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242B1 -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 Google Patents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242B1
KR101166242B1 KR1020100081246A KR20100081246A KR101166242B1 KR 101166242 B1 KR101166242 B1 KR 101166242B1 KR 1020100081246 A KR1020100081246 A KR 1020100081246A KR 20100081246 A KR20100081246 A KR 20100081246A KR 101166242 B1 KR101166242 B1 KR 10116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auxiliary
eyeglass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438A (ko
Inventor
민경출
Original Assignee
민경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출 filed Critical 민경출
Priority to KR102010008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2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하도록 구성한 다용도 보조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또다른 도수안경이나 돋보기안경, 선글라스, 입체용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과 같은 보조안경을 간편하게 쓰고 벗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입체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과 같은 보조안경을 구성하되, 안경다리에 절첩가능케 구성된 연결간 상에 대체로 폭이 넓게 구성된 수평받침테를 구성하고, 상기 수평받침테 전면에 별도의 렌즈고정테를 구성하고, 상기 렌즈고정테에 또다른 도수안경이나 돋보기렌즈, 선글라스렌즈, 입체용 3D안경렌즈와 같은 보조렌즈를 결속고정하므로서, 도수안경을 낀 상태에서 보조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수평받침테가 도수안경의 렌즈테 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보조렌즈는 자연스럽게 도수안경의 렌즈 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조안경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AUXILIARY EYEGLASSES}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하도록 구성한 다용도 보조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또다른 도수안경이나 돋보기안경, 선글라스, 입체용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과 같은 보조안경을 간편하게 쓰고 벗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수안경은 시력보완을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도수안경만으로도 필요한 시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수안경을 착용한 자의 경우에도 원거리의 시력은 충분히 유지되나, 신문을 읽거나 독서를 하는등 가까운 거리의 시력확보가 미흡하여 별도의 돋보기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도수안경을 벗고, 다시 돋보기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므로 안경을 벗고 쓰기가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도수안경을 착용한 자가 필요에 의해 선글라스나 입체용 3D안경을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도수안경을 벗고, 다시 선글라스나 입체용 3D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선글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전중 긴 터널내로 진입할 때에는 갑자기 어두워지기 때문에 선글라스를 벗고 다시 도수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입체용 3D영상물을 감상할 경우에 제공되는 입체용 3D안경에는 일반적으로 도수가 없기 때문에 관람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수한 고도수를 필요로 하는 의료용 안경이나, 다초점렌즈가 필요한 다초점렌즈 안경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도수안경을 벗고, 필요한 보조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입체용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은 일반도수안경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도수안경 전면에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입체용 3D안경 등을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도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과 같은 보조안경을 착용하고자 할 경우 도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조안경을 바로 착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종래와 같이 도수안경을 벗고 다시 보조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스 등과 같은 보조안경을 구성하되, 안경다리에 절첩가능케 구성된 연결간 상에 대체로 폭이 넓게 구성된 수평받침테를 구성하고, 상기 수평받침테 전면에 별도의 렌즈고정테를 구성하고, 상기 렌즈고정테에 필요한 보조렌즈를 결속고정하므로서, 도수안경을 낀 상태에서 보조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수평받침테가 도수안경의 렌즈테 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보조렌즈는 자연스럽게 도수안경의 렌즈 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조안경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3D안경,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과 같은 보조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안경다리에 절첩가능케 결합된 연결간 상에 대체로 폭이 넓은 수평받침테를 구성하고, 상기 수평받침테 전면에 렌즈고정테를 구성한 다음 필요한 보조렌즈를 체결고정하므로서, 도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보조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보조안경의 수평받침테가 도수안경의 렌즈테 상면에 위치하면서 보조렌즈가 도수안경 전면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되므로 보조안경을 쓰기 위하여 도수안경을 벗고 다시 보조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없이 편리하게 보조안경을 쓰고 벗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저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서 도수안경 전면에 보조안경을 위치시킨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보조안경과 도수안경의 분해사시도
도 7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보조안경(10)의 사시도로서, 상기 보조안경(10)의 예로서는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3D용 안경, 특수한 고도수를 필요로 하는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조안경(10)의 특징은 안경착용자가 도수안경(10')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바로 보조안경(10)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안경다리(30)에 절첩가능케 결합된 연결간(21) 상에 수평받침테(20)를 일체형으로 절곡구성하고, 상기 수평받침테(20) 중앙에는 결합홈(23)이 형성된 절곡부(22)를 하향절곡 구성하되, 상기 절곡부(22) 내면에는 수지받침편(24)을 결합구성한다.
