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004B1 - Led 조명등 - Google Patents

Led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004B1
KR101168004B1 KR1020120015815A KR20120015815A KR101168004B1 KR 101168004 B1 KR101168004 B1 KR 101168004B1 KR 1020120015815 A KR1020120015815 A KR 1020120015815A KR 20120015815 A KR20120015815 A KR 20120015815A KR 101168004 B1 KR101168004 B1 KR 10116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nnector
unit
casing
po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미숙
Original Assignee
권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미숙 filed Critical 권미숙
Priority to KR102012001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이 설치될 장소에 내삽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안착되며 2단으로 형성되는 PCB부와, 상기 PCB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PCB부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PCB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PCB부에 탑재된 LED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부에 +,- 단자 이외에 시그널단자를 연결하여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조명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싱부의 외면에 걸림돌부 형성되며 그 크기를 각각 달리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의 극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부에 안착되는 PCB부는 커넥터고정돌부와 다른 커넥터고정돌부의 사이에 극성설정돌부를 위치시켜 PCB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 조명등{The lamp}
본 발명은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부에 +, - 단자 이외에 시그날단자를 더 인가하여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조명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판, 스위치 내부에 설치된 Back Lighting용으로 사용하거나, 백열등, 형광등처럼 차량의 내,외부에 장착되어 물체를 식별을 도와주는 조명용으로 예를 들면, 차량실내등, 번호판을 야간에 식별하게 해주는 번호판등, 트렁크등, 사이드미러등, 휀더등, 깜박이등으로 사용되는 LED 조명등을 살펴보면,
첫째, 다양한 모양의 필라멘트전구를 이용한 것으로 수명이 매우 짧고(100~1,000시간), 열이 많으며(손으로 잡으면 화상을 입음), 전력사용량이 많고(5~30Watt), LED조명에 비해 어두운 단점을 가지고 있고,
두번째로는 메탈 PCB에 고휘도 LED를 이용한 것이 있으나 메탈 PCB의 가격이 매우 비싸 발열이 많은 LED와 저항만 메탈 PCB를 사용하고 나머지 회로부분은 일반PCB를 따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기존 제품에 비해 비싸고 별도의 콘트롤부를 두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A/S 시 세트 전체를 바꿔야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PCB를 이용하여 소켓타입으로 제작하였으나, 열 제어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장착 LED 특성의 40%(LED 정격 전류는 350mA이며 150mA만 사용하고 있음)의 광량만을 사용하였으나 그마저도 고열발생으로 인해 별도의 Reflector를 사용하여 방열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고휘도 LED를 조명등의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일반적인 LED는 극성이 존재하여 LED의 연결이 까다로우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케이싱부의 일측에 크기를 달리한 돌부를 형성하거나 PCB의 일측에 극성설정돌부를 형성하여 조명등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04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부의 외면에 걸림돌부 형성되며 그 크기를 각각 달리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의 극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부에 안착되는 PCB부는 커넥터고정돌부와 다른 커넥터고정돌부의 사이에 극성설정돌부를 위치시켜 PCB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 단자 이외에 시그널단자를 연결하여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조명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싱부를 기존 케이스 사출물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재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부의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을 포함하여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케이싱부의 상측에 덮개부를 설치하여 PCB부에 형성된 LED가 발광하는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극성회로가 형성되는 PCB를 이단으로 사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부품이 탑재가능하도록 하였고, 두개의 PCB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PCB에 탑재된 LED에서 발생되는 많은 열을 쉽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며, 무극성회로가 사용됨으로 LED의 사용이 편리한 LED 조명등등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명등이 설치될 장소에 내삽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안착되며 2단으로 형성되는 PCB부와, 상기 PCB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PCB부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PCB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PCB부에 탑재된 LED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은 상측 중앙부에는 상기 PCB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PCB안착부와, 상기 PCB안착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밑면에 다수개의 통풍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조립체와의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B안착부의 상측에는 상기 PCB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PCB부의 극성설정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PCB안착홈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커넥터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삽입부와, 상기 커넥터삽입부의 일측에는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삽입부에 삽입되는 커넥터부는 각각 +,- 단자 및 시그널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극성표시돌부를 통해 어느 극성의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B부는 제1PCB와 제2PCB를 포함하며, 상기 제1PCB는 LED가 탑재되며, 상기 케이싱의 홈부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여 내측에 커넥터부를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고정통공을 포함하는 커넥터고정돌부와, 상기 커넥터고정돌부와 다른 커넥터고정돌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PCB부의 극성이 올바르게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극성설정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B부는 제1PCB와 제2PCB의 사이에 통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전부는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인가받은 +,- 극성 및 시그날 신호를 제1PCB에 전달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통전부를 통해 상기 제2PC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PCB와 제2PCB에 내삽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절연물질로 피복된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량실내등, 번호판을 야간에 식별하게 해주는 번호판등, 트렁크등, 사이드미러등, 휀더등, 깜박이등처럼 차량의 내,외부에 장착되어 물체를 식별을 도와주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 단자 이외에 시그널단자를 연결하여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조명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싱부의 외면에 걸림돌부 형성되며 그 크기를 각각 달리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의 극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부에 안착되는 PCB부는 커넥터고정돌부와 다른 커넥터고정돌부의 사이에 극성설정돌부를 위치시켜 PCB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싱부에는 두개의 PCB에 나뉘어 탑재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부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PCB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케이싱부의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므로 상기 PCB부에서 발열하는 열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열효과를 증대시키는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상기 2단으로 형성된 PCB는 단순하게 커넥터부를 이용하여 케이싱부에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조명등의 케이스에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구성이 단순하게 형성됨으로 부품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케이싱부에 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PCB부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PCB부에 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커넥터부에 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덮개부에 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덮개부에 관한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케이싱부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PCB부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PCB부에 