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887B1 -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887B1
KR101167887B1 KR1020120020245A KR20120020245A KR101167887B1 KR 101167887 B1 KR101167887 B1 KR 101167887B1 KR 1020120020245 A KR1020120020245 A KR 1020120020245A KR 20120020245 A KR20120020245 A KR 20120020245A KR 101167887 B1 KR101167887 B1 KR 10116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arking lot
hole
facility
flow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2002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2Permeable memb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식생토가 충전되고 초목류가 식재된 화단조성부와 강우유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통합비점오염 처리부를 결합하여 주차장 지역에 화단을 조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절한 비점오염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통합비점오염 처리부가 상단 전처리조와 중단 여과조 및 하단 집수배출조를 포함하하여 강우유출수의 유입량에 따라 적합한 비점오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Integrative nonpoint source treatment system using flower bed prepa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화단조성시설을 이용하여 비점오염을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장 조경과 비점오염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의 수량에 따라 비점오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에는 외곽부 또는 구획이 필요한 부분에 화단조경시설이 구비된다. 이러한 화단조성시설은 화단을 설치하고 이에 초목류를 식재하는 단순한 조경시설에 불과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차장 구역 내의 비점오염을 처리하기 위해서 화단조성시설과는 별도로 비점오염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한다. 이 경우 한정된 주차장 구역의 면적을 화단조성시설과 비점오염 처리시설이 이중으로 점유하게 되기 때문에 주차공간을 축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주차장 구역 내에 설치되는 화단조성시설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79935호와 같이, 식재공간을 가지는 블록으로 구성되어 주차장에 녹지 조성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녹지 공간을 조성할 수 있고, 덮개부나 단위 블록의 교체를 통하여 수리, 청결, 유지 등이 용이하여 주차장이나 공원, 아파트 단지에 쾌적한 녹지 공간을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의 경우 단순히 주차장에 녹지를 조성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에 대한 비점오염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비점오염 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에 설치되는 화단조성시설을 이용하여 비점오염을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장 조경과 비점오염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의 수량에 따라 비점오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생토가 충전되며, 초목류가 식재되는 화단조성부와; 상기 화단조성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전처리조와 중단 여과조 및 하단 집수배출조를 구비한 통합비점오염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 전처리조는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전처리조 본체와, 상기 전처리조 본체의 전후벽에 형성되어 주차장 포장으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외부 유입구와, 상기 전처리조 본체의 좌우벽에 구비되어 상기 화단조성부 내의 유입수가 유입되는 내부 유입구 및, 상기 전처리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전처리하는 전처리 여과망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여과조는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여과조 본체와,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여과하는 중단 여과망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는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을 가지는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와,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의 좌우벽에 형성되어 상기 화단조성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연통공 및 상기 전면벽에 설치되어 집수된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최종 처리수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외부 유입구에는 외부 여과망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유입구에는 내부 여과망이 구비된다.
상기 전처리 여과망은 상기 상단 전처리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칸막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중단 여과망은 상기 중단 여과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칸막이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설치된다.
상기 중단 여과조 본체의 전면벽에는 강우유출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공이 형성되며, 상기 침투공에는 침투 여과망이 설치된다.
상기 화단조성부의 바닥에는 유공관이 설치되고, 상기 유공관의 단부는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의 내부 연통공에 연결된다.
상기 유공관에 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화단조성부의 상단 높이에 위치하는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생토가 충전되고 초목류가 식재된 화단조성부와 강우유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통합비점오염 처리부를 결합한 것이므로 주차장 지역에 화단을 조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절한 비점오염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비점오염 처리부가 상단 전처리조와 중단 여과조 및 하단 집수배출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강우유출수의 유입량에 따라 적합한 비점오염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사시도,
도 2는 식생토와 초목류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통합비점오염 처리부의 종단정면도,
도 5는 통합비점오염 처리부의 종단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종단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종단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토(S)가 충전되며, 초목류(V)가 식재되는 화단조성부(100)와;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주차장 포장(P)과 하단조성부(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입수를 통합처리하는 통합비점오염 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화단조성부(1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111)을 가지는 화단조성부 본체(110)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식생토(S)를 충전하여 초목류(V)를 식재함으로써 주차장 구역을 조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111)에는 화단조성부 본체(110) 내의 처리수가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침투공(112)이 구비된다.
상기 화단조성부(100)에는 화단조성부(100)에 유입되는 각종 유입수를 여과함과 아울러 상기 통합비점오염 처리부(200)로 이송하기 위한 유공관(120)이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120)은 그 주벽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관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유공관(120)은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유공관(120)의 단부에는 그 상단이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상단 높이에 위치하는 바이배스관(130)이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관(130)은 상기 화단조성부(100)에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가 화단조성부(100)의 상단 높이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상기 유공관(120)을 통해 상기 통합비점오염 처리부(200)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합비점오염 처리부(200)는 상단 전처리조(210)와, 중단 여과조(220) 및, 하단 집수배출조(2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조(210)는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전처리조 본체(211)와, 상기 전처리조 본체(211)의 전후벽에 형성되어 주차장 포장(P)으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외부 유입구(212) 및, 상기 전처리조 본체(211)의 좌우벽에 구비되어 상기 화단조성부(100) 내의 유입수가 유입되는 내부 유입구(213)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 유입구(212)와 내부 유입구(213)에는 각각 외부 여과망(214)과 내부 여과망(215)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 또는 유입수를 여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여과망(215)은 수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그 상단이 안쪽에 위치하고 하단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6a)이 형성된 수평 칸막이(216)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216a)에는 전처리 여과망(217)이 설치된다.
