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733B1 - 재송신을 이용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송신을 이용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733B1
KR101166733B1 KR1020047021555A KR20047021555A KR101166733B1 KR 101166733 B1 KR101166733 B1 KR 101166733B1 KR 1020047021555 A KR1020047021555 A KR 1020047021555A KR 20047021555 A KR20047021555 A KR 20047021555A KR 101166733 B1 KR101166733 B1 KR 10116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bgroup
users
channel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724A (ko
Inventor
매트 그롭
아라크 수티봉
애브니쉬 아그라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0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6Channel splitting in point-to-point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자동 반복 요청 (ARQ) 등의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들의 그룹이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으로 분할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각 사용자는 정보 송신용으로 몇몇 채널들을 할당받는다.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채널 수는 서브그룹의 수 및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다. 송신 간격들은, 다수의 서브그룹들 간에 교번되어, 어떤 송신 기간 동안에는, 하나의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그룹의 특정한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그 특정한 사용자에 의해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된다.
Figure R1020047021555
다중 접속 시스템, 자동 반복/재송신 요청, 사용자 다중화

Description

재송신을 이용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R-MULTIPLEXING IN MULTIPLE ACCESS SYSTEMS WITH RETRANSMISSION}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최근,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아키텍처, 신호 프로세싱, 및 프로토콜에 관한 여러 기술적인 진보 및 개선을 고려해 볼 때,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용량이 계속 빠르게 향상하고 있다. 무선 통신의 영역에서는, 다양한 다중 접속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어, 시스템 용량이 증가하고, 급증하는 사용자의 요구들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 및 표준들로는 TDMA (시분할 다중 접속), F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FDMA 시스템은, 각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특정 주파수상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반면, TDMA 기술을 채용하는 시스템은, 각 사용자로 하여금 그에게 할당된 또는 배분된 타임 슬롯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하여, CDMA 시스템은, 각 사용자에게 고유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주파수 및 동일한 시간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이다. OFDMA 시스템에서는, 하이 레이트 데이터 스트림을, 다수의 서브캐리어들 (본원에서는 서브캐리어 주파수들이라고도 함) 을 통하여 병행하여 동시에 송신하는 다수의 로워 레이트 (lower rate) 데이터 스트림으로 나눠지거나 분할된다. OFDMA 시스템에서의 각 사용자는, 정보 송신을 위하여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의 서브세트를 제공받는다. OFDMA 시스템에서는, 각 사용자에게 제공한 캐리어들의 서브세트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예컨대, 주파수도약 OFDMA (FH-OFDMA) 의 경우와 같이 변동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TDMA, FDMA, 및 CDMA에서의 다중 접속 기술들을 도시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DMA에서의 통신 채널들은, 특정 채널이 특정 주파수에 대응되게 하여 주파수에 의해 분리된다. TDMA 시스템에서는, 통신 채널들은, 특정 채널이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되게 하여 시간에 의해 분리된다. 이에 비하여, CDMA 시스템에서는, 통신 채널들은, 특정 채널이 특정 코드에 대응되게 하여 코드에 의해 분리된다.
무선 시스템에서, 모든 단일 송신마다 신뢰성있는 패킷 송신을 보장하는 것은 대개 비효율적이다. 특히, 기본적인 채널 조건들이 송신마다 격렬하게 변하는 시스템에서, 그러한 비효율성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FH-OFDMA 시스템에서는, 프레임들/패킷들 사이에서 수신 신호대 잡음비 (SNR) 의 폭넓은 변동이 있으므로, 각각의 패킷 송신마다 작은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를 보장하는 것은 어렵고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 및 비효율성은 TDMA, FDMA, 직교 CDMA 등을 포함하는 (다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직교 다중 접속 기술들을 채용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동 재송신/반복 요청 (ARQ) 방식 등의 패킷 재송신 메커니즘이 이러한 비효율성의 감소를 돕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패킷이 통과하는데 평균적으로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더 높은 패킷 지연시간이라는 손실을 입는다. 일반적으로, 큰 패킷 지연시간은, 데이터 트래픽에 있어서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정보 송신시에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음성트래픽 또는 다른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불리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패킷 송신 지연시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시스템 효율 (throughput) 또는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수 등에 기초하여)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송신 지연시간은 낮거나 작게 유지되어야 한다.
