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445B1 - 덧신 자동 착화 장치 - Google Patents

덧신 자동 착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445B1
KR101164445B1 KR1020120029873A KR20120029873A KR101164445B1 KR 101164445 B1 KR101164445 B1 KR 101164445B1 KR 1020120029873 A KR1020120029873 A KR 1020120029873A KR 20120029873 A KR20120029873 A KR 20120029873A KR 101164445 B1 KR101164445 B1 KR 10116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shoes
cavity
slit
r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이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찬 filed Critical 이병찬
Priority to KR102012002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8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boots or shoes, e.g. boot-hooks, boot-jac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신 자동 착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신발을 신을 상태에서 방진 및 방역용 덧신을 자동으로 신발에 착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판 상의 베이스(22) 상에서 'ㄴ'자 형태의 벽체 한 쌍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설치되되 상기 각 벽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결속핀(30)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각 벽체의 상측 공급부에서 하측 착화부까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며, 덧신(40)에 형성된 탄성밴드(41)가 상기 각 벽체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결속핀과 그 다음 배치된 한 쌍의 결속핀에 각각 결속된 상태로 연속 공급 가능하게 된 것이 특징인 덧신 자동 착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덧신 자동 착화 장치{AUTO WEARING DEVICE OF GALOSHES}
본 발명은 무균실이나 크린룸, 공장, 단체 식당, 실험실 등에서 미세 먼지가 떨어지거나 날리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축산농가 등의 방역활동시 외부 오염원이 신발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의 외부에 착용하는 방진 및 방역용 덧신을 신발에 자동으로 착화할 수 있도록 한 덧신 자동 착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장의 내부 또는 병원 등의 무균실은 실내 공기의 청정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관계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출입을 하는 사람들 역시 방진복을 착용하는 것과 동시에 신발의 미세한 먼지나 흙이 크린룸 바닥에 떨어지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과 같이 차폐성이 있는 덧신을 신고 입장하고 있다.
또한 축산농가에서의 방역 활동시 신발에 오염원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비닐과 같이 차폐성이 있는 덧신을 신고 방역 활동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방진 및 방역용 덧신은 비닐과 같이 차폐성이 우수하면서도 가볍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포켓(pocket) 형태로 제조한 뒤, 입구 테두리에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탄성밴드를 둘러서 봉투 형태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진 및 방역용 덧신을 신기 위해서는 손을 이용하여 탄성밴드를 크게 벌린 뒤 덧신 내부로 발을 넣은 후 다시 탄성밴드를 놓아서 발목이나 신발의 윗부분을 조이게 하는 방식인 바, 이러한 착용 방식은 두 손을 모두 이용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 아니라 신발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손에 묻을 우려가 있으므로 자칫 크린룸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신발을 신을 상태에서 덧신을 자동으로 신발에 착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덧신 자동 착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판 상의 베이스 상에서 'ㄴ'자 형태의 벽체 한 쌍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설치되되 상기 각 벽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결속핀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각 벽체의 상측 공급부에서 하측 착화부까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며, 덧신에 형성된 탄성밴드가 상기 각 벽체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결속핀과 그 다음 배치된 한 쌍의 결속핀에 각각 결속된 상태로 연속 공급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각 벽체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측 공급부에서 하측 착화부까지 구멍이 연속 연장된 제1공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동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2공동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레일 및 제2슬릿레일은 상기 제1공동부 및 제2공동부의 대향 면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공동부 내에는 결속핀의 역이동을 차단하도록 힌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한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스토퍼는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덧신 출구 방향으로만 개방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결속핀은, 양측 단부가 상기 제1슬릿레일과 제1슬릿레일을 관통하는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 및 제2돌기와, 상기 핀 본체의 중앙에서 상기 탄성밴드를 결속하기 위해 연장 돌출된 제1고리 및 제2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는 핀 본체의 길이에 대해 상호 역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착화부에 펼쳐진 덧신에 신발을 넣고 뒤로 당기면 자동으로 덧신이 덧입혀지므로 덧신을 편리하게 착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의 유입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청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ㄴ'자 형태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부에 형성된 공급부에 덧신을 포갠 상태로 대량 내입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덧신의 보충 시점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속 공급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의 외형 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에서 덧신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에 덧신이 공급되는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를 이용하여 덧신을 착화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의 외형 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에서 덧신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에 덧신이 공급되는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덧신 자동 착화 장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22) 위에 측면 관측시 'ㄴ'자 형태의 벽체 한 쌍이 소정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설치된다.
