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659B1 -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659B1
KR101168659B1 KR1020110063722A KR20110063722A KR101168659B1 KR 101168659 B1 KR101168659 B1 KR 101168659B1 KR 1020110063722 A KR1020110063722 A KR 1020110063722A KR 20110063722 A KR20110063722 A KR 20110063722A KR 101168659 B1 KR101168659 B1 KR 10116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message
message transmis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용
최주희
조근환
조영재
신현호
Original Assignee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민에게 해당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긴급을 요하는 알림 정보를 문자 및/또는 음성의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에게 알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 고객의 시스템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의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자국민에 대한 알림 정보를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MESSAGE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MERGENCE INFORMATIONS FOR THEIR NATIONALS}
본 발명은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민에게 해당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이 긴급을 요하는 알림 정보를 문자 또는 음성의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에 비례해 문자서비스, 즉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이용 인구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휴대 전화의 부가 서비스로 짧은 문장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청소년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아 통신사에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특화된 요금 체계를 제공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외국(예컨대, 한국(KR))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인에게 해당국(한국) 또는 자국의 긴급 정보(예컨대, 해당국 또는 자국의 지진, 해일, 화산, 한파, 대형 산불 등과 같은 이상적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 사고로 인해 발생된 재해 정보, 또는 전쟁, 내전, 쿠테타 발생)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대사관/영사관 홈페이지나, 오프라인 신문, 라디오, TV 등의 매체를 통해 전달하고 있다. 이 경우, 외국인은 해당국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국의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관계로 공중파 방송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행동요령을 습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해당국 대사관이나 해당국가의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전달방법은 웹페이지 변경 및 업데이트, 신문제작 등 정보 전달 비용이 많이 들고, 정확한 전달을 자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재난/긴급 정보 등을 신문이나, 뉴스레터 등의 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하게 되면 실시간성이 저하되어 정보전달의 기대감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달되는 정보가 자국민만이 아닌 외부인에게 노출됨에 따라 보안상의 문제가 상존하였다.
한편, 특허 등록 제735232호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통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관들로부터 긴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해당 기지국들의 지역 내의 모든 이동 무선 단말기들에게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통보 서비스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기상청, 국방부, 경찰청 등의 기관으로부터 긴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할 때 긴급 상황 정보를 해당 기지국들의 지역 내의 모든 이동 무선 단말기들에게 방송하는 것으로, 대사관에서 자국민을 위한 비상 소식을 시스템 가입자에게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79455호에는 각종 동호회나 특정 그룹 등 동일한 업무를 하는 사람들간의 비상 연락을 위하여, 서버에 각 구성원들을 등록해 다중 비상연락 서비스를 설정해 두고, 각 구성원 중 한 사람이 다른 한사람에게 비상 연락을 전달할 경우, 다른 나머지 구성원들에게도 동일하게 비상 연락을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다중 비상연락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다중 비상연락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무선 기지국, 이동 교환국, HLR, VLR, 비상 연락 서버, 비상연락 데이터베이스, SMS(Short Message Service) 센터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다중 비상연락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일일이 각 사람들에게 전화를 걸거나, SMS 메시지로 전달할 필요 없이 한 사람에게만 전달해도 자동으로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전달해 줄 수 있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동호회나 팀원들에게 짧은 시간에 모든 사람에게 비상 연락을 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중 비상연락 서비스 시스템은 대사관에서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상황을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없다.
