(110h)에 걸려 고정 지지될 수 있는 원통형의 스토퍼(26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부싱(261)과 상기 스토퍼(263) 사이의 연결부(264)는 길이가 유지된 상태로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질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2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에 윤활유가 충만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한고리(260)의 연결부(264)가 접혀져 지그재그인 상태가 되어 상기 가압판(230)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압스프링(240)이 상기 가압판(230)을 통해 상기 파우치(21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에 윤활유가 점차 배출됨에 따라, 도 10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고리(260)의 연결부(264)는 길이가 유지된 상태에서 점차 직선형으로 펴지게 되며, 상기 가압스프링(240)에 의한 상기 가압판(230)의 위치가 더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의 분해시 상기 가압판(230), 가압스프링(240)이 상부커버(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2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커버(110)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탭(122)이 형성되고, 외주부 정면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150)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120)의 하부 중심부에는 노즐공(120h)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공(120h)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연결로(300h) 하부에 조립되는 스페이서(710)와 노즐(72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하부에는 노즐팁(730)이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710), 상기 노즐(720), 상기 노즐팁(730)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하우징(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300)은, 상기 지지판(22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우치(2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과 베어링 등의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예를 들어, 니플(nipple))를 연결하는 연결로(300h) 및 상기 연결로(300h)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30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300)은 평판형의 메인패널(303)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패널(303)에는 상기 지지판(220)의 하면에 고정설치, 각종 요소의 조립 등을 위한 결합연장부(30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로(300h)는 상기 파우치(210)의 배출부싱(211)과 연통되어 상기 윤활유 수용공간(210s)의 윤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구동유닛(600)의 동력제공부(620, 예를 들어, 모터, 서버모터 등) 및 상기 동력제공부(620)의 동력축과 연동하는 복수의 감속기어(62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타측 부분에는 계측유닛(400)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제공부(620), 감속기어(622), 계측유닛(400)은 후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유닛(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압출유닛(500)은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연결로(300h) 내에 삽입되어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파우치(2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연결로(300h)의 하측으로 압출하는 플런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출유닛(500)은 램(510, ram), 복귀방지밸브(521, 522), 상기 램(510)의 일측에 구비된 돌기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510)은 상기 연결로(300h)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 구동하되, 상기 파우치(2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베어링 등의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예를 들어, 니플(nipple))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윤활유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한 축방향홀(510h)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510)과 상기 연결로(300h)의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O)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방지밸브(521, 522)는 상기 축방향홀(510h)의 유입부에 구비된 제1복귀방지밸브(521), 상기 축방향홀(510h)의 유출부에 구비된 제2복귀방지밸브(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 제2복귀방지밸브(522)는 각각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는 상기 축방향홀(510h)의 유입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연결로(300h)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2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으로부터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의 하부공간으로 이송된 윤활유가 다시 상기 수용 공간(210s)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제2복귀방지밸브(522)는 상기 축방향홀(510h)의 유출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램(510)의 축방향홀(510h)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램(510)의 축방향홀(510h)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복귀방지밸브(522)의 하부공간으로 이송된 윤활유가 다시 상기 램(510)의 축방향홀(510h) 내부 공간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돌기부(530)는 상기 램(5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연결로(300h)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302)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돌출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530)는 상기 램(5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고정결합되는 결합부싱(532)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싱(532)이 상기 램(5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고정결합되므로, 상기 램(510)과 상기 결합부싱(532)의 외주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로(300h)의 내측벽은 상기 램(510)과 상기 결합부싱(532) 사이의 단차로 인한 상기 램(510)의 승하강 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직경(d1)이 상기 결합부싱(531)에 대응하는 부분의 직경(d2)보다 작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30)는 상기 구동유닛(6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승하강동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램(510)이 승하강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램(510), 제1복귀방지밸브(521), 제2복귀방지밸브(522), 돌기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출유닛(500)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시 상세하게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유닛(6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유닛(600)은 상기 램(510)을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램(510)과 고정된 돌기부(53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53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구동캠면(612a, 614a)이 구비되어 상기 램(510)과 동축상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부(530)가 승하강되게 하는 캠구동부(도 4의 610), 상기 캠구동부(610)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제공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구동부(610)는 제1바디(612)와 제2바디(6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612)는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중심홀(612h)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면에는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이 상기 돌기부(530)의 상측부와 맞닿는 제1구동캠면(612a)이 된다.