상기 벽체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입설된 공급부 벽체(11)와 상기 공급부 벽체(11)의 하부에서 베이스(22) 위로 수평하게 설치된 착화부 벽체(21)로 구분되며, 상기 공급부 벽체(11)와 착화부 벽체(21)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각 벽체(11)(21)의 마주보는 면에는 제1슬릿레일(13)과 제2슬릿레일(15)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공급부 벽체(11)의 상단(입구)에서 착화부 벽체(21)의 끝부분(출구)까지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상기 공급부 벽체(11)의 마주보는 면에서 측면 가장자리에는 터널(tunnel) 형태로 구멍이 형성된 제1공동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동부(12)는 상기 공급부 벽체(11)의 상단(입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착화부 벽체(21)의 상단으로 연결되어 착화부 벽체(21)의 출구까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 벽체(11)의 마주보는 면에는 터널 형태로 구멍이 형성된 제2공동부(14)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2공동부(14)는 상기 제1공동부(12)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공급부 벽체(1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속 설치되고 이어서 착화부 벽체(21)의 하부로 연결된다.
상기 제1공동부(12)와 제2공동부(14)는 각 벽체(11)(21)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각 공동부(12)(14)도 서로 대향하는 면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슬릿레일(13)은 제1공동부(12)에서 제2공동부(14)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슬릿레일(15)은 제2공동부(14)에서 제1공동부(12)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착화부 벽체(21)의 끝 부분에 형성된 제2공동부(14)에는 제2슬릿레일(15)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부(16)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작용은 후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슬릿레일(13)과 제2슬릿레일(15)은 후술하는 덧신 결속핀(30)의 핀 본체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결속핀(30)을 가이드(guide)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속핀(30)은 덧신(40)을 고정하는 동시에 복수 개의 덧신(4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핀 본체(31)를 포함하고, 상기 핀 본체(31)의 일측 단부에는 핀 본체(31)보다 크기가 확장된 제1돌기(32)가 구비되며, 상기 핀 본체(31)의 타측 단부에는 핀 본체(31)보다 크기가 확장된 제2돌기(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돌기(32)는 제1공동부(12)로 삽입되고 상기 제2돌기(33)는 제2공동부(14)로 삽입되며, 이때 핀 본체(31)의 양측이 각각 제1슬릿레일(13)과 제2슬릿레일(15)을 관통하므로, 결국 결속핀(30)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1슬릿레일(13)과 제2슬릿레일(15)에 끼워진 상태로 공급부 벽체(11) 상단(입구)에서 착화부 벽체(21) 끝부분(출구)까지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며, 또한 공급부 벽체(11)에서는 누운 상태로 공급되다가 착화부 벽체(21)에서는 세워진 상태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핀 본체(31)의 중앙에는 덧신(40)의 탄성밴드(41)를 결속하기 위한 제1고리(34)와 제2고리(3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고리(34)와 제2고리(35)는 핀 본체(3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호 역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1고리(34)는 제1돌기(32)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고리(35)는 제2돌기(33)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덧신(40)은 비닐과 같이 차폐성과 유연성을 가진 소재가 포켓 형태로 형성되고, 그 입구의 테두리 부분에 신축성이 있는 탄성밴드(41)가 설치된 것으로,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탄성밴드(41)는 임의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속핀(30) 중 제1고리(34)에 결속되는 동시에, 그 다음에 공급되는 다른 결속핀(30)의 제2고리(35)에 결속된다.