ARQ 방식을 채용하는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송신에 대한 확인응답과 연관된 무시할 수 없는 부가적인 지연이 있다. 특히, 이전에 송신한 패킷의 확인응답 (ACK/NAK) 이 되돌아오기 전에는, 몇번의 패킷 송신이 발생할 수도 있다. 링크 활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스템에서 S-채널 ARQ가 구현될 수 있다. S-채널 ARQ라는 용어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 S 개의 인터레이스들 (또는 S개의 인터레이싱 패킷 스트림들) 이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스템에는, 종종 듀얼 채널 ARQ가 구현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얼 채널이란 용어는,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 (도 2에서 실선 및 쇄선으로 나타냄) 2개의 인터레이싱 패킷 스트림이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 형태에서는, 다음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확인응답 (ACK/NAK) 이 되돌아오는 것을 대기하기보다는, 송신기가 전송할 수 있을 때마다 패킷을 계속 전송하고, 확인응답이 도달한 때에 그 확인응답에 답한다. 듀얼 채널 ARQ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활용 (예컨대, 링크 활용) 이 개선되지만, 송신 지연시간은 계속해서 해결해야할 필요가 있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 에러가 있는 경우 (예컨대, 슬롯 인덱스 n+2에서의 패킷 인덱스 제 2번 송신에 에러가 있는 경우), 그러한 에러의 확인응답 (예컨대, NAK) 이 슬롯 인덱스 n+3에 수신되고, 각각의 패킷은 일 슬롯 (슬롯 인덱스 n+4) 이후에 비로소 재송신한다.
따라서, ARQ 등의 패킷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시스템들에서 송신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며 제 1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채널들을 가지는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각 서브그룹에서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채널 수는 그 서브그룹들의 수 및 이용가능한 다중 채널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한다. 그 결정된 수의 채널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된다.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 간에 송신 간격을 교번시키되,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단지 하나의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1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 송신을 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그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에 대한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ARQ 방식을 채용하며 제 1 사용자 그룹 및 제 2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채널들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그룹의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는, 제 1 그룹의 서브그룹의 수 및 그 제 1 그룹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그 결정된 수의 채널은 제 1 그룹의 각각의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된다. 제 1 그룹의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 간에 송신 간격을 순환시키되,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제 1 그룹의 단지 하나의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 1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 송신을 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그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되며, 제 2 사용자 그룹이 제 1 사용자 그룹과 동시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보 송신용 다중 통신 채널들을 공유하는 다수 사용자들의 제 1 그룹 및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통신 채널들을 구비하는, 에러 정정용으로 재송신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 1 그룹의 다수 사용자들은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된다. 각 사용자들은 이용가능한 통신 채널들의 수 및 사용자 서브그룹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수의 통신 채널들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를 할당받는다. 송신 간격들은 제 1 그룹의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간에 순환되며,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제 1 그룹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중 일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고, 제 1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에러 정정용으로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이용가능한 총 통신 채널 수 및 시스템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총 사용자 수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제 1 사용자 그룹을, 그 그룹 내의 총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으로 분할한다. 이용가능한 통신 채널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는, 이용가능한 총 통신 채널 수 및 제 1 그룹의 서브그룹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다. 제 1 그룹의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 간에 송신 간격을 교번시키되,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단지 하나의 제 1 그룹의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 1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 송신을 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그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그 머신로 하여금,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및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를 결정하고;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며; 그 서브그룹들의 수 및 이용가능한 채널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채널 수를 결정하며;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결정된 수의 채널들을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하며; 그리고, 제 1 