한편, 상기 제1바디(612)의 외측 상면에는 상기 단차부와 대응하여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계측캠면(612b)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614)는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하는 중심홀(614h)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캠면(612a)과 대응하여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이 상기 돌기부(530)의 하측부와 맞닿는 제2구동캠면(614a)이 된다.
한편, 상기 제2바디(614)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동력제공부(6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6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614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612)의 하부에는 결합구(612c)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614)에는 상기 결합구(612c)와 대응하는 결합홀(614c)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612c)가 상기 결합홀(614c)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바디(612)와 상기 제2바디(614)가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612)와 상기 제2바디(614)가 서로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캠면(612a)은 상기 돌기부(530)의 상측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2구동캠면(614a)은 상기 돌기부(530)의 하측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제공부(6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바디(614)가 회전됨에 따라 제1바디(612)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돌기부(530)는 상기 제1구동캠면(612a)과 제2구동캠면(614a)의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530)와 고정결합된 램(510)이 메인하우징(300)의 연결로(300h) 상에서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캠면(612a) 및 제2구동캠면(614a)의 각 고점 부분(H)의 소정 구간과 각 저점 부분(L)의 소정 구간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캠구동부(610)의 회전 관성에 의한 상기 돌기부(530)의 방향 전환시 보압 및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제공부(620)는, 예를 들어, 모터, 서버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제공부(6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일측 부분에 장착되고, 복수의 감속기어(622) 및 상기 제2바디(614)의 구동기어(614b)를 통해 상기 캠구동부(6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계측유닛(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계측유닛(400)은 상기 구동유닛(600)에 의해 승하강하는 램(510)의 승하강 횟수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램(510)의 승하강 운동과 연동된 상기 캠구동부(610)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상기 계측유닛(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300)의 타측 부분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측유닛(400)은,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캠구동부(610)의 외측 상면에 형성된 계측캠면(612b), 레버(404) 및 누름버튼(402)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404)의 단부에 형성된 구름편(405)이 상기 계측캠면(612b)의 고점 부분과 맞닿을 시 상기 누름버튼(402)이 눌림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610)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상기 계측유닛(400)은 결합패널(410)을 통해 상기 메인하우징(300)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레버(404)는 상기 메인하우징(300)에 형성된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바디(612)의 계측캠면(612b)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름편(405)이 상기 계측캠면(612b)을 따라 구름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름편(405)이 상기 계측캠면(612b)의 고점 부분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레버(404)가 상기 누름버튼(402)을 눌러 계측하고, 상기 구름편(405)이 상기 계측캠면(612b)의 고점 부분에서 벗어날 경우에 상기 레버(404)가 상기 누름버튼(402)의 누름을 해제하도록 동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유닛(15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150)은, 하부커버(120)의 외주부 정면에 형성된 개구부(12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윤활유의 방출량 및 동작 기간의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설정된 윤활유의 방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유닛(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150)이 "1회 방출량 100cc, 3개월의 동작 기간 "의 설정값을 입력받았다면, 상기 제어유닛(150)은 해당 기간동안 얼마의 주기로 100cc의 윤활유를 방출할 것인지 연산하여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자동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510)의 1회 승하강 동작에 의해 50cc의 윤활유가 방출될 수 있다면, 상기 램(510)이 2회 승하강 동작함에 따라 1회 방출량인 100cc의 윤활유를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50)은 디스플래이패널이 구비되어, 각종 설정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510)이 승하강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510)이 상승한 상태의 제1작동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600)에 의해 상기 캠구동부(610)가 회전하여 상기 돌기부(530)가 제1구동캠면(612a) 및 제2구동캠면(614a)의 고점 부분(H)에 위치한 시점에서는 상기 램(510)이 상승한 상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510)이 하강한 상태의 제2작동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600)에 의해 상기 캠구동부(610)가 180°회전하여 상기 돌기부(530)가 제1구동캠면(612a) 및 제2구동캠면(614a)의 저점 부분(L)에 위치하도록 하강하게 되면 상승했던 램(510)도 상기 