이 경우 상기 결속핀(30)은 도 2와 같이 각 벽체(11)(21)의 마주보는 면에 동시에 2개가 공급되므로, 상기 탄성밴드(41)는 2개의 제1고리(34)와 그 다음에 우치하는 2개의 제2고리(35)에 각각 결속되어 도 4와 같이 결속핀이 착화부 벽체(21) 사이에 위치할 때 탄성밴드(41)가 4개의 결속핀(30)를 기점으로 하여 4각형으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밴드(41)가 착화부 벽체(21) 사이에서 펼쳐지게 하기 위해서는 선행(先行)하는 결속핀(30) 한 쌍이 후방(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해야 하고, 또한 후행(後行)하는 결속핀(30) 한 쌍이 전방(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공동부(12)에서 착화부 벽체(21)의 출구 측에 스토퍼(17)가 설치되고, 착화부 벽체(21)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제1슬릿레일(13)과 제2슬릿레일(15)이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턱(19)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7)는 제1공동부(12)를 개폐 가능하게 한 것으로 힌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결속핀(30)의 진행 방향으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토퍼(17)는 평상시 탄성부재(18)에 의해 제1공동부(12)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결속핀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는 물리적으로 회전 불가능하다.
따라서 결속핀(30)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1돌기(32)가 스토퍼(17)를 밀어서 계속 진행할 수 있는 반면에 제1돌기(32)가 통과하면 탄성부재(18)에 의해 스토퍼(17)가 본래 위치로 회동하여 제1공동부(12)를 폐쇄하므로, 결국 스토퍼(17)를 통과한 결속핀(30)은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턱(19)은 제1돌기(32)와 제2돌기(33)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성된 것으로, 결속핀(30)이 경사턱(19)에 위치한 경우 임의로 당기지 않으면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 자동 착화 장치를 이용하여 덧신을 착화하는 각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5의 (a)와 같이 착화부 벽체(21) 내에서 덧신(40)은 상기 스토퍼(17)와 경사턱(19)에 의해 펼쳐져 있으며, 신발(50)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50)을 덧신(40) 내부에 넣고, 도 5의 (b)와 같이 발을 뒤로 당기면, 도 5의 (c)와 같이 후행하는 결속핀(30)의 제1돌기(32)가 스토퍼(17)에 걸리는 동시에 제2돌기(33)는 개방부(16)를 통해 제2슬릿레일(15)을 이탈하여 기울어지므로 제2고리(35)에 결속된 탄성밴드(41)가 이탈한다.
이렇게 결속핀(30)에서 분리된 덧신(40)은 신발(50)의 발목 부분을 조이는 동시에 신발(50)을 감싸게 되므로 덧신(40)이 자동으로 신발(50) 외부에 착화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d)와 같이 후행하는 결속핀(30)은 스토퍼(17)를 통과하여 역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다음에 위치하는 결속핀(30)은 경사턱(19)에서 이동이 억제되므로 양측 결속핀 사이에 위치한 덧신(40)이 펼쳐져서 또 다른 신발(50)에 착화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따라서 덧신(40)을 연속해서 착화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공급부 11... 공급부 벽체 12... 제1공동부
13... 제1슬릿레일 14... 제2공동부 15... 제2슬릿레일
16... 개방부 17... 스토퍼 18... 탄성부재
20... 착화부 21... 착화부 벽체 22... 베이스
30... 결속핀 31... 핀 본체 32... 제1돌기
33... 제2돌기 34... 제1고리 35... 제2고리
40... 덧신 41... 탄성밴드

Claims (5)

  1. 평판 상의 베이스 상에서 'ㄴ'자 형태의 벽체 한 쌍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설치되되 상기 각 벽체의 마주보는 면에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결속핀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각 벽체의 상측 공급부에서 하측 착화부까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며,
    덧신에 형성된 탄성밴드가 상기 각 벽체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결속핀 및 상기 결속핀의 후행 결속핀 한 쌍에 각각 결속된 상태로 연속 공급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자동 착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벽체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측 공급부에서 하측 착화부까지 구멍이 연속 연장된 제1공동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동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2공동부(1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레일(13) 및 제2슬릿레일(15)은 상기 제1공동부 및 제2공동부의 대향 면에 각각 소정 폭이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자동 착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화부의 제1공동부가 제2공동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공동부 내에는 결속핀의 역이동을 차단하도록 힌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한 스토퍼(17)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는 탄성부재(18)에 지지되어 덧신 출구 방향으로만 개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자동 착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핀은, 양측 단부가 상기 제1슬릿레일과 제1슬릿레일을 관통하는 핀 본체(31)와, 상기 핀 본체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32) 및 제2돌기(33)와, 상기 핀 본체의 중앙에서 상기 탄성밴드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리(34) 및 제2고리(35)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는 핀 본체의 길이에 대해 상호 역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자동 착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레일과 제2슬릿레일의 소정부에 결속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억제하도록 진행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턱(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자동 착화 장치.
