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739B1 -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739B1
KR101165739B1 KR1020090106438A KR20090106438A KR101165739B1 KR 101165739 B1 KR101165739 B1 KR 101165739B1 KR 1020090106438 A KR1020090106438 A KR 1020090106438A KR 20090106438 A KR20090106438 A KR 20090106438A KR 101165739 B1 KR101165739 B1 KR 10116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luid
photovoltaic device
subframe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426A (ko
Inventor
김승섭
Original Assignee
김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섭 filed Critical 김승섭
Priority to KR102009010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39B1/ko
Priority to PCT/KR2010/005948 priority patent/WO2011055900A2/ko
Publication of KR2011004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을 집속하여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전지패널; 상기 전지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체가 저장되도록 격벽에 의해 상호 밀폐되는 다수 개의 중공블럭으로 구획된 적어도 3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지패널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 중공블럭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수중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입출시키는 유체이송부;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상기 유체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상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홀수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용이성 확보 및 자연 재해에 따른 피해의 최소화를 담보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설치비용 및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가 제공된다.
태양광, 트래킹, 프레임, 부력수단, 중공블럭, 격벽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Solar Light Power Generating Device and Mooring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메인프레임이 수면 상에 설치되어 태양고도에 따라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유체를 이동시켜 메인프레임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이를 위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는 고정식이 최초로 제안되고, 태양광을 따라 이동가능한 단축식, 양축식 등이 차례로 제안되었다.
여기서, 단축식 및 양축식은 편평한 철근콘크리트 기반과 수직으로 연결된 기둥 상부에 설치된 전기 모터 또는 유압을 사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태양전지가 장착된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지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는 태양전지를 고정시키는 구조물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구조물의 자세안정성을 위한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면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로서, 부력을 이용하여 수면에 설치 되는 태양광 발전소가 제안되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1-133673호에는, 태양전지 모듈이 상부에 탑재된 부체본체와 부체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용기들 등으로 구성되어 태양고도에 따라 상기 용기들에 저장된 유체를 이동시켜 부체본체의 자세제어를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본체와 유체를 저장하는 용기들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전체적인 태양광 발전장치가 무거워져 자세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체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용기들의 위치가 수면의 상부 쪽에 위치함으로써 발전장치의 무게중심이 수면과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수면 상에 위치하는 부체본체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한 바람에 태양광 발전장치가 흔들릴 때(특히 태풍 등의 자연재해) 용기들 내부에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이 없어 유체가 어느 한 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쏠리게 되어 전체 태양광 발전장치의 안정성 및 안정성을 담보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면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홀수(수중으로 잠기는 깊이) 조절기능이 없어 태양전지 모듈 및 부체본체 등의 수리 및 정비시에 작업자의 안정성 및 작업자의 작업용이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지상에 일정한 곳에 계류(繫留)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1은 종래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호수 등의 수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는 태양광 발전장치(A)가 설치된 호수의 수면 하방의 호수바닥에 지지대(B)를 고정하고, 지지대(B)와 태양광 발전장치(A)를 줄(C)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같은 종래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는 수면이 상승 또는 하강시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에 의해서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수위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 개의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시에는 각 태양광 발전장치마다 지지대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중공블럭으로 구획된 다수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켜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조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성 있고, 안정적으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의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호 체결된 서브프레임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재료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에 구획된 각각의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킴으로써 유체의 극단적 쏠림을 방지하여 메인프레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각의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가 이송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종래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각의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가 이송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홀수 조절이 용이하여 정비 및 수리시 작업자의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태양광을 집속하여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전지패널; 상기 전지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체가 저장되도록 격벽에 의해 상호 밀폐되는 다수 개의 중공블럭으로 구획된 적어도 3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전지패널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 중공블럭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수중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입출시키는 유체이송부;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상기 유체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 측은 상기 전지패널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결합되고, 타 측은 다른 서브프레임들의 타 측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은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재료비 절감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 중공블럭의 측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유체이송관과, 상기 유체이송관과 각 중공블럭이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설치되는 밸브와, 각 밸브 개방시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x축과 y축의 기울기를 각각 센싱하 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동서남북 방위를 센싱하는 나침반센서와,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태양광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유체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을 변화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부력체; 지상면 및 수중바닥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를 통해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연결하는 스트링; 상기 스트링에 결합되되, 상기 도르래와 상기 제2지지대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력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에 의해 태양광 발전장치를 계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중공블럭으로 구획된 다수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켜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을 변화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의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호 체결된 서브프레임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에 구획된 각각의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킴으로써 유체의 극단적 쏠림을 방지하여 메인프레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가 이송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종래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가 이송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홀수 조절이 용이하여 정비 및 수리시 작업자의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수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는 전지패널(10), 메인프레임(20), 유체이송부(도 2의 30) 및 제어부(도 2의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지패널(10)은 태양광을 집속하여 전력으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s)이 설치되는 패널로서, 후술할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지패널(10)은 격자형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s)은 전지패널(10)에 누운 형태 즉, 전지패널(10)과 평행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태양전지 설치면적을 극대화시켜 경제적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20)은 대략적으로 원호 형상으로 마련된 제1서브프레임(21), 제2서브프레임(22), 제3서브프레임(23), 제4서브프레임(24)의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전지패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은 직선 또는 일부 곡선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수상에 발생되는 외력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호 형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서브프레임(21)은 제2서브프레임(2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3 서브프레임(23)은 제4서브프레임(24)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1, 제2, 제3, 제4 서브프레임(21,22,23,24)의 상부 측은 전지패널(10)과 결합되고, 하부 측은 각각 다른 서브프레임들과 상호 결합된다.