그룹의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 간에 송신 간격을 교번시키되,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단지 하나의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1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 송신을 하지 않는 유휴 간격을 그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 이용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여러 양태 및 특징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개시되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도 1은 다양한 다중 접속 시스템들의 다양한 채널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듀얼 채널 ARQ 시스템에서 2개의 인터레이싱 패킷 스트림들이 있는 패킷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접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시스템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안된 시스템 간에 지연시간 통계를 비교하는 시뮬레이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여러 특정 세부사항들을 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당업자들은, 아래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일시형태에 따르면, 자동 반복/재송신 요청 (ARQ) 방식 등의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을 효율적으로 다중화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 제공되는 예에서는, 설명 및 예시를 위하여, 2개의 인터레이스들을 가진 듀얼 채널 ARQ 시스템을 설명하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2개의 인터레이스들을 가진 다중 접속 시스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상이한 인터레이스 수를 채용하는 기타 다중 접속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세트를 가지는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자를 다중화하는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에서는,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는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서브그룹들로 분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서브그룹의 수는 인터레이스들의 수 또는 시스템 내의 인터레이싱 패킷 스트림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S-채널 ARQ 메커니즘 (예컨대, S개의 인터레이스들) 을 채용하는 경우, 서브그룹의 수는 인터레이스들의 수에 일치 (예컨대, 서브그룹의 수 = 인터레이스들의 수 = S) 할 것이다.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는, 각각의 개별적인 사용자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이용가능한 채널 수 및 사용자 서브그룹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다. 송신 간격은 다수의 서브그룹들 간에 순환하거나 교번하여,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 다수의 서브그룹들 중 일 서브 그룹내 사용자들만이 해당 할당 채널들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사용자 다중화를 위한 방법들 및 기술들은, 본원이 포함하는 TDMA, FDMA, CDMA, OFDMA 등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의 직교 다중 접속 및 채널화 기술을 채용하는 다양한 다중 접속 시스템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접속 시스템 (300)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 접속 시스템 (300) 은 K 명의 사용자들 (320) 로 이루어진 한 그룹에 의하여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N 개 채널들 (310) 의 세트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는, K 명의 사용자들의 그룹은 현재 서비스받고 있거나 시스템에 의해 지원받고 있는 사용자 수를 나타내며, N 개 채널들의 세트는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직교 채널들의 수를 나타낸다. 다중 접속 시스템 (300) 에 의해 채용되는 다중 접속 및 채널화 기술에 기반하여, 채널들 (310) 및 사용자들 (320) 은 시간 (예컨대, TDMA 방식), 주파수 (예컨대, FDMA 및 OFDMA 방식), 또는 코드 (예컨대, 직교 CDMA 방식) 에 의해 분리되거나 구별된다. 전통적으로, 종래 다중 접속 시스템들에서는, 각 사용자는 고정된 수의 채널 (예컨대, N/K개의 논-오버랩핑 채널) 들을 할당받는다. 그런 다음, 모든 사용자들은 그들 각각의 N/K개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도 3에서는, K 명의 사용자의 그룹 (320) 이 다수의 서브그룹들로 분할되는, 신규하고 효율적인 사용자-다중화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예시와 설명을 위하여, 시스템은 듀얼 채널 ARQ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K 명의 사용자 그룹 (320) 을 2개의 서브그룹들, 즉, 제 1 서브그룹 (320(A)), 제 2 서브그룹 (320(B)) 으로 분할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다른 수의 서브그룹 (예컨대, S개의 인터레이스들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한 S개의 서브그룹) 들이 사용되는 다른 시스템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의 교시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설명을 계속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각 사용자는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총 채널 수 및 사용자 서브그룹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수의 논-오버랩핑 채널들을 할당받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사용자는 하기 식에 기초하여,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하는 M개의 채널들을 할당받는다.
Figure 112009024343357-pct00001
M은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총 채널 수, K는 총 사용자 수, 그리고, S는 서브그룹들의 수에 해당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K 명의 사용자 그룹이 2개의 서브그룹, 서브그룹 320(A) 및 서브그룹 320(B) 으로 분할되며, 각 사용자들은 M개 채널= N/(K/S)= N/(K/2)= 2N/K개 채널들을 할당 받을 것이다. 예를 들어, N=8, K=8, 그리고 S=2인 경우, 각 사용자는 2N/K=2×8/8= 2개의 채널을 할당 받을 것이다.
동일한 서브그룹의 사용자들은 논오버랩핑 (즉, 서로 다른) 채널 할당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서브그룹들 간에는, 채널들을 재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그룹이 4명의 사용자, U1, U2, U3, 및 U4를 포함하고, 제 2 서브그룹은 4명의 사용자, U5, U6, U7, 및 U8을 포함하고, n1, n2, …, n8의 8개 채널이 있다고 가정하면, 각 사용자에 대한 채널 할당 C(Ui) 는 이하와 같을 것이다.