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커넥터부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덮개부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덮개부에 관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내,외부에 장착되어 물체를 식별을 도와주는 조명등에 있어서, 조명등이 설치될 장소에 내삽되는 케이싱부(10)와, 상기 케이싱부(10)에 안착되며 2단으로 형성되는 PCB부(20)와, 상기 PCB부(20)와 상기 케이싱부(10)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PCB부(20)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부(30)와, 상기 PCB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PCB부(20)에 탑재된 LED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덮개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부(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중앙부에는 상기 PCB부(2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PCB안착부(11)와, 상기 PCB안착부(11)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밑면에 다수개의 통풍구(122)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2)와, 상기 베이스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조립체(미도시)와의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부(13)를 포함한다.
상기 PCB안착부(11)는 후술되는 PCB부(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2단으로 형성되는 PC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PCB안착부(11)의 상측에는 상기 PCB부(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11)과, PCB안착부(11)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덮개부(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고정통공(112)와, 상기 걸림턱(111)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PCB부(20)의 극성설정돌부(2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PCB안착홈부(113)와, 상기 케이싱부(10)의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2)에 삽입된 커넥터부(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111)은 상기 PCB부(20)가 안착되어 PCB부(20)에 탑재되는 LED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고정통공(112)은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있어 상기 덮개부(40)의 결합돌부(43)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부(10)에 상기 덮개부(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CB안착홈부(113)는 상기 걸림턱(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싱부(10)에 안착되는 PCB부(20)에 인가되는 극성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PCB부(20)의 극성설정돌부(215)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다.
상기 홈부(115)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2)의 일측에 삽입되는 커넥터부(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부(30)에 고정된 PCB부(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상기 PCB안착부(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PCB부(20)에서 방출되는 열이 순환될 수 있도록 열순환통로(121)가 형성되며, 상기 열순환통로(121)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2)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구(122)를 통해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2)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삽입부(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삽입부(123)의 일측에는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돌부(1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부(12)의 +,- 극성의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삽입부(123)는 상기 커넥터부(30)가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그 깊이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삽입부(123)는 상기 커넥터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열순환통로(121)와의 사이에 "T"자형의 격벽(1231)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커넥터부(30)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부(30)가 상기 베이스부(12)로부터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극성표시돌부(124)는 상기 커넥터삽입부(123)의 일측에 위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극이라는 표시를 하여 상기 극성표시돌부(124)가 위치한 곳에 +극 연결되어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베이스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조립체(미도시)와의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부(30)의 전원유입부(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안착부(131)와, 상기 케이싱부의 극성을 표시하는 걸림돌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부(132)는 케이싱부(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서로 상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부(132)의 크기를 각각 달리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10)의 극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CB부(2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르며 원형으로 형성된 두개의 제1PCB(21)와 제2PCB(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PCB(21)와 제2PCB(22)를 일정간격 이격시킴으로써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개의 제1PCB(21) 및 제2PCB(22)에 실장되는 부품을 나누어 설치함으로서 하나의 PCB에 많은 부품을 실장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던 종래의 것과 달리 두개의 제1PCB(21) 및 제2PCB(22)에 부품을 나뉘어 실장할 수 있어 좋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PCB(21)는 LED(211)가 탑재되며, 상기 제2PCB(2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부(10)의 걸림턱(1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홈부(115)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여 내측에 커넥터부(40)를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고정통공(215)을 포함하는 커넥터고정돌부(213)와, 상기 커넥터고정돌부(211)와 다른 커넥터고정돌부(211)의 사이에 위치하며 PCB부(20)의 극성이 올바르게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극성설정돌부(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PCB(21)와 제2PCB(22)는 사이에는 통전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전부(23)는 상기 커넥터부(40)를 통해 인가받은 +,- 극성 및 시그날 신호를 제1PCB(21)에 전달하고, 상기 제1PCB(21)는 상기 통전부(23)를 통해 상기 제2PCB(2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통전부(23)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PCB(21)와 제2PCB(22)에 내삽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연결핀(231)과, 상기 연결핀(2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절연물질로 피복된 절연체(2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부(4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상기 제1PCB(21)를 통해 제2PCB(22)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부(30)는 상기 PCB부(20)를 상기 케이싱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PCB부(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케이싱부(10)의 내측에 형성된 커넥터삽입부(123)에 상기 커넥터부(3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는 상기 제1PCB(21)의 커넥터고정통공(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30)의 측면에는 끝단부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유입부(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30)는 상기 케이싱부(10)의 양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부(30)와 다른 커넥터부(30)의 크기를 달리하거나 상기 커넥터부(30)의 색을 달리하여 극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에서는 커넥터부(30)를 다수개 형성하여 +,- 단자 및 시그널단자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케이싱부(10)의 상측에 안착되는 것으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는 상기 PCB부(20)의 커넥터고정통공(21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홈부(41)와, 상기 덮개부(4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광수집부(42)와 , 내측에는 상기 케이싱부(10)의 덮개고정부(1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돌부(4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PCB(21)의 상측에 탑재되는 LED(23)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모을 수 있도록 하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발산하는 빛이 넓게 퍼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케이싱부 20 : PCB부
30 : 커넥터부 40 : 덮개부