특히,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1서브프레임(21)과 제2서브프레임(22) 및 제3서브프레임(23)과 제4서브프레임(24)은 하부 측이 상호 결합되어 대략 반원형상으로 결합된다.
즉, 반원형태로 결합된 제1서브프레임(21)과 제2서브프레임(22) 및 제3서브 프레임(23)과 제4서브프레임(24)이 하부 측에서 상호 결합됨으로써 메인프레임(20) 전체는 반구(半球)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형상을 지지하기 위해 각 서브프레임들의 사이를 지지해주는 지지수단(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메인프레임(20)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상에서 발생하는 외란(外亂)에 의한 메인프레임(2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전지패널(10)이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수상에서 자세가 변화되도록 무게중심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전지패널(10)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가 빈 중공(中空)으로 형성되며, 중공인 내부공간은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다수 개의 격벽(25)에 의해 상호 밀폐된 다수 개의 중공블럭(21a)으로 구획된다.
각각의 중공블럭(21a)의 내부에는 인접한 중공블럭과 상호 밀폐된 상태에서 후술할 유체이송부(30)를 통해 입출되는 유체가 저장됨과 동시에 전지패널(10)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중공블럭(21a)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는 태풍 또는 강한 바람 등의 외란으로 태양광 발전장치가 흔들릴 때 격벽(25)에 의해 구획된 각 중공블럭(21a)에 저장된 유체는 인접한 중공블럭으로 이동되지 않아 유체가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 태양광 발전장치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각 중공블럭(21a)에 각각 유체가 저장될 수 있음으로써 메인프레 임(20)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종래에 비해 수면 아래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수상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20)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메인프레임(20)의 수중에서의 자세변화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유체이송부(30)는 유체이송관(31), 밸브(32), 펌프(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체이송관(31)은 상술한 서브프레임들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관(31a)과 메인관(31a)로부터 각 중공블럭(21a)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분기되는 분기관(31b)으로 구성된다.
분기관(31b)은 메인관(31a)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서브프레임들의 중공블럭(21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각 분기관(31b)에는 중공블럭(21a)과 메인관(31a)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밸브(32)가 설치되어 후술할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제어된다.
이때, 메인관(31a)과 연통되도록 외부분기관(b)이 결합되고, 외부분기관(b)에는 후술할 제어부(40)를 통해 제어되며 외부분기관(b)을 통해 메인프레임(20)의 외부와 메인관(31a)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연통밸브(b')가 설치된다. 이를 통해 각 서브프레임들에 공급되는 전체의 유체량이 조절될 수 있다.
펌프(33)는 후술할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각 밸브(32)의 개방시 메인관(31a)으로부터 중공블럭(21a)의 내부로 또는 중공블럭(21a)의 내부로부터 메인관(31a)으로 유체를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한편, 유체이송관(31)은 별도의 유체공급조(미도시)와 연결하여 유체를 수급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일정한 유체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프레임의 자세를 조 절함에 따라 프레임의 수중으로 잠기는 깊이인 홀수를 조절할 수 없었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이송관을 통해 유체를 증감시킬 수 있음으로써 홀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비시 또는 악천후 시에는 홀수를 조절하여 태양광 발전장치의 정비용이성,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 도 4은 도 3의 제어부의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메인프레임(20)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기울기센서(41), 나침반센서(42) 및 제어유닛(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센서(41)는 메인프레임(20)의 x축과 y축의 기울기를 각각 센싱하도록 평면상에서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침반센서(42)는 메인프레임(20)의 동서남북 방위를 센싱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어유닛(43)은 공지의 태양광의 센서 작동 방식, GPS 추적 방식 또는 태양의 방위각 데이터 값을 토대로 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통해 태양광을 따라 메인프레임(20)의 자세를 산출하도록 알고리즘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기울기센서(41)와 나침반센서(42)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20)의 현재자세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일년 중 날짜와 시간별 태양의 고도 또는 GPS 등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확보된 태양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태양의 고도 및 위치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유체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을 변화시킨다.