돌기부(53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는 제1공간부(SP1)에 음압이 형성됨에 따라 오픈 상태가 되어 파우치(210)의 윤활유가 제1공간부(SP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2복귀방지밸브(522)는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510)이 상승한 상태의 제3작동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600)에 의해 상기 캠구동부(610)가 180°회전하여 상기 돌기부(530)가 제1구동캠면(612a) 및 제2구동캠면(614a)의 고점 부분(H)으로 복귀하여 상승되면 하강했던 램(510)도 상기 돌기부(53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는 램(510)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 하부의 윤활유가 상기 파우치(210)로 복귀되지 못하도록 폐쇄 상태가 되고, 제2복귀방지밸브(522)는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521)가 폐쇄 상태가 됨에 따라 제1공간부(SP1)에 수용되었던 윤활유를 수용하며, 이전에 수용하고 있던 윤활유는 축방향홀(510h)의 하부로 배출하여 제2공간부(SP2)로 압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램(51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파우치(210)의 윤활유 수용공간(210s)에 수용된 윤활유는 노즐(720) 및 노즐팁(730)을 통해 압출되어 베어링 등의 목적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압출하여 목적 요소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10)와 하부커버(1120)로 이뤄진 케이싱(1100), 상기 하부커버(1120)의 개구부(1121)에 장착되는 제어유닛(1150), 상기 케이싱(1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용부(1200), 메인하우징(1300), 계측유닛(1400), 압출유닛(1500), 구동유닛(1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100) 및 수용부(1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0)은, 상기 수용부(1200)를 구성하는 상부커버(1110) 및 상기 메인하우징(1300), 압출유닛(1500), 구동유닛(1600)이 내장되어 상기 상부커버(11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1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110)는 상측의 제1상부커버(1112)와 하측의 제2상부커버(1114)로 분할되어 조립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상부커버(1112)는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로서, 상단면에는 제한고리(12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토퍼(1263)가 끼워져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 형상의 스토핑홀(1112h)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2상부커버(1114)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커버(1114)는 실질적으로 윤활유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윤활유 주입을 위한 주입공(1114h1)이 형성되어 니플(1115)이 결합되며, 저면 중심부에는 수용된 윤활유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1114h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1상부커버(1112)의 결합돌기(1112a)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1114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술하는 지지판(1220)과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14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커버(1112)와 제2상부커버(1114)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상부커버(1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용부(120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00)는 가압판(1230), 가압스프링(1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판(1230)은 상기 제1상부커버(1112)의 내측 상면과 상기 가압판(1230) 사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1240)에 의해 상기 제2상부커버(1114) 내에 수용된 윤활유를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판(1230)의 외주면이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윤활유의 압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1230)의 외주면에 단면이 대략 "U"자 형으로 형성된 밀폐링(1234)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스프링(1240)은 상기 가압판(1230)의 상면을 균형있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상부커버(1112)의 내측 상면과 상기 가압판(1230) 사이에 위치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한고리(1260)는 일측이 상기 가압판(1230)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상부커버(1112)의 상면에 고정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고리(1260)의 일측단에는 연결블록(126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한고리(1260)의 연결블록(1261)이 상기 가압판(12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부(1232)에 결합핀(1262)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고리(1260)의 타측에는 상기 제1상부커버(1112)의 상단면에 형성된 다단 형상의 스토핑홀(1112h)에 걸려 고정 지지될 수 있는 스토퍼(126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블록(1261)과 상기 스토퍼(1263) 사이의 연결부(1264)는 길이가 유지된 상태로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질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상부커버(1114) 내에 윤활유가 충만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한고리(1260)의 연결부(1264)가 접혀져 지그재그인 상태가 되어 상기 가압판(1230)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압스프링(1240)이 상기 가압판(1230)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1230)이 상기 제1상부커버(1112) 내의 윤활유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커버(1114) 내에 윤활유가 점차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한고리(1260)의 연결부(1264)는 길이가 유지된 상태에서 점차 직선형으로 펴지게 되며, 상기 가압스프링(1240)에 의한 상기 가압판(1230)의 위치가 