C(U1)={n1, n2}
C(U2)={n3, n4}
C(U3)={n5, n6}
C(U4)={n7, n8}
C(U5)={n1, n4}
C(U6)={n2, n8}
C(U7)={n3, n5}
C(U8)={n6, n7}
일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은 송신 간격을 교번한다. 즉, 어떤 주어진 시간에는 단지 K/S명의 사용자들만이 할당된 채널 상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 이러한 예에서, 2개의 서브그룹 A 및 B가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2개의 서브그룹 A 및 B는 송신 간격을 교번할 것이다. 이와 같이, 어떤 송신 간격동안에는, 서브그룹 A의 사용자만이, 또는 서브그룹 B의 사용자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러한 예들은, 이제, 각 사용자가 더 짧은 기간 (예를 들어, 2개의 서브그룹이 있는 경우 원래의 시간의 반) 에 동일한 양의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각 사용자는 이제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송신간격 (타임 슬롯이라고도 함) 동안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더 많은 채널 (예컨대, 종래의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가 할당받았던 채널들의 2배의 채널 수) 들을 할당받으므로, 이러한 일들이 가능하고, 수월하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일정 사용자들이 통신 링크를 연결하기에 충분하기 않은 링크 다발을 가지는 경우, 그 사용자들은 본원에 개시된 사용자 다중화 방식에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도 3에 언급한 바와 같이, 2개의 사용자 서브그룹 A 및 B는 송신 간격을 교번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브그룹 B의 사용자들이 타임 슬롯 T2,T4,T6 등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동안, 서브그룹 A의 사용자들은 타임 슬롯 T1,T3,T5 등에서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임의의 타임 슬롯 또는 송신 간격 동안에는, 더 적은 사용자들 (예컨대, 사용자들의 반) 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용자들은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더 많은 채널들 (예를 들어, 2배의 채널 수) 을 가진다. 전술한 예에서, K가 짝수라 가정하였음을 주목한다. N이 홀수인 경우, (K+1)/2명의 사용자들이 서브그룹 A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K-1)/2 명의 사용자들이 서브그룹 B에 할당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2N/(K+1) 채널들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이 K에 의해 나눌 수 없는 숫자인 경우와 같이 다른 예에서는, 유사한 변형 또는 변경을 이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한 개념 및 방법들 및 그 변형들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환경에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일치하는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예시와 설명을 위하여, 본 예의 시스템은 듀얼 채널 ARQ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K 명의 사용자 그룹을 2개의 사용자 서브그룹 A 및 B로 분할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예에서, 어떤 송신 기간 동안에는, 2 서브그룹들 중 일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2개의 사용자 서브그룹 A 및 B는 시간-다중화 (time-multiplexing)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그룹 A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할당된 채널을 통하여, 각각의 타임 슬롯, n, n+1, n+2 등의 제 1 절반 부분 (또는 제 1 기간) 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반면, 서브그룹 B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할당된 채널을 통하여, 각각의 타임 슬롯, n, n+1, n+2 등의 제 2 절반 부분 (또는 제 2 기간) 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서브그룹 A의 사용자 (예컨대, 송신기) 가 각 타임 슬롯의 제 1 절반부분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하며, 반면에, 서브그룹 B의 사용자 (예컨대, 송신기) 가 각 타임 슬롯의 제 2 절반부분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시스템 구성에서, 각 사용자의 유휴 기간은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확실한 개선을 제공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유휴 기간동안의 사용자는 시스템 리소스를 소비하지 않으며, 따라서, 활성 사용자들 (예컨대,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사용자) 로 하여금 더 많이 액세스할 수 있게 하며, 제한된 시스템 리소스를 더 많이 활용하게 한다. 또한,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이, 유휴 기간은 수신기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응/확인응답 (ACK 또는 NAK) 신호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수신된 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 (예컨대, 송신기) 는, 다가오는 활성 간격 (예컨대, 그 사용자에게 배분된 다음 간격) 에 전송한 데이터 (예컨대, 패킷) 를 재송신할 것인지, 또는 새로운 데이터 (예컨대, 새로운 패킷) 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와 일치하는 본원에 개시되는 새로운 방법들은 기존 또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지연시간 통계에 대하여 현저한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리소스 활용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교시를 채용하는 제안된 시스템은 종래의 듀얼 채널 ARQ 시스템의 효율성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동일하거나 필적할만한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패킷 지연 (예를 들어, 대기열 지연 + 재송신 지연) 에 대하여, 제안된 시스템이 우월하다. 예를 들어, 패킷 송신 에러가 있는 경우에, 종래의 듀얼 채널 ARQ 시스템에서는, 일 슬롯 다음 (즉, 1 슬롯의 추가적인 지연이 발생) 에서야 비로소 각각의 패킷을 재송신할 것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교시를 채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후속하는 타임 슬롯 (즉, 추가적인 지연이 없음) 에서 패킷을 재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전체 패킷 지연을 감축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일치하는 제안된 시스템 사이의 지연 통계를 비교하는 예시적인 시뮬레이션의 도면이다. 이러한 예에서는, 지연시간의 단위는 패킷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타임 슬롯들도, 비교를 위한 지연시간의 단위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시스템의 지연시간 통계는 CDF (누적 밀도 함수) 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CDF의 톱니모양 (계단형) 의 형상은, 시스템 파라미터의 개별적인 세트에 대하여 유한한 수의 상이한 지연시간만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CDF의 형상은 시뮬레이션 가공물이 아니다. 