즉, 제어유닛(43)은 산출된 메인프레임(20)의 자세(기울기 및 방위)에 따라 기울기센서(41)와 나침반센서(42)를 통해 센싱된 메인프레임(20)의 현재 자세의 상태와 비교하여 회전해야할 방위와 기울기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유체이송부(30)를 제어하여 각 서브프레임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킴으로써 메인프레임(20)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수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어 자세를 변경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세가 변화되는 메인프레임이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구성임과 동시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장치(1)를 수상에 설치하면, 메인프레임(20)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21,22,23,24)의 부력에 의해 메인프레임(20)이 수면상에서 뜨게 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중공블럭(21a)에는 소정의 유체를 채운 상태로 메인프레임(20)을 수상에 설치하거나, 설치 후에 유체이송부(30)를 통해 유체를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이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40)는 태양광의 방위각을 상술한 방법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회전하도록 해당 중공블럭(21a)의 밸브를 개방하여 이송관으로부터 중공블럭(21a)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중 공블럭(21a)으로부터 이송관으로 유체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각 중공블럭(21a)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가감됨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이 변화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일정방향의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메인프레임(20)을 구성하는 제1서브프레임(21), 제2서브프레임(22), 제3서브프레임(23), 제4서브프레임(24)에 구획된 각각의 중공블럭에 저장되는 유체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이 변화함으로써 360°전 방위(方位)에 대해 어느 각도로든지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의 중공블럭에 유체가 가감됨으로써 전지패널(10)에 설치된 태양전지 모듈(s)은 태양광과 수직인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되어 태양광을 더욱 효율적으로 집속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반적으로 태양의 고도가 낮은 경우를 대비하여 수면 상으로부터 태양전지 모듈(s)이 수중으로 잠기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치된다. 즉, 메인프레임의 수중으로 잠기는 깊이인 홀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장치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홀수를 증가시켜 메인프레임이 수중으로 더 깊이 잠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풍 또는 태풍 등의 외란 등으로부터 태양광발전장치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홀수를 증가시켜 메인프레임이 수중으로 더욱 많이 잠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유체이송부를 통해 서브프레임에 형성된 각각의 중공블럭에 동일한 유체량을 채워넣게 되면 메인프레임의 자세를 변경하지 않으 면서도 홀수를 증가시켜 메인프레임이 수중으로 더 많이 잠기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장치의 정비용이성 및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1실시예에서의 메인프레임이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것과 비교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전지패널의 하부에 3개의 서브프레임이 배치되되, 전지패널과 결합되는 각 서브프레임의 상부 측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의 형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측은 상호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발전장치(1), 부력체(110), 제1지지대(120), 제2지지대(130), 도르래(140), 스트링(150) 및 중력추(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태양광 발전장치(1)는 상호 간에 스트링(string) 등의 연결부재(110')를 통해 연결되어 강, 호수 또는 바다 등의 수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부력체(110)는 부력(浮力)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가장 지상면과 가까운 태양광 발전장치(1)와 상기 연결부재(11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도르래(120)는 상기 부력체(51)의 소정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는 호 수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지지대(13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지상면 즉, 제방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대(140)는 수중바닥면 즉, 호수바닥면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는 제1지지대(130)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방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트링(150)은 한 쌍의 제1지지대(131,132)와 제2지지대(140)를 도르래(120)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중력추(160)는 도르래(120)와 제2지지대(140)의 사이에서 스트링(150)과 결합된다.