공개특허 제2009-85402호에는 자국민이 해외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국제 통신망을 이용하여 국내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긴급 대응 대상자가 현지에서 적절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해외 긴급 대응 지원 시스템 및 해외 긴급 대응 지원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해외 긴급 대응 지원 방법은,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희망하는 이용자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자의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용자로부터 긴급 상황 발생시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허락받는 인증 절차를 거쳐 인증된 긴급 대응 대상자의 정보를 긴급 대응 대상자 DB에 저장하고, 국제 통신망을 이용하여 해외에서 발신된 긴급 대응 요청 호를 수신할 때 긴급 대응 요청 내용을 접수하고, 긴급 대응 대상자가 위치하는 국가의 지역을 파악하여 해당 국가의 지역에 위치하는 긴급 대응 기관에 설치된 단말로 긴급 대응 대상자의 정보, 긴급 대응 요청 내용 및 긴급 대응 대상자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긴급 대응 서비스 요청방법은 대사관에서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상황을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인에게 해당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긴급을 요하는 정보를 문자 또는 음성의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에게 알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 고객의 시스템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의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자국민에 대한 알림 정보를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장치를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제1국가 내에 존재하는 모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고객의 모국어 또는 상기 제1국가의 해당 국가 언어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알림 정보는, 문자와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는, 상기 고객의 동의를 얻어 해당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는,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구비되며,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ㆍ관리한다.
상기 고객의 단말기 정보는 적어도 고객명,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는,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고객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저장부와, 상기 단말기 정보를 메시지 전송장치에 전달하는 고객정보 전송부와,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는,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달된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정보 수신부와, 상기 단말기 정보가 고객정보 저장부의 제1데이터 베이스와 동일하게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ㆍ관리되는 고객정보 저장부와, 상기 고객의 대사관/영사관에서 자국민에게 보낼 알림 정보를 메시지로 입력하는 메시지 입력부와, 발송 제어 명령에 따라 메시지를 상기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는 원격으로 메시지 전송장치를 제어하여 메시지의 발송 횟수를 제한하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에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원격 제어부의 원격 제어를 받으며, 전송 메시지의 월 발송 횟수를 카운트하여 고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긴급한 비상 정보나 자국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에게 알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제1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 고객의 서비스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고객의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자국민에 대한 알림 정보를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국에 배치된 영사관 및/또는 대사관은 해당국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민에게 해당국에서 비상사태 및 재난재해와 같은 각종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 정보와 대피 또는 행동 요령 등을 이동통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자국민을 보호하고, 정보를 전달받는 자국민은 국가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국인에게 비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고객정보 관리장치와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국인에게 비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객정보 관리장치와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국인에게 비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외국에 배치된 영사관 및/또는 대사관으로부터 해당국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민 중에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긴급을 요하는 정보(외국(예컨대, 한국(KR))에 거주 또는 거소하는 자국인에게 해당국(한국) 또는 자국(예를 들어, 미국 또는 일본)의 긴급 정보(예컨대, 해당국 또는 자국의 지진, 해일, 화산, 한파, 대형 산불 등과 같은 이상적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 사고로 인해 발생된 재해 정보, 또는 전쟁, 내전, 쿠테타 발생)를 대피 또는 행동 요령과 함께 이동통신만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음성의 메시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자국민을 보호하는 시스템이다.
예컨대, 본 발명 시스템은, 미국(US), 일본(JP), 중국(CN) 등의 영사관 및/또는 대사관이 시스템 운영의 주체가 되어, 한국(KR)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 중에 시스템에 가입을 요청한 고객(10)의 경우 이동통신 사업자(40)로부터 단말기 정보(예컨대, 성명, 이동전화번호)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장치(20)와, 해당 국가 외국인의 단말기 정보(이동전화번호)를 바탕으로 알림 정보(긴급/재난 메시지, 그외 각종 정보)를 이동통신망(60)을 이용하여 해당 외국인의 단말기, 즉 고객(10)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알림 정보는, 제1국가(예를 들어, 한국) 내에 존재하는 제3국가(예를 들어, 미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입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3국가의 해당 국가 언어(예를 들어, 영어)로 제공된다. 이때,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제공되거나, 문자 및 음성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시각장애자인 경우,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저렴한 메시지 전송장치를 구비하고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원하는 비상정보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고객정보 관리장치(20)는 인터넷에 접속된 시스템 서버로서, 비상 정보 전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자국의 국민이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시 가입자(고객)의 동의를 얻어 해당 통신사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한다. 예컨대, 고객정보 관리장치(20)는 한국(KR)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미국인이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하면 해당 고객(10)의 동의를 얻어 해당 고객의 단말기 정보(예컨대, 고객명, 이동통신사명, 이동전화번호, 식별번호, 국가명, 가입일자 등)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한다.