도 5로부터, 제안된 시스템의 지연시간 통계가 듀얼 채널 ARQ 시스템을 채용하는 종래의 시스템의 지연시간 통계에 비해 일관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된 시스템에서 1패킷 지연시간 지점을 고려해보면, 대략 90%의 패킷들이 1 패킷보다 더 작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듀얼 채널 ARQ 시스템을 채용하는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대략 80%의 패킷들이 1패킷보다 더 작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타입의 트래픽 및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음성 트래픽) 에서는, 더 작은 또는 더 낮은 패킷 지연시간이 더 높은 시스템 용량 (예를 들어, 시스템 음성 용량) 으로 직접 전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의 시스템은, 블록 6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N 개의 직교 채널들과 K명의 사용자 그룹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시스템은 듀얼 채널 ARQ를 채용한다고 가정한다. 블록 620에서, K가 짝수인 경우, 방법은 블록 63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방법은 블록 650으로 진행한다. 블록 630에서는, K명의 사용자 그룹은, 각 서브그룹이 K/2명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2개의 사용자 서브그룹 A 및 B로 분할된다. 블록 640에서는, 각 사용자들은 N/(K/2) = 2N/K 개의 채널들을 할당받는다. 블록 650에서는, K가 홀수인 경우, K명의 사용자 그룹은, 서브그룹 A가 (K+1)/2명의 사용자들을 가지며 서브그룹 B가 (K-1)/2명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2개의 사용자 그룹 A 및 B로 분할된다. 이 경우, 블록 660에서 각 사용자는 2N/(K+1) 개의 채널들을 할당받는다. 이 방법은 블록 640 또는 블록 660 중 어느 한 단계로부터, 블록 670으로 진행한다. 블록 670에서는, 송신 간격은 서브그룹 A 및 B로 교번하여 할당된다. 즉,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단지 하나의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그룹 A의 사용자들은 슬롯 1,3,5,…등에서 송신할 것이며, 반면, 서브그룹 B의 사용자들은 슬롯 2,4,6,…등에서 송신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710에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예컨대, 직교 채널들의) 채널 수가 결정된다. 블록 720에서는, 시스템의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수가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에서의 이용가능한 채널 수 및 사용자 수의 결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세부적인 시스템 구성 및 환경에 따라서, 소정의 시간에 그러한 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록 730에서는, 사용자 그룹이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으로 분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서브그룹의 수가 인터레이스 (시스템내의 인터레이싱 패킷 스트림으로도 지칭함) 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시스템이 S채널 ARQ 방식 (S개의 인터레이스들) 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 서브그룹의 수는 인터레이스들의 수에 일치 (예를 들어, 서브그룹의 수=인터레이스들의 수=S) 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듀얼 채널 ARQ 방식 (2개의 인터레이스들) 을 채택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그룹은, 각 사용자의 수가 거의 동일한, 2개의 서브그룹으로 분할된다. 블록 740에서는, 각 사용자들은, 이용가능한 채널 수 및 서브그룹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되는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서브세트를 할당받는다. 예를 들어, N개의 이용가능한 채널이 존재하고, 그룹에 K명의 사용자가 있고, K명의 사용자 그룹이 S개의 사용자 서브그룹으로 분할된다고 가정하면, 각 사용자는 M=N/(K/S) 개의 채널들을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받을 수 있다. 블록 750에서는, 송신 간격들은 다수의 서브그룹 간에 교번된다. 예를 들어, 서브그룹 1에서의 사용자들은 시간 슬롯 또는 송신 간격 (기간으로도 지칭함) T1, T3, T5,…등에서 그들에게 할당된 채널들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서브그룹 2의 사용자들은 T2, T4, T6 등에서 그들에게 할당된 채널들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다양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구현에서,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들이 전술한 방식으로 다중화될 필요는 없다. 다수의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어떤 사용자들은 전혀 다중화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사용자들은 모든 시간에 중단되지 않은 채로 정보 송신을 계속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이 N개의 이용가능한 채널, K명의 사용자들을 가진다고 가정하는 경우, 모든 사용자들이 다중화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일부 사용자 (예컨대, J명의 사용자) 는 전술한 다중화 방식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다중화될 필요가 있는 사용자 그룹은 G=K-J명의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이 S채널 ARQ를 채용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G명의 사용자들은 인터레이스 수와 일치하는 다수의 서브그룹들 (예컨대, S개의 서브그룹들) 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중화 방식에 포함되지 않은 J명의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서브그룹이라고 간주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나리오에는, 사실상 S+1 개의 사용자 서브그룹이 있다. N개의 채널들의 서브세트는 J명의 사용자들의 서브그룹에 할당될 수도 있다. N개의 채널들 중 그 나머지 채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S개의 사용자 서브그룹들에게 할당될 수도 있다. S개의 서브그룹들의 사용자들은 그들에게 할당된 채널들을 통한 정보 송신 시에 순서를 교번 (또는 순환) 할 것이고, 반면에, J명의 사용자들은 그 할당된 채널들을 통하여 항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J명의 사용자 서브그룹은 S 채널 ARQ를 이용하여 그들의 할당된 채널에 대하여 링크 활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 및 특징들이 특정 실시형태에 관하여 위에서 개시되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comprises)', '포함하는 (comprising)' 또는 그에 대한 다양한 변형 용어들은, 구성요소들 또는 그 용어에 따르는 제한을 비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방법 또는 다른 실시형태들은 그러한 구성요소들에만 제한하지 않으며, 특히, 열거하지 않거나 청구한 실시형태에서 고유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실시형태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들에 대한 여러 변형, 변경, 부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이러한 여러 변형, 변경, 부가 및 개선은 하기 청구항 내에 상술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간주된다.