즉, 중력추(160)를 통해 부력체(110)의 홀수(물에 잠기는 깊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9과 같은 상태에서 수위(水位)가 상승하게 되면, 태양광 발전장치(1)는 자체적인 부력에 의해 수위에 대응하여 동반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도 11을 참조하면, 부력체(110)는 상승하는 수위에 대응하여 제1지지대(130)와 도르래(120) 사이의 스트링(150)의 길이와 제2지지대(140)와 도르래(120) 사이의 스트링(15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증감되면서 상승하는 수위를 따라 동반상승하게 되고, 이때 중력추(160)에 의해 일정한 홀수를 유지하면서 동반상승하게 된다.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장치(1)는 연결부재(110')로 연결된 부력체(110)가 수위에 대응하여 상승하게 됨으로써 수위변화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1)가 안정적으로 상승시키면서 계류(繫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는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하강시에도 같은 원리로 부력체(110)가 하강하는 수위에 대응하여 하강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장치(1)를 안정적으로 계류(繫留)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 계류장치와 비교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수위에 대응하여 태양광 발전장치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하는 지지대의 숫자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종래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상세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메인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지패널 20 : 메인프레임 21 : 제1서브프레임
21a : 중공블럭 22 : 제2서브프레임 23 : 제3서브프레임
24 : 제4서브프레임 25 : 격벽 30 : 유체이송부
31 : 유체이송관 31a : 메인관 31b : 분기관
32 : 밸브 33 : 펌프 40 : 제어부
41 : 기울기센서 42 : 나침반센서 43 : 제어유닛
100 :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 110 : 부력체
120 : 도르래 130 : 제1지지대 140 : 제2지지대
150 : 스트링 160 : 중력추

Claims (6)

  1. 태양광을 집속하여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전지패널;
    상기 전지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체가 저장되도록 격벽에 의해 상호 밀폐되는 다수 개의 중공블럭으로 구획된 적어도 3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지패널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 중공블럭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수중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입출시키는 유체이송부;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무게중심이 변화되도록 상기 유체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 측은 상기 전지패널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결합되고, 타 측은 다른 서브프레임들의 타 측과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 중공블럭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각 중공블럭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밸브와, 각 밸브 개방시 각 중공블럭의 내외부로 유체를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x축과 y축의 기울기를 각각 센싱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동서남북 방위를 센싱하는 나침반센서와,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태양광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유체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을 변화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부력체;
    지상면 및 수중바닥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지지대 및 제2지지 대;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를 통해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연결하는 스트링;
    상기 스트링에 결합되되, 상기 도르래와 상기 제2지지대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력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장치.
KR1020090106438A 2009-11-05 2009-11-05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KR10116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438A KR101165739B1 (ko) 2009-11-05 2009-11-05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PCT/KR2010/005948 WO2011055900A2 (ko) 2009-11-05 2010-09-02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438A KR101165739B1 (ko) 2009-11-05 2009-11-05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426A KR20110049426A (ko) 2011-05-12
KR101165739B1 true KR101165739B1 (ko) 2012-07-23

Family

ID=4397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438A KR101165739B1 (ko) 2009-11-05 2009-11-05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5739B1 (ko)
WO (1) WO201105590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91B1 (ko) * 2012-12-06 2014-04-22 성창통신 주식회사 부력 조절형 태양광 트래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73B1 (ko) * 2009-07-13 2010-02-24 김승섭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07691B1 (ko) * 2014-10-27 2015-04-08 안승혁 담수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17384B1 (ko) 2014-12-30 2016-05-18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JP6675881B2 (ja) * 2016-02-23 2020-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396B1 (en) 2000-11-16 2004-02-03 Billy J. Berger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JP2007533941A (ja) 2003-05-29 2007-11-22 サネンジー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太陽放射線の集熱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5234A1 (en) * 2006-08-18 2008-03-06 Ge Pan Special platform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olar energy
KR100887723B1 (ko) * 2008-05-30 2009-03-12 백흥기 태양광 수집 판넬의 수상용 고정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396B1 (en) 2000-11-16 2004-02-03 Billy J. Berger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JP2007533941A (ja) 2003-05-29 2007-11-22 サネンジー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太陽放射線の集熱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91B1 (ko) * 2012-12-06 2014-04-22 성창통신 주식회사 부력 조절형 태양광 트래커
WO2014088207A1 (ko) * 2012-12-06 2014-06-12 성창통신 주식회사 부력 조절형 태양광 트래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5900A3 (ko) 2011-07-21
KR20110049426A (ko) 2011-05-12
WO2011055900A2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56345T3 (es) Plataforma de alta mar estabilizada por columnas con planchas de atrapamiento de agua y sistema de amarre asimétrico para soporte de turbinas eólicas de alta mar
KR10094407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57206B1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부유 구조물 및 구조물간의 연결방법
KR101575155B1 (ko)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ES2301445B1 (es) Sistema marino de produccion de energia electrica y metodo de instalacion.
KR101170777B1 (ko)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6573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CN112202398A (zh) 一种自动清洁降温联动光伏跟踪装置及系统
JP2011138997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505781B1 (ko) 위치제어형 파력 발전 장치
KR20130098586A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32314B1 (ko) 수면 부상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34289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165741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63958B1 (ko) 부유식 발전 시스템
JP2005313665A (ja) 浮体構造物の姿勢制御装置
CN107152807A (zh) 一种太阳追踪系统
KR102640092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US20220126951A1 (en) Controlled floating solar module
KR101334600B1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US11181098B2 (en) Offshore wind turbine on offset floating support
KR20150117223A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부유 구조물 및 구조물간의 연결방법
KR10116574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KR20140035592A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KR10116574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위한 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