상기 이동전화번호는 USIM칩에 들어 있는 이동국 국제 ISDN 번호(Mobile Station ISDN Number)를 뜻한다.
여기서, 식별번호의 예로, 국제 이동단말기 식별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ndentity)나 USIM 식별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ndentit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국가명은 바이너리 코드로 나타낼 수 있는데, 그 예로 미국(US)의 경우 '0x3ff', 일본(JP)의 경우 '0x17e'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고객정보 관리장치와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에 도 2를 참조하여 고객정보 관리장치(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사업자(40)로부터 단말기 정보(즉, 고객정보)를 입력받는 고객정보 입력부(25)와, 원격으로 메시지 전송장치(30)를 제어하여 메시지의 발송 횟수를 제한하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원격 제어부(23)와, 입력된 단말기 정보(고객 정보)를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저장부(26)와, 단말기 정보(고객정보)를 메시지 전송장치(30)에 전달하는 고객정보 전송부(27)와, 단말기 정보(고객정보) 전송시 인터넷에서의 해킹에 따른 정보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내용을 암호화하는 암호화부(24)와, 고객정보 관리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PU)(22)와, 모니터(21)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20)는 시스템 서버 역할을 하면서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며, 사용자, 즉 고객은 인터넷을 통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외국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고객으로 가입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대한 가입은 온라인을 이용한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하는 방법 이외에 온라인 가입 신청이 용이하지 못한 노약자, 장애인, 기타의 고객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신청하는 것을 받아서, 가입 절차를 대신해주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고객정보 저장부(26)는 고객(10)이 시스템에 가입을 신청하는 경우 이동통신사업자(40)로부터 입수한 고객단말기 정보(고객 정보)로서 예컨대 고객명, 이동통신사명, 이동전화번호(MS-ISDN 번호), 식별번호(IMEI 번호), 국가명, 가입일자 등을 데이터 베이스(D/B)를 구축하여 보관하고 있다.
또한, 고객(10)이 단말기 분실, 단말기 교체 등으로 인하여 고객단말기 정보(고객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기 정보를 변경 등록할 때 고객정보 관리장치(20)는 이동통신사업자(40)로부터 상기와 동일하게 고객단말기 정보(고객 정보)를 입수하여 고객정보 저장부(26)의 데이터 베이스(D/B)를 갱신ㆍ관리한다.
한편, 메시지 전송장치(30)는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구비되며, 고객정보 관리장치(20)로부터 자국민의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ㆍ관리한다. 예컨대, 메시지 전송장치(30)는 미국 대사관에 구비되어, 고객정보 관리장치(20)로부터 미국인, 즉 자국인의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ㆍ관리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메시지 전송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객정보 관리장치(20)로부터 암호화되어 전달된 단말기 정보(고객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는 고객정보 수신부(35) 및 암호화부(31)와, 복호화된 단말기 정보(고객정보)를 고객정보 저장부(26)의 데이터 베이스(D/B)와 동일하게 저장ㆍ관리되는 고객정보 저장부(36)와, 각국의 대사관/영사관 등에서 자국민에게 보낼 메시지를 입력하는 메시지 입력부(37)와, 발송 제어 명령에 따라 메시지를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38)와, 