Claims (37)

  1.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며 제 1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채널들을 가지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서브그룹의 수 및 이용가능한 다중 채널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할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의 채널을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간에 송신 간격들을 교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상기 사용자 서브그룹들 중 일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 (acknowledgement) 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02
    에 따라서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 그리고, S는 서브그룹들의 수에 해당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은 짝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은 동일한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제 1 서브그룹 및 제 2 서브그룹을 포함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03
    에 따라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그리고,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에 해당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은 홀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은 제 1 서브그룹 및 제 2 서브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그룹은 제 1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브그룹은 상기 제 1 수의 사용자들보다 하나 더 적은 제 2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04
    에 따라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그리고,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에 해당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그룹의 사용자들은 논-오버랩핑 채널들을 할당받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간에 채널이 재사용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보 패킷을 송신할 것인지 또는 이전 정보 패킷을 재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직교 기저 (orthogonal basis) 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방식에 따라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코드 분할 다중화 (CDM) 방식에 따라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방식에 따라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 의해 채용되는 재송신 메커니즘은, 자동 반복 요청 (ARQ)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
  15. 자동 반복 요청 (ARQ) 방식을 채용하며 제 1 사용자 그룹 및 제 2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채널들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의 서브그룹의 수 및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할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의 채널을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간에 송신 간격들을 교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사용자 서브그룹들 중 일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되며, 상기 제 2 사용자 그룹은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과 동시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는, 식,
    Figure 112011028020716-pct00005
    에 따라서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 그리고, S는 서브그룹들의 수에 해당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은 짝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은 동일한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제 1 서브그룹 및 제 2 서브그룹을 포함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는, 식,
    Figure 112011028020716-pct00006
    에 따라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그리고,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에 해당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은 홀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그룹들은 제 1 서브그룹 및 제 2 서브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그룹은 제 1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브그룹은 상기 제 1 수의 사용자들보다 하나 더 적은 제 2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는, 식,
    Figure 112011028020716-pct00007
    에 따라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그리고,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에 해당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보 패킷을 송신할 것인지 또는 이전 정보 패킷을 재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22. 에러 정정용으로 재송신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으로서,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통신 채널들; 및
    상기 정보 송신용 다중 통신 채널들을 공유하는 다수 사용자들의 제 1 그룹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다수 사용자들은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되며,
    각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통신 채널들의 수 및 사용자 서브그룹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수의 통신 채널들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를 할당받으며,
    상기 제 1 그룹 내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간에 송신 간격들이 순환되며,
    어떤 송신 간격동안에는 상기 제 1 그룹 내 사용자 서브그룹들 중 일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며, 상기 제 1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내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08
    에 따라서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K는 제 1 그룹의 사용자 수; 그리고, S는 서브그룹들의 수에 해당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의 제 1 그룹은 짝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서브그룹들은 동일한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제 1 서브그룹 및 제 2 서브그룹을 포함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09
    에 따라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그리고, K는 제 1 그룹의 사용자 수에 해당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의 제 1 그룹은 홀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그룹들은 제 1 서브그룹 및 제 2 서브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그룹은 제 1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브그룹은 상기 제 1 수의 사용자들보다 하나 더 적은 제 2 수의 사용자들을 가지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10
    에 따라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 수; 그리고, K는 제 1 그룹의 사용자 수에 해당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는, 상기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보 패킷을 송신할 것인지 또는 이전 정보 패킷을 재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직교 기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방식에 따라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코드 분할 다중화 (CDM) 방식에 따라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채널화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방식에 따라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33. 에러 정정용으로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총 통신 채널들의 수, 및 상기 다중 접속 시스템에 의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총 사용자 수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의 총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이용가능한 총 통신 채널들의 수 및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서브그룹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통신 채널들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를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에 대해 송신 간격들을 교번하여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 내 사용자 서브그룹들 중 일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보 패킷을 송신할 것인지 또는 이전 정보 패킷을 재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다중화 방법.