더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하부에는 지지판(122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1220)은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14b)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부(1223)가 형성되며, 상하면 중심부를 관통하는 삽입공(1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배출공(1114h2)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1114h2)과 상기 삽입공(1221)의 사이에는 윤활유의 유출을 방지하는 오링(O)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하면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공(1114h2)과 상기 지지판(1220)의 삽입공(1221)의 사이에는 상기 제2상부커버(1114)와 상기 지지판(1220)이 서로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제2상부커버(1114)에 수용된 윤활유가 배출되게 하는 체크밸브(1116)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1116)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1114h2)의 단부에 설치된 원통부싱(1117)과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원통부싱(1117)을 폐쇄하는 탄성핀(1116)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1220)의 삽입공(1221)에는, 상기 제2상부커버(1114)가 상기 지지판(1220)과 결합시 상기 탄성핀(1116)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원통부싱(1117)의 통로가 개방되게 하는 가압편(1221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싱(1117)의 통로가 개방되어, 상기 제2상부커버(1114) 내에 수용된 윤활유가 상기 지지판(1220)의 삽입공(1221)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1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유닛(1150) 및 구동유닛(16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1250)이 장착될 수 있는 전원유닛 장착부(1222)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유닛 장착부(1222)는 상기 지지판(1220)의 판상부분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전원유닛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연장된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유닛(1250)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하부커버(112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커버(1114)와 결합되며, 외주부 정면에는 개구부(1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1150)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1120)의 저면 중심부에는 노즐공(1120h)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공(1120h)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연결로(1300h) 하부에 조립되는 노즐(1720)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노즐팁(1730)이 결합된다. 상기 노즐(1720), 상기 노즐팁(1730)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300)은, 상기 지지판(122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내부와 베어링 등의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예를 들어, 니플(nipple))를 연결하는 연결로(1300h) 및 상기 연결로(1300h)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30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300)은 평판형의 메인패널(1303)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패널(1303)에는 상기 지지판(1220)의 하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결합연장부(130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로(1300h)는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배출공(1114h2)과 연통되어 상기 제2상부커버(1114) 내부의 윤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구동유닛(1600)의 동력제공부(1620, 예를 들어, 모터, 서버모터 등) 및 상기 동력제공부(1620)의 동력축과 연동하는 복수의 감속기어(162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타측 부분에는 계측유닛(1400)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제공부(1620), 감속기어(1622), 계측유닛(1400)은 후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유닛(1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압출유닛(1500)은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연결로(1300h) 내에 삽입되어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내부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연결로(1300h)의 하측으로 압출하는 플런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출유닛(1500)은 램(1510, ram), 복귀방지밸브(1521, 1522), 상기 램(1510)의 일측에 구비된 돌기부(1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1510)은 상기 연결로(1300h)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 구동하되,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내부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베어링 등의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예를 들어, 니플(nipple))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윤활유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한 축방향홀(1510h)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램(1510)과 상기 연결로(1300h)의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방지밸브(1521, 1522)는 상기 축방향홀(1510h)의 유입부에 구비된 제1복귀방지밸브(1521), 상기 축방향홀(1510h)의 유출부에 구비된 제2복귀방지밸브(1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1521), 제2복귀방지밸브(1522)는 각각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1521)는 상기 축방향홀(1510h)의 유입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연결로(1300h)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1복귀방지밸브(1521)의 