메시지의 발송 횟수를 제한하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제어부(33)와, 메시지 전송장치(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PU)(32)와, 모니터(34)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정보 저장부(26)의 데이터 베이스(D/B)는 고객정보 저장부(36)의 데이터 베이스(D/B)와 동일하게 저장ㆍ관리가 이루어지도록 SYNC 기능이 S/W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장치(30)는 알림 정보의 전송 방식(문자, 음성, 문자 및 음성 등)을 관리한다. 이때 알림 정보는 자국어(예를 들어, 영어) 또는 거주국가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전달 언어는 대사관에서 일괄적으로 자국어(영어)로 전송하거나, 또는 고객 가입시 가입자가 지정한 언어로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메시지 전송장치(30)에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제어부(33)를 구비하고, 과도한 메시지 발송을 억제하도록 전송 메시지의 월 발송 횟수를 카운트하여 고객정보 관리장치(20)로 전송하고,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원격 제어부(23)의 원격 제어를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시 영사관 및 대사관과 고객의 협조를 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이동전화번호를 입수하여 저장ㆍ가공하여 구축하고, 해당국의 대사관/영사관 등에 알림 정보(긴급/재난 메시지, 그외 각종 정보)를 전달ㆍ제어하는 메시지 전송장치(30)를 구성하여 별도로 뉴스레터, 웹페이지 제작 등의 오프라인 작업을 하지 않고도, 정보의 전달이 필요할 경우 즉시 전달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비상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상에서 알림 정보(긴급/재난 메시지, 그 외 각종 정보)를 원하는 고객(10)으로부터 가입 요구가 고객정보 관리장치(20)에 접수되면(S101), 고객정보 관리장치(20)의 제어부(22)는 온라인을 통하여 이동통신 사업자(45)와 협의를 거쳐서 고객(10)의 단말기 정보를 입수하여(S102,S103), 알림 서비스를 위한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확보한다. 이때 입수되는 단말기 정보는 일예로, 고객명, 이동전화번호, IMEI/IMSI 식별번호, 국가명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정보는 고객정보 저장부(26)의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그 후, 고객정보 관리장치(20)는 시스템에 가입 완료되어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단말기 개통을 고객(45)에게 알린다(S104).
고객정보 관리장치(20)는 확보된 단말기 정보를 고객정보 전송부(27)를 통하여 인터넷(50)을 통해 메시지 전송장치(30)로 전송하고(S105), 이때 정보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부(24)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단말기 정보를 받은 메시지 전송장치(30)는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확인메시지를 고객정보 관리장치(20)로 전송하여(S106), 송신측에 응답한다.
메시지 전송장치(30)는 암호화부(31) 및 고객정보 수신부(35)를 통하여 고객정보 관리장치(20)로부터 암호화되어 전달된 단말기 정보(고객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단말기 정보(고객정보)를 고객정보 저장부(36)의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한다.
그 후, 대사관/영사관 등에서 긴급한 비상 정보나 자국의 정보와 같이 알림 정보의 전달 필요성이 발생할 때 메시지 입력부(37)를 통하여 제어부(32)에 해당 메시지를 입력하면(S107), 제어부(32)는 메시지 송신부(38)를 가동시켜 해당 메시지를 이동통신망(60)을 통하여 고객(대사관/영사관 입장에서는 자국민임)(10)에게 전달한다(S108,S109). 이때 전달되는 메시지는 고객의 설정에 따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전송되거나, 문자 및 음성으로 전송된다. 또한, 메시지는 고객의 설정에 따라 해당 언어로 제공되거나, 대사관/영사관에서 지정하는 자국의 언어로 제공될 수 있다.