  35. 머신에 의해서 실행될 경우에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재송신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수 및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을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것;
    상기 서브그룹들의 수 및 상기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채널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
    상기 결정된 수의 채널을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정보 송신용으로 할당하는 것;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 서브그룹들 간에 송신 간격들을 교번하는 것을 포함하며,
    어떤 송신 간격 동안에는 상기 사용자 서브그룹들 중 일 사용자 서브그룹만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유휴 간격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한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의 대기 기간으로서 이용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들의 수는, 식,
    Figure 112009024343357-pct00011
    에 따라서 결정되며,
    M은 각 서브그룹의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들의 수; N은 송신용으로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수; K는 제 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 그리고, S는 서브그룹들의 수에 해당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된 동작들은, 상기 이전 송신의 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보 패킷을 송신할 것인지 또는 이전 정보 패킷을 재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KR1020047021555A 2003-04-29 2004-04-23 재송신을 이용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166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26,546 2003-04-29
US10/426,546 US7181666B2 (en) 2003-04-29 2003-04-29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r-multiplexing in multiple access systems with retransmission
PCT/US2004/012580 WO2004098098A1 (en) 2003-04-29 2004-04-23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r-multiplexing in multiple access systems with re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724A KR20060006724A (ko) 2006-01-19
KR101166733B1 true KR101166733B1 (ko) 2012-07-19

Family

ID=3330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555A KR101166733B1 (ko) 2003-04-29 2004-04-23 재송신을 이용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7181666B2 (ko)
EP (2) EP1618683B1 (ko)
JP (1) JP4499715B2 (ko)
KR (1) KR101166733B1 (ko)
CN (1) CN1701533B (ko)
AR (1) AR044121A1 (ko)
AT (1) ATE484892T1 (ko)
AU (1) AU2004234742A1 (ko)
BR (1) BRPI0405625A (ko)
CA (1) CA2490842A1 (ko)
CL (1) CL2004000893A1 (ko)
DE (1) DE602004029563D1 (ko)
IL (1) IL165940A0 (ko)
MX (1) MXPA05000104A (ko)
NZ (1) NZ537425A (ko)
RU (1) RU2004138577A (ko)
TW (1) TW200511754A (ko)
WO (1) WO2004098098A1 (ko)
ZA (1) ZA200500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2857B2 (en) 2002-10-29 2006-05-09 Qualcom, Incorporated Uplink pilot and signaling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11283B2 (en) * 2004-01-28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single channel to provide acknowledgement and assignment messages
US7933215B2 (en) * 2004-06-03 2011-04-2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on reverse link of mobile mode communications systems
US8432803B2 (en) * 2004-07-21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providing a gap indication during a sticky assignment
US8477710B2 (en) * 2004-07-21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providing a gap indication during a sticky assignment
US8891349B2 (en) 2004-07-23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optimizing portions of a frame
US20060039344A1 (en) * 2004-08-20 2006-02-23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xing scheme for unicast and broadcast/multicast traffic
KR101141112B1 (ko) * 2004-09-15 2012-05-0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제어국, 무선 기지국, 이동국 및 이동 통신 방법
US7881339B2 (en) 2004-10-06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users to use interlaces in a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8831115B2 (en) * 2004-12-22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C-CDMA multiplexing in an orthogonal uplink
US8238923B2 (en) * 2004-12-22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using shared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84127B1 (ko) * 2004-12-27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동 재전송 요구지원 방법
US7742444B2 (en)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121302A1 (en) * 2005-05-13 2006-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xing physical channels in an ofdma system
US9055552B2 (en)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8750908B2 (en)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7903628B2 (en) * 2005-08-22 2011-03-0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pil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75549B2 (en) 2005-10-2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serving sector mainten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BRPI0708106A2 (pt) 2006-02-21 2011-05-17 Qualcomm Inc projeto de canal de realimentação para sistemas de comunicação de múltiplas entradas e múltiplas saìdas
US9461736B2 (en) 2006-02-21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lot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689025B2 (en) 2006-02-21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terminal power consumption via use of active hold state
US8077595B2 (en) 2006-02-21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time-frequency multiplexing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295252B2 (en) 2006-05-18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lace-based control channel balan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049692A1 (en) * 2006-08-23 2008-02-28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and Data Transmission Using Heterogeneous Modulation Formats in a Wireless Packet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51599A1 (en) * 2006-09-08 2011-03-03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0758766B1 (ko) * 2006-10-04 2007-09-14 엘지노텔 주식회사 다양성 이득 향상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제어 방법
MX2009004503A (es) * 2006-11-01 2009-05-13 Qualcomm Inc Metodo y aparato para estructura hibrida de fdm-cdm para canales de control basados en una portadora sencilla.