하부공간으로 이송된 윤활유가 다시 상기 제2상부커버(1114)의 내부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제2복귀방지밸브(1522)는 상기 축방향홀(1510h)의 유출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램(1510)의 축방향홀(1510h)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램(1510)의 축방향홀(1510h)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복귀방지밸브(1522)의 하부공간으로 이송된 윤활유가 다시 상기 램(1510)의 축방향홀(1510h) 내부 공간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돌기부(1530)는 상기 램(15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연결로(1300h)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302)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돌출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1530)는 상기 램(15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고정결합되는 결합부싱(1532)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싱(1532)이 상기 램(15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고정결합되므로, 상기 램(1510)과 상기 결합부싱(1532)의 외주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로(1300h)의 내측벽은 상기 램(1510)과 상기 결합부싱(1532) 사이의 단차로 인한 상기 램(1510)의 승하강 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로(1300h)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단차는, 예를 들어, 제1실시예의 윤활유 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 6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530)는 상기 구동유닛(16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승하강동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램(1510)이 승하강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램(1510), 제1복귀방지밸브(1521), 제2복귀방지밸브(1522), 돌기부(15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출유닛(1500)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대응 요소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유닛(16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유닛(1600)은 상기 램(1510)을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램(1510)과 고정된 돌기부(153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53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구동캠면(1612a, 1614a)이 구비되어 상기 램(1510)과 동축상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부(1530)가 승하강되게 하는 캠구동부(도 12의 1610), 상기 캠구동부(1610)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제공부(1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구동부(1610)는 제1바디(1612)와 제2바디(16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612)는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중심홀(1612h)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면에는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이 상기 돌기부(1530)의 상측부와 맞닿는 제1구동캠면(1612a)이 된다.
한편, 상기 제1바디(1612)의 외주면에는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계측캠면(1612b)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1612)의 상부측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으로 계측캠면(1612b)이 형성되되, 상기 계측캠면(1612b)의 일측에 완만하게 돌출형성된 돌출부(1612c)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계측캠면(1612b)의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바디(1612)의 중앙측 외주면에는 상기 동력제공부(16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16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161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1614)는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하는 중심홀(1614h)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캠면(1612a)과 대응하여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이 상기 돌기부(1530)의 하측부와 맞닿는 제2구동캠면(1614a)이 된다.
상기 제1바디(1612)의 하면에는 결합홀(1612c)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1614)에는 상기 결합홀(1612c)와 대응하는 결합홀(1614c)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612c)과 상기 결합홀(1614c)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바디(1612)와 상기 제2바디(1614)가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612)와 상기 제2바디(1614)가 서로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캠면(1612a)은 상기 돌기부(1530)의 상측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2구동캠면(1614a)은 상기 돌기부(1530)의 하측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제공부(16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바디(1612)가 회전됨에 따라 제2바디(1614)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돌기부(1530)는 상기 제1구동캠면(1612a)과 제2구동캠면(1614a)의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530)와 고정결합된 램(1510)이 메인하우징(1300)의 연결로(1300h) 상에서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캠면(1612a) 및 제2구동캠면(1614a)의 각 고점 부분(H)의 소정 구간과 각 저점 부분(L)의 소정 구간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캠구동부(1610)의 회전 관성에 의한 상기 돌기부(1530)의 승하강 방향 전환시 보압 및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제공부(1620)는, 예를 