상기 전처리 여과망(217)은 상기 외부 여과망(214)에 의해 여과되어 외부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와 상기 내부 여과망(215)에 의해 여과되어 내부 유입구(213)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를 재차 여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단 전처리조 본체(211)의 개방된 상면에는 스틸그레이팅(218)이 복개된다.
상기 중단 여과조(220)는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여과조 본체(221)와, 상기 중단 여과조 본체(221)의 전후벽에 형성되어 내부 처리수가 지중으로 침투하는 침투공(222)이 구비된다.
상기 침투공(222)에는 침투 여과망(223)이 설치된다.
상기 중단 여과조(220)의 내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24a)이 형성된 수평 칸막이(224)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224a)에는 중단 여과망(225)이 설치된다.
상기 중단 여과망(225)은 상기 전처리조(210)에서 유입되는 유입수와 지중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재차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는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232)을 가지는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231)와,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231)의 좌우벽에 형성되어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연통공(233)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 연통공(233)은 상기 유공관(120)의 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231)의 전면벽에는 최종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최종 처리수 배출관(234)이 구비된다.
상기 최종 처리수 배출관(234)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이 설치된 지역의 강우유출수 처리시설이나 합류식 월류수 처리시설 등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를 구성하는 상기 상단 전처리조 본체(211)의 양측에 형성된 외부 유입구(212)의 하단부가 주차장 포장(P)의 표면과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주차장 포장(P)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가 상기 상단 전처리조 본체(211)의 내부로 유입될 우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작용을 설명한다.
강우시 주차장 포장(P)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는 상기 통합비점오염 처리부(200)의 상단 전처리부 본체(211)에 형성된 외부 유입구(212)를 통해 상단 전처리부(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상기 외부 유입구(212)에 설치된 외부 여과망(214)에 의해 여과되어 각종 협잡물이 상기 상단 전처리부(2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 내부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전처리부 본체(2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전처리 여과망(217)에 의하여 재차 여과된 후 그 하부에 설치된 상기 중단 여과조(220)로 유입된다. 상기 전처리 여과망(217)은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 내에 설치되는 수평 칸막이(216)에 형성된 관통공(216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단 전처리부(210)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수평 칸막이(216)를 따라 유동하면서 그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16a)을 통해 상기 중단 여과조(220)로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216a)에 설치된 전처리 여과망(217)에 의해 여과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단 전처리조(210)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곧바로 전처리 여과망(217)과 접촉하지 않고 일단 수평 칸막이(216)를 따라 유동하면서 중앙부로 유도된 다음 전처리 여과망(217)에 의해 여과되는 것이므로 전처리 여과망(217)의 어느 한 부위에 여과 부하가 집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 여과되어 여과 효과가 상승된다.
한편, 상기 화단조성부(100) 내의 유입수의 수위가 상기 내부 유입구(212)보다 높아지게 될 경우 화단조성부(100) 내의 유입수도 상기 내부 유입구(212)를 통해 상단 전처리조(210) 내로 유입되며, 상술한 작용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중단 여과조(220) 내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중단 여과망(225)에 의해 여과된 후 그 하부에 설치된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로 유입된다. 상기 중단 여과망(225)은 상기 중단 여과조(220) 내에 설치되는 수평 칸막이(224)에 형성된 관통공(224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중단 여과조(220)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수평 칸막이(224)를 따라 유동하면서 그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24a)을 통해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로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224a)에 설치된 중단 여과망(225)에 의해 여과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단 여과조(220)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곧바로 중단 여과망(225)과 접촉하지 않고 일단 수평 칸막이(224)를 따라 유동하면서 중앙부로 유도된 다음 중단 여과망(225)에 의해 여과되는 것이므로 중단 여과망(225)의 어느 한 부위에 여과 부하가 집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 여과되어 여과 효과가 상승된다.
한편, 상기 중단 여과조(220) 내의 수위가 그 전후벽에 형성된 침투공(222)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중단 여과조(220) 내의 강우유출수가 침투공(222)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된다. 이때 상기 침투공(222)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되는 강우유출수는 상기 침투공(222)에 설치된 침투 여과망(223)에 의해 여과된 후 지중으로 침투하게 된다.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 내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그 전면벽에 설치된 최종 처리수 배출관(234)을 통해 강우유출수 처리시설이나 합류식 월류수 처리시설 등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화단조성부(100) 내에 직접 내린 강우수는 상기 식생토(S)에 스며들어 하강하게 되고, 일부는 바닥(111)에 형성된 침투공(112)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되고, 나머지는 바닥에 설치된 유공관(120)에 천공된 복수개의 통공을 통과하여 여과되면서 유공관(120) 내로 유입되고, 그 단부에서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 내로 유입되어 집수 및 배출된다.