Claims (5)

  1. 조명등이 설치될 장소에 내삽되는 케이싱부(10)와, 상기 케이싱부(10)에 안착되며 2단으로 형성되는 PCB부(20)와, 상기 PCB부(20)와 상기 케이싱부(10)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PCB부(20)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부(30)와, 상기 PCB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PCB부(20)에 탑재된 LED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덮개부(40)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10)은 상측 중앙부에는 상기 PCB부(2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PCB안착부(11)와, 상기 PCB안착부(11)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밑면에 다수개의 통풍구(122)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2)와, 상기 베이스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조립체(미도시)와의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안착부(11)의 상측에는 상기 PCB부(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11)과, 상기 걸림턱(111)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PCB부(20)의 극성설정돌부(2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PCB안착홈부(113)와, 상기 케이싱부(10)의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2)에 삽입된 커넥터부(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2)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삽입부(123)와, 상기 커넥터삽입부(123)의 일측에는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돌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삽입부(123)에 삽입되는 커넥터부(30)는 각각 +,- 단자 및 시그널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부(20)는 제1PCB(21)와 제2PCB(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PCB(21)는 LED(211)가 탑재되며, 상기 케이싱부(10)의 홈부(115)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여 내측에 커넥터부(40)를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고정통공(215)을 포함하는 커넥터고정돌부(213)와, 상기 커넥터고정돌부(211)와 다른 커넥터고정돌부(211)의 사이에 위치하며 PCB부(20)의 극성이 올바르게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극성설정돌부(2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부(20)는 제1PCB(21)와 제2PCB(22)의 사이에 통전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전부(23)는 상기 커넥터부(40)를 통해 인가받은 +,- 극성 및 시그날 신호를 제1PCB(21)에 전달하고, 상기 제1PCB(21)는 상기 통전부(23)를 통해 상기 제2PCB(2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PCB(21)와 제2PCB(22)에 내삽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연결핀(231)과, 상기 연결핀(2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절연물질로 피복된 절연체(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KR1020120015815A 2012-02-16 2012-02-16 Led 조명등 KR10116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15A KR101168004B1 (ko) 2012-02-16 2012-02-16 Led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15A KR101168004B1 (ko) 2012-02-16 2012-02-16 Led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004B1 true KR101168004B1 (ko) 2012-07-26

Family

ID=4671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815A KR101168004B1 (ko) 2012-02-16 2012-02-16 Led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17B1 (ko) 2006-11-13 2008-05-20 장영환 초소형 칩 발광다이오드램프 소켓조립체
KR101025934B1 (ko) 2008-11-28 2011-03-30 장영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소켓 베이스 램프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17B1 (ko) 2006-11-13 2008-05-20 장영환 초소형 칩 발광다이오드램프 소켓조립체
KR101025934B1 (ko) 2008-11-28 2011-03-30 장영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소켓 베이스 램프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569B1 (ko) Led 조명등
US6536924B2 (en) Modular lighting unit
US7413325B2 (en) LED bulb
US20130294059A1 (en) Led light fixture
KR20130096624A (ko)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조명시스템
JP2006012860A (ja) 表示・照明システム
KR101193113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KR101764056B1 (ko) 조명장치
KR10108649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2016021367A (ja) Led照明装置
JP5793271B1 (ja) Led照明装置
KR101185052B1 (ko) 조명등
KR101168004B1 (ko) Led 조명등
JP2014186840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RU2569258C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77477B1 (ko) Led 조명기구
WO2013108666A1 (ja) 車両用灯具
JP5793264B1 (ja) Led照明装置
JP5455951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520225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선 접속장치
KR101125221B1 (ko) Led 전구의 결합구조
JP2016021405A (ja) Led照明装置
CN216345598U (zh) 新型灯泡及灯串
CN208382025U (zh) Led汽车灯
KR101325019B1 (ko) 조명등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