들어, 모터, 서버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제공부(16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일측 부분에 장착되고, 복수의 감속기어(1622) 및 상기 제1바디(1612)의 구동기어(1612b)를 통해 상기 캠구동부(16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계측유닛(1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계측유닛(1400)은 상기 구동유닛(1600)에 의해 승하강하는 램(1510)의 승하강 횟수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램(1510)의 승하강 운동과 연동된 상기 캠구동부(1610)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상기 계측유닛(14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1300)의 타측 부분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측유닛(1400)은,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캠구동부(1610)를 구성하는 제1바디(1612)의 외주부 일측에 완만하게 돌출형성된 돌출부(1612c)를 포함하여 형성된 계측캠면(1612b), 레버(1404) 및 누름버튼(1402)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1404)의 단부에 형성된 구름편(1405)이 상기 계측캠면(1612b)의 돌출 부분과 맞닿을 시 상기 누름버튼(1402)이 눌림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1610)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유닛(115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1150)은, 하부커버(1120)의 외주부 정면에 형성된 개구부(112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윤활유의 방출량 및 동작 기간의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설정된 윤활유의 방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유닛(1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1150)이 "1회 방출량 100cc, 3개월의 동작 기간 "의 설정값을 입력받았다면, 상기 제어유닛(1150)은 해당 기간동안 얼마의 주기로 100cc의 윤활유를 방출할 것인지 연산하여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자동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1510)의 1회 승하강 동작에 의해 50cc의 윤활유가 방출될 수 있다면, 상기 램(1510)이 2회 승하강 동작함에 따라 1회 방출량인 100cc의 윤활유를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150)은 디스플래이패널이 구비되어, 각종 설정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의 램(1510)이 승하강 동작하는 과정은 제1실시예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10:상부커버 120:하부커버
150:제어유닛 200:수용부
210:파우치 220:지지판
230:가압판 240:가압스프링
250:전원유닛 260:제한고리
300:메인하우징 300h:연결로
302:개구부 400:계측부
500:압출유닛 510:램
510h:축방향홀 521:제1복귀방지밸브
522:제2복귀방지밸브 530:돌기부
600:구동유닛 610:캠구동부
612:제1바디 612a:제1구동캠면
612b:계측캠면 614:제2바디
614a:제2구동캠면 620:동력제공부
622:감속기어

Claims (14)

  1.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압출하여 목적 요소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윤활유 수용 공간과 상기 목적 요소의 윤활유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윤활유를 상기 목적 요소에 공급하기 위한 축방향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에 삽입되어 승하강 구동되는 램(ram), 상기 축방향홀의 유출입부에 각각 구비된 복귀방지밸브, 상기 램과 고정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압출유닛;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구동캠면이 구비되어 상기 램과 동축상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부가 승하강되게 하는 캠구동부, 상기 캠구동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동력제공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소정 설정 기준에 맞추어 압출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내장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메인하우징, 압출유닛, 구동유닛이 내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로와 연통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자바라식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파우치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상부커버의 내면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파우치의 상면을 가압토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측이 상기 가압판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고정 지지되며, 타측 단부에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한 상기 가압판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걸림지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제한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방지밸브는,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동부는, 내측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과 맞닿는 제1구동캠면이 형성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과 맞닿는 제2구동캠면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구동기어가 형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를 통해 상기 제2바디의 구동기어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캠면 및 제2구동캠면의 각 고점 부분의 소정 구간과 각 저점 부분의 소정 구간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의 승하강 횟수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계측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은,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캠구동부의 외측 상면에 형성된 계측캠면, 레버 및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의 단부에 형성된 구름편이 상기 계측캠면의 상사점과 맞닿을 시 상기 누름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은,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캠구동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측캠면, 