KR1020120029873A 2012-03-23 2012-03-23 덧신 자동 착화 장치 KR10116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73A KR101164445B1 (ko) 2012-03-23 2012-03-23 덧신 자동 착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73A KR101164445B1 (ko) 2012-03-23 2012-03-23 덧신 자동 착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445B1 true KR101164445B1 (ko) 2012-07-12

Family

ID=4671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873A KR101164445B1 (ko) 2012-03-23 2012-03-23 덧신 자동 착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527A (ko) 2017-11-13 2019-05-22 이상범 자동덧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956B1 (ko) 2005-09-22 2007-02-02 김흥구 덧신자동착화장치
US20090152312A1 (en) 2007-12-14 2009-06-18 Jinpeng Li Automatic Shoe Cover Dispensing Device
US20100288800A1 (en) 2007-03-28 2010-11-18 OTO Industry (Shanghai) Co., Ltd. Automatic shoe cover dispenser
KR101060333B1 (ko) 2011-04-18 2011-08-29 김도영 자동 신발커버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956B1 (ko) 2005-09-22 2007-02-02 김흥구 덧신자동착화장치
US20100288800A1 (en) 2007-03-28 2010-11-18 OTO Industry (Shanghai) Co., Ltd. Automatic shoe cover dispenser
US20090152312A1 (en) 2007-12-14 2009-06-18 Jinpeng Li Automatic Shoe Cover Dispensing Device
KR101060333B1 (ko) 2011-04-18 2011-08-29 김도영 자동 신발커버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527A (ko) 2017-11-13 2019-05-22 이상범 자동덧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538B1 (ko) 습기방지 마스크
RU2523998C2 (ru) Головной гарнитур респиратора со складывающимся головным креплением
US20090222965A1 (en) Safety glasses for clean rooms and method for securing same
US20160227739A1 (en) Dog shoe
KR101164445B1 (ko) 덧신 자동 착화 장치
JP2010504443A (ja) 男性用パンツ
US20150224356A1 (en) Floor exercise slider
NL1042432B1 (nl) Systeem voor lichamelijke verplaatsingsactiviteit van een persoon
EP2781167A1 (en) Hood for cleanroom gown and corresponding cleanroom gown
KR20140062613A (ko) 통기성 안면가리개
JP7174224B2 (ja) 除塵装置及び除塵システム
KR101686326B1 (ko) 복합 에어바운스 슬라이드
KR102506592B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102329263B1 (ko) 미끄럼 및 김서림 방지 기능 마스크
CN104382690A (zh) 脑外科术后康复头套
KR101093153B1 (ko) 덧신
KR102072018B1 (ko) 청정실용 덧신 자동 착용기
US6145852A (en) Inline skate assembly
KR200433601Y1 (ko) 축구공 운반구
KR102354363B1 (ko) 실내용 신발 덧신
CN215461955U (zh) 一种用于互动投影游戏的手持设备
KR101335357B1 (ko) 실내외 겸용 신발
CN211354079U (zh) 一种抗菌鞋底
CN205493100U (zh) 一种带皮垫的半开式鞋柜
CN207979104U (zh) 一种便于清洗防臭的休闲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