상기 화단조성부(100)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화단조성부(100) 내의 강우유출수가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의 내부 유입공(213)을 통해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 내로 유입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단 전처리조(210)에 의한 전처리 과정과 상기 중단 여과조(220)에 의한 중단 여과 과정 및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에 의한 집수 및 배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단조성부(100) 내의 수위가 더 상승하여 화단조성부(100)의 상단에 이르게 되면, 상기 바이패스관(130)의 상단으로 유입되어 곧바로 상기 유공관(120) 내로 유입되며, 유공관(120)을 통해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 내로 바이패스되어 집수 및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화단조성부 112 : 침투공
120 : 유공관 130 : 바이패스관
200 : 통합비점오염 처리부 210 : 상단 전처리조
211 : 상단 전처리조 본체 212 : 외부 유입구
213 : 내부 유입구 214 : 외부 여과망
215 : 내부 여과망 216 : 수평 칸막이
217 : 전처리 여과망 220 : 중단 여과조
221 : 중단 여과조 본체 222 : 침투공
223 : 침투 여과망 224 : 수평 칸막이
225 : 중단 여과망 230 : 하단 집수배출조
231 :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 233 : 내부 연통공
233 : 최종 처리수 배출관

Claims (6)

  1. 식생토(S)가 충전되며, 초목류(V)가 식재되는 화단조성부(100)와;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전처리조(210)와 중단 여과조(220) 및 하단 집수배출조(230)를 구비한 통합비점오염 처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 전처리조(210)는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전처리조 본체(211)와, 상기 전처리조 본체(211)의 전후벽에 형성되어 주차장 포장(P)으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외부 유입구(212)와, 상기 전처리조 본체(211)의 좌우벽에 구비되어 상기 화단조성부(100) 내의 유입수가 유입되는 내부 유입구(213) 및, 상기 전처리조 본체(2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전처리하는 전처리 여과망(217)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여과조(220)는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여과조 본체(221)와,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여과하는 중단 여과망(225)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는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232)을 가지는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231)와,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231)의 좌우벽에 형성되어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연통공(233) 및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 본체(231)의 전면벽에 설치되어 집수된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최종 처리수 배출관(23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입구(212)에는 외부 여과망(214)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유입구(213)에는 내부 여과망(21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여과망(217)은 상기 상단 전처리조 본체(2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칸막이(21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16a)에 설치되며,
    상기 중단 여과망(225)은 상기 중단 여과조 본체(2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칸막이(224)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224a)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여과조 본체(221)의 전면벽에는 강우유출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공(222)이 형성되며, 상기 침투공(222)에는 침투 여과망(223)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바닥에는 유공관(120)이 설치되고, 상기 유공관(120)의 단부는 상기 하단 집수배출조(230)의 내부 연통공(233)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120)에 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화단조성부(100)의 상단 높이에 위치하는 바이패스관(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20120020245A 2012-02-28 2012-02-28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116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45A KR101167887B1 (ko) 2012-02-28 2012-02-28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45A KR101167887B1 (ko) 2012-02-28 2012-02-28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887B1 true KR101167887B1 (ko) 2012-07-23

Family

ID=4671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245A KR101167887B1 (ko) 2012-02-28 2012-02-28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211A (zh) * 2019-01-16 2019-04-0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海绵校园用引水分流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60B1 (ko) 2008-12-03 2009-10-07 신강하이텍(주)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60B1 (ko) 2008-12-03 2009-10-07 신강하이텍(주)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211A (zh) * 2019-01-16 2019-04-0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海绵校园用引水分流组件
CN109555211B (zh) * 2019-01-16 2024-01-1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海绵校园用引水分流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3147B2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696573B2 (en) Tree box filter with hydromodification panels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US20100206790A1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flow distribution overflow/bypass tray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CN100400439C (zh) 一种用于处理污水的人工湿地
CN105174635A (zh) 多级雨水生物处理装置
KR101167887B1 (ko) 주차장 화단조경시설을 이용한 통합비점오염원 처리시설
CN2920987Y (zh) 一种用于处理污水的人工湿地
KR101331596B1 (ko) 초기 강우 정화 침투 수로관
KR20120138861A (ko) 녹화 벽면이 구비된 파고라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101499172B1 (ko) 빗물 이용 장치
CN107806171A (zh) 一种一体化增强型雨水花园
CN104743674A (zh) 模块化人工湿地处理装置
KR100988864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KR101530970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190246B1 (ko) 초기 빗물 배제장치
CN102219317A (zh) 一种污水预处理池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CN207525854U (zh) 屋面、地面雨水净化系统
CN201990517U (zh) 一种污水预处理池
KR102215767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US11926548B2 (en) Flow control riser within a storm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