상기 절곡부(22) 전면 양측에는 렌즈고정테(50)가 일체형으로 돌출구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걸림편(25)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고정테(50)에는 체결공(51)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렌즈고정테(50) 전면에 체결공(52)이 뚫린 보조렌즈(60)를 위치시킨 다음 체결공(51)(52)이 서로 일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볼트(53)와 너트(54)로 이들이 일체형으로 체결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보조렌즈(60)는 돋보기렌즈나 선글라스렌즈, 입체용 3D안경렌즈, 편광렌즈, 의료용 안경렌즈, 컴퓨터용 안경렌즈, 다초점 렌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7에서와 같이 렌즈고정테(50) 전면에 결속공(56)이 뚫린 렌즈고정편(55)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렌즈고정편(55) 내저면에 보조렌즈(60)를 위치시킨 다음 결속공(56)에 결속선(57)을 끼우고, 상기 결속선(57)을 이용하여 렌즈고정편(55) 상에 보조렌즈(60)가 고정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결속선(57)을 이용한 보조렌즈(60) 고정수단은 일반적으로 착용하고 있는 반테안경의 렌즈결속수단과 동일하다.
상기한 수단 이외에도 렌즈고정테(50)를 이용하여 여러형태로 보조렌즈(60)를 결합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70)은 코다리, (71)은 렌즈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수안경(10')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돋보기안경이나 선글라스, 3D안경, 고도수를 필요로 하는 의료용 안경, 다초점렌즈 안경 등의 기능을 갖는 보조안경(10)을 편리하게 쓰고 벗을 수 있게 된다.
즉 도수안경(10')을 착용한 상태에서 필요한 기능을 갖는 보조안경(10)을 착용하고자 할 때에 종래와 같이 도수안경(10')을 벗고 다시 보조안경(10)을 착용할 필요없이 도수안경(10') 위에 보조안경(10)을 착용하게 되면 도수안경(10')의 렌즈테(71) 위에 보조안경(10)의 수평받침테(20)가 위치하게 되면서 보조렌즈(60)는 자연스럽게 도수안경(10')의 렌즈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수평받침테(20) 중앙에 구성된 절곡부(22)의 수지받침편(24)은 도수안경(10')의 코다리(7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코다리(70)와 수지받침편(24)이 접하게 되더라도 수지받침편(24)이 코다리(70)에 긁힘을 가하지 않게 되므로 도수안경(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절곡부(22) 배면에 구성된 걸림편(25)은 도수안경(10') 배면에서 렌즈테(71) 부분과 접하게 되므로 보조안경(10)이 유동없이 도수안경(10') 상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상기한 상태로 도수안경(10') 전면에 보조안경(10)을 착용하였다가 벗고자 할 경우에는 도수안경(10')으로부터 보조안경(10)을 가볍게 들어올린 다음 당겨내면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수안경(10')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바로 보조안경(10)을 쉽게 쓰고 벗을 수 있어 편리하며, 특히 선글라스의 용도로 보조안경(10)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널 내로 진입할때 간단하게 보조안경(10)을 벗을 수 있고, 상기에서와 같이 보조안경(10)을 벗더라도 도수안경(10')을 통하여 충분한 시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터널을 빠져나오면 다시 보조안경(10)을 착용할 수 있어 안전운전에 도움이 된다.
또한 고도수를 필요로 하는 의료용 안경의 경우에는 시술자의 시력조건에 맞는 도수의 렌즈를 선택하고, 다초점렌즈를 필요로 하는 다초점안경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시력조건에 맞는 다초점렌즈를 선택사용하면 사용자가 관찰하거나 주시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조안경(10)을 돋보기안경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돋보기렌즈의 선택은 도수안경(10')을 낀 상태에서 최적상태의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글라스의 경우 렌즈의 색상이나 디자인만 선택하면 된다.