메시지 입력부(37)에는 각 국가의 언어를 지원할 수 있는 언어 번역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즉, 알림 정보를 전송할 때, 가입자 언어 선택에 따라 해당 언어로 번역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인 대사관/영사관 등에서 자국민으로 등재된 고객 등에게만 긴급한 비상 정보나 자국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월별로 메시지의 발송 횟수를 원격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이동전화번호 정보를 보안을 지키면서 실시간으로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와 일치시켜서, 해당 정보로 해당 외국의 대사관 및 영사관에서 국내 거주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 및 재난 정보 등을 동보 전송케하는 사업에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메시지의 발신량을 조절함으로써 무분별한 메시지의 발신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고객 20: 고객정보 관리장치
21,34: 모니터 22,32: 제어부
23: 메시지 전송횟수 계수 및 원격제어부 24,31: 암호화부
25: 고객정보 입력부 26,36:고객정보 저장부
27: 고객정보 전송부 30: 메시지 전송장치
33: 메시지 전송횟수 계수 및 제어부 35: 고객정보 수신부
37: 메시지 입력부 38: 메시지 송신부
40: 이동통신 사업자 50: 인터넷
60: 이동통신망

Claims (17)

  1.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에게 모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긴급한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 고객의 시스템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ㆍ관리하며, 상기 고객이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로서 역할을 하는 고객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모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서 자국민에게 보낼 긴급한 비상 정보를 메시지로 입력하는 메시지 입력부와,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제1데이터 베이스와 동일하게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저장부와, 발송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의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입력하는 자국민에 대한 긴급한 비상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는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구비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고객의 모국어로 제공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거주 국가의 언어로 제공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문자와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는, 상기 고객의 동의를 얻어 해당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ㆍ관리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단말기 정보는 적어도 고객명,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는,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고객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ㆍ관리하는 고객정보 저장부와,
    상기 단말기 정보를 메시지 전송장치에 전달하는 고객정보 전송부와,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는 원격으로 메시지 전송장치를 제어하여 메시지의 발송 횟수를 제한하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에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원격 제어부의 원격 제어를 받으며, 전송 메시지의 월 발송 횟수를 카운트하여 고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횟수 계수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11. 삭제
  12.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에게 모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긴급한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외국에 거주 또는 거소 중인 자국민 고객의 서비스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정보 관리장치의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아 메시지 전송장치의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으로부터 메시지 전송장치에 자국민에 대한 긴급한 비상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자국민에 대한 긴급한 비상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고객의 모국어 또는 거주 국가의 언어로 구성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의 월별 전송 횟수를 제한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문자와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단말기 정보는 적어도 고객명과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자국민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110063722A 2011-06-29 2011-06-29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8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22A KR101168659B1 (ko) 2011-06-29 2011-06-29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22A KR101168659B1 (ko) 2011-06-29 2011-06-29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659B1 true KR101168659B1 (ko) 2012-07-25

Family

ID=4671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22A KR101168659B1 (ko) 2011-06-29 2011-06-29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6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287B2 (en) Cellular messaging alert method and system
US70133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distribution of mobil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US9125057B2 (en) Mobile device management
US7966020B2 (en) Wireless user based notification system
US9197639B2 (en) Method for sharing data of device in M2M 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for
EP1973372B1 (en) Location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CN101127941B (zh) 一种为群组订阅移动业务的方法及管理中心服务器
KR100650739B1 (ko) 개방형 api를 이용한 메시지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US20140141720A1 (en) Cloud Service for making Social Connections
ES2784239T3 (es) Difusión de avisos a una pluralidad de diversos dispositivos de comunicaciones
GB2507592A (en) Remote storage and retrieval of messages
US8566478B2 (e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US20130288750A1 (en) Wireless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wireless terminal apparatus
US8140097B2 (en) Mobile domain registry and content platform
CN111479221B (zh) 移动发起的sms小区广播的方法和系统
TWI420426B (zh) Multidimensional emergency messaging system
Aloudat et al. Location-based services in emergency management-from government to citizens: Global case studies
JP3818816B2 (ja) 危機管理情報初動通報方法、危機管理情報初動通報システム、ならびに危機管理情報初動通報装置
KR101168659B1 (ko) 자국민에게 비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국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25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를 리셋하는 서비스 방법, 그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42572A (ko) 스펨성 에스엠에스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366B1 (ko) 인바운드 로머에 무 SIM 기기를 통한 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34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38034B1 (ko) Ota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이동방송 서비스에 있어서의 가입자 정보 변경 처리 결과 조회 시스템
McKiou et al. Location based service extensions for general communications and application enab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