KR100975704B1 (ko) * 2007-01-10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응답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625652B2 (en) 2007-01-11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free group ho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81095B1 (ko) 2007-04-26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64185B1 (ko) * 2007-05-01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각 이동국의 반복코드를 변경하는 간섭평균화에 의한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그 장치
EP2017997B1 (en) * 2007-07-19 2010-10-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resources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es
KR101406029B1 (ko) * 2007-12-29 2014-06-11 알까뗄 루슨트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090175158A1 (en) * 2008-01-03 2009-07-09 L3 Communications Integrated Systems, L.P. Coded virtual channel network
KR101527977B1 (ko) * 2008-10-27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방법
WO2010145687A1 (en) * 2009-06-15 2010-12-23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669269B1 (ko) 2009-06-29 2016-10-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EP2555549A4 (en) 2010-04-01 2016-07-27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COEXISTENCE OF DIFFERENT TYPES OF ACCESS POINTS
KR101424412B1 (ko) 2010-09-0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존 프로토콜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
JP5949298B2 (ja) * 2012-08-07 2016-07-0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03973397B (zh) * 2013-01-29 2019-01-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ck/nack信息的发送及接收方法、基站及终端
CN103297297B (zh) * 2013-06-03 2014-11-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分组处理方法和分组处理系统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1757706B2 (en) * 2019-07-19 2023-09-12 Razberi Secure Technologies, Llc Switc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6491A1 (en) 2001-08-22 2003-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RQ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636A (en) * 1991-06-28 1994-05-24 Network Access Corporation Personal telecommunications system
DE69734260T2 (de) * 1996-05-28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Zugriffskontrollverfahr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US5790534A (en) * 1996-09-20 1998-08-0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Loa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DMA cellular system having circuit and packet switched terminals
KR100212060B1 (ko) 1997-03-31 1999-08-02 윤종용 시분할다중접속방식 통신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방법
US6021124A (en) * 1997-08-19 2000-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channel automatic retransmission query (ARQ) method
US6333937B1 (en) * 1998-03-05 2001-12-25 At&T Wireless Services, Inc. Access retry method for shared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links
KR100343773B1 (ko) * 1999-06-28 2002-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의 부분 병렬 간섭잡음 제거장치 및 방법
US6466591B1 (en) * 2000-12-30 2002-10-15 Redback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multiple protocols within data and control channels in data transmission sign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6491A1 (en) 2001-08-22 2003-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RQ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44121A1 (es) 2005-08-24
EP2148452A2 (en) 2010-01-27
WO2004098098A1 (en) 2004-11-11
US20040221218A1 (en) 2004-11-04
NZ537425A (en) 2007-06-29
MXPA05000104A (es) 2005-06-06
JP4499715B2 (ja) 2010-07-07
ATE484892T1 (de) 2010-10-15
CN1701533B (zh) 2010-10-06
BRPI0405625A (pt) 2005-05-10
ZA200500825B (en) 2006-08-30
US7181666B2 (en) 2007-02-20
CN1701533A (zh) 2005-11-23
JP2006525754A (ja) 2006-11-09
EP1618683A1 (en) 2006-01-25
CA2490842A1 (en) 2004-11-11
DE602004029563D1 (de) 2010-11-25
EP2148452A3 (en) 2013-04-24
AU2004234742A1 (en) 2004-11-11
CL2004000893A1 (es) 2005-04-29
IL165940A0 (en) 2006-01-15
KR20060006724A (ko) 2006-01-19
EP2148452B1 (en) 2015-02-25
RU2004138577A (ru) 2005-11-10
EP1618683B1 (en) 2010-10-13
TW200511754A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733B1 (ko) 재송신을 이용한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2131297B (zh) 上行资源分配方法和设备
US20170272215A1 (en) Method for multiplexing control signals and reference signals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4146079B2 (ja) マルチチャネル自動再送信照会(arq)方法
KR101081234B1 (ko) 업링크 할당 방법, 업링크 할당 장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 요소
CN101401343B (zh) 移动通信系统中的混合自动重复请求方法、使用其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01473566B (zh) 在移动通信系统中传送调度请求的方法及其终端设备
CN101543125B (zh) Lte中用于可变数据速率服务的动态资源分配、调度和信号发送
WO20071393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N103152831A (zh) 在单载波频分多址系统中分配资源的装置和方法
US74060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ser data using traffic channels
CN101272165A (zh) 传输功率控制信息的设备和方法
AU2003262673C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ser data using traffic channels
Bhattacharya et al. Noncontiguous channel allocation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TW200805932A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hattacharya et al. Multimedia channel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using FDM-FDMA and OFDM-FDMA
JP3284977B2 (ja) 再送制御情報の伝送方法
KR20080041052A (ko)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