또한 각종 3D 입체형상물 감상시에는 용도에 맞는 파장의 3D필름이 부착된 렌즈만 결합하면, 도수안경 착용자나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일반인들도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보조안경 (10')--도수안경
(20)--수평받침테 (21)--연결간
(22)--절곡부 (23)--결합홈
(24)--수지받침편 (25)--걸림편
(30)--안경다리 (50)--렌즈고정테
(51)(52)--체결공 (53)--체결볼트
(54)--너트 (55)--렌즈고정편
(56)--결속공 (57)--결속선
(60)--보조렌즈

Claims (2)

  1. 수평받침테(20) 중앙에 결합홈(23)이 형성된 절곡부(22)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22) 전면에는 렌즈고정테(50)를 구성한 다음 보조렌즈(60)를 체결고정한 보조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평받침테(20) 중앙에 구성된 절곡부(22)의 결합홈(23) 내에 수지받침편(24)을 결합하고, 수평받침테(20) 양측 단부에는 연결간(21)을 절곡구성하고, 상기 연결간(21)에 안경다리(30)를 절첩되게 결합함으로서, 도수안경(10')을 낀 상태에서, 그 위에 보조안경(10)을 착용하게 되면, 수평받침테(20)가 도수안경(10')의 렌즈테(71) 상면에 위치하면서, 보조안경(10)의 수지받침편(24)이 도수안경(10')의 코다리(70) 상면부와 접하게 하여 보조렌즈(60)가 도수안경(10')의 렌즈 전면에 위치되게 하고, 동시에 보조안경(10)의 안경다리(30)는 도수안경(10')의 안경다리 외측면에 위치되게 하여 도수안경(10')을 낀 상태에서도 보조안경(10)을 바로 착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2. 삭제
KR1020100081246A 2010-08-23 2010-08-23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KR10116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46A KR101166242B1 (ko) 2010-08-23 2010-08-23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46A KR101166242B1 (ko) 2010-08-23 2010-08-23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38A KR20120018438A (ko) 2012-03-05
KR101166242B1 true KR101166242B1 (ko) 2012-07-16

Family

ID=4612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246A KR101166242B1 (ko) 2010-08-23 2010-08-23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53B1 (ko) * 2020-07-07 2020-11-30 (주)세아트레이딩 덮경을 구비하는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92Y1 (ko) * 2015-12-18 2017-06-01 김종호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101961352B1 (ko) * 2018-11-09 2019-03-22 정현근 안경용 착탈식 선글라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280A (ja) * 2003-09-09 2007-03-08 アーマンド キドーチム 多切子面付きの取外し可能な磁気的ヒンジ装置
KR100969571B1 (ko) 2010-03-10 2010-07-12 김정훈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280A (ja) * 2003-09-09 2007-03-08 アーマンド キドーチム 多切子面付きの取外し可能な磁気的ヒンジ装置
KR100969571B1 (ko) 2010-03-10 2010-07-12 김정훈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53B1 (ko) * 2020-07-07 2020-11-30 (주)세아트레이딩 덮경을 구비하는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38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132B1 (en) 3D eyeglasses with detachable front eyeglasses fram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9645410B2 (en) Foldable glasses with magnifier
US912830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subsidiary frame of eyeglasses
KR101166242B1 (ko)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20100053064A (ko) 스포츠안경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CN201812087U (zh) 多功能卡片式3d眼镜
KR101620167B1 (ko) 스포츠용 고글
KR200460798Y1 (ko) 렌즈교환이 가능한 고글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KR20120000956U (ko) 선글라스 내측에 보조안경이 결합되도록 한 이중안경
JP3167304U (ja) 老眼鏡兼用拡大鏡
KR20080003598U (ko) 이중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CN205450471U (zh) 折叠式钛合金眼镜
KR200427279Y1 (ko) 선글라스 탈, 부착식 안경
CN212749419U (zh) 一种方便榫接可拆卸眼镜
KR200468061Y1 (ko) 렌즈키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경
KR101571392B1 (ko) 접이식 보조안경이 구비된 안경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KR200455196Y1 (ko)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CN207867168U (zh) 一种多功能眼镜
KR20100088303A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고글
TWM422678U (en) Lens and frame assembly structure of eye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