레버 및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의 단부에 형성된 구름편이 상기 계측캠면의 상사점과 맞닿을 시 상기 누름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캠구동부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메인하우징, 압출유닛, 구동유닛이 내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를 구성하는 제1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상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와 연통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제2상부커버, 상기 제2상부커버에 수용된 윤활유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제1상부커버의 내면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제2상부커버에 수용된 윤활유를 가압토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 상기 제2상부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상부커버의 내주면과 밀착을 위한 오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커버의 저면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2상부커버와 결합시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가압편이 구비된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배출공의 단부에 설치된 원통부싱과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원통부싱을 폐쇄하는 탄성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삽입공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커버와 상기 지지판의 결합 시, 상기 가압편이 상기 탄성핀을 밀어서 상기 원통부싱의 통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측이 상기 가압판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상부커버의 상면에 고정 지지되며, 타측 단부에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한 상기 가압판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상부커버의 상면에 걸림지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제한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20110139493A 2011-12-21 2011-12-21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116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93A KR101168928B1 (ko) 2011-12-21 2011-12-21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93A KR101168928B1 (ko) 2011-12-21 2011-12-21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928B1 true KR101168928B1 (ko) 2012-08-02

Family

ID=4688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493A KR101168928B1 (ko) 2011-12-21 2011-12-21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9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83B1 (ko) 2013-06-03 2014-06-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런저 이동식 윤활유 자동 주유장치
KR101485168B1 (ko) * 2013-09-06 2015-01-28 주식회사 태성 윤활유 공급용 펌프
KR101546379B1 (ko) 2014-03-07 2015-08-21 주식회사 케이엘티 윤활유 주입기
CN110307465A (zh) * 2019-07-30 2019-10-08 王定根 一种顺序供油装置及挖掘机全自动润滑剂注入装置
CN110486608A (zh) * 2019-08-30 2019-11-22 广东德信模钢实业有限公司 一种平面磨床导轨润滑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19B1 (ko) 2008-04-14 2009-06-08 (주)현보 그리스 공급용 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19B1 (ko) 2008-04-14 2009-06-08 (주)현보 그리스 공급용 펌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83B1 (ko) 2013-06-03 2014-06-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런저 이동식 윤활유 자동 주유장치
KR101485168B1 (ko) * 2013-09-06 2015-01-28 주식회사 태성 윤활유 공급용 펌프
KR101546379B1 (ko) 2014-03-07 2015-08-21 주식회사 케이엘티 윤활유 주입기
WO2015133846A1 (ko) * 2014-03-07 2015-09-11 주식회사 케이엘티 윤활유 주입기
CN106030183A (zh) * 2014-03-07 2016-10-12 Klt株式会社 润滑油注入器
CN110307465A (zh) * 2019-07-30 2019-10-08 王定根 一种顺序供油装置及挖掘机全自动润滑剂注入装置
CN110307465B (zh) * 2019-07-30 2024-01-26 王定根 一种顺序供油装置及挖掘机全自动润滑剂注入装置
CN110486608A (zh) * 2019-08-30 2019-11-22 广东德信模钢实业有限公司 一种平面磨床导轨润滑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928B1 (ko)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1546379B1 (ko) 윤활유 주입기
CA2565869C (en) Automatic motor driven in-line piston pump lubricator
CN108119739B (zh) 润滑油注入装置
JP2015530153A5 (ko)
KR102377778B1 (ko) 밀폐형 압축기
AU2008305586A1 (en) Peristaltic pump assembly and regulator therefor
CN104696204A (zh) 一种自适应弹性蠕动泵
KR101063018B1 (ko) 공기 가압식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CN214837034U (zh) 一种蠕动液体泵装置
CN202645909U (zh) 一种计量泵结构
DE20118004U1 (de) Akku-Kartuschenpresse
CN219849916U (zh) 一种球磨机
US8668051B2 (en) Lubricating device for linear transmission mechanism
DE102015113724A1 (de) Membranpumpe
CN215489004U (zh) 一种矿用润滑泵
CN114873195B (zh) 一种链条润滑装置及润滑系统
CN219063066U (zh) 一种多路润滑油脂加注智能分配阀
CN217632861U (zh) 一种带运动导向的低噪音自适应弹性泵头
Dearn The fine art of gear pump selection and operation
TWI529325B (zh) Self-lubricating ball screw
CN217080706U (zh) 高压柱塞泵
RU2340791C1 (ru) Дозировочный насос
CN101639063B (zh) 齿轮式油泵
JP5146993B2 (ja) ボールねじの組立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ボールねじ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